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의 Cavum Septi Pellucidi에 관한 자기공명영상 연구

        신상은,강민희,김철응,이정섭,배재남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뇌자기공명촬영술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와 기분장애 환자, 대조군의 Cavum Septi Pellucidi를 측정하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 생물학적인 원인 중 하나인 신경 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34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18명의 기분장애 환자, 22명의 대조군에게 자기공명촬영술을 시행하여 CSP의 출현 빈도 및 CSP의 크기에 따른 출현빈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CSP의 출현 빈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61%, 기분 장애환자에서 61%, 대조군에서 41%로 나타났다. T1 강조 축상 영상에서 가장 크게 보이는 단면에서 가로로 가장 긴 부분의 길이가 3mm 이상으로 정의한 큰 CSP의 출현빈도는 정신분혈병환자에서 24%, 기분 장애 환자에서 11%, 대조군에서 5%였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큰 CSP의 빈도가 높은 경향성은 확인할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기 때문에 신경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향후 환자수를 확대하고 보다 정교하게 고안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of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Methods: We perform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in 34 schizophrenic patients, 18 mood disorder patients and 22 controls and compared the incidence and the size of carum septi pellucidi(CSP). Results: The incidences of CSP in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controls were 61%,61%, and 41%,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large CSP, defined as largest diameter larger than 3mm in T1-weighted image, were 24% in schizophrenic patients, 11% in mood disorder patients, and 5% in controls.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We could find the tendency that the incidence of CSP was high as following order ; schizophrenia, mood disorder, control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we need larger pool of patients and better study design.

      • KCI등재

        노화납석광산에서 산출되는 명반석대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신상은,박홍봉,Shin, Sang Eun,Park, Hong B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2 자원환경지질 Vol.25 No.4

        Ores of the Nohwa Pyrophyllite Deposits are composed mainly of pyrophyllite, kaolinite (dickite), quartz, pyrite, alunite and diaspore, etc. Alunite ore zone is located in the middle-lower parts of the deposits. Alunite ore zone with thickness of 20~30 cm is divided into two parts according to alunite contents: reddish and white greyish zone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respectively. And the reddish alunitic ore has higher contents $Al_2O_3$, $K_2O$, $Na_2O$ and Ig.loss than the white greyish alunitic ore. Perhaps alunitization of the deposits occurred in the vicinity of paleo-ground water table. EPMA data shows that sodium replaces potassium considerably in alunite structures and that the hydrothermal solution probably contains considerable amounts of sodium.

      • KCI등재

        The Market Incentive Climate Change Policies in Northeast Asia: A Comparative Case Study of China, Japan, and South Korea

        신상범(Sang bum SHIN)(辛相範)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6 신아세아 Vol.23 No.1

