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특성

        신용운,한승우,이시완,황인서,박치영,SHIN, YONG-UN,HAN, SEUNG-WOO,LEE, SI-WAN,HWANG, IN SEO,PARK, CHI-YOUNG 한국해양학회 2019 바다 Vol.24 No.1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와 연안습지 기초조사를 통한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장봉도, 무의도, 대천천하구, 서천갯벌, 유부도, 곰소만, 하의도, 증도, 도암만, 강진만)에서 서식하는 수조류의 도래현황에 대한 조사는 2008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실시되었다. 관찰된 수조류 중 도요 물떼새류가 36종(37%) 193,111개체(67.1%)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으며, 수면성 오리류, 백로류, 갈매기류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큰뒷부리도요(Limosa lapponica),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도요 물떼새류가 서천갯벌과 유부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수면성 오리류는 도암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잠수성 오리류는 강진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갈매기류는 서천갯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은 수조류의 유사도지수(Ro)에 의해 3개 Group으로 나뉘었다. 1 Group은 수면성 오리류와 잠수성 오리류가 우점한 지역이었으며, 2 Group은 도요 물떼새류가 우점한 지역이었다. 3 Group은 갈매기류가 우점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 간 환경에 따른 종구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igration status of waterbirds inhabiting the 10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Jangbongdo, Muuido, Daecheoncheon estuary, Seocheon tidal flat, Yubudo, Gomso bay, Hauido, Jeungdo, Doam bay, Gangjin bay) was examined from May 2008 to March 2013. For the most dominant taxonomical group, shorebirds accounted for 37.5%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67.1% of the total population, followed in the order of dabbling ducks, herons, and seagulls. The dominate species were Calidris alpina, Larus crassirostris, Limosa lapponica, Charadrius alexandrinus, and Calidris tenuirostris. Shorebirds were observed most at Seocheon Tidal Flats and Yubudo Island, and dabbling ducks were found most in Doam Bay. Diving ducks were observed most at Gangjin Bay and seagulls were seen most frequently at Seocheon Tidal Flats. The ten coastal wetlands o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of waterbirds (Ro). Group 1 was the area where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were dominant, group 2 was the area where shorebirds were dominant, and group 3 was the area where seagulls were dominant.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es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regional environments.

