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현대사적 가치

        신효경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A monologue of one wrinkly prison guard> is a memoir by Lee Junyoung, recording the atrocities unfolded at Daejeon Prison during the Korean War. Lee Junyoung was a prison guard. Lee collected bodies of anti-communist figures massacred by the People’s Army at Daejeon Prison, leading the collection oper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A monologue of one wrinkly prison guard>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narratives, characteristics of styles, and the value of the memoir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istor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author and the contents of the memoir have been reviewed. Lee Junyoung completed correction officer school in 1946, and was employed at 22 years old age as the 5th class correctional officer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Until he retired in 1973, he worked at the Daejeon Prison and held various positions including correctional officer department head and senior section leader for special security detail. The memoir includes 13 chapters. Secondly, aspects of the narratives of the memoir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style have been reviewed.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include the background on the introduction of special security details at Daejeon Prison, 7.1 Incident where a band of public servants deserted on July 1 during the Korean War, the Well Incident where the People‘s Army massacred anti-communist figures, and other stories of who served and completed their sentences from prison. Lee’s style can be seen from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presented. His essay states the atrocities of the war from the objective perspective with descriptive depiction, and attempts to bring unbiased views in each incident suppressing his emotions. Thirdly, the value of the memoir has been examined. <A monologue of one wrinkly prison guard> is a memoir of Lee Junyoung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correctional officer. More significantly than a trace of the life of an individual, his work records events transpired in a special environment of Daejeon Prison during the Korean War. Therefore, it retains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ource.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은 이준영의 수기로 6. 25전쟁 중 대전형무소에서 벌어진 참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준영은 형무관 신분으로 6. 25전쟁 중 대전형무소에서 인민군에 의해 학살당한 반공인사들의 시신을 수습하고 그 현장을 지휘한 인물이다. 이 연구에서는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을 중심으로 수기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문체적 특징, 현대사적 관점에서 수기가 갖는 가치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와 수기의 내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수기의 저자인 이준영은 1946년에 형무관 학교를 수료하고 22세 나이에 미군정(美軍政) 형무관 5기생으로 임용되었다. 1973년 퇴임하기까지 대전형무소에서 근무하며 그곳에서 간수부장과 특별경비대 선임분대장을 지냈다. 수기 내용은 총 13편의 각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수기의 이야기 양상과 문체적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야기 양상은 대전형무소 특경대 창설 배경, 6. 25전쟁 중 7월 1일 벌어진 공직자 이탈 사건인 7.1 사건, 인민군이 반공인사를 학살한 우물 사건, 재소자와 출소자의 사연이 실려 있다. 이야기 양상을 통해 본 문체적 특징으로는 전쟁의 참상을 설명적 묘사로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으며, 재소자들에게는 설득의 화법으로 그들의 교화에 힘썼다. 셋째, 수기가 갖는 가치에 관해 살펴보았다.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은 이준영이 형무관으로서 자신이 경험했던 사실을 바탕으로 작성한 수기이다. 개인 삶의 기록보다 6. 25전쟁 전 대전형무소의 재소자 수를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진술과 6. 25전쟁 중 형무소에서 벌어진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사적 관점에서 수기의 시대적인 배경이 되는 1946년에서 1972년까지의 시대 상황을 알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는 점에서 이 수기가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현대사적 가치

