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주요 내용 탐색

        신수범,한규정,Shin, Soo-bum,Han, Gyu-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2

        초중등 소프트웨어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교과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떤 기준에 의해 강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내용지식 4가지를 기준으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교육내용과 교수법에 집중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을 기준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을 제시하여 보았다. 주요한 내용은 4개 영역을 모두 삽입하였고 교육내용과 교수법을 가장 강조하여 구성하고 소프트웨어교과교육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토를 의뢰하였다.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 타당도와 합의도가 기준치를 넘었지만 학생관리 분야에 대해서 CVR값이 기준값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that can run K12 school SW education is raise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e standard of SW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domestic. In this study,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based on four kinds of contents knowledge. Domestic cases were found to be concentrated on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n domestic and abroad, we presented the content of SW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of teaching contents for preliminary teachers. The main contents are all four areas, and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are emphasized the most, and the SW subject education experts are asked for the feasibility stud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although the validity and consensus exceeded the standard, the CVR value for the student management field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 KCI등재후보

        비대면 수업적응력 검사도구 개발

        신수범 ( Soo-bum Shi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적응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지역 중고등학교 4개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추출 결과, 도구 활용, 책임감, 집중력, 자신감, 적응력, 협력성의 6개 요인 24문항의 비대면 수업적응력 검사지가 만들어졌다. 검사의 양호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내적 일관성의 신뢰도 계수는 전체 Chronbach’s α는 .888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신뢰도 범위는 .621∼.854로 나타나 충분히 신뢰할 수 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는 CFA 모델에서 절대적합도 지수인 RMSEA=.0108, SRMR=.0794로 양호한 범주에 들고 있어 각 영역에 속하는 문항들이 중고등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적응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특성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st tool to find out the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adapt to untact i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extraction, a untact instructional adaptability test paper was created with 24 questions of 6 factors: tool use, responsibility, concentration, confidence, adaptability, and coope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goodnes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 was found to be .888 for the entire Chronbach's α, and the reliability range for each domain was .621 to .854, which was sufficiently reliable. Secondly, the results of Construct Validity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re in the good categories as absolute fit indices RMSEA=.0108 and SRMR=.0794 in the CFA model. It was confirmed that it properly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you want to see.

      • KCI등재후보

        에듀테인먼트 스마트 앱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신수범(Soo-Bum Shin),김지혜(Ji-Hy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국내에서 학교교육에 IT를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1987년부터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 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IT활용과 근본적인 목적은 유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듀테인먼트 앱의 유형 분류 및 활용 실태를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앱 활용으로 스마트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에듀테인먼트 앱을 의사소통, 조사분석, 자료공유, 반복연습, 시뮬레이션 등 6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에듀테인먼트 앱의 유형은 공유 및 반복연습형 앱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활용에 실태 조사에서는 활용 수준, 활용 만족도, 경력 등 변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스마트 기기 활용 26%로서 미흡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동기유발과 수업목표 달성을 위해 에듀테인먼트 앱을 활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오히려 수업목표 달성에 방해가 되어 활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주로 공유와 검색활동이며 교육경력이나 지도학년에 따른 활용의 차이점은 특별히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활용 실태는 보다 광범위하고 적극적인 교원연수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Since 1987 there has been effort continually integrating IT with school education in the domestic. And recently Korea government has tried a new attempt with using new term called smart education. But this action is similar with previous IT use in terms of fundamental purposes. Thus this paper categorized the case of edutainment apps and analyzed use realities of edutainment apps. In this study, the edutainment apps categorized 8 item cases such as communicati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ource share, drill and practice, simulation. And the case of edutainment apps being used many in the domestic are sharing and drill practice. Surveying on use realities of smart apps was committed about utilization level, satisfaction level on utilization of apps, correlation edutainment apps with variables such as edutainment experiences etc. Main results are following. Using level of smart apps were 26% as insufficiency level. It was revealed that edutainment apps were used for supporting of motivation and teaching objective. But it was also high response that utilization of edutainment app was disturbed achievement of teaching objective. And top utilization case of education apps were a kind of activities sharing and searching. It didn’t show the difference of utilization apps according to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eaching grade. These results indicated wide and accuracy inservice program of teachers.

