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이 글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의 이 땅에 파종된 무정부주의의 모습을 천착(穿鑿)하고자 한다. 그가 기초한 『조선혁명선언』과 그 주체인 조선의열단의 노선, 그리고 1927년을 전후하여 그가 마지막 의지처로 생각했던 동방아나키스트연맹에서의 언행과 저작을 통하여 일제 치하에서의 한국 무정부주의의 현실과 이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의도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에는 당시 식민지지배 아래서의 지식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사상적 습합(習合)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그의 사상은 당시 한국에 유입된 양계초(梁啓超)의 영웅주의, 크로포트킨(Count Kropotkin)의 민중주의적 연민과 상호부조론, 고도쿠 슈스이(幸德秋水)의 폭력혁명론, 이석증(李石曾)의 생물학적 진화론 등을 융합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식민지 시대의 무정부주의가 매우 정치(精緻)하고 논리적으로 완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통으로 보면 고토쿠 슈스이를 잇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신채호의 폭력혁명론은 그의 사상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업장(業障)처럼 따라 다니고 있다. 식민지 시대에 독립을 쟁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좌절된 후 최후의 방법으로 폭력 또는 테러리즘의 길을 걷게 된 것은 잘못된 일도 아니고 비난 받을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력 투쟁에 대하여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이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어떻게 다른가에 대하여는 당사자인 신채호도 혼동하고 있고 후세의 평가도 각기 다르다. 신채호도 계급 투쟁이나 평등과 같은 사회주의적 입장을 밝힌 바 있고, 당시 무정부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계급 철폐를 주창하는 등 사회주의적 요소를 표방하는 일이 흔히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와 혼재ㆍ혼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식민지시대의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거부와 혐오감이 그 본질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 정확히 권력이나 또는 정치(정부ㆍ국가)에 대한 거부나 혐오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신채호를 비롯한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정통 논리로부터 다소 빗겨 서 있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depict the reality and idea of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rule through Shin Chae-ho's writings such as the Declaration of Korean Revolution, his political line presented at the Korean Gallant Party(Chosun Uiyuldan), and his dialogues and activities at the East Anarchist Union. Shin Chae-ho's anarchism shows the ideological fusion as a means of independence movement. So as to say, he accepted and reconstructed the heroism of Liang Chi-chao, populist sympathy and mutual assistance theory of Count Kropotkin,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of Kotoku Shushui and biological evolutionism of Lee si-zheng. In this respect, anarchism under the colonial rule, especially in case of Shin Chae-ho, was neither accurate nor logical. While evaluating Shin Chae-ho's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which was connected with Kotoku Shusui, it was a karma given to him. When all kinds of ways to win their independence under the colonial rule were frustrated, violence or terrorism as a last resort was not immoral. In spite of that, Korean historiography was not favorable to his theory of violent struggle. How was Shin Chae-ho's anarchism connected with socialism or communism? Not only Shin himself but also scholars of his ideology were confused in understanding them. Shin had urged such a socialist concept as class struggle and equality, and anarchists at that time often refused private property system and class discrimination. It means that anarchism of the time was mingled with and misused as socialism. Considering the above facts,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colonial seizure was essentially not composed of reluctance to the power such as government or state but to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respect, anarchism of Shin Chae-ho was slightly deviated from the orthodox anarchism.

      • KCI등재

        조선조 주리론자(主理論者)들의 정치적 고뇌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10 정치사상연구 Vol.16 No.1

