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서(四書)의 경문(經文) 및 주문(註文) 해석에서 현토(懸吐) 논란 사례에 관한 고찰

        신상후 ( Sang Who Sh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懸吐는 입말과 글이 달랐던 환경에서 그 이질감을 극복하고자 했던 노력의 산물이다. 우리 先人들은 원문의 原型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어 사이에 우리말 조사와 어미를 끼워 넣음으로써 원문의 문법구조와 의미를 드러냈다. 현토는 소재언어를 변형하지 않으면서 목표언어의 문장형태소를 사용해 목표언어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종의 번역이라 할 수 있다. 즉 현토는 문장 해석의 기능을 갖는다. 반대로 말하면, 현토자가 문장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현토가 달라진다. 따라서 현토를 살펴보면 그가 글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토의 해석적 기능을 보이기 위하여, 四書의 經文과 註文의 해석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란들 가운데 현토가 그 소재로 사용된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사례는 크게 경문의 해석과 주문의 해석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는데, 경문 사례는 관본언해와 율곡언해의 차이에 대하여 토론한 사례들을 분석하였고 주문 사례는 朱子 『集註』의 내용을 토론하면서 현토를 소재로 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들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현토와 문장 해석의 상관관계를 추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토에 대한 논란이 문장을 정교하고 엄정하게 해석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주문 사례를 통해서는 특히 성리 담론에서 현토가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어, 토의 결정에 현토자의 철학적 견해가 반영됨을 알 수 있다. Hyunt’o(懸吐) is a way for rendering tex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understandable Korean. Joseon literati insered the additional postpositions and endings in Hangeul between phrases and did not modify the original text in classical Chinese. Since Hyunt’o aims to reach target language while keeping source language as it is, Hyunt’o can be defined as a sort of translation. When we take note its interpretative function, we can notice that the types of T’o(吐) could be changed depending on how a person who made Hyunt’o interpreted original texts. Hence, we are able to explain how he interpreted original sentences by looking over how he made Hyunt’o.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troversial cases of Hyunt’o among controversies surrounding interpretations of Chinese classic texts and commentaries. By those cases, classified into interpretation of original texts and commentaries, we can find out not only the correlation between Hyunt’o and the interpretation of sentences, but how controversies of Hyunt’o contributed to make elaborate and strict interpretation. Especially by looking over the controversial cases of commentaries, we can understand how Hyunt’o was widely used within the discourse on Neo-confucianism and deciding the type of T’o(吐) was depended on a person’s philosophical view.

      • KCI등재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심설(心說) 연구 ― 심체본선설(心體本善說)과 명덕설(明德說)을 중심으로 ―

