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RQ 시스템에서 LDPC 부호의반복 복호 중단 기법

        신범규,노종선,김상효,신동준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9

        반복적인 신뢰 전파 알고리듬을 low-density parity-check(LDPC) 부호에 적용하는 경우 패리티-검사를 이용한 기존 복호 중단 기법은 높은 signal-to-noise ratio(SNR) 영역에서 반복 복호 수를 줄이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재전송 요청이 빈번한 Hybrid-ARQ(H-ARQ) 시스템에서는 낮은 SNR 영역에 적합한 복호 중단 기법이 없기 때문에 복호에 실패하는 경우 많은 양의 불필요한 반복 복호가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결국 복호에 실패하게 될 LDPC 부호 블록들을 복호 초기 단계에서 발견하기 위하여 신뢰 전파 복호에서 임시 부호어의 신드롬 무게를 이용한 중단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H-ARQ 시스템을 위한 LDPC 복호기에서 구현 복잡도의 증가와 성능의 열화 없이도 연산량을 70-80% 감소시킨다.

      • KCI등재

        신라 중고기 시위부의 활동범위와 주둔지 운용

        신범규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8

        Siwibu(侍衛府) guarded king, court, and royal district ‘Wolseong (月城)’ with a night shift system ‘suk-wi(宿衛)’. Besides, maintaining public order and defense outside of Wolseong were also its duties. This system had already been in the informal royal guard organization before presence of siwibu. In the tenth year (509年) of King Jijeung(智證王), Silla established a market, Dong-si (東市) in the capital and laid snares to eliminate damages from fierce animals. These two events show a common feature that the king controled surrounding areas of royal palace with his authority. Royal guard’s patrol to manage the market and to prevent savage animal attack was transferred to siwibu. Its outside activities were available within li (里) section. Regarding this partition system, China conducted li system (里制) to effectively operate the securities that control capital inhabitants. Silla also had a similar system that siwibu patrolled around the royal district partitioned with li system. In addition to patrols outside the royal palace, siwibu managed their garrison to be used by waiting personnel for shifts. For this reason, Buddhist temples including royal shrines in the capital were used ; Heungryunsa Temple(興輪寺), Yeongheungsa Temple(永興寺), and Yeongmyosa Temple(靈妙寺) to the west ; Cheonjusa Temple(天柱寺) to the north ; Hwangryongsa Temple(皇龍寺) to the east. These temples were situated throughout Gyeongju Basin and their positions were beneficial to protect Wolseong. They also served as transportation hub which also could be used as a military base. Goryeo had same cases that temples were used for military purposes. The role of Buddhist temple grew in importance as the royal palace and royal capital were gradually expanded. 시위부는 숙위를 하면서 왕과 궁정 그리고 왕성인 월성의 警衛를 수행한다. 그런데그 이외에도 월성 바깥에서의 치안 유지와 방어 역시 관장했다. 이러한 모습은 이미 시위부가 설치되기 이전 비공식적인 왕의 경위조직에서부터 나타났다. 지증왕 10년(509) 신라는 왕경에 東市를 설치하고 두 달 뒤에는 함정을 설치해서 맹수의 피해를 없애고자 하였다. 이 두 사건은 왕성 주변을 왕권으로 통제한다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시장의 관리와 맹수를 대비를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왕의 경위조직이 순찰을 시작했으며, 이는 시위부로까지 이어졌다. 시위부의 왕성 밖 활동은 里의 구획 안으로 한정할수 있다. 중국에서는 里制의 시행 이유가 수도의 주민들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통제하여 치안경찰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려 했던 것에 있었다. 이는 신라 역시 마찬가지였으며, 시위부가 里가 구획된 왕성 주변을 순찰하면서 치안을 관장했다. 시위부는 왕성 밖순찰과 더불어 교대를 위한 대기 인원이 활용할 주둔지가 운용되었다. 이를 위해 왕경내 사찰들을 활용하였으며, 서쪽으로는 흥륜사를 비롯하여 영흥사, 영묘사 등 왕실사찰들을 주둔지로 활용하였고, 북쪽으로는 천주사, 동쪽으로는 황룡사가 활용되었다. 이들사찰들은 경주 분지 곳곳에 자리하고 있어 평지에 노출된 월성을 보호하기에 유용하였다. 또한 교통의 요지에 위치한 점 역시 주요 거점으로서 군사적 활용 가능하였다. 이처럼 사찰이 군사적으로 활용된 점은 고려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왕경의 사찰들은 점차궁이 확장되고, 왕경이 발전되면서 그 효용성이 더욱 커져 나갔다.