        이 논문은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북아 주요 3개 국가에서 시장 유인적 기후변화정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북아 3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의 약 30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지구기후변화협력에서 그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 나라의 기후변화정책에 대한 최신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이 세 나라가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시장 유인적 정책에 대한 비교 연구는 거의 없다.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제도, 탄소세, 그리고 국내외 상쇄(offset) 인증 제도 등은 이 세 나라의 기후변화정책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15년에 배출권 거래 제도를 시작했고 탄소세는 도입이 연기되었다. 일본에서는 탄소세를 시행하고 있으나 배출권 거래제도는 전국단위에서 시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일본은 CDM 과 비슷한 국제 상쇄 인증제도인 JCM을 시행하고 있다. 중국은 7개 지방에서 2013년부터 배출권 거래제도 시범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으며 2017년에 전국단위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 세부적인 규칙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실제 정책 집행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들을 보이고 있고 그것이 정책의 효율성 제고에 있어서 제약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장 유인적 정책은 이 세 나라에서 앞으로도 가장 핵심적인 기후변화정책이 될 것이다. 세 나라의 중앙정부는 이 정책들을 강력히 선호하고 있으며 그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한국의 배출권 거래 제도로 인해 형성된 탄소시장은 이미 유럽에 이어 세계 제 2위의 규모이다. 또한 비록 시범사업이지만 중국이 실행하고 있는 7개 지역의 시범사업을 모두 합친다면 그 역시 이미 세계 2위의 탄소시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동북아가 머지않은 미래에 세계 탄소 시장의 거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This paper examines climate change policies, especially market incentive policy instruments, in the three major Northeast Asian countries -- China, Japan and Korea --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Market incentive policies such as emission trading scheme (ETS), carbon tax, and offset mechanisms play a pivotal role in the national climate change policy frameworks in all three countries. Korea is implementing ETS but not a carbon tax whereas Japan implements a carbon tax but not ETS on a nationwide and mandatory scale. Japan also established its own international CO2 reduction policy called the Joint Crediting Mechanism (JCM). China does not have a carbon tax policy but it has implemented ETS pilot projects in seven local governments since 2013. It has announced that it would implement a nationwide mandatory ETS in 2017. All these policies have weaknesses and limitations that might reduce their effectiveness. Korea’s ETS is designed to help industries comply easily. In Japan, the carbon tax is too low to incentivize emitters to reduce emissions. Also, the lack of a credible 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system of JCM will hurt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In China,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oversee the entire process of the pilot ETS and provide nationally uniform guidelines and standards. Despite these flaws, market incentive policies will remain key policy instruments in the three countries. Especially in China and Korea, where the absolute amount of CO2 is still increasing, ETS will become the major engine for reducing greenhouse gas with flexibility for private or public offset programs. Korea’s ETS and China’s pilot ETS already form the second largest carbon market globally, which means that Northeast Asia will become the critical region for carbon trading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순천만 갯벌 복원 이전의 수질환경 –장산지구를 중심으로 -

        신상은,유형빈,차성식,최정민,오강호,고영구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1

        이 연구는 순천만을 대상으로 갯벌복원 이전의 수질환경을 모니터링한 것이다. 연구 목적은 순천만 갯벌 복원사업 이전의 수질환경을 분석하고 복원사업 이후의 수질환경 변화에 대한 비교분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우리나라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동계 수질환경은 갯벌복원 예정구역에서는 수온, DOC, TOC, COD가 높았으며, 영향구역에서는 SS, TN, NH4-N, NH2-N, NH3-N 등이 높았다. 하계 수질환경은 동계보다 갯벌복원 예정구역에서 DO, 염분 등이 낮았고, DOC, TOC, COD는 유사하며, 영향구역에서는 NH4-N, NH2-N, NH3-N 등이 높았다. 동계 WQI는 갯벌복원 예정구역에서 49~57 (평균 54.5)로 Ⅳ등급이며, 영향구역은 57~77 (평균 61.5)로 Ⅴ등급에 해당한다. 하계 WQI는 갯벌복원 예정구역에서 69~87 (평균 80.5)로 Ⅴ등급이고, 영향구역은 63~87 (평균 73)로 하계와 같은 Ⅴ등급의 수질을 보인다. 연구지역의 WQI는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비슷한 결과를 보이며, 동계보다 하계로 갈수록 악화되는 경향이 강하다. 연구지역 수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반폐쇄적 환경,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육상기원 물질, 세립질의 퇴적환경, 대기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반폐쇄적 환경은 해수 유통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며,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질들은 수중에 용출될 수 있다. 또한, 대기의 상태에 따른 강수와 폭풍 등은 세립질 퇴적물의 재부유를 유발하여 투명도를 악화시킬 수 있다. 갯벌복원 예정구역과 영향구역의 통계학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화학적 성분들의 평균함량 변화에 대한 t-검증 결과, 동계에는 수온, DOC, TOC, COD가 , 하계에는 pH, TOC, COD가 유의수준 1%에서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OC, TOC, COD 등이 갯벌복원 예정구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은 축제식 양식장으로 사용한 인위적인 영향을 반영한다. 이는 폐쇄적 환경으로 인한 갯벌복원 예정구역과 영향구역 간의 단절된 환경에 따른 해수의 이질성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의 갯벌복원 효과는 복원 이전의 사전 조사를 기초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질환경을 파악하고 동질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연구지역의 수질환경을 통한 갯벌복원에 따른 동질화 진행과정은 DOC, TOC, COD 등을 지시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monitoring the water qualities in Suncheon Bay before the restoration of the tidal flat. The scheduled area of mud flat showed the high values of water temperatures, DOC, TOC and COD, in winter, and the influenced area showed high values of SS, TN, NH4-N, NH2-N, NH3-N. On the contrary, in summer, the scheduled area represented lower DO and salinity values and similar valuses of DOC, TOC, COD to those of winter. On the other hand, NH4-N, NH2-N, NH3-N were higher in the influenced area of summer. Water quality indices(WQI) of winter were 49~57 (54.5 avg.) indicating IV grade in the scheduled area, and 57~77 (61.5 avg.) indicating V grade in the influenced area, respectively. WQI of summer were 69~87 (80.5 avg.) in the scheduled area and 63~87 (73 avg.) in the influenced area, corresponding to V grade in both areas. The WQI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and became worse in summer. Factors related to water qualities in this area might be the semi-enclosement of the bay, terrigenous flux of sediment by streams, fine-sedimental environment and atmospheric effect. The mean values of water temperature, DOC, TOC, and COD between the scheduled and the influenced area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1) in winter, and those of pH, TOC, and COD were in summer, respectively. These results reflect artificial impacts of fish farms in the scheduled restoration of mud flat. Additionally, they are also linked to the separation of the water by the bike of the fish farms between the scheduled and influenced area. DOC, TOC and COD might be suitable as indicators of the water qualities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 KCI등재

