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육의 발전을 담보할 국어 교과서관 -“열린 교과서관”의 국어교육학적 의미와 국어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

        신헌재 ( Hun Jae Shin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이 연구에서는 우선 열린 교과서관의 교육학적 의미와 국어교육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할 만한 가치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열린 교과서관은 다양성과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대 사조에 부응하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자료요, 개개 학습자 생활에의 전이성과 창의성과 자율성에 더 비중을 두는 것으로서 구성주의적 관점과 민주주의적 이념에 걸맞은 교육학적 의미를 지닌 것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국어교육의 도구교과성을 높이고, 통합교육의 길을 열어줌으로 수위교과로서 국어교육의 위상 제고에 한 몫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열린 교과서관이 국어 교과서 개발에 기여할 만한 점들을 좀 더 세분화해서 국어 교육과정의 상세화 면과, 국어과 교육내용으로서 제재 선정 및 위계화 면, 그리고 단원 구성 면으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열린 교과서관이 지닌 의미와 장점들이 각 개발 단계와 과정상의 판단과 선택의 주요 기준이 되고 교과서 개발상의 새로운 제재와 더불어 활동 구안시의 주요 시사점을 주는 근거점이 되어줌으로써 더욱 교육적 가치와 수준이 높은 국어교과서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d value of ``the open perspective on textbooks as developing Korean Language Arts through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lication of its. The open perspective on textbooks is to have diversity and creativity in these days. It also is thought that textbooks are instructional materials which lead learners’ metastatic and creativity for learning. It comes from constructionalism and democracy. The open perspective to Language arts could be based on a tool subject and integration to instruction and learning. In addition, the open perspective could be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national textbooks;i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language art curriculum, in the selecting materials to teach and and in the construct of units. Therefore, the open perspective on textbooks could be criteria to develop textbooks and determine materials to teach, which be contributed make Korean textbooks high levels.

      • KCI등재후보

        초등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과 교육적 접근 방향

        신헌재 ( Hun Jae Shin ),이향근 ( Hyang Geu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시 텍스트 수용을 소통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독자의 시적 화자 이해는 필요조건이다. 본고에서는 초등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적 화자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초등학교에서 시적 화자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초등 고학년 학습자의 시적 화자 이해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적 화자의 유형에 따라 4 편의 시 텍스트를 선정하여 학습자들에게 1·2 차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적 화자를 잘 이해하고 있는 학습자와 함께 ‘상징적 표상’ 활동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고학년 학습자들은 현상적 화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내포적 화자에 대한 이해 수준보다 높았다. 시적 화자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나’나 ‘내’ 라는 표지를 통해 시적 화자를 쉽게 찾고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이나 정서를 이해하였으며, 표지가 불명확한 경우 시적 화자의 모습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적 화자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초등 수준에서는 현상적 화자에 대한 교육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시적 화자에 대한 오개념을 해결하기 위해 시적 화자의 개념을 지도해야 한다. 셋째, ‘상징적 표상법’ 은 시적 화자를 지도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make children entice literature field in elementary school period. In other to succeed the process, teachers provide tangible literary experience to them. Poetic speakers have been carried on discussion in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Language Art curriculum. However, elementary instructers would not have taught poetic speakers. However, understanding poetic speaker became a academic standard on 5~6th elementary level on 2011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refore, the poetic speaker has to be illuminated a new approach. This paper examined how children to understand the teach poetic and what approach is appropriate to them. we surveyed 427 students on 5-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of various areas. I ascertain that students of 15% on them deeply understood poetic speakers which could find the first person speaker of some poems and conducted the invisible speaker on some poems which is not represented the poetic speaker. Then, we interviewed two students about understanding the poetic speaker. They showed some sufficient evidence some stand points about the poetic speakers. They realized who is the visible poetic speaker finding some mark; "I", "me". In the invisible poetic speaker, students conducted the invisible poetic speaker as referencing and analogical inferencing poetic words. In conclusion, we could suggest the poetic speaker instruction that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students in 5-6th grade should be taught the visible poetic speaker. Secondly, students should be taught who is the poetic speaker of poems and poets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poetic speaker writing poems. Thirdly, ``Symbolic Representation Interview`` is a teaching method of understanding poetic speaker. This approach gives children shaping subject experience on reading poems which lead to identification their own.