      • 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신용운 ( Yong Un Shin ),이한수 ( Han Soo Lee ),강용명 ( Yong Myung Kang ),문운경 ( Oun Kyong Moon ),박홍식 ( Hong Sik Park ),오홍식 ( Hong S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수조류로 다양한 유형의 내륙습지와 해안습지에서 서식하며, 논, 호소, 소택지, 간척지, 하천, 하구, 해안 등지에서 번식한다. 번식기가 지난 여름철에는 암수 한쌍이 짝지어 갈대, 줄풀, 창포등이 무성한 습지에서 서식하며 겨울철 큰무리로 서식한다.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는 흔한 텃새이며, 또한 겨울철 북쪽의 번식 집단이 남하 월동하는 흔한 겨울철새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야생조류로부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되고 있는 상황이며,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시기는 야생조류의 이동시기와 일치하여 조류인플루엔자 전파에 야생조류는 주요 전염원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청둥오리 및 원앙 등의 야생조류로부터 바이러스가 직접 분리 동정되었으며,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국내 양계 농장 발생 바이러스와 일치하였다.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원인 및 질병전파는 야생조류에 의해 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된 후 오염된 분변에 의해 사람이나 차량에 의해 2차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 야생조류의 이동, 분포양상 등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흰뺨검둥오리에 관한 연구는 단일종 자체보다는 철새 도래지내 수조류 군집 연구시 흰뺨검둥오리 개체수 변동과 흰뺨검둥오리를 포함한 수조류 군집과 기온, 먹이자원 등 환경요인과 상관관계 등 다른 수조류와 함께 포괄적으로 일부수행된 바 있다. 흰뺨검둥오리의 이동에 관한 연구로는 가락지를 이용한 재포획 연구시 일부 수행되었을 뿐, 흰뺨검둥오리 단일종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이용하여 국내 서식하는 흰뺨검둥오리의 월동기와 번식기를 구분하고, 주간과 야간의 서식지 이용율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텃새 및 겨울철새인 흰뺨검둥오리의 보호관리 및 기타 수조류의 이동 및 행동 등 생태학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는 경기도 이천시 복하천, 안성시 청미천, 충청남도 아산시 곡교천, 충청북도 진천군 병천, 전라북도 만경강, 제주도 용수저수지에서 실시하였다. 복하천과 안성천, 곡교천, 병천, 만경강은 수심이 비교적 낮으며, 유속도 완만하며, 수변부와 제방사이에는 넓은 고수부지가 있다. 주변에는 넓은 농경지가 있으며, 인근에는 대도시가 위치해있다. 용수저수지는 제주도 서쪽에위치하고 있는 제주도의 주요한 철새도래지이다. 6개 지역의 수변부에서 Cannon-net을 이용하여 흰뺨검둥오리를 포획하였다. 포획된 개체는 즉시 새주머니(Bird-back)에 넣어 10~20분 정도 안정화 시켰으며, 이후 각 개체 무게를 측정하여 추적 대상 개체를 선별하였다. 비행에 있어 행동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추적기 무게는 5%이하이므로, 야생동물위치추적기 무게가 50g임을 고려하여 추적 대상개체는 1kg이상의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야생동물위치추적기는 백팩(Back-pack) 형태로 부착하였다. 서식지이용율을 분석하기 위해 흰뺨검둥오리 25개체에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부착하였다. 이 중 국외이동한 12개체의 평균 북상일을 기준으로 나머지 13개체의 북상일 기준 전과 후로 구분하여 서식지 이용율을 분석하였다. 서식지 이용은 각 좌표를 구글 맵(Google-map)을 이용하여 하천, 논, 밭, 바다, 저수지, 농수로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으며, 전체 월동기와 번식기,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서식지 이용율을 파악하였다. 전체 37개체를 대상으로 위치추적한 결과, 평균 189일간 위치추적하였으며, 최대 425일, 최소 70일간 좌표수신이 되었다. 하루동안 개체별로 1회, 2회, 8회의 좌표수신을 하였으며, 평균 259회의 좌표를 획득하였고, 최대 598회, 최소90회를 획득하였다. 국외 이동한 12개체의 평균 북상일은 4월 26일이었으며, 4월 8일부터 5월 28일까지 이동을 하였다. 월동지에서 도착지까지의 평균 직선이동거리는 683.8km였으며 최소174km, 최대 1,238km를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착지는 중국 6개체, 러시아 1개체, 북한 5개체였다. 국내에 잔류한 흰뺨검둥오리 13개체를 대상으로 전체 서식지 이용율을 살펴보면, 하천에서 46.1%를 이용하여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 34.0%, 밭 11.0%, 저수지 1.8%, 바다 1.8%, 농수로 1.6%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평균 북상일을 기준으로 월동기에는 논이 68.8%로 가장 이용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 12.9%, 밭 11.7%, 농수로 3.3%, 저수지 3.2% 등의 순이었다. 번식기에는 논이 55.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하천 23.3%, 밭 10.3%. 바다 3.6%, 저수지 0.5% 등의 순이었다.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주간의 월동기에는 하천이 68.8%로 가장 이용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12.9%, 밭 11.7%, 농수로 3.3% 등의 순이었다. 번식기에는 논에서 62.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하천 20.4%, 밭15.4% 등의 순이었다. 월동기 야간에는 논에서 55.4%로 가장 이용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논 20.9%, 밭 14.9%,저수지 4.9%, 농수로 3.4% 등의 순이었다. 번식기에는 논에서 51.7%, 하천 42.3%, 밭 4.4% 등의 순이었다. 흰뺨검둥오리는 겨울철 월동기와 여름철 번식기 동안 주서식지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천은 월동기 동안 중요한 서식지이며, 논은 번식기간 동안 중요한 서식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동기에는 주로 하천을 주서식지로 이용하여 먹이섭취를 위해 논, 밭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번식기에는 논에서 번식 혹은 서식하며 하천을 이동하며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전라남도 강진만에 도래하는 조류의 분포와 갯벌등급

        신용운(Yong-Un Shin),조해진(Hae-Jin Cho),강태한(Tae-Han Kang),김인규(In-Kyu Kim),오홍식(Hong-Shik Oh),이시완(Si-Wan Le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만에 도래하는 조류의 분포와 갯벌 등급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관찰된 조류는 107종 11,060개체였으며 우점종은 흰죽지 청둥오리 민물도요 큰고니 등이었다. 조류들은 봄 가을 겨울에는 강진만 상류지역과 하류의 사내호를 중심으로 분포하였고 여름철에는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등급은 보호지역인 순천만 무안만과 같은 Ⅳ등급으로 판정되어 그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진만은 하구둑이 없는 자연형습지이며 출현하는 법적보호종도 13종으로 나타나 다른 연안습지에 비해 많고 특히 법적보호종인 큰고니의 주요 서식지로서 그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on birds visiting this area eleven times by season from August in 2009 to July in 2010 to look into the distribution of birds and grading assessment of the tidal flat at Gangjin Bay in Jeollanamdo. This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existed a total of 11,060 individuals of 107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Pochard (Aythya ferina) Mallard (Anas platyrhynchos) Dunlin (Calidris alpina) and Whooper Swan (Cygnus cygnus) in the order of dominancy. In summer birds were observed over a wide area of Gangjin bay and the other season birds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upstream of Gangjin bay and Lake Sanae of outside region. Gangjin Bay grade level was same as the Muan Bay's grade and Suncheon Bay's grade. but Gangjin Bay is natural form wetlands that without estuary weir and wintering sites for Cygnus cygnus. In addition for the total of 13 legally protected species including Whooper Swan (Cygnus cygnus) Gangjin bay has a special function of primary habitat in this area.

