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과 로봇의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과 불멸지각의 관계

        신홍임,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23 감성과학 Vol.26 No.3

        The term and concept of “immortality” has garnered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worldwide. However, research on this topic is lacking, and the question of when the mind of a deceased individual survives death has yet to be answer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morality and mind perception of the dead correlate with immortality. Study 1 measures the perceived immortality of people, who were good or evil in life.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ived morality is related with the perceived immortality. Moreover, participants indicated the extent to which each person had maintained a degree of morality and agency/experience of the mind. Therefore, morality and mind perception toward a person are related to perceived immortality. In Study 2,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three essays on robots (good, evil, and nonmoral), and had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each robot maintains a degree of immortality, morality, and agency/experience of the mind. The results show that good spirits of a robot are related to higher scores of mind perception toward the robot, resulting in increasing tendency of perceived immortality.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at the morality of humans and robots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perception and immortality. This work extends on previous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robot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in human-robot interaction.

      • KCI등재

        타인의 고통에 대한 도덕적 의사결정의 개인차: 타인 조망수용과 인지유형

        신홍임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3

        Recent work in moral psychology is focused on questions about utilitarianism (i.e., saving more people’s lives) and deontology (i.e., disapproving of sacrificing one person for the greater good of others). This study aimed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which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and cognitive processes have a critical impact on utilitarian and deontological judgments? Second, do cognitive styles facilitate a specific moral judgment? In Study 1, various moral dilemma scenario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had to indicate how morally appropriate it would be for them to kill one person to save others. In addition, they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garding empathic empathic concern, perspective-taking, need for cognition and moral ident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ith preferences for utilitarian judgments showed lower perspective-taking than other participants. In Study 2, the finding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izer-visualizer cognitive styles and utilitarian judgments. The visualizer cognitive styles showed reduced utilitarian judgments. These results implicated the possibility that reduced empathy (i.e. perspective taking) and the verbalizer cognitive style regulated the automatic emotional process and resulted in increased utilitarian judgem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work were discussed. 최근 도덕심리학에서는 다수의 이득을 극대화하려는 공리주의적 결정과 소수의 희생일지라도 무고한 개인을 희생시키는 것에 반대하는 의무론적 결정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위해의 상황에서 인지적/정서적 측면의 개인차가 개인들의 윤리적 의사결정에 끼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주인공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정도를 찬성/반대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또한 개인의 타인조망수용과 타인에 대한 공감적 염려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비개인적 상황에서 모두 공리주의적 결정을 선호하는 집단에서 타인조망수용의 경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윤리적 의사결정과 인지유형(어휘적 표상 vs. 시각적 심상)의 개인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표상경향이 높을수록 공리주의적 결정이 낮아지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정서와 인지가 개입하는 과정을 토론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다루었다.

      • KCI등재

        사랑할까, 먹을까?: 동물과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마음지각과 고기를 먹는 행동의 관계

        신홍임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2

        Do animals have a mind? Our understanding about whether animals have minds depends on our relationship with animals, as we cannot determine animals' actual minds. These two studies presented here thus examined the meat paradox, that is, an inconsistency between love for animals and the act of enjoying eating meat in the context of mind perception. Study 1 examined whether mind perceptions toward various animal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experience-related capacities, such as feeling pain, and agency-related capacities, such as having self-control. In Study 2, mind perceptions toward cows and sexually objectified women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food condition and non-food condition. In the food condition (experimental condition), cows were portrayed as products for meat consumption, whereas in the control condition, they were described as animals living on a farm, eating grass. The results of Study 2 demonstrated revealed that mind percep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ow morally incorrect it was to eat animals. Study 2 thus demonstrated that the scores of mind perception toward cows and sexually objectified wome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condition. These reduced mind attributio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implied that people may be motivated to reduce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their attitudes toward animals, such as loving them, and their behaviors, such as, eating meat. In ad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objectification toward animals may impact the objectification and mind perception toward human beings as well.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dissonance reduction in the meat paradox and objectification theory so as to understand basic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while making moral choices in everyday life. 동물은 마음을 갖고 있는가? 우리는 동물의 마음을 실제로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동물과의 관계를 통해 동물의 마음을 추정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을 사랑하는 태도와 고기를 먹는 행동에 대한 모순적 관계를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의 맥락에서 두 개의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다양한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을 경험의 차원과 주도성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소를 고기로 기술한 실험조건과 고기가 아닌 동물로 기술한 통제조건에서 소와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마음지각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구 1에서는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의 정도가 높을수록 고기를 먹는 행동을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평정점수가 높았다. 연구 2에서는 소를 고기로 기술한 실험조건에서 통제조건보다 소와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마음지각이 통제조건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동물이 '고기'로 제시되는 상황에서는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의 조정을 통해 동물을 해치는 행동에 대한 심리적 불편감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결과는 인지부조화이론에 따라 고기를 먹는 행동과 동물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불편감을 줄이고자 동물에 대한 마음지각을 조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동물에 대한 객체화는 인간에 대한 객체화 및 마음지각에 영향을 끼침을 추정해볼 수 있다. 이 결과는 마음지각, 인지부조화이론 및 객체화이론이 일상에서의 도덕성과 연관된 태도와 행동의 모순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관계