        [1] 인간은 삶을 이어가면서 얼마나 이성적일 수 있을까? 인간의 삶에서 이성은 얼마나 소중한 가치일까? 이 문제는 동서양의 선학들이 늘 고민하던 문제였다. 서양사에서는 이성에 눈뜬 이 시기를 계몽시대라 하여 근대의 기점으로 삼는데, 문예부흥은 바로 이성의 발견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동양 사회에서는 이성을 이(理)로 표현하면서 가장 먼저 이에 대하여 고민한 인물은 맹자(孟子)였고, 조선왕조에서 이를 완성한 사람은 이황이었다. 인간의 삶에서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이성을 중요 가치로 생각했던 주리론자들은 이상주의적 당위(Sollen)에 몰두했다. 그런점에서 그들은 주기론자들이 존재(Sein)에 몰두한 현실주의(realism)와 다르다. 그들은 당위가 존재에 앞서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2] 이기론이 갖는 정치학적인 의미는 결국 그들이 인간의 삶의 모습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의 문제로 확대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즉 인간의 삶을 이성이 지배하는 것으로 이해했을 때 인간을 다스리는 원리는 교화(敎化, edification)가 된다. 그들은 왕도 가르침의 대상이라고 생각했고, 왕학[王學: 聖學]을 완성하는 것이 자신들의 책무라고 생각했다. 주기론자들처럼 인간의 삶을 지배하는 것이 기질이라고 보았을 때는 수심(修心: cultivation)이 원리가 되지만 주리론은 계명(啓明)을 중시했다. [3] 주리론은 사대부의 학문이었고 따라서 그것은 관학의 성격을 갖는 동시에 지배자의 덕목에 몰두했다. 이런 점에서 주리론자들은 신분 질서를 중요시하고 유교적 낙관주의에 기초한 철인왕을 기대하면서 자신들이 그러한 인물의 배출과 그러한 사회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상주의자들이었다. [1] To what extent can human beings be reasonable in their lives? How important is reason in human life? Since ancient times, these were the main topics studied by scholars from both the West and the East. The period when these scholars first encountered this theme was called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the epoch of modernity; the Renaissance began with the finding of reason. In Oriental society, Mencius tackled the problem of reason (li) first, followed by Le Hwang in Korea. They believed that reason comprised four principles : charity, righteousness, courtesy, and wisdom. They were involved in these principles as idealistic Sollen. In this respect,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theorists of ether (gi), who engaged in realistic Sein. The theorists of reason believed that reason was prior to ether (emotion). [2]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theory of reason is important, because this argument sparked a debate regarding what controls human beings: reason or ether? In the case where scholars believed that human beings are controlled by reason, the means of control is “edific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y believe that human beings are controlled by ether, the means of control is the “cultivation of mind.” Theorists of reason believed that monarchs should be taught as human beings, and that teaching monarchs ( sunghak) was their holy duty. When principles control human life, as theorists of reason believed, enlightenment is more important than cultivation. [3] The theory of reason was a science for ruling nobles, and thus, it was regarded as a governmental science and a set of virtues by the rulers. They emphasized the order of social status on the basis Confucian optimism. The theorists of reason expected to be ruled by a philosopher-king, and considered it their political role to develop, teach, and support him. They were steeped in idealism.

      • KCI등재후보

        조선조에서의 향약(鄕約)과 향속(鄕俗)의 연구 -관습법의 존재 양식을 찾아서-

        신복룡 ( Bok Ryong Shi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一鑑法學 Vol.0 No.18

        [1] The Koreans, having not gone beyond the age of feudalism and with no local autonomous experience, lacked the opportunity to train themselves in civic consciousness, Because of this, Local Convention (hyangy ak) in the age of the Chosun Dynasty was a significant mechanism in sustaining social order and the public good by playing the role of conventional law. [2] Local Convention, which was composed of four principles, (1) the mutual encouragement of virtues, (2) the mutual control of personal faults, (3) the mutual exchange of social courtesy and (4) mutual assist ance in hardship, was a type of autonomous regulation at the local civic level apart from governmental powers. It contributed to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was passed down as a means of solving social conflict that could not be governed by the official authority. It also was imbued with the meaning of local autonomy. [3] At the beginning stage of Local Convention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the ruling class of the Chosun Dynasty wished to cultivate the people they governed by Confucian doctrine through Local Convention. For this purpose, Lee Hwang and Lee Yool-gok led its establishment. When, however, the local gentry attempted to form a potential group and grew as a resisting organization, the ruling class began to regret its support and looked for ways to suppress the growing resistance, In some respects, abusive activities of the gentry was responsible for this reaction. [4] As Local Convention was an idea, local customs such as doorae (cooper ative farming), poomasy (exchange of farming labor), folk festivals and gyee (mutual assistance unions) were the fruits of these ideas. In pre-modern society, with a rudimentary monetary system and lack of a social safety net, the Local Convention gave vitality to the enhance ment of the local identity and a sense of common solidarity in rural society. The Local Convention was in essence civilian regulation based on the Confucian spirit to give mutual assistance. Its core value was common and mutual existence.

