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고인·피의자의 접견교통권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입법적 제언

        신이철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6

        적법절차를 실현하려는 실천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헌법 제12조 제4항)는 ‘실질적’이고 ‘충분한’ 도움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내용으로는 –예방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법률자문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고, 최근의 판례는 부정하고 있지만- 주로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변호인의 수사기록 열람・등사권, 변호인의 피의자신문참여권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피고인・피의자의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은 헌법이 보장하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 된다는 점에는 의문이 없지만, 헌법재판소는 변호인과의 접견권 역시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법률로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변호인의 고유권에 속하는 변호인의 접견교통권에 대하여 종전에는 헌법상의 권리라고는 말할 수 없으며 법률상 보장받는 권리임에 지나지 않는다고 판시한 적도 있었지만, 최근 헌법재판소는 ‘피의자 등이 가지는 변호인이 되려는 자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실질적으로 확보되기 위해서는 변호인이 되려는 자의 접견교통권 역시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장되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렇게 되면 과거에는 변호인이 자신의 접견교통권이라는 기본권을 침해받았음을 이유로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없었지만, 지금은 헌법소원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는데, 접견교통권이 피의자와 변호인의 사이에서 필요적・쌍면적 공동관계에서 비로소 실현되므로 타당한 결정이라고 생각되며, 더 나아가서 변호인의 접견교통권이 단순히 헌법상 기본권인지 법률상의 권리인지에 대한 논쟁을 넘어서서 제한 사유를 법률에 명문으로 분명하게 규정을 둠으로써 변호인이 접견교통권을 법정사유이외에는 제한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접견교통권을 보장하는 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에 대해서도 헌법재판소는 인간생활 관계의 완전한 단절로 인한 파멸을 방지하고, 방어를 준비하기 위한 기본적인 권리에 해당하므로 성질상 ‘헌법상 기본권’에 속한다는 입장이다. 그렇다면 현재 실무상 수사기관의 독자적인 결정으로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을 제한하고 있는 바, 헌법상의 기본권이라고 바라보고 있는 이상 이와 같은 실무의 태도는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다고 하겠다. 따라서 형사소송법에 피의자와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명확한 별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피의자에 대해서도 법원 결정을 요하도록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비변호인과의 접견을 제한하는 경우 제한하는 사유까지도 구체적으로 적시하여 피의자 본인 또는 타인에게 통지하도록 하되, 특히나 타인과 달리 가족의 접견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좀 더 엄격하게 규정을 두는 방안도 검토해 보아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The rights to receive an attorney’s advice (Article 12(4) of the Legislative Act) that can be deemed as a practical means of realizing legal procedures must be practical and provide sufficient assistance. There are disputes on whether the details of the rights of receiving an attorney’s advice include legal advice that contain preventative measures, which has been denied by recent court holdings. However, such details generally include the rights of receiving advice from domestic attorneys, receptive traffic rights of the attorney, the attorney’s rights to participate in interrogations of the defendant, and the attorney’s rights to viewing and reproducedinvestigative records. Among which, there is no doubt that the receptive traffic rights of the attorney with the defendant are included within the most key points of the rights to receive the attorney’s advice a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has clarified that the receptive traffic rights with the attorney may be legally restricted if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maintenance of order or public welfare. Meanwhile, it was also held that the attorney’s receptive traffic rights belonging to the unique rights of the attorney could previously not be deemed as constitutional rights, and could not be considered as a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simply as a right that is guaranteed pursuant to Article 34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or as a right that varies from the receptive traffic rights with the attorney held by the defendant.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recently issued that the receptive traffic rights of the party intended to be the attorney must be constitutionally guaranteed as a fundamental right in order to substantially secure the right to receive the advice of the party intended to be the attorney for the defendant.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receptive traffic rights with a party that is not an attorney, the Constitutional Courtalso took the position that it prevents destruction caused by complete isolation from social relationships and as a fundamental right to prepare for defense, it belongs to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in its characteristics. If so, since the restrictions of receptive traffic rights with a party that is not an attorney is currently achieved based on the independent decision of the investigating organization, if it is considered as a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 and upon restriction thereof, it would be reasonable to request a clear legal basis and the court’s decision on the defendantalso.