      • KCI등재후보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국어과 수업 컨설팅 적용 연구

        신헌재 ( Hun Jae Sh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1

        본고는 초등 예비교사의 국어과 수업 컨설팅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여교사 양성 기관의 교생 실습 운용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교사의 학습에 대한 접근 방식은 인지주의적 접근, 사회문화적인 접근 방법에 의하여 실행되어 왔다. 인지주의적접근은 예비교사에게 교과와 관련된 지식을 풍부하게 제공하여 줄수록 교사의 전이력 역시 높을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사회 문화적인 접근은 경력교사가 가진 교실 현장 실제에서 터득한 지식(Knowldege-in-practice)이 중요하며 이를 배우는 것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강력한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가정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은 예비교사와 전문가 간의 불균형적 권력 관계를 조성하여 예비교사가 연구자들의 지식이나 교사의 암묵지를 답습하려는 태도를 취하게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예비교사를 교사로서 인정하고 현재 그들이 가진 교사로서의 자질과 신념, 교과 교육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의식을 찾아 탐구해 가는 접근 방식이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구적 교사 학습 방식을 국어과 교수-학습 컨설팅에 적용하여 탐구중심 국어과 교수-학습 컨설팅 모형을 구안하였다. 탐구중심 국어과 교수-학습 컨설팅 모형의 운용 단계는 탐구공동체 구성, 탐구주제 수립, 자료수집 단계, 주제 탐색 단계, 반성적 실행단계, 평가 단계의 6단계를 거친다. 특히 컨설팅을 우한탐구공동체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예비 교사가 교수실제에서 터득한 지식을 생성할 수 있도록도와준다. 탐구 중심 국어과 수업 컨설팅 모형을 예비교사 교생 실습과정에 적용하여 보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생 일지를 통하여 탐구공동체 구성을 통한 컨설팅 과정이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 주었고, 국어과 교수-학습 전문성 및 교수-학습 운용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하여 인지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Educational reform movements around the world are setting ambitious goals for student learning. Many factors contribute to achieving these goals. However, the changes in classroom practices demanded by the reform visions ultimately rely on teachers. Changes of this magnitude require a great deal of learning on the part of teachers. Therefore teachers have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forms of learning in multiple contexts. This article was to underst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arning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In order to obtain this aim, this study explored three questions which can be the basis of understanding teacher learning: how teachers learn, which model good enough to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nd how to practice the model. I called the model "Teacher Training Approach based on Inquiry Community"In this study, I made a inquiry community to practice the model. The inquiry community consist of a student-teacher, a supervisor-teacher, a researcher and me. We set the goal according to student-teacher``s opinion. She wanted to learn how to deal with advertisement to 6th grade students. We researched some resources related with advertisement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Therefore we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advertisement is effective at teaching product persuading ideas and texts. After all, we directed a units to add times to teach traits of advertisements. Then we help students product persuadable ideas and texts. The inquiry community was efficient method of training a student-teacher. According to some reponses of her, she has learned some practical knowledge and local knowledge of instructional field.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frame and theorize pre-service teacher learning systematically for Korean language arts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문학이 나아갈 지향점

