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존 니치의 정당성과 신규 니치 탐색 - 정당성 관점에서 본 한국 시스템통합 기업의 니치변화 전략, 2000~2005

        신동엽(Dongyoub Shin),정기원(Kiwon Jung),김선혁(Sunhyuk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을 다른 조직들의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회적 행위자로 간주하는 신제도이론적 관점에서 조직생태학의 이슈인 니치변화를 설명하고, 이를 한국 시스템통합 기업들의 신규 니치 탐색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다. 즉 본 연구는 조직이 불확실성이 높은 의사결정을 할 때 주변 조직들의 선택에서 어떤 옵션이 정당성을 가지는가에 대한 인지를 하고 이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는 신제도이론의 관점을 신규 니치 탐색행동의 설명에 적용하여, 조직이 새로운 니치를 탐색하는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기존 니치에 속해 있는 다른 조직들의 행동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들이 기존 니치의 정당성이 심각하게 저하되었다고 인식할 때 새로운 니치를 탐색할 것이라고 전제하고, 기존 니치의 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니치 내 다른 조직들의 행동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기존 니치 내 가시성이 높은 선도기업들의 존재는 그 니치의 정당성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결과적으로 새로운 니치에 대한 탐색을 줄이게 될 것이고, 반대로 다른 조직들이 기존 니치를 이탈하는 밴드웨곤(bandwagon) 행동은 그 니치의 정당성을 저하시켜 새로운 니치 탐색을 촉진시키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조직들의 니치 이탈에 의한 기존 니치의 정당성 저하가 신규 니치 탐색에 미치는 영향력은 각 기업의 조직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보고, 조직 규모와 제휴여부라는 두 가지 변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우리나라 시스템통합 기업들의 신규 니치 탐색활동에 대한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들이 모두 지지되었다.   Recently,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dynamics of niche changes in which firms explore new niches beyond existing ones from a neo-institutional perspective that views organizations as social actors. We empirically test our argument about new niche exploration with a panel data-set of all Korean systems integration firms, 2000~2005. Most existing studies on the exploration of a new niche in the literatures of organization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hav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niche, such as profitability or expected growth rate. As a consequence, the main purpose of those existing studies was to predict which new niches firms would enter.<BR>  Unlike those existing studies, the current paper is interested in explaining when a firm would enter new niches, rather than staying within its existing niches. In other words, we are primarily interested not in which new niches a firm enters, but in from which existing niches it explores out. We suggest that in order to explain the dynamics of niche changes by a firm, the characteristics of its existing niches, rather than those of new target niches, should be the central focus of inquiry.<BR>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f organizational niches, niche changes at the organization level have received scant attention in the organizational ecology literature which has focused mainly on the effects of niche characteristics on founding or mortality rates. Organizational ecology assumes that organizations are unable to successfully implement radical organizational changes, since they are subject to forces of structural inertia. Furthermore, most existing studies in the organizational ecology literature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strategic action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 level, since their main unit of analysis is organizational population.<BR>  Also recent ecological studies regarding niche changes so far have focused mostly on examining consequences of niche changes, rather than antecedents. That is, although the niche of an organization is a consequence of dynamic strategic actions by the organization, the conditions and motivations that induce the organization to implement such strategic actions have received scant attention in the organizational ecology literature. In contrast, this study underlines the dynamic aspects of an organizational actor by relaxing the assumption of structural inertia and by focusing on antecedents of organization-level niche changes.<B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a niche ar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other firms operating in it, the explanation of a firm’s exploration out of the existing niche requires the ecological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focal firm and other firms operating within its existing niche. Unlike most ecological studies that treat an organization as a passive and inertial actor which is selected out whe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its existing niches worsen, we view an organization as a strategic and flexible actor which proactively explores new niches beyond the boundary of its existing niches, rather than passively staying to get disbanded in the worsened niches. Thu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whether, when,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niches affect the exploration of new niches by firms.<BR>  Since radical organizational change, such as niche change, incurs serious risks, if the carrying capacity of their existing niches is large enough to support the continued growth of organizations, firms would pursue growth within the boundaries of existing niches, rather than exploring out of them. Therefo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firm will explore new niches when its existing niches are expected to be deteriorating, we predict that the exploration of new niches by a firm will be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perceived legitimacy of its existing niches. While the concept of legitim

