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전 바닥재용 푸레도판 제조에 관한 연구

        신라,장영필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2

        인류의 삶과 함께 한 소금의 역사는 그 시대의 경제, 정치, 사회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소금의 발견은 인간이 출현한 이후 기원전 6000년 중국 원정 호에서 소금 채취를 시작1)하여 인간의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생존과 식량보관에 사용해 왔던 생활필수품 이였으며 권력을 상징이었다. 또한 소금은 단순한 염분이 아니라 생명을 조화시키는 물질로 소금을 먹지 않으면 살 수가 없다. 우리 식생활과 건강에 좋은 소금을 생산하는 일야야말로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좋은 소금은 미네랄 함량이 월등히 높은 천일염이다. 햇빛과바람이 익혀 주는 결정체 천일염은 생산에서 결정이 맺히기 까지 10~20일 걸린다. 이 소금을약 1년간 간수를 빼면 염도 84~86도에 이르는 천일염2)이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의 대표 발효식품은 소금에 절여 만든 김치, 젓갈, 된장, 고추장, 간장은 천일염을 섞어 만든다. 따라서 한국인들에게는 어떠한 소금을 쓰느냐에 따라 음식 맛도 다르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다. 최근 전남보건환경연구원은“천일염에는 각종 미네랄이 함량이 높다고” 발표하였다.3) 그러나1950년대 전후로 산림보호를 위한 벌목금지정책으로 인해 국내 염전이었던 토지공간은 대부분 사라지고 상황을 맞게 되어 천일염은 완전히 폐지되어 소금의 민영화되기에 이르렀다. 1971년부터는 소금생산의 중단과 함께 철거되어 토지이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소금생산의 경우 1950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해수를 가마솥에 넣어 화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갯벌 흙 위에서 햇빛에 의한 해수의 증발과정을 통해 얻는 해염(海鹽)이 주를 이루었다. 가마솥에서 직접 화력을 이용하거나 농축된 함수(咸水)를 가열 하여 만드는 천일염(sundried salt)은토판 염에서 생산 되며 바닷물, 바람, 햇빛이 좋은날 갯벌 위에서 바로 걷는 소금으로 미네랄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은 작업이 까다롭고 불순물이 많아 문제가 야기되고있다. 또 요즘은 시공이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판을 까는 것이 대부분이인 염전의 문제점이다. 뜨거운 여름 햇볕 아래 수십도 까지 올라가는 온도로 수온을 감안할 때 유해한 성분이 방출된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염전 바닥재용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장판 대신에 친환경바닥재인 세라믹 바닥재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는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바닥재는 타일은 일반 건축용의 타일로 표면이 미끄러워 재염 과정에서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문제가 된다. 또한, 타일은 단단한 일반 건축물과 달리 무른 갯벌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에 충격에 취약하여 잘 깨지는 문제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중금속 함량에 대한 규제가심하지 않은 건축용이므로 염전 바닥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중금속이 용출되어 소금에 혼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의 염전 바닥재용 도판의 주원료의 특징은 맥반석과 황토를 포함하여 형성되므로 중금속과 같은 오염 물질의 용출이 최소화되어 품질 좋은 천일염을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표면이 검은색을 띄게 되므로 햇빛 흡수량이 증가되어천일염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재질이 소성되어 형성되므로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증가되어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고 생산성이 증가되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주원료는 황토와 맥반석, 펄프와 벤토나이트 및 납... The history of salt which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life of man kind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of the relevant era. After man first appeared, salt was discovered when it was first collected in Wonjeong Lake in China aro4)und 6,000 B.C. It served as a daily necessity used to store food and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mankind and was symbolic of power and authority. Salt was not only saline but also a substance that brought harmony to life as man could not live without consuming salt.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alt that is good for our dietary life and health is what is necessary to live a good life. High quality salt includes sun-dried salt that has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mineral content. The crystalized, sun-dried salt produced by the sunlight and winds takes about 10 to 20 days from start of production until the formation of the crystals. After the salty water is extracted from the salt for about 1 year, sun-dried salt with salinity level of about is produced. Korea’s main fermented foods such as salted down kimchi, salted seafood, fermented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soy sauce are made by mixing it with sun-dried salt. As a result, for Koreans, the taste of food is and effects on health differs depending upon what type of salt was used to make the food. Recently, the Jeolla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announced that “there was a high content level of various minerals in sun-dried salt.” However, due to the policies prohibiting logging for forest conservancy around the 1950s, lands that were used as salt pans mostly disappeared and, due to such circumstances, production of sun-dried salt was completely discontinued and led to the privatization of salt production. Starting from 1971, salt pans were demolished with the discontinuation of salt production and led to changes in the use of the land. Up until just the early 1950s in Korea, salt was mainly produced by obtaining sea salt through the process of vaporizing sea water with sunlight shining down on the mud flat or with the use of fire power by boiling sea water in a cauldron. Sun-dried salt produced by directly using fire on a cauldron filled with sea water or by heating up condensed salt water was made on clay tablets made with mud from mud flats and it is known to be abundant with mineral content as salt that is directly collected from the mud flats on a nice day with sea water, winds and sunlight. Now, there are many issues that arise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es for salt production and impurities found in the salt. Nowadays, the issue also arises from salt pans that mostly use flooring that is cheap and easy to build. When considering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up to tens of degrees under the hot, summer sunlight, the flooring releases harmful substances. To resolve the cause why the use of eco-friendly ceramic flooring in substitution for flooring that was previously used for salt pans is recently being reviewed, ceramic flooring uses tiles that are generally used in construction which have a slippery surface and causes workers to slip and fall during resalinization. Furthermore, when tiles are installed on the floors of soft mud flats, unlike typical buildings with firm and solid structures, they tend to easily break as they are weak against impact. The biggest issue was that the tiles were made for construction which is not severly restricted with respect to content of heavy metals. Thus, when they are used as flooring for salt pans, it can be a problem as heavy metals can be released and mixed with the sa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raw materials for the plates used as flooring for salt pans in this study are produced by including elvan and red clay. Therefore, it has a beneficial effect in helping produce high quality sun-dried salt by minimizing the release of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As the color of its surface is black, it increas...