        신효경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3 No.-

        <A monologue of one wrinkly prison guard> is a memoir by Lee Junyoung, recording the atrocities unfolded at Daejeon Prison during the Korean War. Lee Junyoung was a prison guard. Lee collected bodies of anti-communist figures massacred by the People’s Army at Daejeon Prison, leading the collection oper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A monologue of one wrinkly prison guard>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narratives, characteristics of styles, and the value of the memoir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istor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author and the contents of the memoir have been reviewed. Lee Junyoung completed correction officer school in 1946, and was employed at 22 years old age as the 5th class correctional officer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Until he retired in 1973, he worked at the Daejeon Prison and held various positions including correctional officer department head and senior section leader for special security detail. The memoir includes 13 chapters. Secondly, aspects of the narratives of the memoir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style have been reviewed.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include the background on the introduction of special security details at Daejeon Prison, 7.1 Incident where a band of public servants deserted on July 1 during the Korean War, the Well Incident where the People‘s Army massacred anti-communist figures, and other stories of who served and completed their sentences from prison. Lee’s style can be seen from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presented. His essay states the atrocities of the war from the objective perspective with descriptive depiction, and attempts to bring unbiased views in each incident suppressing his emotions. Thirdly, the value of the memoir has been examined. <A monologue of one wrinkly prison guard> is a memoir of Lee Junyoung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correctional officer. More significantly than a trace of the life of an individual, his work records events transpired in a special environment of Daejeon Prison during the Korean War. Therefore, it retains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ource.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은 이준영의 수기로 6. 25전쟁 중 대전형무소에서 벌어진 참상을 기록하고 있다. 이준영은 형무관 신분으로 6. 25전쟁 중 대전형무소에서 인민군에 의해 학살당한 반공인사들의 시신을 수습하고 그 현장을 지휘한 인물이다. 이 연구에서는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을 중심으로 수기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문체적 특징, 현대사적 관점에서 수기가 갖는 가치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와 수기의 내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수기의 저자인 이준영은 1946년에 형무관 학교를 수료하고 22세 나이에 미군정(美軍政) 형무관 5기생으로 임용되었다. 1973년 퇴임하기까지 대전형무소에서 근무하며 그곳에서 간수부장과 특별경비대 선임분대장을 지냈다. 수기 내용은 총 13편의 각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수기의 이야기 양상과 문체적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야기 양상은 대전형무소 특경대 창설 배경, 6. 25전쟁 중 7월 1일 벌어진 공직자 이탈 사건인 7.1 사건, 인민군이 반공인사를 학살한 우물 사건, 재소자와 출소자의 사연이 실려 있다. 이야기 양상을 통해 본 문체적 특징으로는 전쟁의 참상을 설명적 묘사로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으며, 재소자들에게는 설득의 화법으로 그들의 교화에 힘썼다. 셋째, 수기가 갖는 가치에 관해 살펴보았다. <어느 주름진 교도관의 독백>은 이준영이 형무관으로서 자신이 경험했던 사실을 바탕으로 작성한 수기이다. 개인 삶의 기록보다 6. 25전쟁 전 대전형무소의 재소자 수를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진술과 6. 25전쟁 중 형무소에서 벌어진 일들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사적 관점에서 수기의 시대적인 배경이 되는 1946년에서 1972년까지의 시대 상황을 알 수 있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는 점에서 이 수기가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심청전』의 현대적 변용과 의미 : 창작 판소리극 '떳다, 물에가 풍'을 중심으로

        신효경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59

        <떳다, 물에가 풍>은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에 국보 62호인 김제 금산사 미륵전의 설화를 활용하여 만든 창작 판소리극으로, 해당 사찰 공간에서 공연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다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떳다, 물에가 풍>의 창작배경이다. <떳다, 물에가 풍>은 2018 전통문화재 활용사업의 일환으로 전북지역에서 활동하는 젊은 소리꾼들에 의해 창작․공연되었다. 작가는 심봉사를 통해 진정한 자유는 육체적 개안이 아닌 마음의 개안을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둘째, <떳다 물에가 풍>의 극적 구성과 인물이다. 이 작품의 극적 구성은 총 4장으로 되어 있으며 새로운 화소를 활용하여 기존과 차별화하였다. 심청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효를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승화시키는 인물로 형상화하되, 심봉사는 현대인들에게 오유지족의 깨달음을 전하는 인물로 그렸다. 셋째, <떳다, 물에가 풍>의 지향의식이다. 이 작품은 인간성이 상실되고 물질을 숭배하는 현대사회의 병폐를 비판하고, 인간의 행복과 진정한 자유는 물질과 욕망에 있지 않음을 강조했다. As creative pansori produced based on Shimcheongjeon, one of the stories of pansori, adapting the folk tale of Mireukjeon Hall of the Geumsansa Temple in Gimje that is National Treasure No. 62. The summary of Ddeotta, Murega Pung, which reinterprets Shincheong- jeon from a modern viewpoint is as follows. First, it is about the background of its creation. As part of 2018 cultural heritage use program, Ddeotta, Murega Pung was created and performed by young sorikkun (singers) who mainly worked in North Jeolla Province. The writer used Blind Shim to show that true freedom could be only realized by opening the eyes of the heart, not the body. Second, it studies the plot and the characters of Ddeotta, Murega Pung. This literature consists of a total of 4 chapters. Characteristically, Shimcheong embodies the figure who sublimates ‘filial piety’ for her father into unconditional love. Blind Shim embodies a new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finding of contentment to modern society. Last, it presents the pursuing consciousness of Ddeotta, Murega Pung. It emphasizes that human happiness and true freedom do not lie in material things and desire.

