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정보탐색 유형별 인지된 정보유용성 분석: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심민선 ( Minsun Shim ),조희숙 ( Heui Sug Jo ),정수미 ( Su Mi Jung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8 보건행정학회지 Vol.28 No.2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patter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with respect to seeking and scanning, and (2) how online search, along with eHealth literacy, predicts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9 adults from the consumer panel recruited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in 2016. We conducted paired sample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4.0 (IBM Corp., Armonk, NY, USA) and SAS ver.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Of the respondents, 38.8% were ‘high seek-high scanners,’ 35.8% were ‘low seek-low scanners,’ 13.0% were ‘high seek-low scanners,’ and 12.4% were ‘low seek-high scanners.’ eHealth literacy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online information scanning (odds ratio [OR], 2.4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4.29), but not for online information seeking (OR, 1.75; 95% CI, 1.00- 3.05). With respect to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online seeking (OR, 4.90; 95% CI, 2.19-11.00) and eHealth literacy (OR, 2.30; 95% CI, 1.11-4.7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scanning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nline scanning (OR, 2.38; 95% CI, 1.08-5.22), but not with eHealth literacy.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olicy for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related outcome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promoting eHealth literacy.

      • KCI등재

        페이스북 프로필 사진의 유무와 매력도가 친구 맺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김인희(Kim, In-hee),심민선(Shim, Mins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1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 프로필 사진의 유형이 친구 맺기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필 사진의 유무와 매력도가 친구 요청?수락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나아가 프로필의 함께 아는 친구 수 정보와 피험자의 사생활 보호 욕구가 프로필 사진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필 사진의 제시 여부와 제시된 사진 속 인물의 매력도가 친구 맺기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프로필 사진의 영향은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 욕구가 클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그러나 이러한 사생활 보호 욕구의 조절효과는 프로필에 제시되는 함께 아는 친구 수가 많으면 약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 in which a Facebook profile photo influences the intention to ask for and accept Facebook friend requests. The moderating roles of the number of mutual friends and one’s privacy concern were also examined. Our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a profile photo and physical attractiveness depicted in it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s of Facebook friend request and acceptance. This effect was strengthened by participants’s privacy concerns, and such interaction effect was further moderated by the number of mutual friend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포털 뉴스 댓글 작성자의 성별·연령대 정보에 따른 내외집단 범주 지각이 댓글 편향 지각 및 여론과의 일치도와 영향력 인식에 미치는 효과