        신홍임,전우택,양은배 한국의학교육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2 No.3

        Purpose: Cognitive researchers assume that learning strategies are related to three types of learning processes: 'surface learning,''strategy learning,' and 'deep learning.' A 'deep learning' approach is widely accepted to be associated with long-term success in medical school,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doctors who take desirable approache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ying in medical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how medical students learn and determined whether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differs between high and low academic performers. In addition, we compared medical college students with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Methods: To explore the learning strategies of students and their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we performed LIST (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Inventory) in a sample of 111 Year 1 medical students. Results: Medica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performance scored higher in most learning strategies than low performers. Additionally, learning strategies were used more frequently by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than medical students, specifically with regard to organization, e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time management. Conclusion: We conclude that learning strategy instruments provide information that enables medical students to optimize their study. To foster deep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it might also be necessary to adopt more changes in teaching and assessment in medical schools.

      • KCI등재

        문화성향은 윤리적 의사결정의 과정에 영향을 주는가?

        신홍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1

        Do cultural differences affect moral decision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attitudes of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have an impact on ethical decision making. Study 1 (N=92) showed that utilitarianism was preferred in a situation, in which an intervention resulted in the best outcome (i.e., saving more people's lives), while deontology was preferre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ocus was on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intervention (i.e. personal sacrifices). Additional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idiocentrics and the allocentrics groups regarding morality aspects. In the idiocentrics group, harm and fairness we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other moral aspects, while in the allocentrics group, not only harm and fairness, but also ingroup and authority were perceived as critical moral aspects. In Study 2 (N=30), after lexical decision tasks were conducted for culture priming, the mouse tracking method was used to explore response dynamics of moral decision processes, while judging appropriateness of interventions in moral dilemmas. In Study 2, in a condition, in which the small number of victims were focused upon, there were more maximal deviations and higher Xflips in the individualism priming group than in the collectivism priming group, which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ism condition had more deliberative processes before choosing their answers between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ism priming condition showed more maximal deviations in the mouse trajectories regarding ingroup related interventions in moral dilemmas than those in the collectivism priming condition. These results implicated the possibilities that the automatic emotional process and the controlled deliberative process in moral decision making might interact with cultural dispositions of the individuals and the focus of sit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개인이 내린 윤리적 의사결정이 개인중심 성향이나 집단중심 성향과 같은 개인의 문화성향과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N=92)에서는 개인의 문화성향에 따라 다수의 이익이 부각되거나 소수의 희생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이익이 부각되는 상황에서는 공리주의적 입장에 대한 선호가 더 컸고, 소수의 희생이 강조되는 상황에서는 의무론적 입장에 대한 선호가 더 컸다. 또한 문화성향에 따른 도덕판단 기준의 중요성을 평정하게 했을 때, 개인중심성향에서는 위해와 공정의 기준을, 집단중심성향에서는 위해, 내집단, 공정과 권위를 모두 도덕판단의 중요한 기준으로 인식하였다. 연구 2(N=30)에서는 개인 또는 집단을 어휘판단과제를 통해 점화시킨 후, 윤리적 의사결정의 과정을 마우스추적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덕판단에서 ‘네’와 ‘아니오’의 최종적 반응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마우스궤적으로 분석한 결과, 소수의 희생이 부각되면 개인점화조건에서는 집단점화조건에 비해 마우스편차와 X축 방향전환횟수가 더 컸다. 또한 내집단과 연관된 행동을 판단할 때, 개인점화조건에서는 집단점화조건보다 마우스편차가 더 큰 경향성이 나타났다. 마우스편차의 증가는 자동적인 정서의 과정을 통제하면서, 다른 대안적인 응답을 동시에 고려하는 사고과정임을 생각할 때, 이 결과는 문화성향과 갈등상황에 따라 도덕판단의 과정이 달라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 학습전략과 심층학습