      • KCI등재

        프랙티스 관점 전략이론(Strategy As Practice)의 전망과 과제: 전략연구에서 경제학기반 방법론적 개인주의의 극복가능성을 찾아서

        신동엽(Dongyoub Shin),정기원(Kiwon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4

        이 논문은 기존 전략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잠재력이 큰 새로운 이론인 프랙티스 관점 전략의 핵심 논지와 가능성, 과제, 그리고 한국 매니지먼트학계에 대한 시사점을 토론한다. 프랙티스는 1970년대 이래 사회철학과 사회학, 인류학, 정치학, 인지심리학등 다양한 사회이론들의 중심이 되어온 이론적 개념으로서 반복 발생하는 행위패턴을 뜻하는데 행위자들이 그 프랙티스를 실제로 수행하는 구체적 상황과 과정에 따라 그의미와 결과가 달라지는 상황화된 행위를 말한다. 프랙티스 개념을 중심으로 전략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설명하는 프랙티스 관점 전략이론은 유럽 경영학계를 중심으로 10여년 전에 형성되었고 현재는 글로벌 전략학계의 가장 중요한 새로운 동향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새로운 전략이론은 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각 상황마다 조직이나 사회적 프랙티스 들에 의해 가능해지거나 제약받고 혹은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는지를 설명하며, 동시에 이런 상황화된 행위들이 어떻게 조직이나 사회적 프랙티스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시키며 또는 새로운 프랙티스를 생성하는지를 설명한다. 프랙티스 관점 전략은 그 이론적 기반을 기존 주류 전략이론에서 헤게모니를 행사해온 경제학적 관점의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넘어서 최근 다양한 사회이론 분야들에 걸쳐 폭넓고 깊은 영향을 미쳐온 프랙티스에 두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발전여부에 따라 전략분야를 넘어서 매니지먼트 분야와 경영학 전체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프랙티스 관점 전략은 높은 이론과 개념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메타이론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글로벌 학문공동체 수준에서의 공통의 언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사회나 역사적 전통의 특수성을 이론형성에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서 한국적 경영이론을 찾고 있는 한국 매니지먼트학계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reviews and discusses the central arguments, possibilities, challenges, and implications of “Strategy As Practice” (SAP), which is a theoretical innovation developed mainly by the groups of European management scholars. “Practice,” which has served as a key theoretical concept in the fields of social philosophy, sociology, anthropology, political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refers to recurrent patterns of actions that have differing natures and consequences depending on concrete situational contexts. SAP inquires how strategic actions are enabled, constrained, interpreted, and varied by social practices surrounding strategic actors, and also how these situated strategic actions reshape those social practices. Since SAP draws upon diverse social theories beyond the narrow perspective of economics-based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which has been the foundation of existing strategy theories, it has potential to make radical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strategy and management stud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lexibility of practice perspective, SAP is expected to contribute enormously to the development of K-management theories by enabling both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in theorizing.

      • KCI등재

        한국의 거시조직 및 전략경영 연구 현황:한국형 거시조직 및 전략경영 이론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신동엽(Dongyoub Shin),김영규(Young Kyu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한국형 경영방식’의 고유한 특징을 학문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독창적‘한국형 경영이론’의 정립을 위한 선행 작업이 그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 선행 작업으로서 한국 기업의 경영에 대한 기존 거시조직과 전략경영 연구들에서 사용되어온 이론들의 현황과 설명력, 그리고 그 한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경영 학계의 대표적 학술지인 인사조직연구, 경영학연구, 전략경영연구의 해당 논문들을 전수 수집하여 배경이론, 독립변수, 종속변수, 실증데이터 등 다양한 기준에서 기존 연구들의 현황과 추세, 그 설명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업들의 경영에 대한 기존 거시조직 및 전략경영 연구들은 특정 이론패러다임에 초점을 맞추어 그 설명력을 검증하는 패러다임중심 연구 보다는 특정 문제와 현상의 설명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이론들을 개방적으로 활용하는 문제중심 연구에, 그리고 방법론적으로 질적 연구 보다는 계량적 연구에 치중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존 연구들에서 활용된 이론적 배경에 있어서 한국형 경영의 고유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독창적 이론이나 개념, 변수, 관점의 개발 노력은 많지 않았고 구미 선진학계에서 개발된 이론들을 한국 데이터에 차용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런 기존 구미 이론들은 한국형 경영방식의 성과 보다는 의사결정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발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독창적인 한국형 경영이론 패러다임을 개발하기 위한 앞으로의 전략적 방향들을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and limits to the theories on organization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utilized in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Korean management (K-Management) practices, an essential prerequisite task in the development of a unique new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effectively explain the idiosyncratic features of K-Management. Focusing on the macro level of management theory, which includes organization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we systematically analyzed every research paper published in three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in terms of theoretical backgroun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empirical context, and methodology in order to examine the ability of these studies to explain Korean management pract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analysis, previous studies of Korean management practices were more problem-centered than paradigm-centered and were biased toward quantitative methodologies at the expense of qualitative ones. In terms of theoretical background, existing organization theory and strategic management studies in Korea have tended to borrow heavily from state-of-the-art theories originally developed in U.S. academia, without making much effort to develop new theories, variables, concepts, and perspectives. Moreover, we found that when US-derived theories were applied to a Korean context, they explained the decisions made by Korean organizations better than they explained performance. Future directions and specific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unique new theories about K-Management are discussed.

