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구둑 준공으로 인한 조간대 하천하구 물리화학적 변화탐지 LandsatTM 기반 원격탐사 모니터링
신언석,김형무,이재봉,이홍로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환경오염과 자연재해의 증가추세에 대비한 하천과 해양 수자원의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의 하천수자원관리시스템만으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위성영상은 관심지역에 대한 광역적 조사와 시계열적 관찰에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하므로 하천과 해양수자원의 동시병행 관찰에 유리하다.<br/> 본 연구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 하구변화탐지 모니터링 원격탐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영상획득과 영상보간법을 활용할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 하구 변화탐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영상획득과 영상보간법의 활용 시스템 모델을 전북과 충남 금강 하구에서의 해수, 담수 혼합수역의 변화와 이동, 그리고 바다면적과 육지면적의 변화와 이동의 관찰에 적용하고 검증한 결과 제안한 하천 하구 변화탐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위성영상기반 모델이 기존 그리드정점관측방법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LandsatTM을 이용한 도시온도와 도시NDVI의 상관계수 추출을 위한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에 관한 연구
신언석,김형무,이재봉,이홍로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도시의 변화탐지와 예측을 위한 기존의 중력모델은 주로 벡터기반 거리와 면적척도를 사용하였다. 위성영상이 폭넓게 활용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최근에는 이 위성영상을 이용한 효과적인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 방법을 제안하여 이를 전북 군산시 도시변화탐지에 적용하고 지표온도, 토지피복, 식생 변수를 검증하여 지표온도와 코지피복, 식생지수와의 +0.794의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검출함으로써 제안한 위성영상을 이용한 래스터GIS기반 중력모델이 육상 도시변화탐지 모니터링에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에 기반 원격탐사를 위한 위성영상의 공간 관계 연산
신언석(Shin Un-Sseok),이재봉(Lee Jae-Bong),김형무(Kim Hyung-Moo),이홍로(Lee Hong-Ro)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본 논문은 레스터 기반 위성영상에서 공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공간 관계 연산 방법과 예를 보인다. 복잡하고 다양한 현실 세계를 지리 정보 시스템은 추상화하고 단순화한 형상을 기반으로 구축한다. 추상화된 지형지물은 지리 객체와 지리필드로 구체화한다. 지리객체와 지리필드는 각각 벡터와 레스터로 표현한다. 레스터 자료형 위성영상은 원격탐사 응용에 이용한다. 원격탐사 공간 정보 추출을 위하여 위상 연산과 기하연산을 한다. 레스터형인 위성영상을 유연성이 뛰어난 벡터화된 객체로 변환하고 이로부터 공간 정보를 추출한다. 원격탐사에 위성영상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GIS와 접목함으로써 위성영상 활용의 극대화에 기여 할 것이다. This paper will show examples and methods of spatial relationship operations that extract spatial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phenomena of complex and variant real world can abstract and implement simple features. The abstract features classify geo_objects and geo_field. The geo_object and the geo_field can represent vector and raster respectively. The raster based satellite image can use remote sensing applications. TIlls paper needs topology operations and geometric operations for extracting the remote sensing. The spatial information transforms the raster based image to the vector based object, and extract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The extracted information will contribute on the application of the remote sensing satellite images.
객체지향 방법론 기반 해양 환경 평가를 위한 유형적 분석
신언석(Shin Un-Seok),이재봉(Lee Jae-Bong),김형무(Kim Hyung-Moo),이홍로(Lee Hhong-Ro)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2
본 논문은 해양 환경 평가 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해양 환경 평가를 위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객체 지향 공간 모델의 유형적 분석 방법론을 도입하여 분석한다. 40개 해수 관측점을 통한 수질을 검사하고 공간 통계적 방법으로 해양 환경을 평가한다. 객체지향 유형적인 해양 환경 시스템 분석 함으로써 객체 다른 지리 정보 시스템 개발과 유지보수에 대한 효율성을 증가 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parer will develope an ocean environmental evaluation system. The system analysis by means of introducing the object oriented pattern analysis methodology. We will test water quality according to 40 sea water measurement points and evaluate the ocean environment by means of spatial statistical method. By analyzing the object oriented pattern ocean environmental system, we will contribute on enhancing 1he efficient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NET에서 악의적 노드 탐지율 향상을 위한 협업모델 설계
신언석(Eon-Seok Shin),전서인(Seo-In Jeon),박건우(Gun-Woo Park),류근호(Keun-Ho Ryu)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3
MANET has a weak point because it allows access from not only legal nodes but also illegal nodes. Most of the MANET researches had been focused on attack on routing path or packet forwarding. Nevertheless, there are insuffcient studies on a comprehensive approach to detect various attacks on malicious nodes at packet forwarding proces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echnique, named DTecBC (detection technique of malicious node behaviors based on collaboration), which can handle more effciently various types of malicious node attacks on MANET environment. The DTecBC is designed to detect malicious nodes by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nodes, and manage malicious nodes using a maintain table. OPNET tool was used to compare with Watchdog, CONFIDANT, SRRPPnT for verifying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As a result, DTecBC detects various behaviors of malicious nodes more effectively than other techniques.
조선형,신언석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과 數學敎育論文集 Vol.21 No.-
초등학교 과학시간에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을 하였더니 학업 성취도, 과학탐구능력 및 태도 높아져, 과학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었다. 이는 에니메이션과 등영상 및 배경 음악 등의 효과적인 이용으로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하려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effect using of multimedia system with which, relative attitudes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inquiry skills in primary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ws: 1.When using the multimedia system in classroom, the score(29.61) of the science achievements were higher than score(27.46) of traditional classrooms. 2.By using the methods through multimedia system, the inquiry skills score(67.87) of experimental class were increased more than score(56.40) of traditional classrooms. 3.On the scientific attitudes, the classroom which used to the multimedia system gained higher scores(76.26) than its(71.40) of traditional classrooms. Multimedia system supports many investigative materials in classroom by which used to them the learner encourages investigating, achievement skills, and will be helped understanding scientific principles in classroom. After used especially multimedia system, the interest score of science education is 95 credits in classroom. When using the multimedia system in classroom there are changing the method the method of teaching-learning and be able to individual teaching system. All of students and teachers had being able to encourage in science education and to technology using science apparatus. Instead of unable actually investigating or dangerously simulation are showing real situation with multimedia system, understand real matters of problem and notions showing over timeㆍspace ideas. Finally, the using of multimedia system may connect science learning among teacher and students, school, and school and home, school and school, and school an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