      • 미용서비스구성원의 문화예술적 경험에 따른 창의성과 업무성과의 관계

        신라,오수연 국제보건미용학회 2019 국제보건미용학회 학술컨퍼런스 Vol.2019 No.11

        최근 기업경영과 문화예술의 접목은 사회적 공헌 측면 뿐 아니라 고객유지, 기업인지도 상승의 시장경쟁력 강화, 고객의 충성도, 구매의도 등의 강화와 더 나아가 기업 내향적인 측면에서도 조 직구성원들의 논리적 문제 해결 과정을 기획하는 사고력과 개인의 역량으로 남들이 보지 못하는 새로운 방안을 기획하는 창의성을 증진시켜 문화예술을 통해 기업의 잠재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 하려는 전략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창의적 인재가 중요한 자본인 미용서비스산업은 기 업의 사활을 결정하는 창의성의 발현 동기를 문화예술과 접목시켜 조직구성원의 창의성 개발의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경쟁업체보다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의 이미지 제고, 고객과 의 접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창의적인 조직 구성원을 확보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산업 구성원의 문화예술적 경험에 따른 창의성과 업무성과를 알아 보기 위해 2018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미용서비스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하여 755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SPSS 21.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특정도구는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의 검정을 위해 단순 회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미용서비스산업 구성원의 창의성과 업무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결과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 = .400 p<.001), 미용서비스산업의 분야별 창의성과 문화예술적 경험의 정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창의성의 차이는 헤어분야, 네일 및 메이크업분야, 피부분야 순으로 나타났고(F=13.218, p<.001), 문화예술적 경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네일 및 메이크업분야, 헤어분야, 피부분야 순으로 나타났다(F=5.903, p<.01). 상대적으로 창의성과 예술 적 표현력의 활용정도가 높은 분야인 헤어분야, 네일 및 메이크업분야가 피부분야보다 창의성 및 문화예술적 경험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업무성과는 창의성(r = .400, p<.01), 문화예술적 경험(r = .309, p<.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직종별 창의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 문화예술적 경험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미용서비스산업 구성 원은 창의성과 문화예술적 경험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창의성(β = .328, p<.001)과 문화예술 적 경험(β = .150, p<.001)은 업무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창의성의 계수가 여전 히 유의미하기 때문에(β = .328, p<.01) 문화예술적 경험은 창의성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부분야는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외의 분야에 근무 하는 구성원의 창의성은 문화예술적 경험을 통하여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체에 직접적인 예술적 구성과 감성적 색채를 발현시키는 헤어분야와 네 일 및 메이크업분야는 구성원의 예술적 경험과 성향에 의해서 완성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만족으로 경영성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도태칠기 이해와 현대적 활용연구