      • KCI등재

        형사증거법상의 조사자(특히, 조사경찰관) 증언에 대한 소고

        신이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외법논집 Vol.33 No.4

        Durch die Reform des koreanischen Strafprozessordnung aus dem Jahr 2007 wurde das sog. Ermittlerzeugnis in §316 Abs. 1 korStPO neu eingeführt, wonach ein Polizeibeamt, der bereits im Ermittlungsverfahren den Angeklagten vernommeh hat, in der Eigenschaft des Zeugen sein Hörsagen von Angeklagten in der Hauptverhaldnung wiedergeben kann und dem Hörsagen eine Beweisverwertung beigemessen werden darf. Seitdem könnte das Ermittlerzeugnis eine bedeutsame Rolle für die Verbrechensbekämpfung spielen. Die geltende Strafprozessordnung erlaubt jedoch die Beweisverwertung des polizeilichen Vernehmungsprotokolls nur in eingeschränktem Mass, das dann als Beweis nicht verwertet werden darf, wenn der Angeklagte in der Hauptverhandlung die im Vernehmungsprotokoll niedergelegten Inhalte verneint(§312 Abs. 3). Trotzdem eröffnet die geltende Strafprozessordnung ein Weg, in dem das Hörsagen des Polizeibeamten, der den Angeklagten im Ermittlungsverfahren vernommen hat oder an der Vernehmung teilgenommen hat, ohne weiteres als Beweis verwertet darf. Die neue Regelung würde dann zur Systemwidrigkeit in Hinblik auf das polizeiliche Vernehmungsprotokoll führen. In diesem Sinne soll das polizeilichen Hörsagens nicht nur im Stadium der Beweisaufnahme als Beweis vorsichtlich aufgenommen, sondern auch bei dessen Beweiswürdigkeit noch strenger geprüft werden.

      • KCI등재

        고층 건축물의 수직 연소확대 성상에 관한 연구(수직 샤프트 공간의열기류 성상을 중심으로)

        신이철,박계원,유용호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4

        Model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a vertical shaft with openings spaced uniform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shaft and on a vertical shaft where one opening is present in the bottom floor and another one floor above. Study of these models helps to elucidate phenomena such as the stack effect by working from fundamental knowledge of the behavior of hot air flows in vertical shaf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in the vertical shaft decreases from the lower part toward the upper part inside the vertical shaft; and (2) and have a larg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independent of the opening conditions and the position of the fire source. Furthermore, a prediction formula fo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vertical shaft is derived from the results. 본 연구는 수직 샤프트 공간의 열기류 성상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연돌효과 등의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직 샤프트 공간에 개방 된개구부가 하층부 및 상층부에 하나씩 설치되어있는 조건을 대상으로 모형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① 수직 샤프트 공간 내의 온도 분포는 수직 샤프트 공간의 하층부에서 상층부로 상승하면서 온도가 저하되고, ② 와 는 개구 조건에 관계없이 대체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결과로부터 수직 샤프트 공간 내의 온도분포 예측모델을 도출했다.