        신헌재(Shin Hun-Ja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1

        본 논문은 현재 한국 아동문학에 불고 있는 경계 허물기의 경향을 두 가지 접근 방향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한국아동문학의 내적인 경계 허물기 현상이다. 한국아동문학 안에서는 동화와 동시의 장르 한계를 넘어서려는 특성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후반기에 한국 아동문학의 동화와 동시가 그 고유 장르의 한계를 넘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첫째, 동화는 소설화 경향을 보인다. 동화의 소설화 경향은 주변 환경의 변화와 내포독자로서의 아동상의 변모에 남다른 자극을 받은 작가들에 의해 일어난 것이다. 그들은 서사문학의 다양성과 풍성함을 동화에 가미함으로써, 아동문학의 수준을 끌어올렸으며 이는 긍정적인 의의로 받아드릴 만하다. 둘째, 동시가 시의 경계 넘나들기이다. 동시의 경계 넘나들기 경향은 동시인들 간에 일어난 동시의 개념 확장과 질적 수준 향상의 발로이다. 이는 아동 발달 정도를 배려한 보다 깊은 성찰과 표현상의 절제와 탁마된 작품으로 나아간다면 동시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아동문학의 외적인 경계 허물기 현상이다. 한국아동문학이 속해 있는 아시아 아동문학의 경계 허물기는 각 국가에 국한된 아동문학을 넘어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의 동아시아 아동문학과 공통 특성을 공유하는 아동문학군 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아시아 아동문학군이 세계 아동문학의 주무대로 나아가 서구 중심의 아동문학을 보완할 가능태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이러한 가능성을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국제아동문학학회 회장을 역임한 장 뻬로(Jean Perrot)는 서구의 후기 식민지주의(colonialism)적 관점에서 아동문학의 관용의 문제를 새롭게 논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한국을 위시로 한 아시아 지역의 아동문학권에서는 이미 20년 전부터 과거 가해국과 피해국의 경계를 넘으려는 시도를 해왔다는 점이다. 둘째, 아시아 아동문학의 자양과 에너지는 서구의 아동문학이 주로 추고하는 자연과 사물을 객관화, 도구화, 분절화 하는 근대 합리주의 사고경향을 제어함으로써, 보편적인 세계 아동문학의 정체성을 보완?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of aspects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one is a change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other is a change out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decade in 2000,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constructed its genre. It is beyond the border of children’s literature boundary. Firstly, children’s novel has changed to adult novel, which is extricating a day dreaming Korean children’s novel. Many writers started to dynamic method to compose them. It could bear a construction to improve literary value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econdly, poetry for children has changed to adult poetry. Writers of children’s poetry have tended to extend its concepts and contents. However, if this movement would go to deeper considerations and they would write poetry with restraint. Korean poetry for children could be developed. On the other han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as deconstructed out of its field.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tries to have been combined with Asian children’s literature; Korean, Japan, China and Taiwan have made Asi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It could be a dyanmis to supplement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field. Firstly, Jean Perrot said that post colonialism could show keys to solve problems of children’s literature. However, Asian children’s literature field has tried to deconstruct the border of nationalism. Secondly, Asian philosophy could take alternative direction to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수업비평을 위한 관찰 요소와 모형

        진용성 ( Yong Seong Jin ),박태호 ( Tae Ho Park ),신헌재 ( Hun Jae Shi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비평을 위한 수업현상 관찰요소와 모형을 구안하는 데 있다. 수업비평의 실천현장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수업관찰 시에 누구의 눈으로, 무엇을, 어떻게 보는가?’로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문학비평이론을 수업비평에 적용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논의를 위해 수업이론과 문학비평이론, 문학이론을 상호교섭적으로 살핀 후 수업 관찰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는 문학비평과 문학, 수업비평과 수업이 구조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먼저, 문학이론의 시점과 구분되는 초점화이론을 바탕으로 누구의 눈으로 보는가에 대한 종합적인 요소를 도출했다. 그리고 문학 비평의 좌표와 수업이론을 바탕으로 수업비평의 좌표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보완했다. 이것은 무엇을 보느냐에 대한 접근이다. 마지막으로 문학비평의 기능을 수업관찰에 적용해서 감상적보기를 제언했고, 평가적 보기의 위상을 재고했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현상의 관찰모형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수업연구와 개선을 실천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현대적인 방법들이 서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화하며 포섭하는 가운데 상호 보완할 수 있음을 제언하고, 이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make the elements and models of classroom observations for Class Critique. Difficulties in the field of classroom observation ‘someone’s eyes, what, how do you watch?’. So, investigate the preceding researchs which is about the literary criticism applied to class critique. In order to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theory, This study look of transaction between literary criticism and theory of class, The literary criticism, criticism and theory of teaching that are considered to be structurally related. First of all, literary theory based on the theory ‘focalization’. It can explains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The Some coordinates of Art Criticism is complemented by the theory of class. finally, apply functions of literary criticism to classroom observations. and deduce the important of ‘view of appreciation’, ‘view of evaluation’. And made the model of classroom observation for the class phenomenon. Therefore, improvements of Class whic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and modern methods, will be to cooperate complementary rather than exclude each other.

      • KCI등재

        학교 문학교육의 위상과 지향점

        신헌재 한국문학교육학회 2002 문학교육학 Vol.10 No.-

        Literary education is core of Korean language arts in the Curriculum. First, Literary education Based-on the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We will focus on Learner. subject of Literary appreciativeness. We will focus also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society development. creative development, moral development. affective development. Second. Literary appreciativeness activity is integrated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ability and Express ability.

