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전해석을 통해 본 이익의 왕패인식

        신항수 한국사상사학회 2002 韓國思想史學 Vol.19 No.-

        Yl It annotated confucian classics since his early thirties. In those works, he generally accepted Zhu Xi's(朱薰) doctrine like his contemporaries. But in some points, he asserted new interpretations which were contrary to common idea of Yi dynasty in l8th century. Despite Zhu Xi, Yl Ik didn't deny the value of baodao(覇道,hegemonic way). He affirmed many persons who had been blamed for baodao such as Qi Huangong(齊桓公) and Guan Zhong(管仲).His idea was based on many practical merits of baodao which had been denied by confucianism since Mencious' era. Mencious and his successors distinguished baodao from Wangdao(王道, royal way) because the hegemonic way is no more than pretending renyi'(仁義,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Yl It asserted that pretending would be better than nothing. By him, if the pretending lasted long time, real effectiveness would alive. Those of his ideas expanded themselves into the affirmation of profit. Yl Ik thought that public profit should be pursued to the end even bypretending renyi. It is important that his such ideas were result of his very early works on confucian classics. It means that he tried to change the view point to the world very radically. Yl It tried to overcome the doctrine of Zhu Xi since his early thirties. It became the base of his critical ideas on policy lasted to death.

      • KCI등재후보

        李瀷(1681~1763)의 ?孟子? 井田記事 해석과 田制論

        신항수 조선시대사학회 2002 朝鮮時代史學報 Vol.22 No.-

        YI Ik's Understanding of Jingtian(井田, the well field system) and its application on taxation systemSin, Hang-su

      • KCI등재

        중학교 도덕에 나타난 이념 교육으로서의 현대사

        신항수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6

        Previous studies on the ideology of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mainly analyzed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textbooks(국사)’. However, it is true that prior to the opening of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한국 근·현대사)’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the contemporary history was not valued. The subject that emphasized contemporary history the most was ‘morality(도덕)’. Morality was a subject that was opened with ideological education, and even before the 3rd curriculum when the subject was not formally opened, the government published textbooks such as Doui(도의) , Road to Democratic Unification(민주통일의 길) , and Road to Unification and Victory to Communism(승공통일의 길) to inject anti-communist ideology through contemporary history. In The Road to Democratic Reunification , published in 1963 during the second curriculum, the narrative of modern history was composed of the USSR's ambition for communism - fake Kim Il-sung's insertion - the Communist Party's betrayal of the nation - government establishment - sabotage. These narratives continued to the 6th curriculum,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length and level of description. From the 5th curriculum period, there has been a change from anti-communism to increased nationalist descriptions. This narrative was also reflected in the description of ‘national history’ from the 3rd curriculum when national history was nationalized. Morality is a subject to be learned before national history, and after learning morality, students were repeatedly taught the same narrative through middle school national history and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현대사 교육의 이념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고등학교 국사나 한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7차 교육과정에서 한국 근·현대사 과목이 개설되기 이전에는 국사의 현대사 단원은 중시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현대사를 가장 강조했던 과목은 도덕이었다. 도덕은 이념 교육을 내세우며 개설된 과목이었으며, 과목이 정식으로 개설되지 않았던 3차 교육과정기 이전에도 국가는 도의 , 민주통일의 길 , 승공통일의 길 등의 교재를 발간하여 현대사를 통해 반공 이념을 주입하고자 하였다. 2차 교육과정기였던 1963년부터 발간된 민주통일의 길 에서는 소련의 공산화 야욕-가짜 김일성-공산당의 반민족적 찬탁-정부 수립-파괴 공작으로 구성된 현대사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분량이나 서술 수준의 차이는 있으나 6차 교육과정까지 이어졌다. 5차 교육과정기부터는 반공주의 일변도에서 민족주의적 서술이 늘어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3차 교육과정부터는 3차 교육과정 국사의 서술에도 반영되었다. 도덕은 국사보다 먼저 배우는 과목으로, 학생들은 도덕을 배운 뒤 중학교 국사와 고등학교 국사를 통해 동일한 내러티브를 반복적으로 교육받았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의 한국 현대사 교육이 오히려 역사 과목의 한국 현대사 교육보다 학생들의 인식에 근본적이고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역사학의 새로운 과제와 전자문화지도

        신항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90년대 이후 역사학을 포함한 인문학 전반의 위기가 공론화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사회에서 한국사는 의제설정 기능을 행사해왔다. 이러한 경향은 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확산에 따라 급속히 쇠퇴하여, 다른 인문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유용성을 의심받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역사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 및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모순적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한편 IT 산업의 발전에 따라 한국학분야의 정보화도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역사학의 위기상황에 대한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지도를 복원하고 전자화하여, 여기에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현상을 구현한다. 가상공간의 특성상 전자문화지도는 다양한 방향과 내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료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학제간 연구의 기회를 확대하며 연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한편으로 조선시대의 각종 자료에 대한 대중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역사학에 대한 대중적 수요를 퉁족시키는 일익을 담당할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으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은 인문학에서 정보기술은 하나의 도구일 뿐이지 그 자체가 목적일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보다 중요한 것은 삶과 사회에 대한 성찰이며 그것이 역사학을 포함한 인문학의 존재 이유일 것이다. Many scholars argue on the crisis of history, like other fields of human arts. Because of neo-liberalism, history lost its social role. agenda making, which historians had played since the begining of modernization. But on the other hand, some TV series and best sellers make history very popular. To overcome such crisis, many scholars and scientists try to adopt I.T. technology in human arts and obtain some meaningful results like CD-ROM of Annals of Chosun Dynasty. The Institute of Korean Culture develops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Chosun Korea which can open new way of Korean studies. I.K.C. reconstruct. at first, electric maps of Chosun Dynasty(1396-1910). Then I.K.C. members will input many important cultural materials of that era which will be arranged and displayed by technology of electric atlas. By E.C.A.C.K., one will be able to approach and obtain wide materials more easily. Mass of people will approach historical materials by this methode, and it can be a solution of the question to the mothern history-‘history for whom?’. Most of all, historians are asked to consider the life of human being and problems of their society. In spite of its importance, technology is nothing but a tool. The role of historian is beyond the technology.