      • KCI등재

        <전우치전>에 나타난 모순의 양상과 지향의식

        신효경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3

        <전우치전>은 소설의 장르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든 작품으로 각기 다른 서사 안에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실제로 <전우치전>은 탈재와 탐욕을 일삼는 관리의 행태를 비판하는 사회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고단한 삶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민중지향적인 성격도 갖는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다양한 모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우치전>에 나타난 모순의 양상을 알아보고 모순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지향의식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전우치전>의 이야기 구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전우치전>은 크게 태몽과 출생-술법의 획득-전우치의 활약상-서화담과 입산의 서사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웅소설의 특징과 사회 비판적인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3장에서는 모순의 양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주인공인 전우치는 효를 위해 불효와 불충을 저지르는 행동을 하며, 구제를 위해 탈취를 하는 모순된 인물로 나타난다. 또한 여성의 정절을 중요하게 여기는 조선사회에서 수행에 정진해야 할 중은 여인을 겁탈하기도 하고 전우치 또한 상사병에 걸린 친구를 위해 수절과부를 데려오기도 한다. 효를 위한 불효와 불충, 구제와 탈취, 여인의 정절과 훼절의 모순을 통해 <전우치전>은 인간의 욕망과 욕심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4장에서는 모순에 내재 된 지향의식에 관해 살펴보았다. <전우치전>은 불효를 저지르면서까지 노모를 봉양하려고 했던 전우치의 효를 통해 효의 실천과 지속을 지향하고 있다. 전우치가 악인을 징치하는 방법은 가혹한 형벌이 아닌 역지사지를 통한 자기 성찰과 인의 실현으로 스스로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지하고 과욕을 경계하며 중도의 실천을 지향했다. <전우치전>은 불완전한 영웅이 민중 속으로 들어가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소설의 장르 경계를 허물고 당대 현실 문제를 모순이라는 문학적 기법을 통해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 서사적 의미가 있다. The tale of Jeonwoochijeon makes it difficult to clearly categorize its genre, as it contains various themes within different narratives. The protagonist, Jeon Woochi, is a contradictory character who commits both filial and unfilial acts in the name of righteousness, and who acquires extraordinary abilities by stealing from others to aid those in nee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anifestations of these contradictions in Jeonwoochijeon and examined the underlying sense of direction that the contradictions sought to reve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2, this paper examin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Jeonwoochijeon which is broadly structured into the narrative elements of conception dream and birth - acquisition of magical powers -heroic activities and narriative stucutures between Seohwadam and Ipsan. In terms of content, it incorporates characteristics of a hero's journey and contains elements of societal critique. The chapter 3 explored the aspects of contradiction within the stody. The protagonist, Jeon Woochi, engages in actions that contradict filial piety and loyalty in the pursuit of righteousness. Additionally, within the societal context of Joseon Dynasty, where women's chastity was highly valued, it takes instances of monks who should be on a path of asceticism abducting women, and Jeon Woochi himself bringing widows into the temple to help a friend suffering from lovesickness. Through the contradictions of filial piety versus unfilial acts, aid versus theft, and women's chastity versus the violation of it, Jeonwoochijeon indirectly criticizes human desires and greed. The chapter 4 explored the underlying message within the contradictions implied in Jeonwoochijeon. The story centers on the protagonist, Jeon Woochi, who, despite committing unfilial acts, strives for filial piety by caring for his mother.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and maintaining filial piety. Jeon Woochi's approach to punishing wrongdoers doesn't involve harsh penalties but rather focuses on self-reflection and the realization of virtue to bring about personal change. The story encourages acknowledging human imperfections, avoiding excessive desires, and aiming for balanced actions. Jeonwoochijeon portrays an imperfect hero engaging with everyday people and addressing real-life issues. It achieves this through the literary technique of contradiction, which adds significant literary depth to the narrative.