      • KCI우수등재

        한국전쟁의 기원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정치학회 1996 한국정치학회보 Vol.30 No.3

        1. 이 글은 이데올로기에 의해 윤색되었거나 은폐된 한국전쟁의 기원에 있어서 김일성의 개전 의지는 무엇이었던가를 밝히고자 쓰여진 글이다. 2. 한국전쟁의 성격은 내전이었다.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된 이후 탄생한 모든 국가는 건국 초기의 주도권 쟁탈을 위해 내전에 돌입했고 그 배후에는 강대국의 이해 관계가 개재되어 있다. 한국전쟁도 그 예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 글이 내전설에 근거했다고 해서 1950년 6월 25일의 남침에 대한 김일성의 책임이 면죄되는 것은 아니다. 3. 1950년 6월 25일의 남침은 분명히 김일성의 결심 사항이었다. 그는 전쟁을 통해 국가 건설의 초기 모순을 극복하고자 했다. 4. 김일성은 한반도 전역을 장악하려고 개전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서울을 점령함으로써 남한의 요인들을 억류한 상태에서 정치 협상을 전개함으로써 한반도 전역의 공산화가 가능하리라고 오판했다. 그 논거로는, 서울을 주공 목표로 삼고 수원을 장악하여 서울의 퇴로를 차단하려고 시도했다는 점, 초전의 중요한 3일을 서울에서 지체했다는 점, 동부 전선의 돌파에 주력하지 않았다는 점, 남침 장비를 단기간의 경장비에 치중했고 특히 한강 도강 장비를 갖추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5. 미국이 전쟁을 도발(provoke)했다고 믿을 만한 증거는 없지만 미국은 한국전쟁이 발발하리라는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전쟁을 기다리고 있었다. 한국전쟁은 군비 증강을 노리는 매파들에게 好機를 제공했으며, 그들은 한국전쟁을 십분 이용했다. 6. 결국 한국전쟁은 전쟁의 결과[공산화 통일]를 너무 쉽게 오판한 김일성의 실수에 의한 「잘못된 전쟁」(wrong war)이었다.

      • KCI우수등재

        한국 공산주의자의 발생 계기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4 No.4

        이 논문은 192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한국의 공산주의자들은 어떤 계기와 목적을 가지고 공산주의에 경도하게 되었는가를 탐구하기 위해 씌어진 글이다. 한국인들은 러시아혁명과 코민테른 동방 정책, 3ㆍ1운동이 독립을 가져다주지 못한 회한과 그 대안으로서의 투쟁 노선의 고뇌,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가 빚은 불만의돌파구, 중국의 공산화와 공산 통일, 해방 정국이라고 하는 특수 상황이 자아낸 혁명적 격정, 그리고 개인의 특수한 체험과 인성 등으로 인하여 공산주의에 경도하게 되었다. 초기의 공산주의자들은 대체로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했으며, 지적인 면에서 고등교육자였고, 청년층이 많았으며, 인성의 면에서는 허무주의적 낭만과 민중적 연민에 사로잡혀 있었다.

      • KCI등재

        조선조 실학자들의 토지 인식

        신복룡(Bok-Ryong Shin)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0 부동산 도시연구 Vol.3 No.1