      • KCI등재

        한국 실학과 미래 세대 교육

        신항수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In the general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the problem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ideology and national identity is gradually disappear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current values such as the environment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being emphasized rather than the pre-modern identity or traditional ideology. In this trend,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hours assigned to history in the reality that various demands such as software education and A.I. education are raised.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Silhak education will be further weakened in the future. In order to develop Silhak education, new considerations are needed that go beyond the previous problem of subjective modernization. Silhak and the conceptual history of Silhak can be connected to the substantialization of socially required humanities literac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method of practical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level of the student. The necessity of national identity education and accompanyi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lso needs to be put on the agenda. In addition, as an elective subject,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bjects that can deal with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practice as the goal of the next curriculum. 실학은 해방 이후의 교육에서 주체적 근대화라는 문제의식과 연관되어 매 우 강조되었다. 민족 주체성을 강조하던 70년대 이후에는 조선후기사 연구 및 교육의 핵심적 주제였으며, 교육에 대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교 육과정 총론에서도 실학과 연결되는 문제의식이 표현되었다. 최근 교육과정 총론에서 한국의 전통 사상이나 국민 정체성에 대한 문제의식은 점점 사라지 고 있다.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도 전근대를 포함하는 정체성이나 전통 사상 등이 아닌 환경이나 민주시민교육 등의 현재적 가치가 강조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나 인공지능 교육 등 다양한 요구가 제기되는 현실에서 역사에 배정될 시수가 늘기 어렵다. 교과서 서술에는 현 재의 연구 성과와 맞지 않는 오진술이 많고 학교급간 차별성도 없다. 이러한 점에서 실학 교육은 앞으로도 더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학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주체적 근대화라는 이전의 문제의식 을 뛰어넘는 새로운 고민이 필요하다.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인문학적 소 양 교육의 내실화에 실학 및 실학 개념사를 연결할 수 있다. 학생의 수준 에 맞는 실학 교육의 방법도 고민해야 한다. 초등교사의 양성과정을 고려 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의 선정도 필요하다. 국민 정체성 교육 및 그에 수반 되는 전통 문화 교육의 필요성도 의제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선택 과목으로 한국 사상사와 실학을 다룰 수 있는 과목을 차기 교육과정을 목 표로 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이익과 안정복의 고려 말 역사 서술에 대한 논의와 『동사강목』

        신항수 진단학회 2013 진단학보 Vol.- No.117

        Ahn Jeongbok is known as one of Yi Ik's faithful disciple who followed his master on compiling Tongsagangmok(東史綱目), one of the most famous work of history in 18th century. Most of their academic descendants and modern scholars have been acknowledged their academical relationship. But in some points, Ahn did not accept his master's idea, especially on historiography of the end of Goryeo dynasty. Ahn wanted to honor confucian scholars who were loyal to Goryeo dynasty, but the official history, Goryeosa, criticized them because they obeyed wrong king ‘Sin Wu(辛禑)' or ‘Wu Wang(禑王)’, known as not a real son of Kongminwang(恭愍王). Even Yi Ik's objection, Ahn tried to prove that Wu Wang was the authentic heir of Kongminwang and this work helped him honor many Confucianists loyal to Goryeo dynasty such as Jeong Mongju, Kil Jae, Yi Saek and Won Cheonsok, pioneers of Korean confucianism. Ahn ended Tongsagangmok on describing Confucianists who hided in Tumundong from new dynasty. On this point, one of most important Ahn's purpose in writing Tongsagangmok was restoration the honor of great masters of Confucianism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통해 이익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편찬하면서 이익의 생각을 많이 수용하여, 뒷날의 학자들은 대부분 이익이 『동사강목』의 의례를 제시하고, 안정복은 이에 따랐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안정복은 이익의 의견을 모두 받아들이지는 않았으며, 이익은 이에 대하여 불만을 갖기도 하였다. 안정복이 수용하지 않은 이익의 의견은 고려 말의 역사상에 대한 평가였다. 안정복은 고려 말 절의를 지킨 정몽주 등의 ‘제현’을 추숭하고자 하였으나, 이들에게는 우왕과 창왕 아래에서 벼슬하였다는 약점이 있었다. 안정복은 『동사강목』의 저술 동기를 밝히며 『고려사』에 은일전 등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즉 고려 말 ‘제현’의 추숭은 『동사강목』 서술의 매우 중요한 동기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복은 우왕이 공민왕의 정통을 이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익과의 갈등도 있었고, 조선 왕조 아래에서 그대로 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서술하면서 우왕에 대해 철저하게 정통의 필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안정복은 정몽주 등 고려 말 제현에 대하여 아무런 혐의 없이 추숭할 수 있었으며, 『동사강목』은 고려에 의리를 지키며 은거한 인사들에 대한 서술로 마무리되게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