      • 거시 조직이론의 필드 구조

        신동엽(Dongyoub Shin),이상묵(Sangmook Yi)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07 연세경영연구 Vol.44 No.2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며 거시 조직이론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자원 의존이론, 조직경제학, 신제도이론, 조직생태학 등 네 가지 거시 조직이론 패러다임들의 핵심 논지를 소개하고, 그 함의와 한계를 토론한다. 조직이론은 경영학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분야들 중에서도 가장 학제적이고, 다양하며, 깊이있고 역동적인 분야로 평가된다. 20여 년간 조직이론 필드를 주도하던 상황이론의 쇠락과 함께 1970년대 중반 경에 거의 동시에 출현하여 현재까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조직이론 패러다임에는 자원의존이론, 조직경제학, 신제도이론, 조직생태학, 네트워크이론, 조직학습이론, 느슨한 커플링과 쓰레기통이론 등이 있으나, 그 중에서 본 논분에서는 거시 조직이론의 전형적 접근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 패러다임인 자원의존이론, 조직경제학, 신제도이론, 조직생태학등 네 가지 이론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본 논문은 21세기 초인 현재 시점에서 거시 조직이론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네 가지 이론 패러다임들을 소개하고 토론함으로써 조직이론이라는 매우 역동적이고 다원적인 학문필드의 구조와 발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following four theoretical paradigms that have led the development of macro organization theory in terms of their key argum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resource dependence theory, economics of organization, neo-institutional theory, and organizational ecology. Organization theory is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iverse, inter-disciplinary, dynamic, and theoretically profound fields that constitute the field of management. With the decline of contingency theory that had dominated the field of organization theory for the previous two decades, multiple organization theory paradigms emerged almost simultaneously about the mid 1970s, such as resource dependence theory, economics of organization, neo-institutional theory, organizational ecology, network theory,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loose coupling theory, and garbage can theory. Among them, the current paper focuses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economics of organization, neoinstitutional theory, and organizational ecology, all of which are regarded to represent the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of macro organization theory. In so doing, the current paper aims to aid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organization theory field which is highly dynamic and pluralistic.

      • Beyond Communitarian Cause : Resource Competition and Inter-Project Performance Variation in Open Source Movements

        신동엽(Dongyoub Shin),이상묵(Sangmook Yi),정의교 한국인사조직학회 200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1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of variation in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in open source projects. In open source movements (OSM), programmers around the world voluntarily contribute their technological competencies to the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free software without explicit expectation of economic return. To explain inter-project variation in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dynamics of resource competition in OSM projects, each requiring the scarce resources of technological competencies possessed by programmers. Based on the presumption that the performance of each project will be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its technological niche is advantageous in resource attraction, the current study identifies three key dimensions of niches ? resource popularity, resource standardization, and resource co-attachment ? and tests their effects on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provide strong support for our framework. While resource popularity turned out to have an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with the mobilization of participants, resource standardiz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resource co-attachment, the extent to which different technologies are attached to the same programmers,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 KCI등재