      • 컴퓨터교육을 위한 컴퓨터과학의 연구방향

        신수범(Soo-Bum Shin),유인환(In-Whan Yoo),이태욱(Tae-Wu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컴퓨터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초 · 중등 학교교육에서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하지만 초 · 중등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올바르게 정립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컴퓨터의 모학문인 컴퓨터과학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미국에서도 이와 같은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컴퓨터과학은 정보처리에 관한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그 응용분야가 빠르게 변하고 있어 교육과정을 확립하는데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따르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 방향은 초 · 중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정상화를 꽤하는데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컴퓨터과학의 기초지식을 명확하게 제시하며, 둘째, 초 · 중등학교 정보소양 차원에서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셋째, 전문 교과 교육과정에서 실제 필요한 내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 기준 개발

        신수범 ( Soo Bum Shin ),구진희 ( Jin Hee Ku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4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이 국내외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가 나타나면서 프로그래밍 도구 선택을 위한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초보프로그래머와 초중등 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 기준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4개 영역의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 기준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수립된 선택 기준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20명의 델파이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여 델파이 조사, 분석을 하였다. 수행 결과, 개발된 기준의 4개 영역은 컴퓨터과학과의 연계성, 프로그래밍 언어의 용이성, 개발 환경의 유용성, 외부 환경 지원의 편리성 등이다. 그리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9개 항목은 삭제하고 최종적으로 확정된 선택 기준은 19개 항목이다. Recently, domestically and abroad, programming educ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this increase has been recognized. And it needs a certain criteria for a selection of programming tools because there are various educational programming tools coming out. Thus, we tried to develop a criteria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for a novice programmer and K12 students and verify its validity. So we established 4 areas and 28 items for selection criteria o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Additionally, we carried out delphi survey and analyze for validity verification on selection criteria established. As result of carrying out of these processes, we developed 4 areas of selection criteria. Finally we have chosen 19 selection criteria and excluded 9 criteria items which are not sufficient with validity criteria through delphi survey.

      • KCI등재
      • KCI등재

        스크래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 효과

        신수범(Soo-Bum Sh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11

        Recently, it has been activated the software education or coding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CT) ability at home and abroad. Also the CT has influence on courses of Computer Science in the college levels. It has been introduced and the number of cases of using it to general K12 education has increased. However, the research on the software education’s influence on the CT was still lacking. So In this paper, we propose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how Scratch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fluenced the ability of the CT. And we proposed software education can improve the ability of CT. First, we provided the theoretical base of the software edu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through analysis of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 core analysis content of the CT is broader than algorithmic thinking and can be achieved without using computer. It includes abstract, algorithmic, logical, and measurable thinking. Second, we made effort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ware education with categorization. Finally, we have managed the software education using Picoboard with Scratch and flowchart within 15 weeks based on these theocratical research. An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was committed to understand, analyze, and develop strategies of problem solving. It is designed as a strategy of problem solving before and after the software lesson. The result of the software education has improved authentically in all areas without the need to design a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 지능형 학습시스템 활용을 위한 교사 교육 요소

        신수범(Soo-bum Shi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지능형학습시스템 활용에 따른 교사교육 전략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학습시스템 활용은 교수학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지능형학습시스템의 개념과 역할, 그리고 개발 실태에 대한 분석을 하고 지능형학습시스템 활용에 필요한 교수학습 유형,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지능형학습시스템은 적용형학습시스템, 고급 가상학습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며 학습자의 학업 배경, 학습태도, 반응 수준에 따라서 학습내용을 차별적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응용프로그램으로서 국내외에서 개발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경남교육청 아이톡톡시스템, 해외에서는 민간과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Mathia, Thinkster 등 국내외 모두에서 수학 교과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학습시스템의 핵심 역할은 학습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평가하면서 학습자의 스타일과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퀴즈 제공과 피드백, 언어학습 시스템, 학습자 커뮤니티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시스템 활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유형은 개인화학습, 적응형학습, 역량중심수업, 블랜디드학습으로 제시하였다. 개인화수업은 기존부터 존재했던 수업 유형인데 지능형학습시스템으로 현실화된 것이며 역량 중심 수업은 같은 공간, 같은 시간에 학습하는 형태를 탈피하여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학습을 진행한다는 개념의 수업유형이다. 이에 필요한 교사 교육 전략은 지능형학습시스템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교육내용 선정 방법을 안내해야 하며, 교사가 수업의 보조자 역할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지능형학습시스템 및 인공지능 이해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er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The use of intelligent learning system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ing and learning, but studies on thi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concept, role, and development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quired for the use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presented.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lso called an adaptive learning system or advanced virtual learning system,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program that differentially provides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academic background, learning attitude, and response level, and is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at home and abroad. In Korea, the Gyeongnam Office of Education's System is being developed overseas, with private universities and colleges developing it. Mathematics subjects are the mainstream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core role of such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is to provide content suitable for the learner's style and level while continuously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learner. Specifically, there are quiz provision and feedback,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a learner community monitoring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uitable for using such a system were presented as personalized learning, adaptive learning, competency-oriented class, and blended learning. Personalized learning is a class type that has existed before, but it has been realized with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Competency-oriented learning is a class type with the concept of learning until the goal is achieved by breaking away from the form of learning in the same space and time. The necessary teacher education strategies should guide how to select the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to utilize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eacher on how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role of an assistant in class. In addition,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program should be operated.