        신상후 ( Shin Sang-who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梅山 洪直弼(1776~1852)은 19세기 전반기 洛論 학술계를 주도했던 학자이다. 그는 農巖 金昌協-渼湖 金元行-近齋 朴胤源으로 이어지는 낙론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서, 당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 영향과 위상에 비해 매산 性理說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미했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산이 논쟁을 기피하는 태도를 지녔었기 때문이고 둘째는 조선조 유학사 연구에서 19세기 전반기 낙론에 대한 연구가 대체로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세기 전반기 낙론 학술계의 지향을 살피고 18세기에서 19세기로 이어지는 조선조 유학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산 성리설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하겠다. 본고는 매산 성리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心說을 고찰하였다. 매산이 속한 낙론은 栗谷 李珥를 宗師로 한다. 따라서 `모든 발생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氣發理乘一途說]`, `理로 인하여 본체의 근원적 동일성이 담보되고 氣로 인하여 현상적 차별성이 생겨난다[理通氣局]`라고 하는, 율곡의 宗旨를 계승한다. 율곡의 이러한 학설에서는 본체(理)의 온전한 실현 여부가 氣에 달려있게 되는바, 주자학의 용어로 말하면 `理의 온전한 실현은 理가 湛一精爽한 本然의 氣를 탔을 때에 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낙론에서는 이 本然의 氣를 心으로 보아 心을 본체 실현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데, 이는 매산 역시 마찬가지로, 이 때문에 心說이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매산은 心이 性만큼이나 근원적 동일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매산에 있어서 心은 개체의 心이라는 점에서 개별자이지만 차별적 氣質과 구분된다는 점에서 보편자이다.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을 定式화한 것이 心體本善說이며, 이 이론은 氣質의 氣와 心의 氣를 구분함으로써 성립한다. 또 매산은 『大學』의 明德에 대해서 明德主氣와 明德無分數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명덕은 心을 가리킨 말이며[明德主氣] 그 心은 보편성을 갖는다[明德無分數]`는 것을 밝힌 이론으로, 이 역시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이론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체본선설과 명덕설 두 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매산의 心說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매산 심설에서의 심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통섭하고 본체와 현상을 통일하는 주체로서 그 존재론적 위상을 정립함을 확인하였다. Maesan Hong Jik-pil(梅山 洪直弼, 1776~1852) is a leading scholar of the Nangnon(洛論) academic community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He followed after the Nangnon school scholars, such as Kim Chang-hyeob(農巖 金昌協, 1651~1708), Kim Won-haeng(渼湖 金元行, 1702~1772) and Park Yun-won(近齋 朴胤源, 1734~1799), and had great influence on the times. Yet despite his clout and prestige in academic field, Hong Jik-pil`s Seongli-seol(性理說)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It is because Hong Jik-pil tended to evade academic arguments. Also,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y on the early nineteenth-century`s Nangnon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ully appreciate his Seongli-seol in order to examine academic tendency of Nangnon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and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eighteenth to nineteenth-centuries. This paper, as a groundwork on Hong Jik-pil`s Seongli-seol, analyzes his Heart-Mind theory(心說). The Nangnon school that Hong Jik-pil belonged venerated Lee Yi(栗谷 李珥, 1536-1584) and thus followed his core idea that `Every occurance has the same structure[氣發理乘一途]; Li(理) secures fundamental sameness of the substance and qi(氣) arises phenomenal differentiation.[理通氣局]` Based on it, realization of the substance is depended on qi, responsible for specific action. In other words, the fulfillment of li is possible through pure and innate qi, according to the words of Zhu Xi(朱熹) Study. In Nagnon, innate qi is regarded as Heart-Mind(心), so Heart-Mind becomes the subject of fulfillment of the substance. As Hong Jik-pil accepted the idea, Heart-Mind theory became the core point of his Seongli-seol. According to Hong Jik-pil`s argument, Heart-Mind possesses the fundamental sameness, as much as Nature(性) has. Heart-Mind(心), as an individual being, is an independent entity, at the same time, is an universals that differs from differential disposition(氣質). The fundamental sameness and the universals of Heart-Mind are formalized as Simchebonsunseoul(心體本善說). The theory has been established by making a division between qi of disposition and qi of Heart-Mind. Moreover, in terms of Illuminating virtue(明德) from Great Learning(大學), he argued Myoungdukjuki(明德主氣) and Myoungdukmoobunsoo(明德無分數). It clarifies that `Illuminating virtue indicates Heart-Mind[明德主氣]; Heart-Mind possesses universality[明德無分數]`, also states fundamental sameness and universals of Heart-Mi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Hong Jik-pil`s Seongli-se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wo theories.

      • KCI등재

        王弼의 《周易略例》譯註

        申相厚(Sang-Who Shin) 중국어문논역학회 2022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0