      • KCI등재

        형사소송법 제218조의 유류물 또는 임의제출물의 압수에 대한 소고

        신이철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7

        An investigative agency’s search and confiscation are legal disposition that require warrants in principle (Article 215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However, search and confiscations that are not based on warrants are permitted as an exception in consideration of urgency, etc. (Articles 216 to 218). Among which, any confiscation of lost articles or voluntary submissions in Article 218 do not require a pre-warrant nor a post-warrant, and thus,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in practice. However, a strict determination must be made because of the possibility that a manipulation of the law may occur regarding the warrant. First, with respect to the confiscation of lost articles in Article 218, there are views that consider impression evidence, such as finger prints, and biological samples, such as blood stains, are applicable for confiscation of lost articles. However, it is determined that it would suffice for them to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authentication for investigation, which is considered free investigation. Nonetheless, confiscation without warrants may be made if abandoned waste is transferred to a public sector, such as a depository, and ownership is abandoned, whereas if an individual submits lost articles abandoned by a criminal to an investigative agency, it should be confiscated by being issued a pre-warrant or a voluntary submission from the owner, etc. Meanwhile, voluntary submissions are sufficient as long as they are submitted by a party with the right to do so (owner, holder or storer), and thus, there is no need for the consent of the owner or a suitable right, and in the event of a holder or storer, the court has held that there must be no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the invasion of the owner’s privacy or other personal benefit.’ Furthermore, even if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there is legitimate authority in appearance, it would be difficult to always acknowledge the right of voluntary submission unless post-remedying acknowledges it. Any other determination of the voluntariness of a voluntary submission must be made by integrated consideration based on the specific situations, even at the request of a voluntary submission by an investigative agency or when the rejection of a voluntary submission is not issued by the investigative agency. Furthermore, although the confiscation of voluntary submissions is permitted at the site of arrest or the scene of the crime, strict determination must be made due to the risk of evading the warrant. Furthermore, the confiscation of voluntary submissions has the same effect as the confiscation based on a warrant. In this regard,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voluntariness to be acknowledged if a voluntary submission is made immediately after an illegal confiscation. If so, in the event that the illegally confiscated article is returned and immediately confiscated thereafter as voluntary submission, the validity of evidence may be acknowledged by assessing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iolation of the procedure of confiscating the evidence and the final collection of evidence, however, if substantially forceful confiscation has been made in the process, the validity of evidence may not be acknowledged. 수사기관의 압수수색은 원칙적으로 영장을 요하지만(형사소송법 제215조) 예외적으로 영장에 의하지 않는 압수수색이 허용되고 있다(제216조 내지 제218조). 그 중에서도 특히, 제218조의 유류물 또는 임의제출물의 압수는 사전영장은 물론, 사후 영장조차도 요구되지 않아 실무상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영장주의에 대한 탈법행위가 이루어질 가능성 때문에 매우 엄격히 판단해야 한다. 먼저 제218조의 ‘유류물’압수와 관련하여, 지문 등 압력증거와 혈흔 등 인체시료에 대하여 유류물의 압수로 보려는 견해가 있으나, 임의수사로 이해되는 수사상 감정행위의 일환으로 이해하면 족하다고 본다. 다만, 버려진 쓰레기가 집하장 등 공개영역으로 옮겨져 소유권이 포기된 것이라면 영장 없는 압수가 가능한 반면에, 현행범이 버리고 간 유류물건을 사인이 주워 수사기관에 제출한다면 소유자 등에게 임의제출을 받거나 사전영장으로 압수를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임의제출물’은 제출권한 있는 자(소유자, 소지자 또는 보관자)가 제출하면 충분하며 반드시 적법한 권원이나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하지는 않고, 다만 소지자・보관자의 경우에는 판례가 ‘소유자의 사생활의 비밀 기타 인격적 법익이 침해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어야 한다는 제한을 가하고 있다. 또한, 외관상 적법한 권한이 있다고 믿을 만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도 사후치유가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는 이상 언제나 임의제출권을 인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그 외에도 임의제출의 임의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수사기관의 임의제출 요구에 의한 경우나 수사기관이 임의제출 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라도 구체적 상황에 따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그리고 체포현장이나 범죄장소에서도 임의제출물 압수가 허용될 수 있지만, 영장주의를 잠탈할 위험성 때문에 매우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 임의제출물 압수의 효력은 영장에 의한 압수와 동일한 효력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위법한 압수직후에 임의제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임의성이 인정되기 어려울 것이지만, 위법한 압수물을 일단 환부하고 곧바로 임의제출을 받는 형식으로 다시 압수하는 경우에는 증거를 압수한 최초의 절차위반행위와 최종적인 증거 수집사이의 인과관계가 단절되었다고 평가되어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는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실질상 강제적인 압수가 행해진 경우라면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 입법론적으로는 임의제출 거부권의 고지를 명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형사증거법상 변호인 작성 법률검토 의견서의 증거능력 - 변호인­-의뢰인 특권 도입여부와 관련하여 -