      •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에 / 에서' 오류 개선 방안

        신효경 국어교과교육학회 2008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5 No.-

        본고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 중 부사격 조사에서만 대치오류 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에/에서'를 중국어 개사 '在'와 대조 분석하였다. 대조를 통하여 각각의 의미와 사용범주를 살피고,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에/에서'의 오류문장을 분석하여 오류의 형태와 원인을 밝혔다. 다음'에/에서'의 교육 내용을 위계화하여 선정한 후, 문법적 연어 학습의 형태로 '에/에서'의 오류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고전소설 콘텐츠 제작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신효경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7 No.-

        이 논문은 고전소설 <홍길동전>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만든 ‘율도국을 건설하라’ 콘텐츠 제작에 관한 것이다. ‘율도국을 건설하라’는 필자가 리얼월드 플랫폼을 이용해 만든 콘텐츠로, 본고에서는 게임 플랫폼의 구성과 기능, 이야기 구성과 게임 유형, 콘텐츠 효과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리얼월드 플랫폼의 구성요소와 편집 기능에 관해 살펴보았다. 리얼월드 플랫폼은 크게 테마 편집, 미션 편집, 아이템 편집, 챗봇 편집으로 이루어져 있다. 테마 편집에서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작업할 수 있으며, 미션 편집에서는 전체 테마를 만들고 각 테마에 들어갈 이야기를 구성하고 게임을 만들 수 있다. 3장에서는 ‘율도국을 건설하라’의 이야기 구성과 게임에 관해 고찰하였다. ‘율도국을 건설하라’는 총 21테마로 구성되었다. 미션 수행을 위해 만든 게임으로는 한글모스부호를 이용한 게임, 도형을 암호화한 게임, 퍼즐을 이용한 게임, 쪽지에 적힌 숫자의 비밀을 알아내는 게임, 마방진을 응용한 숫자 게임, 그림에서 숨은 정답을 찾는 게임, 이야기 내용에서 정답을 찾는 게임, AR 기능을 이용한 게임 등이 있다. 4장에서는 ‘율도국을 건설하라’의 효과에 관해 분석하였다. 게임 참가자는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인> 중학생>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며, 구글 설문지 조사결과 <홍길동전>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율도국 건설 과정과 의미, 등장인물의 신분과 이름, 조선시대 신분제도의 이해와 더불어 시묘살이, 삼강오륜, 병조판서, 부위자강과 같은 낱말의 자세한 설명으로 어휘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율도국을 건설하라’처럼 다양한 콘텐츠 제작의 시도로 고전문학이 기술과 접목한다면 고전문학은 퇴보의 길이 아닌 일상 속에 자리 잡아 대중과 함께 즐기는 향유의 문학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creation of educational content titled “Build Up the Yuldo Nation”, which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stody from the classic novel <Honggildongjeon> “Build Up the Yuldo Nation” is an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by the author of this paper using a real-world platform. This paper examines the composition and features of the gaming platfor, the narrative structure, game type and the educational inpac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apter 2 investigated the components and editing functions of the Real World platform which consists of four main components like theme editing, mission editing, item editing and chatbot editing. In theme editing, users can manipulate the visual aspects of the content. In mission editing, one can create an overarching theme structure the stories within each theme, and develop the gameplay elements. The chapter 3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games within “Build Up the Yuldo Nation” which is comprised of a total of 20 themes. The game created for mission completion encompass a variety of challenges, including games utilizing the Korean Morse code, shape-based encryption, puzzles, deciphering secrets hidden in notes, numerical games based on magic squares, finding hidden answers within images, locating answers within the story content, and games incorporating augmented reality (AR) functionality. The chapter 4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aspects of “Build Up the Yuldo Nation”.People of different ages, from high school to college students and even adults, played the game. The questionaair revealed that it helped them understand the story of <Honggildongjeon> better. They learned things like the vocabulary used in the game and details about the characters and the society in which the story is set.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classic literature, like <Honggildongjeon> is combined with technology to create engaging content, it can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and be enjoyed by a wider audience, instead of fading away.

