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중국의 지방 환경정책 연구 - 대련시의 사례

        신상범(Shin Sangbu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5 亞細亞硏究 Vol.48 No.3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patter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at local level focusing on the case of Dalian city. It investigates how environmental policy is made and implemented in Dalian city, how are the major actors in this policy process, a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and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environmental politics and policy. Dalian is the typical wealthy city of East coastal area in China with high degree of economic openness in terms of foreign trade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refore, it can be the case that best reveals various foreign influence on China's domestic environmental institutionalization. This paper finds that the role of foreign government (both central and local),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their business associ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other forms of foreign connection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hina's environmental policy. This foreign influence has resulted in China's pattern of environmental governance in which foreign firms and foreign local government network is the key agent, rather than environmental NGOs and regional or international civil environmental networks.

      • KCI등재

        국제환경협력에서 국내정치적 제약 요인: 중국의 생태도시 건설 사례

        신상범(Sangbum Shi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1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환경협력은 어떠한 조건하에서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즉 환경 문제에 있어서의 남북협력을 촉진하는 요인및 제약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방정부들이 외국의 도움을 받아 추진하고 있는 생태도시 건설의 네 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이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중국과 외국의 환경협력에 있어서 촉진 혹은 제약 요인이 무엇 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의 중앙정부의 정치적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생태도시 건설 사업에 가장 결정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다. 비교 연구는 문헌 조사 및 현지 조사로 진행되었 는데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한다. 중앙정부가 지방에서 기획되는 생태도시 건설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며 이를 정치적으로 인정해 줄 경우 이러한 관심과 지원은 지방정부가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반대로 중앙정부는 지방에서 추진되는 생태도시 건설 사업을 방해하거나 좌절시 키기도 하는데 그 역시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결국 중국과 외국의 환경 협력의 성패는 국내 정치적 요인 즉 해당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정치적 관계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When and under what conditions would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e effective and therefore generate productive outcomes? This article presents a comparative case study of Sino-foreign environmental cooperation on the eco-city building projects in the four Chinese cities. It hypothesizes that the more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s the project it is more likely that the cooperation produces positive outcomes. The findings, based on the information gathered by both archival and field works, overall support the hypothesis. If the central government pays attention to the project, recognizes it, and even at least expresses its intention to support it, it becomes a strong leverage for local leaders to justify their projects and therefore they can keep it going. On the contrary, the central government is also in a position to interrupt and even stop the local projects for some, possibly, political reasons. In sum, how big and stable the central government’s attention and support to the eco-city projects during their course of cooperation is the key factor.

      • KCI등재

        생태도시 건설의 정치

        신상범(Shin, Sangbum),조정원(Cho, Jungwo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5 亞細亞硏究 Vol.58 No.4

        최근 약 10여 년 동안 중국의 지방 도시들에서는 생태성(생태도시) 건설이 유행하고 있다. 생태성이란 도시의 일정한 지역 전체를 친환경적인 공간으로 만드는 것인데 신재생에너지 사용, 일정한 비율의 녹지, 보행의 최대화 및 화석연료 자동차의 최소화,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에너지 효율성 증가등을 핵심 요소로 한다. 특히 몇몇 주요 도시에서는 선진국의 설계회사나 대학과 협력하여 생태성 건설을 시도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초기에 시행된 것이 바로 상하이시의 총밍다오 동탄 생태성 건설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동탄 생태성이 세계적인 친환경 디자인 회사인 에이럽(ARUP)의 설계, 영국 및 중국 중앙정부의 양해각서 체결, 그리고 당시 상하이시 당서기였던 천량위(陳良宇)의 주도 등 모든 면에서 성공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결국 2006년 천량위의 비리 혐의 구속에 의해 중단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동탄 사례를 통해 중국의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도되는 생태성 건설 프로젝트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로서 중앙정부의 정치적, 상징적 지원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정치적 관계를 강조한다. 또한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중국의 환경 거버넌스가 향후 지방정부에게 실질적인 재량권을 주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시한다. Increasingly, Chinese local cities, especially those on the east coast, have been attempting to construct eco-cities over the previous 10 or 15 years. An eco-city is a city designed to protect the environment, save energy, reduce carbon dioxide, and promote the idea of reuse and recycle. There are some cases of eco-city building projects in Chinese cities founded on Sino-foreign cooperation. Among them, this paper selects the case of Shanghai Dongtan and attempts to explain why the entire project has failed. The Dongtan project was initiated in 2005 by then-Shanghai communist party leader Chen Liangyu and was suddenly stopped in 2006 when he was arrested by the government for fraud and other crimes. The foreign partner was ARUP, a British design company, which has vast experience in designing eco-cities around the world. The authors of this paper argue that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ower rel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elites are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eco-city construction in China.