      • KCI등재

        이야기치료 방법을 활용한 문학반응 활성화 방안 연구

        신헌재,구경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This study is started from recognition of problem & necessity about literature education in the real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concrete methodology for 'teaching & learning programs focused on the revitalization of literature-response using the narrative therapy method'. This teaching & learning program is started with the presupposition that the narrative therapy method will play an effective role in revitalizing of literature response of speaking expression. This program is focused on speaking expression among various literature-responses in the forms of writing, painting, playing, using music after reading literature materials of textbook. To perform this program, 1 class of 34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was selected to be a rearch group. 10 stories were selected as literature materials and then this program was applied through 15 periods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I suggest how to rearch and how to analyze effects of this program. Test papers for measuring ability of speaking expression and degree of literature-interests and paper for measuring frequency of response were devised. Narrative therapy method is used according to these patterns, understanding of self-problem (selecting characters)→objectification of self-problem (introduction each character about personality or environment)→discovery of unique results (confession of the character's feeling)→ making self-story extracted from own history(ask & answer mutually, sharing advice mutually)→confirming self-story (acception of various responses). Also teaching & learning program with narrative therapy method, the pattern paper for interview, paper materials for easy question and answer were devised in order to apply this program to real class. This research coul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objectively by comparing before-program and after-program with SPSS program. This teaching & learning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literature-response with narrative therapy method was very effective to revitalize literature-response and improve degree of literature-interests. This program is an especially effective method for understanding character's minds deeply. Applying this model in a real classroom proved that this model helps students express their responses freely to literature materials and relate literature works to their own lives and appreciate literature from their own perspective. Also it extends the scope of students' appreciation for literature works. 본 연구는 교실 현장에서의 문학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필요성의 인식으로 출발하였다. 이에 이야기치료 방법을 활용한 문학 반응 활성화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고 이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현장교사들에게 문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의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학생들에게 문학을 향유할 수 있도록 문학반응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문학치료 방법 중 이야기치료의 원리가 학생들의 말하기 문학반응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출발하여 쓰기, 미술, 연극, 음악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다양한 문학 반응 중 말하기 문학반응을 활성화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는 기존의 ‘등장인물 되어 보기’와 구체적 이야기치료 단계를 적용한다는 점과 협동학습의 방법 중 사회자의 인터뷰를 통한 일정한 형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광주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 34명을 연구집단으로 설정하고, 이야기치료 단계에 맞추어 자신의 문제이해(등장인물 선택하기)-자신의 문제 객관화(상황이나 환경 등 자기 소개하기)-대안적 이야기 개발(서로에게 질문하기, 상대방에게 해 주고 싶은 말하기)-대안적 이야기 굳히기(활동 후 다양한 반응의 수용)으로 모형을 구안하고 사회자 인터뷰지, 학생용 질문지 등을 구안하여, 문학 학습 현장에서 실제 적용하였다. 본 모형을 적용해 본 결과, 문학 반응 표현 능력, 문학 흥미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모형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등장인물의 마음을 이해하여 작품을 심층적으로 이해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작품과 자신의 삶을 연관 짓고, 작품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어 수업 관찰과 비평의 방향

        신헌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7 No.-

        좋은 국어수업이라는 개념 범주는 교육학 분야의 과정-산출연구 방법을 통해 제시된 바, 바람직한 교사의 행동 특성으로 구성된 '효과적인 좋은 수업'의 요건들을 구비하면서, 그 가운데 국어교육의 특성들인 개별성, 상호작용성, 상황관련성, 문화관련성, 통합성들이 잘 구현되도록 배려해 놓은 수업으로 볼 수 있다. 이 국어과의 특성 가운데는 문화 관련성이 대변해 주는 대로 국어과 내용상의 전통적 특성도 포함되어 있지만, 상호작용성과 상황관련성에서도 보듯이 국어사용 현상의 특성이 그 이상으로 배려되고 있다. 그리고 개별성이 드러내주듯이 국어교과의 특성에 대한 것 못지 않게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도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교재에 담긴 국어과 고유의 내용 특성상 의사소통 상황에 개입된 모든 요인들과 더불어 학습자 개인의 특성까지 배려해주는 수업이라는 바로 그 언저리에 좋은 국어 수업의 개념 범주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고 본다. 좋은 국어수업의 개념을 정립해 보는 일은 국어수업의 질적 발전에 큰 계기를 주리라고 본다. 또한 이상적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틀로 삼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수업의 형태로 세분화하고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체계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many process-product research in pedagogy, categorazing a concept of the teaching effectiveness approach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is based on desirable teacher's action. We consider that its special characters relate concern with indivisualization, interaction, situation, culture and integration. A special Korean language Arts characters have traditional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content, but it emphasis on the present state of using Korean language as you recognize interaction and situation. As well it emphasis on learner's interest as you recognize indivisualization. That is, Categorizing a concept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means that instruction include all facts that communication situation and learner's character in text. Its establish that concept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bring a chance of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It makes foundation to diffferentiate elements of ideal instruction and make organization of develop and specialize of various instruction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