        이 글에서는 조선조의 실학자들의 사상 중에서 그들이 토지를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실학자들의 토지 인식에 주목하는 것은, 그들의 전체 사상을 토지만으로써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토지는 그들의 핵심적 가치 중의 하나였으며, 이 문제에 대한 이해를 통하지 않고서는 실학의 전체상을 이해할 수 없다는 논지에 이 논문은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같은 농경사회에서 토지는 사회경제사뿐만 아니라 정치사의 중요한 추동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왕조 변혁에 대한 수많은 명분과 논리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늘 누가 토지를 소유하느냐의 문제가 깔려 있었고, 훈구와 개혁파의 논쟁의 이면에도 토지는 중요한 가치였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1] 실학은 조선조의 시대정신을 읽는 하나의 도구였다. 실학자들은 멀리 이이(李珥)의 양민책(養民策)에 머리를 향하고, 전쟁의 참화와 이로 인한 민생의 아픔에 연민을 느끼면서 경기 일원에서 살던 남인(南人) 유파의 몰락한 지식인들(marginal men)이 북학에 영향을 받아 전후 복구와 후생을 유념하면서 구상한 사상 체계였다. 이런 점에서 실학은 한국사에서 근대성(modernity)의 시발이었다. [2] 토지라는 시좌(視座)에 국한하여 본다면, 실학들은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으로부터 추호도 물러서려 하지 않았다. 농경사회에서 토지는 영혼과 같은 것임을 그들은 잘 알고 있었다. 그들은 조선조의 토지제도인 과전법(科田法)에 따른 사대부의 토지제도의 불합리함을 입증하는 데 노력을 경주했다. 그들의 토지 인식은 기본적으로 사유제를 거부하는 공유제였다. [3] 실학자들이 토지 문제를 둘러싸고 가장 우려한 부분은 토지 겸병에 따른 사대부의 지주화현상이었다. 토지겸병은 경작자의 빈곤을 초래하는 중요한 이유로서 그 자체로도 공의롭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균형 있는 분배를 저애하였다. 그들은 토지 겸병을 막는 방법으로서 토지상한제를 구상했다. [4] 전기 실학자들이 주로 토지제도의 모순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개혁에 몰두했던 데 비하여 후기 실학자들은 토지 생산성의 증대를 고민했는데, 이는 북학(北學)을 통한 자연과학의 도입과 무관하지 않았다. 그들은 농지의 개발과 농기구의 발명, 그리고 낮은 세율에 유념하였으며, 종래의 미곡납(米穀納)에 대신하여 화폐납(貨幣納)을 주장함으로써 상업자본의 도래를 촉진했다. [5] 실학파들은 역사, 지리, 강역학(彊域學), 토지제도, 과거제도, 천문, 역학(曆學), 의술 등을 광범하게 천착하던 조선조의 백과전서파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광범위한 학문 영역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진실로 강조하고자 했던 본질은 농업생산성을 통한 백성들의 삶의 질의 향상이었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조선조의 중농주의자들이었다. [1] Pragmatism (shilhak) is a tool through which the Zeitgeist of the Chosun Dynasty can be reviewed in the modern age. The Korean Pragmatists, heading toward a policy of the cultivation of the people by Lee Yoolgok, were marginalized men of the Southern Party (Namin) who were sympathetic to the misery of the people after the War with Japan (1592-1598) and the War with the Manchurian Ching Dynasty (1627, 1636-1637). These individuals agonized about how to recover from these disasters and were influenced by Yenching science (bookhak or, science from the North). In this respect, the age of shilhak was a period of modernity in Korean history. [2] From the point of view of land, the Korean pragmatists held to the theory that “farmers should have land.” In an agricultural society, they knew, land is a spiritual thing. They tried to prove that the land system in the Chosun Dynasty, which permitted high-level bureaucrats to be granted wide areas land by the royal house, was unreasonable. Their basic tenet was the denial of a private land-ownership system; they believed instead that land should be public property. [3] The pragmatists were seriously concerned that the high-level bureaucrats would become landlords through a latifundium system. A latifundium system could not be justified as it was a cause of mass poverty and kept the country from achieving a balanced distribution of wealth. The Pragmatists searched for a way to limit the ceiling of land ownership. [4] The pragmatists of the former age in the 17th century devoted themselves to the eradication and reformation of the conflicts in the land system. In comparison, the pragmatists of the latter age in the 18th century were interested in the promotion of land productivity that was brought about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natural science from the Yenching science. They remained conscious of the need to invent agricultural tools, develop farm land and ease the tax system. They also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capital by promoting taxation in hard currency instead of a crop tax system. [5] Korean pragmatists were a kind of Encyclopaedists, who studied history, geography, territorial problems, the land system, the examination of civil service, astronomy, the calendar and medicine. In spite of their broad interests in the sciences, what they really wanted was to better the life of the people through the growth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is point, they were essentially the physiocrat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후보