        신홍임,Shin, Hong-Im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09 의학교육논단 Vol.11 No.1

        Learning strategies are defined as behaviors and thoughts that a learner engages in during learning and that are intended to influence the learner's encoding process. Today, demands for teaching how to learn increase, because there is a lot of complex material which is delivered to students. But learning strategies shouldn't be identified as tricks of students for achieving high scores in exams. Cognitive researchers and theorists assume that learning strategies are related to two types of learning processing, which are described as 'surface learning' and 'deep learning'. In addition learning strategies are associated with learning motivation. Students with 'meaning orientation' who struggle for deep learning, are intrinsically motivated, whereas students with 'reproduction orientation' or 'achieving orientation' are extrinsically motivated. Therefore, to foster active learning and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it isn't enough to just teach how to learn. Changes of curriculum and assessment methods, that stimulate deep learning and curiosity of students are needed with educators and learners working cooperatively.

      • KCI등재

        여성의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과 사회참여의 관계

        신홍임(辛洪任)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여성 스스로가 자신을 활용되는 대상으로 보는 자기대상화(self-objectification)는 성 불평등 합리화 경향 및 사회참여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대상화와 사회 참여의 관계를 자기조절초점의 개인차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여대생 160명을 대상으로 자기대상화의 경향, 성 불평등과 연관된 시스템 합리화경향과 사회참여의 관계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자신의 외모를 능력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사회참여의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여대생 90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초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수행하도록 한 후, 작문과제를 통해 자기대상화를 상태변인으로 조작한 실험조건(예: 성형수술 계획을 작성함)과 통제조건(예: 여름방학 계획을 작성함)에서 성 불평등의 시스템 합리화 경향 및 사회참여의 경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기대상화의 실험조건에서는 통제조건보다 여성의 외모가 능력보다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과 사회 불평등 합리화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 불평등 합리화경향이 높을수록 사회참여의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여성의 자기대상화가 성 불평등을 합리화하면서, 여성의 사회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자기대상화조건에서 여대생의 향상초점 우세성이 높을수록 성 불평등의 시스템 합리화 경향이 낮았으며, 사회참여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기 대상화가 유도된 상황에서 왜 어떤 여성들은 사회의 성 불평등을 합리화하기 보다는 여성에 대한 사회의 시각을 따르는 것을 거부하고, 성 불평등을 감소시키려는 사회활동에 참여 하는 행동을 더 선호하는지를 설명해준다. 논의에서는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 및 사회참여의 관계를 토론하고,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Self-objectification is defined as treating oneself as objects. Women view themselv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not as a whole existence, but as an usable object (i.e. fa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objectification, self-regulatory focus and social engagement of women. Study 1 (N=160) tested the question whether self-objectification is associated with gender specific system justification and social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er tendency of self-objectifi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engagement of female students. In Study 2 (N=90), female students had to indicate a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ory focus. After that, they were instructed to perform a writing task about a cosmetic surgery to induce the stat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In addition, they completed survey questionnaires, which were same as those of Study 1.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er scores of promotion focus dominance were related to the lower scores of self-objectification and system justification. In contrast, the promotion focus domin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tendency of social activism among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regulatory fit may explain the reason why some women in the sexually objectified situation prefer rejecting to follow conventional rules for women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sm to justifying gender inequalit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regulatory fit theory for better understanding self-objecytification and gender behavior in social context.