      • KCI등재

        New Decoding Scheme for LDPC Codes Based on Simple Product Code Structure

        신범규,홍석범,박호성,노종선,신동준 한국통신학회 2015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ol.17 No.4

        In this paper, a new decoding scheme is proposed to improve the error correcting performance of low-density parity-check (LDPC) codes in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region by using post-processing. It behaves as follows: First, a conventional LDPC decoding is applied to received LDPC codewords one by one. Then, we count the number of word errors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decoded codewords. If there is no word error, nothing needs to be done and we can move to the next group of codewords with no delay. Otherwise, we perform a proper post-processing which produces a new soft-valued codeword (thiswill be fully explained in the main body of this paper) and then apply the conventional LDPC decoding to it again to recover the unsuccessfully decoded codewords. For the proposed decoding scheme, we adopt a simple product code structure which contains LDPC codes and simple algebraic codes as its horizontal and vertical codes, respectively. The decoding capability of the proposed decoding scheme is defined and analyzed using the parity-checkmatrices of vertical codes and, especially, the combined-decodability is derived for the case of single parity-check (SPC) codes and Hamming codes used as vertical codes. It is also shown that the proposed decoding scheme achieves much better error correcting capability in high SNR region with little additional decoding complexit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LDPC decoding scheme.

      • KCI등재

        신라 중고기 侍衛府의 역할과 배치 양상

        신범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7

        Siwibu is a military organization that guarded the king, the court, and royal district. Its early system was king's right wing consisting of figures selected by the king and general soldiers such as war veterans, miners, and hunters. The role of siwibu was to maintain public order as they primary tasks were to guard the king, court, and palace in addition to patrol of capital district. The early siwibu operated administratorship including from gam (監) to sain (舍人) and set up daegam (大監) to take charge of military affairs. Siwibu was reorganized in the fifth year of King Jindeok, referring to the Tang's organization. Tang's guard consisted of two groups: bubyeongwisa (府兵衛士) sent by Julchungbu (折衝府) and samwiwisa (三衛衛士) consisting of scions selected from over the fifth grade. Silla which operated golpum system (骨品制) utilized such difference of status to expand siwibu into a four-ranked system such as daegam (大監), daedu (隊頭). hang (項), and jol (卒). Siwibu was positioned throughout Wolsung (月城) to guard the King and the court. Along with daedu and hang, the highest rank, daegam was in charge of watching over Jeongjun (正殿) and Pyeonjun (便殿) of Daegung (大宮) in which the king resided. It is also found that more military officers and soldiers were deployed in the west gate, which was used as the main gate. 侍衛府는 왕과 왕궁, 그리고 왕경까지 警衛하는 군사조직이다. 시위부의 초기형태는 본래 왕의 우익세력으로서 왕이 직접 선발한 인물들과 勇士・狂夫・獵師와 같은 일반병사들로 이루어졌다. 시위부의 역할은 첫째 왕의 경위, 둘째 궁정 및 왕성 보호, 셋째 왕경의 순찰을 통한 치안유지였다. 초기 시위부는 별도의 행정채널 마련을 위해 監-舍人의 형태로 행정관직을 두고 운영을 했으며, 大監을 설치하여 군사업무를 담당하였다. 시위부는 진덕왕 5년에 唐의 경위조직을 참고하여 새롭게 개편되었다. 唐의 경위조직은 절충부에서 번상하는 府兵衛士와 5품 이상관의 자제 중에서 선발하는 三衛衛士, 두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골품제 사회의 신라는 신분적 차이를 활용한 이 방식을 시위부에 도입하여 중간 군관직을 추가 설치하여 大監-隊頭-項-卒 4등 관직체제로 확대 개편했다. 시위부는 평시에 월성 곳곳에 배치가 되어 왕과 왕궁을 경위하였다. 월성의 건물 중 왕이 거처하는 大宮 안의 正殿(朝元殿)과 便殿은 최고위 관직인 대감과 중급군관인 대두, 항이 직접 경위했다. 또한 여러 성문 중에서 정문으로 활용되는 西門에 다른 성문보다 더 많은 군관과 병사가 배치되었음이 확인된다.