        신이철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4

        Korea adopts the regulations of a counsel’s responsibilities of nondisclosure. However, in other countries, there are no well-written regulations as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ACP). During the time of discussion as to whether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could be acknowledged, a recent Supreme Court holding directly denied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voices of criticism against such privilege arguing that taking the legal advice of a lawyer may actually be disadvantageous for the client. It is unclear whether the court holding was issued in consideration of such criticism, however, while the Supreme Court directly denied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and held that the legal statement submitted as evidence of guilt corresponds to ‘a statement or a document providing that statement (hearsay evidence) prepared by a party other than the defendant’ pursuant to Article 313(1)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the lawyer, who prepared the statement in court, exercised his right to refuse to testify, thereby disproving the authenticity of its establishment, and it was held that the statement does not correspond to Article 314 of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and thu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legal statement is ultimately denied. The result based on the content of such court holding achieves an equivalent effect of acknowledging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which is acknowledged under the Anglo-American law, by exceeding the meaning of admissibility of a hearsay statement pursuant to the Criminal Prosecution Act.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client to receive sufficient assistance by his counsel by acknowledging the right for a client to actively protect his own information, instead of the indirect method as in the court holding. Accordingly, through legislation, it should be provided that the collection of evidence based on the conversations or documents prepared between the client and the attorney should be restricted, in principle, and if the details of such communication is illegally disclosed, it would be necessary not to permit its use as evidence that is disadvantageous against the defendant. Ultimately, if attorney-client privilege is acknowledged through well-written regulations, the unnecessary disputes so far may be wiped out, and the client will be able to safely receive an attorney’s assistance not only during prosecution, but also in everyday life, which will allow the substantial guarantee of the basic rights of the nation. 우리나라에서는 변호사법과 형법 및 형사소송법 등 관련 법률에서 변호사에게 비밀유지의무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지만, 외국과는 달리 변호인-의뢰인 특권(ACP) 만큼은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동안 변호인-의뢰인 특권이 과연 헌법상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제12조 제4항)로부터 도출될 수 있느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던 중, 최근의 대법원 판례가 ‘피의자 또는 피고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이 일상적 생활관계에서 변호사와 상담한 법률자문에 대하여는 그 비밀의 공개를 거부할 수 있는 특권을 도출할 수 없다’고 판시함으로써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있다. 그러나 변호인-의뢰인 특권이 인정되지 않으면 변호사에게 법률자문을 구하는 것이 오히려 의뢰인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러한 비판을 염두에 두고 내린 판결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법원 판례는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정면으로 부정하면서도 검찰이 유죄의 증거로 제출한 법률의견서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에 규정된 ‘피고인 아닌 자가 작성한 진술서나 그 진술을 기재한 서류(전문증거)’에 해당한다고 판시하면서도, 공판정에서 작성자인 변호사가 형사소송법 제149조에 따라 정당하게 증언거부권을 행사함으로써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되지 않았음은 물론,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사유로 인하여 진술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하지도 않는다고 판단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법률의견서의 증거능력을 부정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 판결의 내용을 두고 공판중심주의의 취지를 반영해 형사재판에서 전문증거의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증거법 측면에서는 정당한 증언거부권의 행사를 보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할 여지가 충분히 있겠지만, 적어도 결과에 있어서만큼은 단순히 형사소송법상 전문증거능력에 관한 의미를 넘어 영미법상에서 인정되고 있는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사실상 인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이끌어 내고 있다. 그러나 판례처럼 우회적인 방법이 아니라 의뢰인에게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뢰내용을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충분하게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입법을 통하여 의뢰인과 변호사간 온·오프라인 대화 내용, 상담 및 변론 과정에서 작성한 문서 등에 대하여는 증거수집을 원칙적으로 제한하는 내용으로 규정되어야 하며, 나아가 의사교환 내용이 위법하게 공개된 경우 이를 피고인에게 불리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철저히 증거능력을 배제시키는 방향으로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결국 명문의 규정을 통하여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인정하게 되면 그동안의 불필요한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의뢰인은 소송절차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안전하게 변호사의 조력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국민의 기본권도 실질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 KCI등재후보

        법원의 증거기각결정에 대한 형사절차상 불복방법

        신이철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아주법학 Vol.7 No.3

        증거신청권은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을 통하여 공정한 재판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증거 신청에 대한 채부결정과 관련하여 기각결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이에 대한 불복 내지 구제방법 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그런데 증거기각결정은 판결전 소송절차이다. 따라서 항고로서는 다툴 수 없지만, 증거조사절 차에서 발생하는 위법․부당은 그로 말미암아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을 이유로 판결자체에 대하여 상소를 하는 방법으로는 다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증거조사에 대한 적시 의 이의신청은 피고인의 방어를 위하여 그만큼 더 실질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또한 증거신청 을 기각한 법관에 대한 기피신청 허용여부는 기피제도의 활성화를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당사 자의 증거신청권을 자의적으로 침해한 경우라면 법관에 대한 기피사유로서의 가능성을 열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