        신라 한국도자학회 2018 한국도자학연구 Vol.15 No.2

        기원전부터 존재했지만 후대로 전해지지 못하고 명맥이 끊긴 까닭에 도태칠기에 관한 학계와 대중의 관심은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도태칠기는 전문가 집단의 부재로 인해 연구와 교육, 계승의 맥이 끊어진 상태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칠공예 범주의 하나쯤으로만 인식되어 왔고, 역사적·문헌적 연구 자료는 거의 발굴되지 못하였다. 도태칠기와 관련된 유적 또한발굴된 것이 소수이고, 그마저도 단편적인 것들이 주를 이루어 역사적 발달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학계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중에게 도태칠기는 그 존재에 대한 인식이 희박하며 용어조차 생소한 것이 되었다. 그렇게 죽은 역사가 되어 영영 사라질 것 같았던 도태칠기는 오늘날 도예가들을 중심으로재조명되기 시작하면서 생명력을 되찾기 시작하였다. 도예가들이 도태칠기에 주목하게 된 데는 현대 예술 사조의 영향이 크다. 제2차 세계대전은 사회적 불안과 심리적 상처를 남겼고, 이 가운데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촉발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무엇보다도예술계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현대 도예는 195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는데 기존의 도자 개념을 거부하는 완전히 새로운 시도들이 일어났다.1) 한국에서는 실험적이고 개성을 중시하는 도전들이 1970년대에 도예에서 이루어지면서 현대 도예의 포문을 열었다. 기존의도예 기법을 뛰어넘을 새로운 기법을 고안하는 과정에서 예술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통합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현대적 재료와 전통적 재료의 통합이 그 단적인 예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도기와 칠이라는 두 가지 전통적 재료를 현대적으로 새롭게 재해석하여 다양한 대상에 접목하려는 시도가 도태칠기의 현대적 변용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현대의 도태칠기는전통적인 도태칠기와는 그 궤를 달리한다. 전통적인 도태칠기에서 도기의 존재감은 칠의 존재감에 완전히 가려졌다. 이는 전통적인 도태칠기가 칠이라는 역할에 치중되어 밑바탕이 되는원재료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현대의 도태칠기에서는 도기와 칠의 상하관계가 파괴된다. 현대 도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상대주의, 다원성과 같은 시대정신을반영하는데, 이는 여러 가지 재료에 대한 재해석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수평적인 관점에서의 융합을 촉진한다. 동양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하면 ‘공생, 공존, 공감’과도 같은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2) 따라서 현대 도예에 입각한 도태칠기는 칠과 도기(흙)라는 재료가 상하관계가 아닌 평등한 관계로 융합을 시도하여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태칠기의현대적 변용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 이는 전통을 살리는 일이면서 동시에 현대도예를 발전시키는 일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태칠기의 현대적 변용이란 단순히과거의 모습을 현대에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위해 예술가들은 도태칠기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고양할 필요가 있으며 대중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태칠기는 절멸의 위기를 경험한 한국 고유의 문화이다. 현대에 와서다시금 재조명되는 만큼 예술가를 중심으로 대중들의 이해를 돕는다면 도태칠기 문화 발전과소비를 촉진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Though having been present since Before Christ, the interest on pottery lacquer ware from both the academic world and the public has been very insignificant, as its culture failed to be imparted to the future generations. Due to the absence of any professional group, the research, education and succession of pottery lacquer ware have especially put into a halt. In the research point of view, pottery lacquer ware has been conceived as no more than merely a field of lacquer crafts, and there is almost no historical and/or literary research data to have been excavated. The remains in relation with pottery lacquer ware is also in small numbers, and even those amount to nothing more than fragmentary ones, resulting in the difficulty to fully understand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Such lack of information in the academic world has led to the public almost unknown to the presence of pottery lacquer ware itself; even the term has become something somewhat unfamiliar. The culture of pottery lacquer ware that once seemed to be disappearing forever into the “dead” history, has currently been gaining a new life, as a new light has been cast on the area, with the potters as the front runners. The influence of Modern Art History played an enormous role in making the potters place their focus on pottery lacquer ware. Historically, World War Ⅱ has left the people with social insecurity as well as psychological wound, thus triggering the atmosphere of pursuing the mental freedom. This flow was shown most prominently in the art world. Among all the trials, modern pottery especially started itself in the 1950s of the United States, during which entirely new attempts were made to reject the existent concepts of pottery of the time.3) As of Korea, experimental and personality-oriented challenges were held in the 1970s, opening the door to modern pottery. In the course of devising new techniques to excel the existing pottery techniques, there became a phenomenon where the art materials were integrated; the integration of modern and traditional materials can be suggested as a simple example. In this flow, the attempt to reinterpret the two traditional materials of pottery and lacquer in a modern way and to apply them to diverse objects has become a modern transformation of pottery lacquer ware. Modern pottery lacquer ware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pottery lacquer ware in its way. In the traditional pottery lacquer ware, the presence of pottery itself was entirely covered by the presence of lacquer. This was because the traditional pottery lacquer ware was emphasized more on the role of “lacquer”, not giving enough focus on the material. On the other hand, in the modern pottery lacquer ware, there exists no particular top-down relationship between pottery and paint. Modern pottery reflects the spirit of post-modernism, such as relativism and pluralism, which not only causes reinterpretation of various materials but also promotes convergence in a horizontal perspective. To reinterpret this in an oriental point of view, this can also be seen as the concept of “Symbiosis, Coexistence, or Sympathy”.4) As such, the pottery lacquer ware based on the modern style of pottery achieves its harmony, as materials of lacquer and pottery(earth) attempts convergence, not in a top-bottom relationship, but in an equal one.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ary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and continuation of modern transformation of pottery lacquer wa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pottery lacquer ware is not merely to reproduce the past in modern times, but to reinterpret it in a modern way and open up new horizons of Korean pottery. To this end, artists would need to further enhance their expertise in pottery lacquer ware, and the public must be promoted on an ongoing basis. Pottery lacquer ware is a unique culture of Korea that has experienced a crisis of extinction. As it has been coming back to mo...