      • KCI등재

        일본 키타큐슈시(北九州市) 환경 거버넌스와 기후변화 정책

        신상범(Shin, Sangbu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亞細亞硏究 Vol.55 No.1

        This paper aims to survey overall environmental governance and climate change policies in the city of Kitakyushu, Japan. It sets out to explore the major actors, important environmental laws, regulations and stand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overall environmental policy performance of the city, and see if it matches the general pattern of Japan’s environmental governance. Kitakyushu is a city located in the Fukuoka Prefecture in the Northwest Japan. It grew out of a very typical Japanese history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became one of the most prosperous industrial cities in Japan. However, it soon became a pollution hell, and the government and local business began to react to the citizen complaints very quickly and in a timely manner. The paper demonstrates that the environmental governance of Kitakyushu city shows similar pattern of Japan’s general environmental governance, which is top down and more centralized. It also finds that this pattern continues to dominate even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policy of the city, such as eco town project approved and sponsored by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climate change policies in Japan would be decentralized to a certain degree, and it might affect other local governments in Korea,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in terms of their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cliamte change policy patterns.

      • KCI등재

        경제적 세계화와 환경정책

        신상범(Sangbum Shin)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2

        본 논문은 경제적 세계화가 개발도상국의 환경 제도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을 사례로 히여 살펴본다. 세계화와 그 영향에 관한 기존 논쟁 중 환경 정책의 영역에서 많이 부각되었던 ‘바닥으로의 경주’(race to the bottom) 가설에 의하면, 경제적 세계화는 공해 산업의 개발도상국으로의 이전 등으로 인해 개발도상국의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발도상국의 환경 기준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경제적 세계화는 중국의 환경 제도화 과정에 있어서 도전과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주장한다. 즉 중국 경제의 세계 경제로의 통합이 심화될수록 한편으로는 중국 정부가 환경 정책을 강화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 예를 들어 녹색 무역 장벽 등 - 증가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 정책 강해 도움이 되는 기회들이 - 예를 들어 기술 및 자본 이전, 선진국 환경관리체계의 도입, 국제 시장에의 환경 기준에의 노출 등-증가하였고, 이러한 기회와 도전은 중국 환경제도화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경제 개방의 정도가 높을수록 환경 제도화의 수준이 자동적으로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세계화가 야기하는 이러한 도전과 기회는 국내의 정책결정자들이 어떻게 세계화에 전략적으로 대응하여 그들을 활용하고 그 이익을 극대화하고 피해를 최소화 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결국 경제적 세계화와 경제 통합의 심화가 개발도상국들에게 있어서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면 세계화의 환경적 영향은 이러한 대응 전략(responding strategy to globalization)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economic globalization on the level of environmental institutionaliz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China. According to the race to the bottom hypotheses, economic globalization is more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of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the cases of eco-dumping and dirty industry flight. Contrary to these assertions, however, this paper shows that economic globalization has brought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to China, which have become critical policy resources for the Chinese government to strengthen its environmental institutions-organizations, legislation, policy instruments, standards, and actual environmental performance. Specifically, economic globalization generates incentives, such as cheap and effective environmental technology transfer, exposure to the environmental practices of advanced countries, and learning new market-incentive policy instruments, and challenges, such as standard harmonization of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green barriers, and FDI-induced policy changes, most of which has worked effectively in the case of China. However, this paper does not imply that economic globalization automatically brings better environmental institu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economic openness ultimately depend on the environmental responding strategy to economic globalization, deployed by the governments of developing countries to maximize benefits and minimize costs.