        러일전쟁의 한 단면 : 그것은 어떻게 대한제국의 망국과 연관되었나?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20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42 No.1

        [1] The Russo-Japanese War was crash between two countries, Russia, who wanted to launch to Pacific Ocean, and Japan, who wanted to construct bridgehead on the land to swallow the Korean peninsula. Contrary to the Sino-Japanese War, that was a war of Japan, who wanted to escape from the hard time of early capitalism, Russo-Japanese War was a struggle between two countries to obtain the territorial ground on the Korean peninsula. So as to say, Russo-Japanese War was a reluctant and unprepared war for Russia against Japanese sunrising attack on the third land on Korea. [2] A half of the Russo-Japanese War was diplomatic struggle rather than of bayonets. That War was victory of Japanese diplomacy. While the Russia was timid under the feudalism, Japanese under the leadership of count Ito Hirobumi, leading Mutsu Munemitsu, Minister of Foreign Affairs, Kurino Shinichiro, Cosul General in Washington, Komura Jutaro, Viceminister of Foreign Afaires, and Minister of Justice concurrently Plenipotentiary Extraordinary Ambassador, Kaneko Kentaro, were superior to those of Russia in capacity and loyalty, Some of them were Member of “The Japan Club of Harvard University” under the auspices of Theodore Roosevelt. They were core group in Japanese diplomatic circle. [3] The reason of defeat of Russia army derived form the corruption in the Tsar Palace. The War was fighting between the corrupted Romanov Dynasty and Japanese patriotic militia. In spite of many pleads of “better life of the people,” corruption of royal family obstinately oppressed the mass as heritage, under which they lost their willingness morale to fight against Japan. [4] Russo-Japanese War was broken out in the innocent Korea for which was irresponsible. What is worse was that it influenced upon the ruin of Chosun Dynasty(Korea). Korea was really irresponsible for the War. No. At that time Korea was in charge of its own country. Whether was it neutrality or participation in the war on a certain side, Russia or Japan, but King Gojong hesitated and high officials counted their own interests. For them, the destiny of his country was not important. In this respect, the ruin of Korea on account of war between Japan and Russia was Korea’s diplomatic fault. Whether of participation on a side or neutrality was not