        유리천장으로서의 열망수준: 한국 여성들의 경력 열망수준의 원인에 대한 연구

        신동엽(Shin, Dongyoub),김선혁(Kim, Sunhyuk),정기원(Jung, Kiw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여성들의 경력 열망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낮은 경력 열망수준이 경력 상승의 유리천장 역할을 하는 조건에 대해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낮은 열망수준이 타인들에 의해 외부적으로 주입되어 형성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여성들 스스로가 내재화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한국의 여성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여성들의 미래 경력 목표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자신이 근무하는 조직에 여성 임원으로 활동하는 역할 모델의 수와 여성들의 여성으로서의 효능감은 여성의 높은 경력 목표설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도화된 남녀간 역할 구조를 내면화한 정도와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의 내면화 정도는 여성의 높은 경력 목표설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으 로서의 효능감과 경력 열망수준 간 정의 관계가 여성의 나이에 따라 약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womenʼs aspiration levels for their career advancement, on the premise that a low career aspiration level may work as a glass ceiling imposed not externally by others, but internally by women themselves. According to our empirical study, which used a dataset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female employees at Korean companies, the likelihood that a woman will develop an aspiration level to become an executive was shown to be affected positively by the number of female executive role models at her organization and by her belief in female gender efficacy, whereas it was found to be influenced negatively by her internalization of the institutionalized inter-gender role structure that assumes male supremacy and also by her internalization of anti-women stereotypes. We also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 level decreased with age.

      • KCI등재

        21세기 창조사회와 문화예술 분야 연구

        신동엽(Dongyoub, Shin),김선혁(Sunhyuk,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3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과학의 여러 분과 학문들에서 새로운 연구 분야로 각광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 전반으로도 폭 넓은 관심을 끌고 있는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연구가 상시 창조적 혁신이 강조되는 21세기 창조사회의 인사조직 분야 연구에 중요한 미래 발전 방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화산업 개념의 확산과 함께 학계와 실무 업계에서 공히 최근 급속하게 증가해온 문화예술과 경영의 만남은 기존 경영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 분야를 바라보는 접근이 주가 되어왔는데, 문화예술 분야의 규모 성장과 효율성 증대, 그리고 문화예술의 혜택을 누릴수 있는 소비자층의 확대 등에서 실제로 다양한 기여를 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런 일방향적 접근은 문화산업논리가 제시하듯이 문화예술 분야를 다른 산업들과 동일한 경제적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천적으로는 문화 산출물의 다양성 감소, 단기 성과주의로 인한 장기적 문화예술 발전의 좌절, 그리고 경제적 가치로 평가할 수 없는 문화예술만의 내재적 가치의 생산과 확산에서 시장실패 등 심각한 부작용도 낳았을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문화예술 분야만의 특수성에 대한 경시로 인해 그 핵심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설명하지 못할 뿐 아니라,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근본적 접근을 통해 얻을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학문적 지식과 통찰력 획득의 기회도 충분히 살리지 못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인사조직 분야를 비롯한 전체 경영학과 문화예술 분야간 바람직한 만남은 반드시 양측이 서로에게 새로운 지식과 통찰력을 제시하면서 공동으로 발전해나가는 상호충실화적 접근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또 문화예술분야의 본질적 특성을 고려할 때 환경의 불확실성과 역동성이 높은 상황, 경쟁과 성과창출이 창조적 혁신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상황,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조직과 조직화가 필요한 상황에 관한 인사조직 분야 연구에 문화예술 분야가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 분야에 관한 다섯 가지 대표적인 인사조직연구 주제들을 고찰하는데, 첫째, 문화예술 분야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에서 상업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간 갈등을 다루는것, 둘째,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창조적 혁신의 원천과 과정을 연구하는 것, 셋째, 프로젝트기반 임시 조직화가 일반적인 문화예술 분야의 독특한 조직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근 다른 산업들에서 확산되고 있는 프로젝트 조직에 대해 이해하는 것, 넷째, 필드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원과 역량들을 역동적으로 연결해서 문화 산출물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문화예술 분야의 구조를 네트워크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 그리고 다섯째, 일반적 상품의 성과지표로 평가하기 힘든 문화예술 산출물의 성과 문제에 대한 전략경영적 연구와 조직생태학적 관점에서 정체성이 문화예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 등이다. 결론에서 본 논문은 문화예술 분야와 인사조직 분야의 바람직한 만남을 통해 추진될 필요가 있는 미래 연구 방향으로 첫째, 개별 예술가나 조직, 산업 등 전통적 연구 분석단위를 넘어서서 보다 거시적으로 전체 조직군이나 조직필드, 그리고 조직집합 수준에서의 연구와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들간 상호작용과 관계구조를 다루는 공동체 생태학적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재즈의 즉흥연주 방식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조직화 형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듯이 인사조직과 상관없는 문화예술의 핵심적 요소인 문화예술 산출물 자체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예술이론과 미학적 관점의 접근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인사조직 이론과 관점을 도출하는 것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 분야와 같은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단순한 수평적 확장만으로는 인사조직 분야의 근본적 발전이 어려우며 새로운 현상의 이해와 설명에 걸 맞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 이론, 그리고 세계관의 공동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rts and culture field that is attracting growing interest from various social science disciplines can also serve as a promising new area of future management studies. In the 21<sup>st</sup>century,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e high value and importance given to creative innovation by most industries and sectors. The recent application of conventional management theories to the management of cultural industry organizations has made significant bottom-line contributions to the industry as a whole, such as volume growth, efficiency increase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sumer base. However, this unilateral application of a managerial perspective has also produced various negative by-products, since the existing managerial approach regards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simply as another type of market; driven by economic efficiency and motivated by self-interest. Negative by-products include the reduction of diversity incultural outputs, a focus on short-term returns at the cost of long-term artistic values, and market failure to produce and distribute thos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that cannot be easily evaluated in terms of economic value. Furthermore, the unilateral application of managerial perspectives has resulted in the belittlement of the arts and cultural field’s idiosyncratic characteristics and the loss of opportunities to learn from this distinctive field.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rue cross-pollination between the arts and culture field and management studies is where both of these two fields provide new insights and knowledge unavailable elsewhere to each other. Thus, a genuine interest in and study of the arts and culture field is likely to provide the field of management studies with especially valuable new insights for industry contexts where the environment is highly uncertain and dynamic, competitive performance is dependent on creative innovation, and a completely new way of organizing is needed. To facilitate a cross-pollination between these two fields,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five central research agenda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fields of arts and culture and management studies: 1) Studying the tension between commercial values and artistic valu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sm and particularism; 2) Inquiring into the origin and processes of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 of artists and their artistic processes; 3) Targeting new insights about project-based temporary teams by analyzing the unique organizing mod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where temporary project-based team structures have been prevalent for centuries; 4) Acquiring a new understanding of network dynamic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al structures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where actors produce and distribute cultural outputs by combining diverse resources and capabilities scattered across the entire field; and 5) Studying th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from the strategic choice perspective of strategy and the identity theory of organizational ecology. In the concluding section, this paper suggests two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 this area: First, we recommend expanding the level of analysis from the traditional organizational and industry levels to more macro levels, such as population, field, organizational set, and community. Second, we recommend obtaining completely novel insights about management phenomena by looking into areas of art studies that have no direct association with management considerations. For example, we may learn about a new organizing mode from the logic of jazz improvisation.