      • KCI등재

        질투와 존경의 이득 비교: 작업기억용량의 정서조절효과

        신홍임,김주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질투와 존경의 이득을 자기향상의 동기화와 정보처리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N=38)들의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한 후, 질투나 존경 중의 한 가지 조건에서 자신의 경험을 생생하게 머릿속에 떠올려보게 하였다. 그 결과 질투조건에서는 존경조건보다 타인의 우월성을 합당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질투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았으며, 불안이 증가할수록 자기향상을 위한 학습시간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존경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과 정서, 학습시간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N=43)에서는 참가자들의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한 후, 질투/존경/통제조건에서 질투시나리오에 대한 회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질투조건에서 존경/통제조건보다 시나리오 회상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질투조건에서는 참가자의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불안을 더 적게 느꼈고, 정확회상율이 더 높았던 데 비해, 존경/통제조건에서는 작업기억용량, 불안 및 회상율과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질투가 정보처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작업기억용량이 정서조절능력과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In two experiments, we compared envy with admiration in attentional and motivational benefits. In addition, we tested whe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WMC) have consequences for emotion regulation. In Study 1, following WMC tasks, the participants were primed either with envy or with admiration through a recall task, in which they had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about envy or admiration. The participants in the envy condition considered it more undeserved that another person had an advantage over them, than in the admiration condition. Additionally, in the envy condition, WMC was related to happiness, and anxiety was related to the motivation to study more.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MC, emotion and study hours in the admiration condition. Study 2 (N=43) found greater memory for the envy scenario in the envy condition than in the admiration and in the control condition.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MC, anxiety and recall accuracy in the envy condition. However, these relations were not found in the admiration and in the control condition. Findings implicate that env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memory systems and that WMC is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 KCI등재

        자발적 과제전환의 이득 효과

        신홍임,김민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3 No.3

        This study examined benefits of voluntary task switching compared to non-voluntary task switching. Participants(N=33) performed number tasks, in which they decided whether a number is bigger than 5. In the condition of voluntary task switching, two numbers were always presented simultaneously in English and in Korean. The participants needed to choose just one number voluntarily. In the condition of non-voluntary task switching, the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act only to the cued number of the two presented numbers. We hypothesized that no asymmetric switch costs would be observed in the voluntary task switching, if the selection of random task sequences inhibits the interference from the previously performed task. In addition, we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ies and switch costs. The results showed that no asymmetric switch costs for error rates were observed in the voluntary task switching, while asymmetric costs for error rat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non-voluntary task switching. Additionally, the working memory capacities and switch cos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ich indicated the importance of inhibition of irrelevant information for effective multitasking. Implications of the outcomes for task switching are discussed. 두 가지의 상이한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적 전환손실은 과제간섭으로 인한 손실을 알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간섭손실이 실험참가자의 자발적인 과제전환을 통해 감소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제전환손실을 자발적 과제전환과 비자발적 과제전환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비교하고, 과제전환손실과 작업기억용량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참가자(N=33)에게 한국어 또는 영어로 숫자과제를 제시한 후, 자발적 과제전환에서는 매 시행마다 두 가지의 과제 중 한 과제를 우연의 순서에 따라 스스로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비자발적 과제전환에서는 두 가지의 과제 중 외부로부터 단서로 제시되는 특정과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자발적 과제전환의 조건에서 비자발적 과제전환의 조건보다 전반적으로 오답율이 낮았으며, 오답율에 대한 비대칭적 전환손실이 자발적 과제전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자발적 과제전환에서 매 시행마다 과제를 무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했을 때, 이전 과제가 현재 수행하는 과제에 끼치는 영향이 최소화되어, 비자발적 과제전환에 비해 과제간섭손실이 적어짐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과제전환손실과 작업기억용량의 부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여, 작업기억용량이 적을수록 과제전환손실이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현재 과제의 수행에 불필요한 정보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능력이 과제수행도에 중요함을 보여준다. 후속연구에서는 과제전환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더 심층적인 탐색을 통해 다양한 과제수행의 상황에서 성공적인 과제수행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