      • KCI등재

        Environmental Globalization and its Dynamics - The Case of Japan’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tics

        SHIN Sangbum(신상범)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4

          많은 문헌들이 일본의 국내환경정책과 국제환경정책의 불일치에 관해 지적해 왔다. 일본은 국내적으로는 매우 빠른 시기에 산업공해를 감소시키는 등 놀라운 성과를 보였지만 국제환경정책에 있어서는 매우 나쁜 평판을 받아 왔다. 왜 일본은 국내적으로는 매우 효율적인 환경정책을 지속시켜 왔으면서도 국제환경정책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후진적인가?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는 한 나라의 국제환경정책을 환경 수준에서의 세계화(Environmental Globalization)와 그에 대한 대응전략(Coping Strategies) 이라는 틀 속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포경에 관한 국제협약, 멸종위기에 놓인 동식물 협약, 그리고 열대우림에 관한 국제협약 등의 세 사례에서 일본의 국제환경정책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 조약들에서의 일본의 정책은 환경의 세계화에 대한 일본의 대응전략이며, 이 대응전략들은 일본이 가진 자원 및 정책 그리고 문화적 특성에서 기인하였다는 점을 주 발견으로 한다.   Although much literature on Japan’s environmental performance has emphasiz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country’s remarkable achievement in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and extremely negative reputation on i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in many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systematic research on Japan’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has been a void of academic interest i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void by examining three cas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where Japan has participated in-whaling, endangered species and tropical timber. In order to explain why Japan has been less-cooperative in these conventions, this paper develops a framework of environmental globalization and a country’s coping strategy to it. It finds that Japan’s attitude and behavior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is explained by its coping strategy to environmental globalization in order to maximize benefits and minimize cost. Also it finds that there are some cognitive as well as material factors that aHect a country’s coping strategies, typically in the case of China, the country’s cultural preference.

      • KCI등재

        공공외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 보건외교의 현황과 과제

        신상범(Shin, Sangbu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3

        전염병과 각종 질병들은 인류 역사에서 늘 위협 요인이었지만 최근 약 40여 년간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국제사회에서 협력을 필요로 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주권국가들이 각자 외교정책의 일환으로 보건외교를 추진해 왔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협력을 진행하여 질병 위기에 대응해 왔다. 이렇게 개별국가들의 보건외교가 중요해졌던 반면 이에 대한 국제정치학계의 연구는 아직도 부족하다. 특히 한국의 보건외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보건외교를 공공외교와 소프트 파워 증진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보건외교를 담당하는 세 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외경제협력기금. 국제보건의료재단의 보건외교 활동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소프트 파워 증진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즉 소프트 파워의 세 매력 자원인 지적, 도덕적, 문화적 힘에 의해 보건외교 활동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가 공공외교 차원에서 보건외교 전략과 목표 그리고 세부과제를 수립할 것을 제안하며 선진국 및 신흥공여국들의 보건외교를 분석하고 한국이 추진해야 할 적절한 모델을 제시한다. Increasingly, infectious disease and various health problems are becoming a threat to global security.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states deploy national health diplomacy strategies and make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perative activities. While health diplomacy of individual stat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global health governance, scholarly works on this topic is still relatively a void.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is void of academic attention by focusing on the case of South Korea. It first investigates how KOICA, EDCF, and KOFIH (the three big institutions of ODA in Korea) have been invovled in health diplomacy and reveals that they all do not have national strategies for health diplomac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set up goals and strategies for national health diplomacy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public diplomancy and soft power. It provides three categories of soft power and shows that intellectual and cultural aspects of soft power should be emphasized in Korean health diplomacy.

      • KCI등재

        환경정책에서 국가의 역할

        신상범(Shin Sangbum)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9 亞細亞硏究 Vol.52 No.4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the market incentive voluntary environmental schemes in China, with three specific cases such as ISO 14001,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t shows that the government (both central and local) is the most significant actor in these three schemes playing a role such as introducing and promoting them, providing polit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to facilitate them, and sometimes providing counter-standards to cope with global standards. The positive impact of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s that it can facilitate the diffusion process of these schemes and therefore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se schemes in a relatively short time period. However, the negative impact is that it can eventually undermine the significant role of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crease the government regulatory cost, which is exactly the opposite case of the original idea of market incentive voluntary schemes-reducing government regulatory cost because they are voluntary schemes.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 kind of long term effect of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se schemes.

