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정체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수정 ( Su-jeong Shin ),이인희 ( In-hee Lee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8 패션 비즈니스 Vol.22 No.4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Furthermore, the aim was to seek effective measures for making a career decision for the successful re-employment of women with a break in their career. From March 3rd to April 2nd, 2018,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80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with age between 30-50 years and with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six months. The selected subjects had received 1-9 months of beauty education from variou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beauty academies, and women's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 total of 3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PSS Program for data analysis, Cronbach's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apparen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creating a relation with new career decisions for re-employ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in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 KCI등재

        재취업여성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신수정(Su-Jeong Shin),이인희(In-Hee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본 연구는 재취업여성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역량,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적응성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지지 척도와 진로역량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는 2018년 3월 2일부터 4월 6일까지 서울 · 경기 지역의 직업전문학교, 미용학원, 여성 센터에서 미용교육을 1-9개월 이상 받고 있는 30-50대, 기혼, 6개월 이상 직장경험이 있는 경력단절여성 9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20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은 SPSS프로그램과 AMOS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Cronbach"s α,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의 경로계수는 사회적지지, 진로역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적응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 진로역량과 함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성공적인 재취업을 위해 실제 직업진로상담이나 직무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cap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for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For this purposes the scales of social support, career capability, career decision related self 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Mar. 2, 2018 to Apr. 6, 2018 to 960 to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had the experience of getting training at the vocational school, beauty school and women’s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composed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50s who were receiving the education of beauty care for more than 1-9 months). 920 questionnaires got responded from the women and the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Cronbach’s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performed with SPSS program and the structural equation performed with AMOS program.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career capabil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related self 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are proper. Second, the path coefficient of the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spect to all of career capability,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related self 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capability,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the career decision related self efficacy has the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how that if the level of career adaptability is to be enhanced for the caber interrupted women, the career decision related self efficacy can make the critical role in addition to the career capability and social support. So, this study tries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of career and the development of future career for the succes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going back to the workplace.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신수정 ( Shin Su Jeong ),정면숙 ( Jung Myun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3·4학년 193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 대처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의사소통 능력이 낮고, 스트레스 대처가 낮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 함량과 함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문제해결 대처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 Stress coping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Subjects were 193 associate nursing students(3rd grade, 4th grade)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ug 27 to september 17, 2015.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Win 23.0. Communication skill were significantly correlation with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And the lower Communication skil was showed the higher Clinical practice stress,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the higher stress of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o increase communication skill, problem-focused coping skills and to decreas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test the program for improving problem solving cop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일지역 전문간호사 자격보유자의 활동현황과 역할갈등, 직무만족

        신수정 ( Shin Su Jeong ),정면숙 ( Jung Myun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간호사의 활동현황 및 역할갈등과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G교육기관 전문간호사 수료생 중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2013년 1월 28일부터 2013년 3월 28일까지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dows fo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만족에 대한 역할갈등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고(r=-.195, p<.05), 역할갈등의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r=-.211, p<.01)와 협조부족(r=-.247, p<.01)이 직무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월 소득, 협조부족(F=12.064, p<.001)으로 설명력은 22.0%이다.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불합리한 명령이나 압력을 해소시키는 근무환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APN(Advanced Practice Nurse) certificate holders, and factor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among them, and job satisfac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eople who completed the APN course in the G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wo months from January 28th to March 28th 2013.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n, t-test, ANOVA, Scheffe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SPSS Windows for 18.0 program. There was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r=-.195, p<.05), role ambiguity of subordinate factors of role conflict (r=-.211, p<.01) and deficiency of job-related collaboration (r=-.247, p<.01); significantly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ge, monthly income and deficiency of job-related collaboration affected job satisfaction. The power of explanation was 22.0% in total(F=12.064, p<.001). It is considered that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o form working environment which members cooperate with one another, by getting rid of unreasonable order or pressure from other department.