      • KCI등재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의 월동기 행동권 비교 연구

        신용운 ( Yong Un Shin ),신만석 ( Man Seok Shin ),이한수 ( Han Soo Lee ),강용명 ( Yong Myung Kang ),정우석 ( Woo Seog Jeong ),최지다 ( Ji Da Choi ),윤하정 ( Ha Chung Yoon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는 대표적인 월동 수조류로 수계를 중심으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중부지역에위치한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월동하는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에 대하여 행동권과 월동지에서의 일일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한다. 2015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5개체와 흰뺨검둥오리 5개체에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하였다. 일일 이동거리는 전체 평균 0.89㎞이었으며, 최대 31.09㎞이었다. 청둥오리의 일일 이동거리는 0.97㎞이었으며, 최대 28.78㎞이었다. 흰뺨검둥오리의 일일 이동거리는 0.80㎞이었으며 최대 33.39㎞이었다.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최소볼록다각형법(MCP)과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오리 2종의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 490.34㎢ (SD=311.20㎢ n=10)이었으며, 핵심서식지인 커널밀도측정법(KDE 50%)은 42.24㎢이었다. 청둥오리의 행동권(MCP)은 568.02㎢로 흰뺨검둥오리 행동권(MCP) 397.13㎢보다 비교적 넓었으며, 청둥오리의 핵심서식지(KDE 50%)는 53.05㎢로 흰뺨검둥오리의 핵심서식지(KDE 50%) 29.26㎢보다 비교적 넓었다. Mallard and Spot-billed ducks that are typical wintering water birds use the wide rice field in the center of the water system as a wintering ground. I try to figure out the daily movement distance from Home-Range to wintering ground for mallard and spot-billed ducks in Mangyunggang, Dongjingang where located in central region. In 2015 wintering period by using a Cannon-net, I attached WT-300 to 5 mallard and 5 spot-billed ducks. Daily movement distance is an overall average 0.89㎞, the largest distance was 31.09㎞. Daily movement distance of mallard was 0.97㎞, the largest distance was 28.78㎞. Daily movement distance of Spot-billed ducks was 0.80㎞, the largest distance was 33.39㎞. Home-Range analysis is used by the SHP files that is compatible with GIS and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 it was analyzed using the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MCP) and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The behavior rights of two kinds of ducks was 490.34 ㎢by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MCP) (SD = 311.20㎢N = 10), an important habitats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50%) was 42.24㎢. Home-Range of Mallard (MCP) was 568.02㎢, it is wider than home-range(MCP) of spot-billed duck 397.13㎢relatively, the core habitats of mallard is 53.05㎢, it is wider than mallard’s core habitats(KDE 50%) 29.26㎢relatively.

      • KCI등재후보

        법적보호종 조류의 납과 카드뮴 축적에 관한 연구

        신용운(Yong-Un Shin),서슬기(Seul-Gi Seo),김화정(Hwa-Jung Kim),이두표(Doo-Pyo Lee)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각기 다른 먹이와 서식지를 가진 기러기목, 매목 및 올빼미목에 속하는 조류 8종 41개체를 대상으로 중금속 원소별 조직분포 경향을 파악하고 종간 중금속 농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납은 신장과 뼈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카드뮴은 신장에서 높고 뼈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문헌 결과와 유사하였다. 간에서 납의 오염수준은 비오염수준(<6㎍/g)이 39개체, 오염수준(6 ~ 30㎍/g)이 2개체로 나타났다. 간에서 카드뮴의 오염수준은 비오염수준(?3㎍/g)이 38개체, 오염수준(>3㎍/g)이 3개체였다. 그리고 신장에서 카드뮴의 오염수준은 비오염수준(?8 ㎍/g)이 32개체, 오염수준(>8㎍/g)이 9개체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ssue distributions of heavy metals (Pb and Cd) and to compare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among species in protected bird species belonging to Anseriformes, Falconiformes and Strigiformes which different food and habitat. Lead(Pb) was high in kidney and bone, and low in liver. Cadmium(Cd) was high in kidney, and low in bone.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f 41 birds, background Pb level in liver (<6㎍/g) was recorded 39 birds of 41 birds and exposed level (6 ~ 30㎍/g) was 2 birds. Background Cd level in liver (?3㎍/g) was recorded 38 birds and exposed level (>3㎍/g) was 3 birds. Background Cd level in kidney (?8㎍/g) was recorded 32 birds and exposed level (>8㎍/g) was 9 birds.