      • KCI등재

        6~7세기 新羅 軍律의 운용과 그 양상

        신범규(Shin, Beom-kyu)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新羅의 군율은 율령이 반포되기 이전부터 군사 활동에 관한 형벌과 규제로서 존재했다. 이런 형벌과 규제는 法興王代에 율령이 반포되면서 정리가 이루어졌다. 문헌자료 및 금석문 등의 사료에서 ‘某某法’의 형태로 보이는 점을 볼 때 고유한 법체계를 형성했던 것임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 맞춰 兵部가 신설되는 등 신라의 군율도 정리가 이루어졌다. 이런 고유한 신라의 군율은 眞德王代에 들어서면서 변화를 맞게 된다. 바로 김춘추의 대당청병외교를 통한 나당연합군의 형성 때문이다. 청병의 조건으로 다양한 唐의 제도들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신라는 당의 영향을 상당부분 받게 된다. 특히 나당연합군의 형성은 신라와 당의 군사적 교류의 중심이 되었다. 이로 인해 신라의 군율은 당 군율의 영향을 받게 되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 당의 군율은 『唐律疏議』를 통해 조문이 확인이 되어 그 운용 양상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가 있다. 당 군율은 최고지휘관이 누구냐에 따라 처벌이 다르게 적용된다. 그리고 이는 전쟁에 출전한 장수가 동급이라 하더라도 전쟁의 최고지휘관이 황제가 아닐 경우 군율의 적용이 유해지는 경향이 있다. 신라의 군율도 일반적으로 전시상황에서 군율을 가장 엄격하게 운용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일부 당과는 다른 점이 확인된다. 군인이 謀叛을 했을 경우 支解形, 전쟁 준비를 소홀히 했을 때, 또는 퇴각을 하였을 때 최고형은 斬首形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형벌 중에서는 지해형 또는 貶遷이라는 고유한 처벌이 확인된다. 이렇듯 신라의 군율은 통일전쟁기의 특수한 상황에서 비롯된 연합군 형성으로 당 군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었다. 그러나 일부 신라만의 고유한 군율이 유지되었으며, 적용되는 형벌에 있어서도 다른 점이 확인된다. 즉 완전한 당 군율의 수용이 아닌 신라 고유의 것과 조화되어 운용되었던 것이다. Sillas’s military law existed as punishment and restriction regarding military activities even before Law Codes was promulgated. Such punishment and restrictions were transcribed with the Law Codes promulgation in 520 AD-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Beopheung(法興王). Considering ‘某某法’ was shown in historical sources and epigraph, it can be confirmed that Silla formed their original law system. In addition, Silla’s military law was organized by newly created Byongbu(兵部). Silla’s original military law encountered a change in the reign of King Jindeok(眞德王), as Silla and Tang formed a combined forces. As Silla-Tang combined forces became the center of the military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Silla’s military law was considerably influenced by Tang’s law. Tang’s military law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ommentary of Tang Code(唐律疏議; Kr. Tangryulsoeui). The biggest feature of Tang’s military law was that the punishments differed when emperor was in presence. Regulations tend to be strictly executed when emperor participates in the war. Likewise, in Silla, it seems military regulations were extraordinarily strict as well when King took part in the wa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ang and Silla’s military law. There was chamsuhyeong(斬首形) for Silla’s general who conducted espionage, or retreat. Also, there was Silla’s original laws, such as, jihaehyeong(支解形) and pyeomcheon(貶遷). Because it was an unusual era of unification war, Silla’s military law was easily affected by Tang’s military law. Nevertheless, original Silla’s military law was preserved after the formation of Silla-Tang allied forces, even more, it was newly adapted to Silla’s.