        중국 철학사에서 王弼(226~249)은 玄學의 대표적 학자로 서술된다. 그러나 왕필 철학의 정체는 여전히 모호하다. 왕필 철학의 정체가 모호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의 《주역》해석에 관한 평가 역시 분분하다. 철학사의 일반적 담론을 따라, 도가와 유가를 이질적인 사상으로 간주하고 왕필을 현학가로 규정해보자. 만약 왕필이 도가 철학자라면 《주역》에 대한 그의 해설은 유가적이라기보다 도가적일 것이고, 그렇다면 그의 해설은 《주역》의 원의를 왜곡하고 있을 것이다. 반면에, 그의 《주역》해설이 유가적이라면, 그 해설은 《주역》의 원의에 충실하겠지만, 그의 철학은 일관성이 없는 체계가 될 것이다. 왕필 역학에 대한 논쟁은 이 두 관점 사이를 오가며 진행됐다. 왕필의 역학관을 가장 쉽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그의 저작 《주역약례》이다. 《주역약례》는 《주역》의 전체 체계와 주요 개념을 압축적으로 설명한 짧은 논술로, 이 글을 통해 왕필이 《주역》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왕필이 《주역》을 해석하면서 의거한 철학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주역약례》가 이처럼 요긴한 글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이 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곁들인 번역이 있지 않았다. 《주역약례》의 정확한 번역과 상세한 설명은 왕필의 철학과 易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주역약례》 7장을 모두 번역하고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각주로 덧붙였다. 또한 각 장마다 해제를 붙여 장 전체의 줄거리를 요약하고 특별히 주목할 내용을 약술하였다. The philosophy of Wang Bi (226-249 CE) survives in his representative works, namely the Laozhi Zhu and Zhouyi Zhu.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Chinese philosophy, Wang Bi remains one of the most often mentioned scholars in the so-called school of Mystic Learning (Xuanxue 玄學). Nevertheless,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identity of his philosophy. I argue that, in understanding the Zhouyi, Wang Bi discouraged the application of “Image and Numbers of the Yi School (xiangshu yi 象數易)” thoughts and, as an alternative,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and moral values of the Zhouyi. In addition, h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hese values derive from the so-called Ten Wings or Ten Segments (shiyi 十翼). General Comments on the Changes of the Zhou is a short piece of writing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key concepts within Zhouyi, and through this work, we can see how Wang Bi understood Zhouyi and discover what philosophical ideas determined his interpretation of Zhouyi.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has not been any detailed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on this work. I hope that my translation will serve as an essential work for scholars working on Wang Bi’s philosophy and Yixue.

      • KCI등재

        간재(艮齋)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의 계승과 발전 -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의 심성론(心性論)을 중심으로-