      • KCI등재

        행동전략의 발전과 과제: 전략연구의 행동과학적 전환

        신동엽(Dongyoub Shin),노그림(Grimm Noh)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본 논문은 전략연구의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행동전략의 등장 배경과 최근 발전, 그리고 한계와 미래 전망을 토론한다. 행동전략은 인지심리학을 중심으로 한 행동과학의 최근 발전을 수용하여 전략연구의 현실성과 설명력을 강화한 이론적 발전이다. 행동전략 분야의 연구자들은 신고전파 경제학의 합리적 선택모형에 경도된 기존 전략연구들이 실세계 기업들의 실제 전략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적하며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으로 행동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행동전략은 기존 전략연구들이 제시하는 이론적 전략프로세스와 실제 전략프로세스와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해 실세계 의사결정자들에게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인지적 단순화와 인지적 편향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의미부여, 직관기반 발견법과 같은 인지적 단순화 경향이나 프레이밍 효과, 타조효과, 고립효과, 인지적 관성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편향이 어떻게 전략적 의사결정과 행동을 기존 전략이론의 예측과 달라지게 만드는지를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행동전략의 기반이 되는 인지심리학적 이론들을 설명하고, 주요 행동전략 연구들을 정리하여 소개할 3단계의 전략프로세스 분석틀을 제시한다. 환경인식, 전략 수립과 실행, 그리고 전략적 변화라는 세 가지 단계의 전략 프로세스 분석틀을 활용하여 각각의 단계에 해당하는 주요 행동전략 논문들의 핵심 주장과 연구결과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적 프레임의 차이에 따른 환경인식의 이질성, 인지적 능력과 성향에 따른 전략 수립과 실행의 효과성 및 속도의 차이, 인지적 해석 등에 따른 전략적 변화 가능 여부 등을 설명한다. 결론에서는 행동전략의 학설사적 의의와 한계,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을 토론함으로써 전략경영학계를 비롯한 전체 한국 매니지먼트학계의 이론적 다양화와 질적 심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developments, limits, and future pros-pects of behavioral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is a significant theoretical development that has radically enhanced the realism and explanatory power of strategy research by adopting developments in behavioral sciences, including cognitive psychology. To overcome the lack of realism in mainstream strategy theories, behavioral strategy draws heavily on recent developments in cognitive psychology that explain common cognitive patterns observable from everyday people such as cognitive simplification tactics and various types of cognitive bias. In this paper, we first review cognitive theories that underlie behavioral strategy and then introduce a 3-step strategic process framework that organizes and positions key papers in behavioral strategy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three steps in the strategic process framework are as follows: environmental sensing,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and strategic change. This paper introduces the central arguments and results of key papers in the behavioral strategy literature that provide alternative explanations to each of the three stages of strategy process. For example, the literature in behavioral strategy discusses topic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eterogeneity in environmental sensing due to different cognitive frames,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nd speed of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due to differences in cognitive cap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change depending on cognitive interpretations. In the concluding se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behavioral strategy are discussed.