      • KCI등재
      • KCI등재

        미용교육을 경험한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역량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신수정 ( Su-jeong Shin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8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역량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경력단절여성들이 성공적인 재취업 후 새로운 직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역량 척도와 진로적응성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연구는 2018년 2월 5일부터 3월 5일까지 서울·경기 지역의 직업학교, 뷰티아카데미, 여성 회관에서 미용교육을 1-9개월 이상 받고 있는 30-50대, 기혼, 6개월 이상 직장경험이 있는 경력단절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1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은 SPSS프로그램으로 Cronbach’s α, 탐색적요인 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과 진로적응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진로역량이 진로적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 후 새로운 직업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진로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경력단절 여성의 성공적인 사회 복귀에 필요한 진로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As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capability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it aims to seek for effective measures of career adaptability for successful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For this, the career capability scale, career adaptability were used. From February 5th to March 5th 2018,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00 career-interrupted women with work experience for more than six months out of married women in their 30-50s, receiving the 1-9months beauty education from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beauty academy, and women’s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Total 3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Using SPSS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Cronbach’s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capability, adaptability. Second, career ability affected career ability to adapt. It implies that career capability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relation to new career ability. Thus,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 KCI등재

        여성근로자의 우울 역학에 대한 고찰

        신수정 ( Shin Su-j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근로자의 우울 역학 고찰을 통해 우울증의 특성과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여성 근로자 우울증의 시사점을 모색하며,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 검색 키워드로 여성 근로자, 우울, 역학 등으로 검색하여 연구의 주제, 도구, 대상자, 결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여성 근로자 우울증 환자 수는 증가 추세이며, 서비스직의 경우 감정노동이 우울 유발 위험 요인이며, 제조업의 경우 비정규직이거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우울 증상이 높았으며, 기혼 여성 근로자의 경우 직장 내 성차별을 적게 인식할수록 정신건강 수준을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 근로자의 우울은 감정노동을 감소 시킬 수 있도록 노동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사회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프로그램 마련 등의 노력과 직장 내 성차별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여성 근로자 특성을 반영한 우울 최소화 방안과 예방적 개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직·관리직·개인서비스업 여성 근로자의 우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이 분야 여성 근로자 우울 연구에 주력할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depression through consideration on epidemiology of female workers` depression, seek the implication of female workers` depression in the fu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By searching bibliographic search keywords such as female worker, depression and epidemiology, it analyzed the subject, tool and result of research. The number of domestic female workers is on the rise, and in terms of service sector, emotional labor is a casual factor of depression. In manufacture, those who are temporary employees or under work stress have severe depression. In addition, married female workers could promote their mental health as they less recognized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work place. Therefore, female workers` depression can be cured by reforming the labor environment to reduce emotional labor. It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in sexual discrimination and effort to prepare for organization-level programs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Measures to minimize depression,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workers, need to be preemptively involved. Furthermore, sinc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pression of female workers in professional, management and personal service fields, more researches on female workers suffering depression in those fields are required.

      • KCI등재

        간호학 학습성과 관련 연구동향 분석

        신수정 ( Shin Su Jeong ),정면숙 ( Jung Myun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 학습성과 관련 국내외의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시사점을 모색하며,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습성과 관련 국내외의 문헌을 간호역량, 핵심역량, 학습성과, 프로그램 학습성과, 교육성과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간호학 학습성과 관련 연구의 주제,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간호학 학습성과 관련 연구는 학습성과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 학습성과 개발 연구, 핵심역량과 관련한 연구,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실험연구가 있었으며 그 외 학습성과와 관련한 학생인식 조사연구가 있었다. 교육이 일어나는 3가지 주체 학습자, 교육자, 교육기관 중에서 주로 학습자 요인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육자와 교육기관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습성과와 관련하여 교육자와 교육기관 요인에 대한 다양한 주제로 연구에 주력할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nursing education program outcome in order to provide the implications thereof and the way ahead for future research. This study searched for papers on program outcome by using keywords(nursing competence, core competence, learning outcome, program outcome, exit outcome and education outcome) and analyzed their theme, purpose, method, subject, and results. Research on nursing education program outcome included those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program outcome, development research on program outcome, identification of core competence, and experimental research to accomplish program outcome objectives. There was also a survey research on student awareness regarding program outcome. Of the three principal agents of education - learner, educator, and educational institute - much of the existing study focuses on the learner, while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educators and institut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concentrate on research on various topics of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relation to program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