      • KCI등재

        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신용운 ( Yong Un Shin ),신만석 ( Man Seok Shin ),이한수 ( Han Soo Lee ),강용명 ( Yong Myung Kang ),문운경 ( Oun Kyong Moon ),박홍식 ( Hong Shik Park ),오홍식 ( Hong Shik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을 이용하여 국내에 월동ㆍ번식하는 흰뺨검둥오리 서식지 이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수조류 서식지 보호.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경기도 복하천과 청미천, 충청남도 곡교천, 충청북도 병천천, 전라북도 만경강 등 5개 하천과 제주도 용수저수지 1개 저수지로 흰뺨검둥오리 25개체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였다. 25개체중 12개체가 국외이동하였으며, 도착지는 중국, 북한, 러시아였다. 평균 이동거리는 683㎞이었으며, 최대 1,238㎞였다. 국내에 잔류한 13개체의 일일 평균이동거리는 1.0±0.89㎞이었으며, 최대 이동거리는 23.8㎞이었다. 평균 북상일 이전인 월동기의 일일 평균 이동거리는 0.9㎞였으며, 최대 14.6㎞였고, 번식기에는 평균 1.3㎞, 최대 14.4㎞이었다. 흰뺨검둥오리는 국내에서 하천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논, 밭 저수지등의 순이었다. 월동기 동안 하천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번식기에는 논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월동기 주간과 야간모두 하천에서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나, 논과 밭의 이용률은 주간보다 야간에 높았다. 번식기에는 주간과 야간모두 논의 이용울이 가장 높았으나, 야간에 하천의 이용률이 증가하였고 밭의 이용률이 감소하였다. 논은 하천은 시기에 따라 흰뺨검둥오리의 이용형태가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대부분 하천과 인접한 논을 이용하였다. In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habitats on spot-billed duck that wintering-breed in the korea, which using the GPS-Mobile based Telemtry (WT-200), I tried to take advantage as the basic data of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habitats of the waterbirds of Korea. Study area is Gyeonggi-do Bokhacheon, Chonmichon, Chungcheongnam-do Gokugyochon, Chungcheongbuk-do Byeongcheoncheon, Jeollabuk-do Mangyunggang, which Five rivers and Jeju Island reservoir, I have attached the tracking of the location(WT -200) to the twenty-five spot-billed ducks. among twenty five ducks, twelve ducks moved to overseas countries, the arrival site was China, North Korea, Russia. Moving average distance was 683㎞, the largest distance was 1,238㎞. The average northbound starting date was April 26. The average daily movement distance of thirteen ducks remaining in the domestic country is 1.0 ± 0.89㎞, maximum travel distance was 23.8㎞. The average daily movement distance of wintering prior to average going north dating is a 0.9㎞, is the largest 14.6㎞, the breeding season is an average 1.3㎞, maximum was 14.4㎞. Spot-billed duck used the rivers in domestic country most frequently, following was rice field, a filed, reservoir. It used the river most frequently during the wintering period, in the breeding season it used paddy paddies most frequently. While wintering, during the day and night’s utiliz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the river, but utilization rate was incleased on filed, paddy filed at night. During breeding season, daytime and night’s utilization rate was the highest but, utilization rate was increased on river and utilization rate was decreased on river. In accordance with time change, spot-billed duck showed different tendency in paddy fields, and they utilized the filed adjacent to rivers mostly.

      • KCI등재

        무증상안의 형광안저촬영에서 관찰되는 주변부망막의 혈관성 형광누출

        이상협,신용운,이병로,고명규,Sang Hyup Lee,Yong Un Shin,Byung Ro Lee,Myung Kyoo Ko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7

