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성에 의한 옥수수 식초의 향기 성분 변화

        신인웅 ( In-ung Shin ),박은희 ( Eun-hee Park ),최영환 ( Yeong-hwan Choi ),류수진 ( Su-jin Ryu ),신우창 ( Woo-chang Shin ),김명동 ( Myoung-dong Kim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2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8 No.1

        강원도에서 생산된 옥수수를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초산 발효 및 숙성에 의해 변화되는 주요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옥수수 술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휘발성 성분은 2-phenylethanol으로서 전체 휘발성 성분의 약 27%를 차지하였으나, 초산 발효 후 15%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옥수수 술과 옥수수 식초는 초산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따라 향기 성분의 특성이 패턴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산 발효 이후에 전체 휘발성 물질 중에서 초산이 약 50%를 차지하여 가장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2-phenylethanol, diethyl succinate 순서로 높았다. 장미향을 나타내는 ethyl phenylacetate와 과일향을 나타내는 diethyl succinate 등 에스테르 화합물의 향기 활성가가 높게 나타나 이들 성분이 초산 발효 후 식초의 향기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Vinegar was prepared from corn produced in Gangwon province and changes to the major aroma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and ripening. The most prevalent volatile component in corn alcohol was determined to be 2-phenylethanol (accounting for 27% of total aroma components); the levels of 2-phenylethanol decreased to 15% after acetic acid ferment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revealed that corn vinegar was distinguishable from corn alcohol.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volatile components (50%) was acetic acid, followed by 2-phenylethanol and diethyl succinate. Ethyl phenylacetate and diethyl succinate had the highest odor activity value, and might contribute most profoundly to the aroma of corn vinegar.

      • SCOPUSKCI등재

        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β-glucuronidase 활성 탐색

        김은정,신인웅,권세영,박은희,이재형,김명동,Kim, Eun-Jung,Shin, In-Ung,Kwun, Se-Young,Park, Eun-Hee,Yi, Jae-Hyoung,Kim, Myoung-Dong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1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7 No.3

        전통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으로부터 ${\beta}$-glucuronidase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하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156점의 젖산균 중 52점의 균주가 glucuronic acid를 탄소원으로 대사하였으며, 대부분의 젖산균은 세포내 ${\beta}$-glucuronidase 활성이 세포외 활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순무김치에서 분리된 Leu. mesenteroides KFRI 73007 균주가 $0.77{\pm}0.01U/mg$ protein로서 가장 높은 세포내 ${\beta}$-glucuronidase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적 반응조건은 pH 7, $37^{\circ}C$이었으며 $1.14{\pm}0.01U/mg$ protein의 효소활성을 나타냈다. 양이온 금속이온은 ${\beta}$-glucuronidase 효소활성을 약 70% 이상 저해하였으며, 균주 배양에 사용한 탄소원 중 ${\beta}$-glucuronidase 생산을 위한 최적의 탄소원은 glucuronic acid이었다.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were studied for their ${\beta}$-glucuronidase activity. Among the 156 strains tested, 52 strains utilized glucuronic acid as a carbon source and their intracellular ${\beta}$-glucuronid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extracellular activities. Leuconostoc mesenteroides KFRI 73007 isolated from turnip kimchi exhibited the highest intracellular ${\beta}$-glucuronidase activity of $0.77{\pm}0.01U/mg$ protein, which was further increased to $1.14{\pm}0.01U/mg$ protein under optimized reaction conditions (pH 7, $37^{\circ}C$). The activity of ${\beta}$-glucuronidase was notab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divalent cations, and glucuronic acid was the best carbon source to produce ${\beta}$-glucuronidase in Leu. mesenteroides KFRI 73007.

      • KCI등재

        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β-glucuronidase 활성 탐색

        김은정 ( Eun-jung Kim ),신인웅 ( In-ung Shin ),권세영 ( Se-young Kwun ),박은희 ( Eun-hee Park ),이재형 ( Jae-hyoung Yi ),김명동 ( Myoung-dong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7 No.3

        전통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젖산균으로부터 β-glucuronidase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하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156점의 젖산균 중 52점의 균주가 glucuronic acid를 탄소원으로 대사하였으며, 대부분의 젖산균은 세포내 β-glucuronidase 활성이 세포외 활성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순무김치에서 분리된 Leu. mesenteroides KFRI 73007 균주가 0.77 ± 0.01 U/mg protein로서 가장 높은 세포내 β-glucuronidase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적 반응조건은 pH 7, 37℃이었으며 1.14 ± 0.01 U/mg protein의 효소활성을 나타냈다. 양이온 금속이온은 β-glucuronidase 효소활성을 약 70% 이상 저해하였으며, 균주 배양에 사용한 탄소원 중 β-glucuronidase 생산을 위한 최적의 탄소원은 glucuronic acid이었다.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were studied for their β-glucuronidase activity. Among the 156 strains tested, 52 strains utilized glucuronic acid as a carbon source and their intracellular β-glucuronid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extracellular activities. Leuconostoc mesenteroides KFRI 73007 isolated from turnip kimchi exhibited the highest intracellular β-glucuronidase activity of 0.77 ± 0.01 U/mg protein, which was further increased to 1.14 ± 0.01 U/mg protein under optimized reaction conditions (pH 7, 37℃). The activity of β-glucuronidase was notab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divalent cations, and glucuronic acid was the best carbon source to produce β-glucuronidase in Leu. mesenteroides KFRI 73007.

      • KCI등재

        송절편을 첨가한 송이주의 향기 성분

        윤정아 ( Jeong-ah Yoon ),신인웅 ( In-ung Shin ),박은희 ( Eun-hee Park ),이하연 ( Ha-yeon Lee ),김명동 ( Myoung-dong Kim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2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8 No.3

        송이버섯이 첨가된 전통주를 제조한 후 송절편을 첨가하여 첨가량과 숙성 기간에 따른 향기 성분의 변화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광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송절편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총 3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으나, 송절편을 첨가한 송이주에서는 총 15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송절편을 5% 첨가한 실험구에서 송이버섯 특유의 향기 성분인 β-fenchyl alcohol과 2-octanol, methyl cinnamate은 숙성기간 동안 상대적인 함량이 증가하여 8주후에는 각각 67.57%, 2.14%와 0.94%를 나타냈다. 주성분 분석 결과 송절편 첨가에 의한 β-fenchyl alcohol의 상대적 함량 증가가 송이주의 향미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송이주의 향미 특성은 송절편의 첨가량 보다 숙성 기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in flavor compounds in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liquor added with pine tree chip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While thre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control, fifteen were detected in the pine mushroom liquor added with pine tree chips. After eightweeks of aging,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β-fenchyl alcohol, 2-octanol, and methyl cinnamate, which are distinctive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pine mushroom, increased by 67.57%, 2.14%, and 0.94%, respectively, when pine tree chips were added (5%).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although flavor characteristics of the pine mushroom liquor were affected b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β-fenchyl alcohol due to the addition of pine tree chips, the aging time exerted a greater influence on flav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