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간과 영원의 관계에 대한 소고

        신익상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2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4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relation of time and eternity. First, it will start with pointing out that, in 'the midst of dualistic thought of time versus eternity', time has been object of redemption by eternity in general. And find ontological proper place by 'Whitehead’s comprehension of time' and 'Prigogine’s comprehension of time'. With 'the order out of chaos' shown in Prigogine’s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it could be clarified that the irreversibility is the basis for all levels of orders. Irreversibility of time is derived from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by studying of 'the first phase in the process of concrescence'. As a result, we will become to reach the thought that time is a conceptual abstraction including the concept of irreversibility. And the base of this irreversibility is not eternity and immortality. but it is the mobility of becoming-perishing and changing. Eternity and immortality are realized exclusively by becoming-perishing and actualize themselves in the form of changing and moving. 본 논문은 일관되게 하나의 목표를 향해 간다.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먼저, 시간과 영원이라는 이분법적 사유 속에서 시간은 대개 영원에 의해 구원받아야 할 대상이 되어왔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어 화이트헤드의 시간 이해와 프리고진의 시간 이해를 경유해서 시간의 존재론적인 위치를 찾아본다. 프리고진으로부터는 비평형 열역학이 보여주는 ‘혼돈으로부터의 질서’를 통해 비가역성이 모든 수준의 질서에 대해 근원이 되고 있다는 점을 끌어낸다. 화이트헤드로부터는 합생의 첫 번째 위상을 검토함으로써 시간의 비가역성을 끌어낸다. 이들로부터 우리는 시간이 비가역성을 가지는 개념적 추상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비가역성의 토대는 영원이나 불멸이 아니라 생멸과 변화의 운동성이라는 점을 지적하게 될 것이다. 영원이나 불멸은 오직 생성과 소멸을 통해서 일별될 수 있는 것으로 변화와 운동의 형식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 KCI등재

        The Posthuman and a Dialectic of Sacrifice

        신익상 한국민중신학회 2017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homeostasis, the sustaining of which is importantly aimed by the neural networks of human brain simulated by most artificial intelligences. Through this, we connect the meaning of dialectical movement, which becomes more prominent in the post-human era where life and machinery intersect and overlap with each other, to the Christian theme of ‘sacrifice.’ Homeostasis itself i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its outside world. This article shows that the relationship is activated by nothing more than a non-dual double negative dialectic, that is, a Korean way of thinking,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connected to the Christian practices of messianic sacrifices. Further, the dialectical nature of messianic sacrifice will provide a clue as to where the humanities should inquire into in the post-human era crea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life and machinery.

      • KCI등재
      • KCI등재

        탈성장과 생태(신학)의새로운지평: 바울의 '메시아적 삶'의 구조로 사회-생태 변혁 사유하기

        신익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3

        In the face of the urgent crisis of the times on a global scale today, theology needs to go beyond self-apologetic and provide a ‘actual contribution’ for theories or discourses to meet the needs. This study aims to solve this perception in the theme of ‘social-ecological transformation.’ In order to transform the social-ecological system, the paradigm at the macro level, power and institutions at the meso level, and culture and awareness at the micro level must all change. In this article, a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ecological transformation’ is introduced, and through this framework, the synthesis of degrowth and decoupling, two representative discourses of responding to climate-ecological crisis, will be mediated between structure and practice. It is dealt with by turning to the problem of describing the meso level. At this point,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structure of St. Paul’s ‘messianic life’ in the dimension of an essay. In other words,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St. Paul’s ‘messianic life’ to the structure of meso level power and politics, theology can provide a ‘actual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to respond to the urgent global climate-ecological crisis.

      • KCI등재

        새로운 디지털 혁명에 응답하는 한국 신학 ―불이적(不二的, advaya) 사랑

        신익상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2 신학연구 Vol.59 No.1

        본 논문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초-연결’을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어떤 지향과 문제의식으로 응답해야 하는지에 관한 한국 상황에서의 신학적 단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초-연결’의 개념을 살피고, 이 개념이 지탱하는 구조적인 욕망인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의 밀접한 관련성을 지적한다. 이어서 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한 한국 신학의 이해로서 ‘불이적 사랑’이라는 개념을 ‘아무것도 아닌 것들이 살아내는 삶’이라는 주제로 소개하고 논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 그리스도의 사랑이 어떻게 이해되고 실천될 수 있을지를 밝힌다. 여기에는 성육신 개념의 해석을 통한 불이적 사랑의 소개, 그리고 이 사랑의 실천과 관련된 아무것도 아닌 것들의 신학적 주체성의 제시가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해서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려는 새로운 디지털 혁명의 불가능한 발상에 ‘지속불가능성’이라는 방법론으로 대응함으로써 불이적 사랑의 실천을 구체화할 수 있음을 논한다.

      • 세계 창조에 관한 세 가지 유형들- ‘가능적인 것’과 ‘잠재성들’ 그리고 ‘여래장’ -

        신익상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2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3

        It can be said that Whitehead’s potentials, Deleuze’s virtualities, and Won-hyo(元曉)’s tathagatagarbha(如來藏)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ll set the basis of the possibility of world-creation on the potentiality ― in Deleuze’s term, the virtuality ― of the world. Concretely speaking, Whitehead represents world-creation through the processes of concrescence and transition, Deleuze through the events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Won-hyo through the circulating movement of unifying and unfolding. Especially Whitehead introduces potentiality by means of the concept reversion, Deleuze by means of the odd calculus, and Won-hyo by means of entering into tathagatagarbh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ll of them are philosophies of potentialities that explain the world as a periodic movement having potentiality inside. These philosophies of potentialities give the possibility of the world back to the world itself as to allow the world the possibility to be able to take its responsibility. So it can be said that this possibility is led to ethical lives of human beings, because the world includes human-reality, the one of processes in the world. By finding a case of this in Won-hyo’s tathagatagarbha thought, we can metaphorically show a practical way ― the descending-movement that could be pursued by the philosophies of potentialities. 화이트헤드의 가능적인 것, 들뢰즈의 잠재성들, 그리고 원효의 여래장은 모두 세계 창조의 가능성을 세계의 잠재성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화이트헤드에게 세계 창조는 단적으로 합생과 이행의 과정으로, 들뢰즈에게는 차이와 반복의 사건으로, 원효의 여래장에서는 모음과 펼침의 순환운동으로 나타난다. 특히 화이트헤드는 “역전”이라는 개념을 통해 잠재성을 소환하고 있으며, 들뢰즈는 “잉여계산”을 통해, 원효는 “입(入)여래장”을 통해 잠재성을 소환한다. 따라서 이들 모두는 잠재성을 내장하고 있는 주기운동으로써 세계를 설명하는 잠재성의 철학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잠재성의 철학들은 세계의 가능성을 세계에게 돌려주면서 세계로 하여금 스스로를 책임질 수 있는 가능성을 허락하는 것이다. 이는 세계 내 과정인 인간-실재를 포함하는 것인바, 인간의 윤리적 삶에도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적극적 증례를 원효의 여래장사상에서 찾음으로써 잠재성의 철학들이 추구할 수 있는 하나의 실천적 길인 하강운동을 은유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