        <b>Purpose:</b> To report peripheral vascular retinal leakage findings of asymptomatic eyes based on fluorescein angiography, and investigate the associated factors. <b>Methods:</b>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47 subjects (94 eyes) and the peripheral leakage results based on fluorescein angiography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leakage findings and other factors including- arm-retinal circulation time (ARCT) and venous filling time (VFT), refractive error, age, hypertension, and diabetes- was evaluated. <b>Results:</b> Ten eyes had peripheral leakage (21.3%). The mean age was 34.7 ± 7.86 years in the non-leakage group and 44.3 ± 9.63 years in the leakage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m>p</em> = 0.001). The mean spherical equivalent was -2.85 ± 2.71 diopter in the non-leakage group and -3.46 ± 3.62 diopter in the leakage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em>p</em> = 0.471). The mean ARCT was 10.50 ± 2.06 seconds in the non-leakage group and 11.76 ± 2.47 seconds in the leakage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m>p</em> = 0.041). The mean VFT was 9.70 ± 1.91 seconds in the non-leakage group and 10.75 ± 1.40 seconds in the leakage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m>p </em>= 0.048). <b>Conclusions:</b> Peripheral leakage can be found in asymptomatic eyes. Age, VFT, and ARCT were correlated to peripheral leakage findings based on angiography. These leakage findings we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histolog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peripheral retina.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7):1017-1023

      • KCI등재

        매우 광범위한 허혈성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급속히 증식하는 망막전막의 미세구조

        박영숙,한정훈,신용운,전재연,고명규,이병로,Young Sook Park,Jung Hoon Han,Yong Un Shin,Jae Yeon Jun,Myung Kyu Ko,Byung Ro Lee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11

        Purpose: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we studied the ultrastructures of rapidly proliferating preretinal membranes of young patients with very extensive ischemic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diabetes with uncontrollable blood sugar level. Methods: Nine cases of preretinal membranes were obtained from six eyes of five patients with rapidly progressed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mean age, 35 years) during vitrectomy. We obtained each preretinal membrane bimanually as one single sheet membrane using intraocular scissors and forceps. Each tissue was fixed in 3% glutaraldehyde in the operating room. All specimens were prepared and studied using TEM. Results: The preretinal membranes were composed of blood vessels and some interstitial cells. The blood vessels within the preretinal membranes varied in developmental stages, from the immature stage to the mature stage. The blood vessels were highly active, in that primitive cells showed a large nucleus and prominent chromatin clumping with abundant cytoplasm. Highly active fibroblast-like cells were also noted. Conclusions: We observed highly active angiogenesis in preretinal membranes, which rapidly proliferated in cases of severe retinal ischemia in young diabetes pati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uch a finding, which may help to explain the poor prognosis of this disease modal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1):1504-1512

      • KCI등재

        칸디다 맥락망막염에 합병된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치료

        이상협,이정욱,신용운,이병로,Sang Hyup Lee,MD,Jung Wook Lee,MD,Yong Un Shin,MD,PhD,Byung Ro Lee,MD,PhD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7

        <b>Purpose:</b> To report a case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secondary to candida chorioretinitis initially treated with an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b>Case summary:</b> A 50-year-old female presented at our clinic with decreased vision and metamorphopsia in her left eye of 5 days duration. She received an anti-fungal treatment 2 months prior due to the presence of endogenous candida choroiditis in both eyes. Fluorescei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revealed juxtafoveal CNV in her left eye. Three monthly intravitreal injections of bevacizumab were administered as the initial loading dosage. Her visual symptoms improved and CNV regression was observed on OCT. No recurrence or complications were observed during the 6 month follow-up. <b>Conclusions:</b> Based on the present study results we suggest that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can be used to effectively treat CNV and improve visual symptoms during the treatment of juxtafoveal CNV associated with candida choroid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7):1106-1110

      • KCI등재

        특발성 망막전막에서 유리체절제술 전후 미세시야계를 이용한 구조와 기능의 상관관계 분석

        서샘,임한웅,신용운,강민호,성민철,조희윤.Sam Seo. MD. Han Woong Lim. MD. Yong Un Shin. MD. Min Ho Kang. MD.Min Cheol Seong. MD. Hee Yoon Cho. M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6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receptor inner/outer segment (IS/OS) integrity and macular sensitivity after epiretinal membrane (ERM) surgery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mbined with microperimetry. Methods: 20 eyes of 20 patients with idiopathic ERM who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for ERM removal were prospectively reviewed. The IS/OS defect diameter, BCVA, macular sensitivity, and fixation stability were measured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mbined with microperimetry. The correlation of these factors was analyzed. Results: The macular sensitivity improved after successful ERM surgery (p < 0.001), but the IS/OS defect diameter has not improv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acular sensitiv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IS/OS defect diameter (p = 0.035, p = 0.006). The fixation stability was not correlated with preoperative IS/OS defect diameter. Conclusions: Macular sensitiv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S/OS defect diameter. Macular sensitivity is vital functional parameter allows subjective quantification of the retinal function and reflects morphologic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