        신상후 ( Shin Sang-w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6

        낙론계(洛論係) 심성론은 율곡학의 범위 안에서 ‘배워서 성인이 될 수 있음[聖人可學]’의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갔다. 그리고 이 발전은 호론계(湖論係) 학자들과의 논쟁과 토론을 통해 가능했다. 호락논쟁은 호락 모두에, 그 심성론을 체계화하고 심화하는 자양분으로 작용했다. 호락 간 견해의 다름은, 기(氣)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연유한 것이다. 이들은 모두 ‘성즉리(性卽理), 심시기(心是氣)’,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 ‘리통기국(理通氣局)’을 원칙으로 삼는 율곡학의 계승자들이었기에, 기에 대한이해가 중요했다. 율곡은 기의 차별성과 동일성을 모두 언급한 바 있는데, 호론은 기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낙론은 기의 동일성을 역설했다. 이러한 차이는 ‘태생적 기의 오염’을 설명하는 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낙론은 기질의 오염을 “현재에도 유동적일 수 있는 것”으로 보았고, 호론은 “적어도 현재로서는 고정적이고 견고한 것”으로 본 것이다. 요컨대, 기의 장애를 얼마만큼 가볍게 처리하는가, 얼마만큼 고체화할 것인가에 따라 호론과 낙론의 심성론이 갈라지게 된다. 낙론계 심성론은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이렇게 평가할 수 있는 근거는 간재의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에 있다. 기질체청설은 낙론계 심성론이 지향했던 ‘기(氣)에 의한 장애의 무력화’를극진히 달성한 이론이다. 물론 주자학이 나아갈 수 있는 한계를 아슬아슬하게 넘지 않으면서 말이다. 그래서 필자는 간재의 심성론을 낙론계 심성론의 집대성이라고 판단한다. 지금까지 필자는 호락논쟁 및 낙론계 심성론을 주로 미발(未發)과 관련하여 ‘심(心)’을 위주로 분석해왔다. 호락논쟁의 분기는 ‘기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 있고, 이것이 ‘심(心)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이어져서, 호락논쟁의 핵심쟁점으로 정립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심 이해의 차이를 통해 성립하는 성(性) 이해의 차이’를 다루었다. 이변화는 필자가 파악하는 낙론계 심성론의 전개 양상을 따른 것이다. 낙론계 심성론은, 18~19세기에 ‘본연적 마음의 선함’을 주장하는 ‘심본선설(心本善 說)’로 전개되고,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간재에 의해 ‘기질의 근원적 선함’을 주장하는 ‘기질체청설(氣質體淸說)’로 집대성되었다. 즉, 본연적 기의 담일청 허함이 본연적 마음에서 기질의 뿌리로까지 확장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로써, 기질과 마음 안에 ‘떨어져 있는[墮在]’ 본성, 즉 기질지성(氣質之性)의 성격을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간재의 제자,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 1884~1954)의 심성론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낙론계 심성론의 이러한 전개 양상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간재의 심성론을 계승한 후창 김택술은, 기질지성(氣質之性)에 대해 한결같이 “이발(已發)에 속한다.”고 강조한다. 즉, 마음이 발동한 뒤에, 기질의 구애와 인욕(人欲)의 가림이 있게 되었다면, 그래서 부중절(不中節)의 결과가 도출됐다면, 이때 이것의 원인을 두고 “기질지성에 의한 것이다.”라고 비로소 말하게 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기질지성은 현실의 불선(不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기능할 뿐이라는 것이다. 호론계 심성론에서 본연지성이 개념적 상정이라면, 후창의 심성론에서는 기질지성이 개념적 상정이다. 이 두 견해는, 서로를 향해, “본말이 전도되고, 개념과 실재가 역전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정도로 상반된 견해이다. 현대 주자학 연구자들의 기질지성 이해는 대체로 호론계 이론에 가깝다. 호론식의 주자학 이해에 익숙한 현대의 연구자들은 아마도 후창의 견해를 주자학에서 벗어난 이론으로 간주할 것이다. 그러나 기질지성을 후창처럼 이해하지 않으면, 본연지성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주자학은 시종 본연지성이 진짜 본성이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현대 주자학 연구에서의 난점과 쟁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간재와 후창의 심성론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Rak School (洛學) in the 19th to 20th century. As followers of the Yulgok school, scholars of the Rak School developed their own theory while faithfully adhering to Yulgok's philosophy. The development of Rak School’s theory of Human nature and Heart-mind involves a sophisticated development Zhu Xi’s theory of the Heart-mind. In Neo-Confucianism, when scholars contrast Heart-mind and Human nature, most consider heart-mind to be ki (氣, Ch. qi) and Human nature to be i (理, Ch. li). As ki, Heart-mind may be impure. However, School of the Rak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Heart-mind and temperament (氣質), and thus insists that for ordinary people, even though one’s temperament might be impure, their Heart-minds remain pure. Followers of the Rak school called this pure mind ‘the original Heart-mind’. This is their theory of “Heart-mind is originally good.”. We can say this is the Heart-mind theory of the Rak Schoo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is pattern was demonstrated by analyzing the theory of Jeon Wu (1841-1922, pen name Ganjae) and Kim Taeksul (1884~1954, pen name Huchang). Jeon founded a new theory insisting that the original state of ki (氣質本體) is pure and good. Kim inherited this theory and presented a specific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especially the Human nature of temperament. According to Kim, the Human nature of temperament is a concept that can be said only after emotions or accidents occur incorrectly. This understanding maybe sound unfamiliar to current Neo-Confucian researchers who are less familiar with the Horak school or may consider it a deviation way too far from orthodox Zhu-Zheng philosophy. However,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this perspective as it enables us to recognize the nature of temperament as secondary, that can carry further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