      • KCI등재

        <춘향전>의 공간활용과 서사적 기능

        신효경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6

        Space, a crucial part for aesthetics of a novel, has a symbolic and aesthetic meaning and plays a role in creating meaning to one’s life. <Chunhyangjeon> lifts woman’s chastity and fidelity on the surface, and emphasizes human dignity and its value through space. Also, events engaged in a variety of spaces show different theme for each event. Paragraphs below describe the researched contents based on these points. First, the aspects of space and its utilization shown in <Chunhyangjeon> was researched and discussed. <Chunhyangjeon> showed various spaces according to the shift of each event. ‘Hee-won’ was utilized as the preliminary space for preceding an event, while describing birth of a noble person. ‘Gyul-yeon’ was formed to symbolize fidelity through Korean folklore ‘Dano’, playing a functional role in opening another event. ‘Ae-jung’ has its continuity in having both love and parting of two main characters in the same space, and played a shifting role in propelling the proceeding event. ‘Shi-ryeon’ represented fidelity and loyalty with social criticism, and was utilized to symbolize fidelity of Gisaeng as loyalty. Second, the narrative function of <Chunhyangjeon> was researched and discussed. <Chunhyangjeon> through space grants high class and nobility to Gisaeng, which is subject to the lowest class, and shows legitimacy for raising one’s class. It furthermore puts morality called ‘Yeol (烈)’ ahead of unjust conducts of the ruling class, while speaking for the people’s voice standing against a corrupt society. Lastly, its significance on literary history was researched through space utilization. <Chunhyangjeon> through Gisaeng reflects a strong woman figure, boldly presenting love which had been suppressed under patriarchy, and actualizing her firm will. It sublimates the death of Gisaeng into loyalty in the meantime, which could have been socially outcast and turned away, and enlightens true freedom and value of a human. 소설에서 공간은 미학의 중요한 영역으로 상징적이고 심미적인 의미를 지니며 인간의 삶을 의미있는 것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춘향전>은 여성이 지녀야 할 정조나 절개를 표면적으로 내세우며 공간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공간 안에서 펼쳐지는 사건은 각기 다른 주제의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다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춘향전>에 나타난 공간의 양상과 활용이다. <춘향전>은 사건의 양상에 따라 다양한 공간이 나타난다. 고귀한 인물의 탄생을 알리는 희원 공간은 사건을 이끌어가기 위한 예비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결연 공간은 단오라는 민속을 통해 절개를 상징화하는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사건 발단의 기능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애정 공간은 두 주인공의 사랑과 이별이 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성을 가지며 사건 전개의 본격적인 역할로 접어드는 전환적 기능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련 공간은 절개와 충절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사회 비판적 성격을 가지며 기생의 절개를 충절로 상징화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둘째, <춘향전>의 서사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춘향전>은 공간을 통해 천민인 기생에게 천상의 신분과 고귀함을 부여해 신분 상승의 당위성을 드러냈다. 나아가 불의한 지배층의 행태에 열(烈)이라는 윤리 도덕을 앞세워 부패한 사회에 저항하는 민중의식을 대변하였다. 셋째, 공간활용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조망해보았다. <춘향전>은 기생을 통해 가부장제 안에서 억눌렸던 사랑이라는 감정을 과감히 드러내면서 자신의 확고한 의지를 실현해 나가는 강인한 여성상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사회적으로 외면당하고 관심받지 못했던 기생의 죽음을 충절로 승화시켜 인간의 진정한 자유와 가치가 무엇인지 일깨워주고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 체험수기의 이야기 양상과 문예적 특질 - 신용섭의 한국전쟁 체험수기를 중심으로