      • KCI등재

        IMF 위기 이후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패러다임 전환 : 특별 포럼의 의의와 목적, 그리고 학문적 과제

        신동엽(Dongyoub Shin),구자숙(Jasook Koo),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이 논문은 IMF 위기 이후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 조직들에서 발생한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의 전환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려는 학문적 목적을 가진 본 특별 포럼의 시대적 배경과 거시적 맥락, 사회심리와 의식적 기반, 그리고 이런 변화의 주행위자인 리더들의 역할 모델 변화 등을 조망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특별 포럼 논문 다섯 편이 제시하는 학문적 토론의 기반과 맥락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특별 포럼의 개별 논문들이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는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단순히 한국 내부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 수준에서의 경영패러다임의 역사적 변동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즉 대량생산, 효율성 경쟁, 시스템 경영, 계획 경영, 성과와 보상/통제 등을 핵심 특성으로 하는 20세기 산업사회형 경영패러다임이 최근 무너지며 상시창조적 혁신을 추구하는 완전히 새로운 21세기형 경영패러다임이 이를 급속히 대체하고 있는 글로벌 수준에서의 거시적이고 역사적인 패러다임 대전환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최근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본 논문은 특별 포럼 논문들이 다루고 있는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 전환의 의식적, 사회심리적 기반의 변화를 조망한다. 즉 IMF 위기 이후 지난 10여년간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전통적 기반인 장기 고용, 내부 승진, 연공주의, 위계적 집단주의, 온정주의가 급격히 무너지며, 단기 고용, 외부 노동시장, 개인주의, 성과주의가 이를 대체하였는데, 이는 일시적 변화가 아니라 우리나라 인사조직경영의 의식적, 사회심리적 기반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지속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특히 이런 변화는 전통적 심리적 계약의 심각한 위반으로 인식되어 우리나라 인사조직경영의 잠재적 위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 조직들이 지향하는 새로운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은 안정적 심리적 계약의 성립 자체를 어렵게 만드는 본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21세기 한국 인사조직경영의 가장 중요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여 년간의 한국 인사조직 패러다임 전환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행위자 유형인 조직 리더들의 리더십 모델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글로벌 리더십 학계와 국내 리더십 학계의 리더십 담론의 변화 추세를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 지난 10여 년간 글로벌 리더십학계에서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강력한 리더들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쇠퇴하였고, 구조적 맥락 등과 같은 복수 레벨에서 리더십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증가하였으며, 21세기형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리더십 모델인 진정성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리더십과 창의성/혁신 등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으나, 국내 학계에서는 이런 새로운 리더십 모델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약하고 반대로 글로벌 학계에서 쇠퇴하고 있는 강력한 카리스마적 리더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연구 분야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지난 10여 년간 우리나라가 IMF 위기로 인해 전통적 인사조직경영 패러다임을 서구형 성과주의 패러다임으로 대체해나가는 급격한 변혁기를 거치며 강력한 리더십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존재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맥락에서 특별 포럼에 게재된 다섯 논문의 핵심 논지들을 소개한 후, 이런 패러다임 전환의 격변기에서 학계의 가장 중요한 소명은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근본적 변화를 가져온 대변혁의 원인과 과정, 결과, 그리고 전망과 과제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지적 의미부여를 계속해서 시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he current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historical and macro context, socio-psychological foundation, and leadership discourse underlying the paradigm shift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By so doing, this paper provides a starting ground from which five papers of the special forum may develop their respective arguments. First, the current paper submits that the paradigm shift in Korea should be re-examined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economic crisis, but also from a macro perspective in which the existing dominant management paradigm at the global level has been rapidly deinstitutionalized during the same period. That is, we argue that to understand the ongoing paradigm shift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accurately, scholar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urrently ongoing replacement of the traditional management paradigm based on the principles of mass production, efficiency, and system maximization, by a completely new paradigm focusing on continuous creative innovation at the global level. Second, this paper reviews the change of socio-psychological foundation underlying the paradigm shift in Korea.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have shifted from long-term stable employment to flexible employment, from internal promotion to external labor market, from seniority principle to performance principle, and from collectivism to individualism. We argue that this shift was perceived as a serious violation of the existing psychological contract, which would seriously diminish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respect, we stress that the greatest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Korean HR-organization management will be to find a creative way to rebuild a strong psychological contract with employees under the situation in which such goal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achieve. Third, this paper also reviews the change of leadership discourse in Korea during the period, since leaders play a pivotal role in paradigm shift. According to our comparison of dominant leadership discourse between global and Korean management fields during the last decade, Korean management field has still been strongly preoccupied with Neo-charismatic leadership models, while they have been significantly declined at the global level. Moreover, we also found that Korean field has not started yet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leadership and creativity/innova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agenda at the global level during the past decade. We argue that this discrepancy in leadership discourse between Korean and global management fields during the period comes from Korea’s unique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entire society was preoccupied with the rapid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conventional HR-organization management paradigm. After briefly introducing five papers published in this special forum, we call for continued attempts to make theoretical sense of the currently ongoing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HR-organization management paradigm that has immensely and fundamentally affected lives of the entire Korean citizens as an imminent calling of all management scholars living in the early 21st century.