        강윤지 ( Kang Yoonji ),심민선 ( Shim Minsu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 환경이 제공하는 댓글 작성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따른 내외집단 범주화가 댓글 편향 지각에 효과를 미치는지, 또한 댓글 편향 지각이 댓글과 실제 여론과의 일치도 및 댓글의 영향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정체성 이론과 적대적 미디어 지각 이론 틀 안에서 댓글 작성자들을 사회적 범주화할 수 있는 단서가 제시되었을 때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관련 경유차 규제 이슈를 중심으로 댓글 작성자 다수의 성별·연령이 실험참가자 본인과 일치 혹은 불일치하도록 조건을 설계하여 온라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외집단 지각 시 내집단 지각 조건에 비해 댓글을 적대적으로 편향 지각한 반면, 연령대별 내외집단 범주화의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댓글을 자신에게 적대적으로 편향 지각할수록 댓글이 실제 여론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댓글의 영향력 역시 적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댓글을 통한 여론 인식에 관한 이론적 틀을 정교화하는 한편 댓글의 순기능을 높이기 위한 국내 포털사이트 정책 수립에 유용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biased perception toward user comments occurs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gender and age) about comment posters on online news portal, as well as what effects biased perception has on perceived congruency between comments and actual public opinion and perceived power of comments on oneself and others. W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in the context of diesel car restriction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matter. The findings showed that gender- related ingroup perception of comment posters increased hostile perception toward comments as opposed to the outgroup perception condition. By contrast, such effect was not found with age-related conditions. Hostile perception in turn had negative associations with the aforementioned outcome variabl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알아본 대학생의 관심사 변화 분석 :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박인심(Park Insim),안미리(Ahn Miri),최은정(Choi Eunjung),심민선(Shim Min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초고속 네트워크 기반 환경이 구축되고 모바일 기기 보급이 일상화되면서 하루에도 수백억 기가바이트 이상의빅데이터가 발생하고 있다. 빅데이터 발생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일상, 느낌을 공유하는 SNS를 들수 있다. SNS를 통해 최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생들의 주요 관심사가 무엇이고, 코로나 이전과는 어떤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에브리타임을 대상으로 소셜 빅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여 코로나 상황에서 더 나은 학교생활에 대한 대책을 제안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에브리타임 게시판에 올라온 글을 수집하고 크롤링하여 관심도분석, 연관분석을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이 강의, 과제, 알바, 고민 등에 주로 관심을 보였고, 그 주요 관심사의 초점이코로나 이전과 이후에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적집단면담에서도 일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결과를 토대로, 빅데이터의 출처로서 에브리타임의 가치를 밝히고, 대학정책수립과정에 에브리타임을 적극 활용할것을 제안했다. More than tens of billions of gigabytes of big data have been generated per day. This increase may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high-speed network-based environment and the daily distribution of mobile device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big data is: SNS, through which platform users share their daily lives and feelings. By using SNS, the main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and how they have changed through Covid-19 can be tracked. In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school life during the pandemic; by conducting social big data mining on ‘Every time’- a social network service designed mainly for college students. The method employed: texts from Every tim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semantic analys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1) the main interests revolving around ‘lectures’, ‘assignments’, ‘part-time jobs’, and ‘concerns’ have changed; (2) The function of ‘Every time’ is not confined to the platform for information exchange only. It also offers emotional support and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value of ‘Every time’ as a source of big data and argues that universities should refer to ‘Every time’ when making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기자들의 온라인 서비스 목적별 이용도 분석: 취재보도 원칙의 중요도 인식 및 디지털 기술의 인지된 유용성이 미치는 영향

        신민재(Minjae Shin),이민우(Minwoo Lee),박형주(Hyungju Park),심민선(Minsun Shim)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자들의 온라인 서비스 활용 목적과 이용도를 분석하고, 목적별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취재보도 원칙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및 디지털 기술의 인지된 유용성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9 언론인 조사〉에 참여한 언론인 중 현재 기사 작성 및 보도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자들(N=1,591, 81.3%)을 대상으로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기자들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이용률은 검색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SNS, 온라인 커뮤니티⋅카페 순이었다. 온라인 서비스 이용의 가장 주된 목적은 정보 수집을 위해서였고, 이외에도 독자와의 소통, 제보 경로, 취재원 관리, 기사 확산을 위한 목적으로 특정 온라인 서비스를 선택해서 더 중점적으로 활용하였다. 기자의 취재보도 원칙에 대한 인식이 온라인 서비스 이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비스 이용 목적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주목할 만한 결과로, 보도의 정확성과 심층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경향은 디지털 기술의 인지된 유용성에 의해 매개되어 다양한 목적별 온라인 서비스 이용도를 높인 반면, 신속성과 흥미성을 중시하는 경향은 기사 확산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이용도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뉴스 생태계의 실태에 대한 경험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언론계의 발전 방향성에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patterns in which Korean journalists use various online services in the process of news production and sharing, as well as how such patterns are predicted by their perception factors. We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2019 Journalist Survey by Korea Press Foundation, with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currently writing and reporting news stories (N=1,591). Results show that Korean journalists’ use of online services was overall very high, and they utilized it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information search, user feedback, report getting, source management, and news diffusion. Most notably, journalists’ values on accuracy and depth, of the five journalism principles assessed, enhanced their online service use for varying purposes, indirectly mediated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technology, whereas journalists’ value on expeditiousness and interests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online service use for news diff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