        신효경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5 No.-

        While War memoirs retain significance in personal aspects as they contain a part of one’s life, important historical value also lies as they are live records of war history. In this research, using <Shin Yong-Sup’s Korean War memoir>, we tried to approach the trend of storytelling that appeared in the memoir and characteristics as literary art.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we examined the author and reviewed the structure of the memoir. Shin, Yong-Sup, the author of the memoir of our interest, was born in 1930 at Anheung-ri, Anju-gun, Pyeongan-namdo. He was a defector who enlisted Korean People’s Army before the Korean War broke out then surrendered to South Korea. The memoir records the author’s experience during the War, as well as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38th parallel during the weeks coming up to the War, comprised of 46 short stories. Breaking down the content based on the list of stories, we can broadly categorize the plot into 4 chapters: ‘signing up for the People’s Army and attempts of escape, defection and mission as a solider, activities as the head of a recon unit and a special operations unit, and discharge due to the sustained injuries.‘ Second, we reviewed the trends of storytelling presented in the memoir. Mr. Shin’s memoir includes detailed accounts of his heroic activities as the head of the recon team and special operations unit, as well as his talent as a sharpshooter. It also reports the bond of brothers in arms who understand and help each other and despicable actions that communists exhibited during the War. Sometimes, the author shows the reminiscence of his hometown and parents. Various events, in addition to these war stories, intertwine and complete one story while being structured as an omnibus. The memoir shows Mr. Shin’s desire to show a heroic side of him, while providing the reader with a cathartic experience to face a soldier’s struggle with the nostalgia of his hometown. Third, we reviewed the memoir’s characteristics as literary art, and the significance the memoir has. <Shin Yong-Sup’s War Memoir> aptly employs conversational narrative and various literary techniques to express the author’s emotions in the sense of honesty. Such narrative devices also provide events in the memoir with immersion and tension, conveying a more lively story. This memoir not only retains value as a historical record that shows circumstances near the 38th parallel before the War as well as how the War progresses but also ha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we can get a glimpse of the activities of defectors who served in the ROK Army during the Korean War. 전쟁체험 수기는 삶의 한 부분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에게도 큰 의미를 가지지만, 전쟁사의 한 부분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신용섭의 한국전쟁 체험수기>를 중심으로 전쟁 수기에 나타난 이야기 양상과 문예적 특질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나아가 전쟁 수기가 갖는 의의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와 수기의 구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수기의 저자인 신용섭은 1930년 평안남도 안주군 연호면 인흥리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 인민군에 입대하여 남한으로 귀순한 귀순병이다. 수기는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 38선 부근의 상황과 한국전쟁체험담을 주로 기록하고 있으며, 총 46편의 짧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수기의 목록을 중심으로 내용을 분류하면 ‘인민군 입대와 탈출 → 귀순과 군인으로서의 임무 → 수색대장과 특공대장으로서의 활약 → 부상으로 인한 제대’로 나눌 수 있다. 둘째, 이야기 양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신용섭의 수기는 명사수로서의 자신의 재능과 수색대장과 특공대장으로서의 영웅적 활약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또한 치열한 전투상황에서 발휘되는 전우애와 지역빨갱이들의 밀고의 행태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고향과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등 다양한 사건들이 옴니버스식 구조처럼 엮어져 한 편의 이야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수기의 내용을 통해 신용섭이 자신의 영웅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싶은 욕망과 한 인간의 역경을 마주할 수 있다. 셋째, 수기의 문예적 특질과 수기가 갖는 의의를 문학사적으로 조망해 보았다. 신용섭의 전쟁체험 수기는 대화체와 다양한 문예기법을 적절히 사용해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전쟁의 실상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한편, 이 수기는 한국전쟁 전의 북한의 실정과 분위기, 당시의 38선 주변 상황과 한국전쟁 상황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와 더불어 한국전쟁 당시 귀순병에 대한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문학사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재의 문학 교수·학습 분석

        신효경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9 한국어문화교육 Vol.3 No.-

        이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나타난 문학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재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텍스트 중 문학 텍스트는 극히 일부이며, 장르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 중급과 고급에 치우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학습 활동의 유형에 주로 어휘 학습과 읽기, 말하기에 한정되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인의 정서과 주제의식, 문화적 요소는 물론 언어적·기능적 사용 맥락을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해서, 수업의 목표와 학습자 유형, 과제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 활동을 조직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