      • KCI등재후보

        도태칠기(陶胎漆器)를 위한 소지 개발에 관한 연구

        신라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Ceramics, depending on main ingredients and plasticity temperature, are classified into earthenware and porcelain. Earthenware, made mainly of potter's clay, and made in comparatively low temperature (600℃~1,200℃), contains many pores on the surface, is highly absorbent, and, if the surface is coated, coated material is not easily exfoliated. But, porcelain is made of Kaolin which is sand soil or clay like white porcelain soil. Since porcelain is baked at high temperature like 1,250℃ or above, there is no pore on the surface, and it is difficult to draw patterns using lacquer. In addition, since lacquer on its surface does not penetrate into its inside, lacquer does not adhere strongly, and easily fall off. Consequently, this study deals with the method of engr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using lacquer on the surface of porcelain. Dotaechilgi (陶胎漆器), or ceramic coated with lacquer, is made with a technique of finishing ceramic by applying lacquer on its surface. The technique started to be used from the third century B.C. to increase durability and waterproofness of soft wares. But, in modern age, the technique is getting attention again as means of decorating ceramic surface. Lacquer is in general used for woodware, and the technique of coating lacquer varies depending on materials on which lacquer is applied like metal, paper, leather, and glass, etc. But, there have not been many researches on Dotaechil, or the technique of applying lacquer on ceramic. Thus, the technique of applying lacquer on the surface of ceramic and ceramic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eramic material suitable for applying lacquer, and to increase adhesive power of lacquer on ceramic surface, and to reveal the attributes of each material. By add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newsprint pulp, coffee powder, sawdust, and alumina, etc. in white porcelain soil, I made porous ceramic material, and proved its effects by scientific analysis. Experiments showed that when various additives are mixed to white porcelain soil, porcelain surface gets rough and porous, and lacquer sticks firmly to its surface like glaze. It was proved that this method is suitable to solve the problem of exfoliation. 도자기(陶瓷器)는 사용되는 주재료와 소성 온도에 따라 도기(陶器)와 자기(磁器)로 분류된다. 도토를 주재료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범위(600℃~1,200℃)에서 소성되는 도기는 강도는 낮은 반면, 표면에 기공이 많아 흡수성이 높고 표면에 칠을 하는 경우 박리 정도가 약하다. 그러나 자기는 사토인 고령토, 또는 백자토와 같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1,25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됨으로 도기와 비교하여 표면에 기공이 존재하지 않아 옻(漆)을 사용하여 문양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옻칠은 자기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흡수되지 못하여 부착력이 낮아 벗겨지는 등 내구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기의 표면에 옻칠을 이용해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넣는 자기 제조 방법을 다룬다. 도태칠기(陶胎漆器)는 도자표면에 옻액을 칠하여 마감하는 기법으로 기원전 3세기경 시작되어 연질그릇의 내구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 기능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 이르러 도자 장식표현의 수단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옻은 주로 목기에 사용되며 금속, 종이, 가죽, 유리 등 소재의 성질에 따라 칠(漆)하는 기법이 다르다. 그러나 도태칠은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자표면에 칠하는 기법과 소지 개발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옻칠에 적합한 도자 소지를 개발하여 도자 표면에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각 재료의 속성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신문지 펄프, 커피 분말, 톱밥 분말, 알루미나를 백자 소지에 첨가하여 다공성 소지를 제작하고 과학적 분석을 통해 증명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첨가 소지를 사용하면 자기 소지의 표면 거칠기가 커지고 기공을 다량 형성하게 되어 자기 기면에 칠해지는 옻칠이 유약과 같은 강한 밀착력을 부여한다. 이 때문에 옻칠의 부착력이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칠의 박리현상을 해소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