important. What was really necessary was royal resolve and unified decision of Royal Court. But They were not capable neither wise nor patriotic. The first mistake was King’s escape to Russian Consulate after the Murder of Queen(1895). [5] Why do we have to reflect the past tragic war? That is because the historical stage of the Russo-Japanese war in 1890-1900s was nothing changed in spite of a century’s lag-time. In the long history, a century is not enough to change or improve history fundamentally, so we have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lesson form the war, reflecting upon this age. After 120 years, Russo-Japanese war has not ended, but suspended. The War is present progressive up to now. [1] 러일전쟁은 태평양의 진출을 노리는 러시아와 대륙에 교두보를 마련하고자 한국을 필요로 하는 일본의 이해가 충돌함으로써 벌어진 전쟁이었다. 청일전쟁이 초기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영토의 점유를 중요하게 여겼던 일본의 전쟁인 것과는 달리, 러일전쟁은 영토를 목표로 삼는 제국주의의 충돌이 아니라 영향권을 확장하려는 전쟁이었다는 점에서 성격이 달랐다. 따라서 러일전쟁은 만주에서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두보로서의 한국을 침탈하려는 일본의 기습 공격에 대한 러시아의 준비되지 않은 전쟁이었다. [2] 러일전쟁에서 전쟁의 절반은 외교였다. 이 전쟁은 일본 외교의 승리였다. 러시아가 아직 탈봉건사회를 거치지 못하고 있는 동안에 일본의 총리대신 이토 히로부미를 정점으로 하여 외무대신 무츠 무네미츠, 주미공사 구리노 신이치로, 외무성 부대신 고무라 주타로, 그리고 러일전쟁 당시의 법부대신이자 견미(遣美) 특사였던 카네코 겐타로와 같은 미국 유학 출신 외교관들, 특히 하버드대학교일본유학생회(The Japan Club of Harvard University)의 역량이 크게 작용했다. [3] 러시아의 패인은 부패한 왕조의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러일전쟁은 부패한 차르 왕조와 애국주의로 무장한 신흥 일본의 결전이었다. 많은 혁명과 개혁 세력이 등장하여 공익(公益)을 내세우면서 “더 좋은 삶”을 약속했지만, 부패는 늘 유산처럼 민중을 짓눌렀다. 이런 상황에서 민중에게 애국심을 요구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염치없는 일이다. 부패에 대한 반응은 분노가 아니라 체념이다. 부패한 관리에 지친 민중들은 조국을 위해 싸울 전의나 사기를 잃게했다. [4] 내 나라에서 벌어진 제3국의 전쟁으로 말미암아 한국이 멸망한 것은 한국 외교의 책임이었다. 중립이든 참전이든 멈칫거림이 없는 결단이 필요했으나 조선의 왕실은 그렇지 못했다. 문제는 아관파천부터 잘못된 선택이었다. 러일전쟁에서 어느 쪽이 승리하느냐의 문제는 한국의 멸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왜냐하면 이미 그 무렵이 되어서는 어느 쪽이 이기든 한국은 승자의 먹이가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한국의 운명이 그 지경에 이르도록 지배계급은 왜 지혜롭게 망국에 대처하지 못했는가 하는 점이다. [5]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의 무대가 되는 1890-1900년대의 시대적 상황을 되돌아봐야 하는 이유는 비록 1세기가 넘은 시차에도 불구하고 크게 바뀐 것이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그 시대의 4국 관계를 보면 러시아·중국·일본에게 주는 한국의 의미가 한국에 주는 그들의 의미를 능가하는 것이었고, 그 결과로 국제 관계의 비극성도 한국에게만 일방적으로 부과되었다. 우리는 이제 다시 그 시대를 반추함으로써 지금 우리의 위상에 대한 교훈을 찾아야 한다. 러일전쟁의 유산과 교훈은 120년이 지난 지금도 살아 있다. 그런 점에서 러일전쟁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 KCI등재후보