      • KCI등재

        한국 지방 도시 공공자전거 정책의 도입과 지속 요인

        신상범(Sangbum Shin)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1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방 도시들이 왜 제3세대 공공자전거시스템을 도입하는지 그리고 그 정책을 어떻게 유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가장 먼저 시도되었고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고 평가받는 창원시의 누비자를 사례로 선택하였다. 누비자의 성공적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비자는 창원시가 중화학공업도시로서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미래형 녹색 도시로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환경수도를 선언하였을 때 그 구체적인 실행 전략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둘째, 시장은 선진국 친환경도시의 환경정책 및 생태교통정책을 학습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였고 여기에 한국의 발달된 IT기술이 접목되어 성공적인 공공자전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셋째, 하향식 정치과정으로 인해 시정부가 시민사회나 의회의 참여 없이 독자적으로 공공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 또한 시장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누비자가 지속되게 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시장과 시정부가 누비자를 국내외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하였고 생태교통연맹 의장 도시 역할을 수행하는 등 누비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였으며 그 결과 누비자와 창원시가 국제적 명성과 관심을 받게 되어 정책에 있어서 일종의 ‘돌아갈 수 없는 지점’을 통과하였기 때문이다. 향후 누비자의 발전을 위해 누비자와 관련된 정책 과정에서 시정부 뿐 아니라 시 의회 및 시민사회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수반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illustrate how the third generation bike sharing schemes (BSS) are operated in Korea and identify the possible factors that have made cities to adopt and maintain BSS successfully in Korea. For this, the paper selects the case of Nubija in Changwon as the representative and the most successful BSS case in Korea. It identifies three major factors that have made the city to adopt Nubija. First, Nubija was initiated as a part of the bigger project of ‘Environmental Capital’ aiming to develop the city as a world class green city attempted by the city government. Second, the mayor’s willingness to learn and adopt European model cities of environmental capital and green transportation played a decisive role in developing Nubija. Third, the city government was able to implement BSS policy in a top-down manner so the policy process was relatively speedy and effective. Also Nubijia became a stable policy because the city has gained international reputation as a Korea’s representative green city, and as a result, the city’s BSS policy has passed the point of no return. In the future, channels should be made for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Nubija so that they can cooperate with the city government to develop Nubija further.

      • KCI우수등재

        Bicycle Sharing Schemes in Trouble

        SHIN Sangbum(신상범)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6

        최근 약 10여년동안 전 세계 많은 주요도시들에서 무인공공자전거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공공자전거는 도시의 곳곳에 무인대여시스템을 설치하여 시민들이 저렴한 연회비를 내고 자유롭게 자전거를 이용하고 반납할 수 있는 정책으로서 특히 자전거마다 GPS를 장착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 폰 등록 시스템을 통해 이용자에게 파손이나 손실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제3세대 기술이 상용되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우리나라에도 많은 도시들에서 이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몇몇 도시들에서는 비교적 효율적으로 정책이 실행되는 반면 다른 도시들에서는 적자를 면치 못하고 이용률도 매우 낮다. 이 논문에서는 공공자전거 정책이 환경 및 기후변화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는지의 여부와이 정책을 주도하는 시장의 의지와 노력 그리고 그 시장의 다음 선거에서의 재선 여부 등과 같은 정치적 요인이 각 도시의 공공자전거 정책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하며 이를 네 도시의 사례-창원, 대전, 안산, 고양-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보여준다. 그 결과 시장의 의지와 재임 기간이 길었던 창원의 경우가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안산은 시장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고양과 대전은 이러한 요인들의 부재로 인해 이용률도 낮고 존폐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한국의 공공자전거 정책은 창원의 누비자 사례를 제외하고는 서구에 비해 시민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지 못하며 향후 지방의회 및 시민단체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정책 과정에 참여하여 제반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icycle sharing schemes (BSS) or public bike system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in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Whereas existing literature has examined a wide range of issues such as user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impact, helmet matters and models of provision, a relatively neglected area of academic concern is the political aspect of a BSS including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political institution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BSS.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void by providing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BSS in four Korean cities. It finds that mayoral willingness and commitment to the promotion of a BSS as an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number of their consecutive terms in office explain the variation among them in terms of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BSS in Korea.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BSS, strengthening civil society and the role of the city council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current top-down governance structure of BSS into a more bottom-up style of gover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