        A Literature Review on Communication Levels to Develop Language-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신상은,박현주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1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anguage-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 (LAAC-D) that can be used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hases of AAC for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in Korea.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linguistic competence and the four major factors (intentionality, symbolic use, word combination, and grammatical complexity) that play essential roles in classifying communication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tages. Seven pieces of literature reported communication levels that are being used for AAC diagnostic system. Among them, only one reflected all factors into the communication level. Most of the literature did not consider the grammatical complexity factor.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literature, the LAAC-D was developed consolidating the evidence and reflecting the four factors.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LAAC-D were discussed.

      • KCI등재

        AAC 그림상징에 대한 판별과 선택 수행능력 간의 관계

        신상은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several conceptual and linguistic features of AAC graphic symbols affected the performance of symbol verification and selec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rocesses has not been clearly illustrated. The current study aimed to seek an answer to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different level of symbol verification skills would affect the symbol selection skills during a sentence construction task. Method: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link between the two tasks, 32 healthy young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n age=26.75 years, SD=7.05). In the symbol verification task,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ymbols presented on a computer screen which were followed by a congruent or an incongruent written word. In the selection task, they were asked to locate the target symbols on a grid-based display after reading the sentence stimuli which were composed of a noun, an adverb, and a verb in order. Participants’ response times (RTs) for the correct responses in both tasks were analyzed using the non-parametric tests. Result: The RTs in the selection tas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ur groups which were sorted by the scores of verification task. As the RTs in the verification task increased, the RTs in the selection tas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helped the clinicians to understand the inferential relationship between verification skills and selection skills for the AAC graphic symbols, which has not been clearly addressed in the literature. Other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배경 및 목적: 선행연구에 따르면 상징선택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상징의 인식에 국한하여 살펴보고 있기 때문에 실제 상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반응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는 설명해 주고 있지 못하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AAC 그림상징에 대한 판별능력에 따라 상징을선택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성인 32 명을 대상으로 부사에 해당하는 상징을 판별하는 과제를 목표어와 비목표어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명사-부사-동사로 구성된 문장을 AAC 의사소통판에서 선택하는 과제를 통해 부사에해당하는 상징선택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이 판별과제에서 보인 평균 반응시간을 사분위로 구분하여 네 집단으로 나눈 뒤 이들 집단의 상징선택시간을 비모수통계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징판별시간이 오래 걸린 집단일수록 상징선택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그림상징을 정확하게 판별하는 능력은 목표상징과 비목표상징이 혼재되어 제시되는 AAC 의사소통판에서도 일관성있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이론적 임상적 의의가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