        망국을 바라보는 좌파들의 시선

        신복룡(Shin Bok-ryo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2

        이 논문은 망국으로부터 해방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를 살았던 좌파 지식인들은 해방의 방략으로 무엇을 고민했고, 미래에 건설될 조국의 모습을 어떻게 구상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쓰여진 글이다. 해방정국의 좌파들이 모두 한국의 역사에 깊은 조예를 가진 역사주의자들이었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일이다. 그들은 역사에 민족의 진로에 대한 답안이 있다고 생각했고, 역사를 통하여 미래 조국의 건설을 설계했으며, 그래서 그들은 더 고뇌에 찬 삶을 살았다. 해방 정국에서의 좌익 사사의 핵심은 민중주의(populism)였다. 그들은 멀리는 동학농민혁명에서, 그리고 일제 치하에서의 3ㆍ1운동에서 보여준 민중적 역량의 가능성과 좌절ㆍ회한, 그리고 해방 정국에서 대구(大邱)사건과 제주 4ㆍ3사건을 통해서 감지한 민중적 저력에 대한 신뢰감을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민중 혁명의 가능성을 감지했거나 기대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엄혹한 미군정 통치 아래에서 성숙되지 않은 민중 의식은 그들의 꿈을 이뤄주기에는 미흡했다. 식민지 치하에서의 민족주의는 사회주의와 밀접한 친화력을 갖는데 그 연결 고리가 독립ㆍ해방이라는 상징적 용어였다. 교조적 맑스주의에 따르면 사회주의자들에게 민족은 중요 가치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노동자에게는 조국이 없다.’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는 교시는 그들에게 심리적 갈등을 불어넣어 주었다. 그러나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국가에서는 민족 투쟁이 계급투쟁에 우선한다.’는 코민테른의 교시와 모택동의 국공 합작은 한국 공산주의자들에게서 일어나고 있는 민족과 계급의 갈등에서 민족의 편에 서도록 이론적으로 정리해주었다. 식민지 시대와 해방 정국에서의 한국 좌파들의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에 대한 이해도는 그리 정교하지도 않았고, 그 필요도(必要度)도 그리 절박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사회주의에 경도하게 된 이유는 민족 해방과 국가 건설에 대한 대안의 부재 때문이었다. 한국 사회에서의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는 그 자체가 추구해야 할 하나의 가치가 아니라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식민지 지배 체제 아래서 하나의 대안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what did the Korean Leftists think of reasons why the late Chosun Dynasty was ruined, and what device did they consider for the liberation and nation-building. It is interesting to point out that the Korean Leftists in the age of liberation were generally historicists who indulged themselves in the Korean history. They thought that there would be answers for their future way to go and they planned construct their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e lesson of history, that made their lives exhausted. The ideological core of the Korean Leftists in the age of liberation was populism. They found some possibilities of the peoples power and reason why they failed in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Donhak Peasant Revolution(1894-95), March 1st Movement(1919), Taegu Riots(1945) and Cheju Rebellion(1948). They tried to find and expected the possibility of peoples revolution, but they could not realize their dreams with premature peoples consciousness under the strict rightist U.S. Military regime. Nationalism and socialism under the colonial rule had intimate affinity, link of which was such symbolical terminologies as "independence" or "liberation." According to the orthodox Marxism, the concept of 'nation" was not important value to the socialists. Therefore their catch-phrase such as 'Workers have no their mother-land" or 'Workers of all countries, unite!" caused many psychological conflicts among the socialists. But the doctrine of the Commintem that "national independence is prior to the class struggle under the imperial regime" and gospel from Kuomintang-Communist collaboration in mainland China persuaded the Korean communists in such conflict to stand on the side of nationalism. The understanding of socialism or communism by the Korean leftists under the Japanese rule was neither elaborate nor imminent. But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socialism on account of the absence of proper device for the liberation and nation-building except them. Communism and socialism in Korean society were not themselves basic value that they had to persue, but an alternative under colonial situation under which they could not fmd any other proper substitute.

      • KCI우수등재

        한국 신탁통치의 연구

        신복룡(Simon Bok-Ryong Shin) 한국정치학회 1994 한국정치학회보 Vol.27 No.2

        (1) 한국 현대사에 있어서의 신탁통치 파동은 분단의 고착화 과정의 중요한 분기점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주로 이와 관련한 미국의 선택(alternatives)과 변화를 다룬 것이다. (2) 미국이 한국의 탁치를 결정하기까지에는 신(新) 윌슨주의자로서의 루즈벨트의 개인적 이상, 필리핀에서의 미국의 경험, 당시 미국의 정가와 재야에 풍미하던 반식민지주의적 여론, 한반도에서의 1국 지배를 저지해야 한다는 안보 전략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3) 미국의 탁치구상에 대해 소련은 ¼의 지분(持分)에 만족할 수 없었으나 공공연한 약속〔카이로선언〕을 파기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반대할 수 없었고, 영국은 한국에 국익이 걸려 있지는 않았지만 대영제국의 붕괴를 의식하여 이를 반대하면서도 미국의 정책을 거스를 수 없는 입장이었고, 중국은 탁치를 반대하면서도 4대강국의 일원이 된다는 명분과 미국에 대한 의존도 때문에 미국의 정책을 따랐다. (4) 당초 루즈벨트에 의해 구상된 한국의 탁치안은 그의 죽음과 정권교체, 냉전의 개막, 원폭실험의 성공에 의한 극동전략의 변경, 그리고 한국인의 격렬한 반탁운동과 더불어 변질되었다. (5) 결론적으로 미국은 한국의 독립과 통일을 지원하거나 서둘러야 할 이유가 없었다. 4대국 탁치안은 처음부터 불가능한 구상이었으며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지혜롭지 못한 선택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