      • KCI등재

        국제합작투자에서 학습 딜레마와 파트너 기업간 신뢰

        신동엽(Dongyoub Shin),권수라(Soora Kwon) 한국전략경영학회 2008 전략경영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합작투자와 같은 전략적 제휴에서 파트너 기업간 신뢰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 기업과 외국 기업간의 국제합작투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파트너로부터 경영 노하우나 기술 노하우를 학습하는 것은 전략적 제휴의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최근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학습은 파트너 기업간 역량의 상호보완성이라는 협력관계의 핵심 기반을 파괴함으로써 전략 제휴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딜레마를 가진다. 따라서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파트너 기업간 학습이 역동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제휴경영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이나, 어떤 요소가 이를 가능하게 하는지는 기존 연구들에서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파트너 기업간 신뢰가 학습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핵심 기반이라는 전제하에, 신뢰를 다른 여러 변수들이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 매개변수로 보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한다. 이를 위해 모기업간 조직유사성, 자산특화성, 합작기업 자율성, 정보공유 등 네 가지 변수를 독립변수로 보고, 파트너 기업간 신뢰를 이들 독립변수들과 학습을 연결시켜주는 매개변수로 보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그 타당성을 140개 국제합작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이들 네 가지 독립변수들 중, 모기업간 조직유사성, 자산특화성, 합작기업 자율성 등 세 가지는 본 연구모형에서 예측했던 대로 학습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신뢰의 매개작용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공유는 신뢰의 매개작용을 통한 간접효과와 직접효과를 모두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합작투자와 같은 전략적 제휴에서 파트너 기업간 신뢰가 학습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게 하는 중추적 매개변수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cerns the role of trust in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in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The importance of learning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as a core goal of strategic alliances, such as joint ventures. However,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often causes instability in cooperative relations by undermining the structural basis of the complementarity between partner firms, which is referred to as learning dilemma. Therefore, the simultaneous achievement of both dynamic learning and relational stabilit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challenges in alliance managemen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ter-partner trust will serve as a key solution to the learning dilemma in joint ventures, we empirically test a research model that considers trust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learning. In our research model, trust is treated as a mediating variable which relays the effects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asset specificity, information-sharing, joint venture autonomy, and partner similarity, to the dependent variable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es for a data-set on 140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three independent variables - asset specificity, autonomy, and similarity - turned out to affect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trust, whereas information-sharing was found to have both direct and mediated effects on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ust is a crucial mediator that enables participants of joint ventures to overcome the learning dilem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