      • 예비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디지털 교육실습 운영 전략

        신수범(Shin, Soo-bum)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1 교육실습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팬더믹으로 인하여 급속히 확대된 온라인 교육실습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교육실습은 기존 전통적인 교육실습에 비하여 편리성을 제공하였지만, 교육실습생의 전문성향상에 여러 가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디지털 환경의 지속적인 발전과 보건안전의 계속적인 위협으로 향후에도 온라인 교육실습은 계속해서 운영될 것이다. 기존 대면실습을 포괄하는 뿐만 아니라 데이터 기반 지능형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교육 실습생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교육실습 체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온사이트 교육실습과 온라인 교육실습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디지털 교육실습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다만 온사이트 교육실습은 그 과정 결과물을 디지털화하는 것을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2020년도부터 운영한 온라인 교육실습 도구는 전화, 전자 우편, 각종 범용 협력 도구와 전용 시스템 등 매우 다양하였다. 그리고 전용 시스템은 행정정보 중심, 교육실습 콘텐츠 중심 그리고 통합적인 정보시스템으로 구축 운영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온·오프라인 디지털 교육실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실습 기간의 탄력적인 운영, 학교관찰 방법의 개선, 이러닝 및 디지털 기기 활용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육실습 행정의 재구조화 등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online teaching practicum, which has been rapidly expanded due to the pandemic.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provided convenienc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 practicum, but it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teachers. However,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 continuing threat of health and safety, online teaching practicum will continue to operate in the future. In addition, a new teaching practicum system is needed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d intelligent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education practice was presented as a concept encompassing the existing traditional on-site teaching practicum and online teaching practicum. However, on-site teaching practicum was presented as a condition of digitizing the results of the teaching practicum process. Online teaching practicum tools, which have been operated since 2020, have been very diverse, including telephone, e-mail, various general-purpose cooperation tools and dedicated systems.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dedicated system is built and operated as an administrative information-centered, educational practice content-centered, an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on/offline digital teaching practicum,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lexible operation of practicum periods, improvement of school observation methods, improvement of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in e-learning and digital device usage, and restructuring of teaching practicum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온라인 수업에서 주의 집중을 저해하는 요인과 해결방안

        신수범 ( Soo-bum Shin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3

        교실수업과 같은 대면 수업과 달리 온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변인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사전에 인지해야 하며 만일 학습을 저해하는 변인들이 있다면 이를 제거함으로써 학습 주의 집중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변인들이 주의 집중을 떨어뜨리는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주의 집중 저해 변인들을 선별하여 설문을 통해 요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주의 집중 저해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수업 내용의 이해 부족, 다양하지 못한 교수 방법, 지루함, 알고 있는 내용, 피드백과 의사소통 부족 등과 같은 수업 진행요인, 늦잠이나 주변 소음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요인, 정보기기 조작의 어려움, 화면이나 소리가 나오지 않음, 인터넷 끊김 등과 같은 기기 조작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요인별 온라인 수업 주의 집중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Unlike in-person classes, such as classroom classes, various variables affect learning effectiveness in online classes. In online classes, the teacher must recognize various variables of learners in advance, and if there are variables that hinder learning, students can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learning attention by removing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ich variables distract attention. In this study, factors that inhibit attentional attention that may occur in online classes were selected, and factor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of class progression, environment and device manipulation were indicated as the factors that hinder the attention in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lans to increase attention in on-line class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