      • KCI등재

        신라 중고기 軍役의 형태와 운영 양상

        신범규(Shin, Beom-ky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30 No.-

        이 글은 신라 군역과 관련한 여러 사례들을 재검토한 후 신라 군역의 형태를 구분하고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隋書』 新羅傳에서 확인되는 신라의 군역 관련 구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軍·烽·戍·邏’가 당시 신라의 군역 형태라는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신라의 군역은 그 역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었다. 먼저 군사조직에 배치되어 전투병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軍이 있다. 다음으로 眞平王代부터 군사 요충지마다 설치된 봉수에 배치되어 군역을 수행하는 형태인 烽, 변경에 있는 赴防에 배치되어 변경을 수비하는 역할을 담당한 戍가 존재했다. 또한 각 지방에 일정한 지역마다 배치되어 巡邏하고, 담당 지역에 변고가 생길 경우 해당 지역에 배당된 役을 대신하는 예비적 역할을 한 邏가 있다. 이는 중국에 간 신라 사신들을 통해 전해져 알려지게 되었다. 각각의 군역은 『삼국사기』를 비롯한 여러 사료에서 다양한 사례가 확인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신라의 군역에는 군사 창고를 담당하여 役을 수행하는 형태, 즉 倉職도 존재하였다. 이는 각 지역에 설치된 군사 창고에 배치되어 군자의 경비와 출납을 담당하였다. 또한 군량, 군자 등을 수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輸役이 존재했다. 輸役은 그 역할의 특성상 대체로 軍을 수행하는 이들과 연계되어 役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신라의 군역들은 병부의 설치와 율령반포를 거치면서 정형화된 운영 양상을 보였다. 군역 대상자들은 징집이 될 경우 병부를 거쳐 해당 군역을 수행했는데, 15세에는 예비자원으로서 자원할 경우 군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복무 기간은 3년 1기였으나 형태별로 특징적인 운영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軍형태 중지방에서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나 비정기적이고, 단발성으로 징집·부과가 된 輸의 경우가 그러하다. 군역은 율령이 반포된 이후 관련 조문에 의거하여 운영되었다. 당시의 군역과 관련된 조문은 6~7세기 단계에는 전국적으로 전파가 이루어져 기준이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illa separated the types of military dut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sentences of the Suseo(隋書, History of Su). According to this analysis, it is interpreted that the forms of military duties in Silla were separated into four types of ‘Goon(軍)’, ‘Bong(烽)’, ‘Su (戍)’, and ‘La(邏)’. The military duties of Silla were divided into various forms based on their types. First of all, soldiers in ‘Goon(軍)’ were combat troops. Secondly, men belonged to ‘Bong(烽)’ were in charge of lighting a signal-fire in case of emergency at every strategic point since the time of King Jinpyeong(眞平王). Thirdly, people in ‘Su(戍)’ were the guards deployed along the border(Bubang 赴防). Lastly, people assigned to ‘La(邏)’ patrolled in the provinces, and sometimes carried out military services on behalf of the people in the disaster-stricken regions. This information became known through Silla’s envoys to China, and various historical records including Samguksagi(三國史記,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n addition, there existed ‘Changjik(倉職)’, people responsible for the munition stores. They were placed in each military warehouse in the provinces, and were in charge of expenses and payments. Also, people in ‘Suyeok(輸役)’ transported military supplies and carried out military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Goon(軍)’. As mentioned above, Silla had many different types of military duties. Each unit was operated in the formalized system under the Ministry of Military(兵部) and the Law Code(律令). Males were conscripted into the army for three years. Boys in the age of 15 could serve for the military duty when they volunteered. Silla operated the military system under the military law after the new legislation was enac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sixth to seventh century.

      • KCI등재

        한국고대 군제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 : 김종수, 한국 고대·중세 군사제도사 (2020)

        신범규(Shin Beomkyu)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7

        본 연구는 『한국 고대·중세 군사제도사』에 대한 비평 논문으로서 그중에서도 한국고대 군사제도를 바라보는 연구서의 시각을 검토하고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고대 군사제도에관한 연구들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과제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본서는 한국고대 군사제도를 중세로 편입하는 시도를 한다. 일반적으로 바라보는 시대구분과는 달리 삼국의 군제가 보다 발전적인모습을 가지고 있었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군제에 관한 사료 분석 방법론을 논하며 부족한 사료안에서도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과 시각을 통해 고대군사제도사의 다양한 논의점들을 분석하여 저자만의 논지를 전개해 나갔다. 본서는 거시적인시각에서 한국 군사제도의 연속성을 탐구했다는 점과 척박한 연구 환경 속에서 군사제도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다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일부 세부적인 한계점들도 확인된다. 앞으로 한국 고대 군사제도 연구자들이 함께 고민해야할 점들을 추슬러 제언해 본다. This study is a critical paper on the 『History of ancient and medieval military systems of Korea』. Among them, the research paper examines the ancient Korean military system. Through this, I suggest th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the research on ancient military systems. This book attempts to incorporate the ancient Korean military system into the Middle Ages. Unlike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the times, it is suggested that period of the Three States had a more advanced appearance. It also discusses the methodology of the analysis of feed on the military system. It presents a way to conduct research even within insufficient fe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various points of discussion in ancient military institutions are analyzed, and the author develops his own argument. This 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the continuity of the military systems of Korea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covered the entire military system in a poor research environment. However, some detailed limitations that result from this are also identified. In the future, researchers of Korea s ancient military systems should think about things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