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화엄 5조 종밀의 법성교학 현양

        신규탁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5 No.-

        논문에서 필자는 종밀이 주장한 법성교학과, 그것을 현양하는 방법에 대해서논의했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법성교학의 의의를 세 측면에서 평가했다. 첫째는인간의 본원(本源)을 논의한 형이상학적 측면과, 둘째는 인간의 본원인 ‘일심’을체험하는 ‘지각(知覺)’이라는 지식 방법론의 측면과, 셋째는 형이상학적 근거에입각한 실천적 가치 즉 윤리적인 측면이다. 그리고 필자는 이 논문에서 종밀은법성교학을 현양하는 과정에서 ‘요간(料揀)’과 ‘회통(會通)’의 방법을 사용했음을논증했다. 이런 논증에 필자가 주로 사용한 자료는 종밀의 『원각경』 관계 주석서와『선원제전집도서』와 『원인론』 등이다. 그리하여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인간에대한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가치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인간이 인간으로서 타인을대접하고, 각자 저마다 인격적으로 존중 받을 수 있는 이유를, 법성교학에서는인간 자체에서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보현의 실천수행으로 상징되는 보살행을닦아야 하는 실천 철학의 당위성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discussed about the philosophy of Dharmatā(法性哲學) at the Guifeng- Zongmi(圭峰宗密)'s thought and its method to be widely known. And I evaluated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three aspects. The first is a metaphysical aspect, which is discussed about the first principle(本源) of human beings. The second is an epistemological aspect, that is the experience of the first principle of human beings, ‘one mind'. The third is an ethical aspect, which is based on the metaphysical foundation. And I have demonstrated that Guifeng-Zongmi (圭峰宗密) used the method of elimination(料揀) and integration(會通) to be the philosophy of Dharmat known widely. For this argument, I mainly used the sources of Yuan-jue-jing(『圓覺經』)-related commentaries, Chan-yuan-zhu-quan-ji-du-xu(『禪源諸詮集都序』), Yan-ren-lun(『原人論』), etc. So in conclusion, I groped for the hopeful and positive value. In other words, it is in the human itself for the philosophy of Dharmatā to present the reason why human treats others as human beings, and respects each other personally. I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is symbolized by Samantabhadra(普賢菩薩).

      • KCI등재

        동곡 일타 대종사의 불교관과 그의 선사상

        신규탁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80 No.-

        This paper explores the Seon thought of Donggok Ilta through an analysis of his writings. Given Ilta’s viewpoint, as presented in his Beommanggyeong-Bosalgye (梵網經菩薩戒, Bodhisattva Precepts of Brahamajala Sutra), I see his thoughtas being based on the “doctrine of dharmata (法性宗).” Therefore, I’ve attempted to interpret Ilta’s thought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dharmata (法性敎學)”, which is founded on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ly awakened mind (本覺眞心)” innate to all human beings. Some of the prominent aspects of Ilta’s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the “philosophy of lotus in water (水中蓮),” which emphasizes the pursuit of the "absolute truth (眞諦, paramartha-satya)" while referring to the “worldly truth (俗諦, samvrti-satya),” the “philosophy of practicing Samantabhadra (普賢行),” which stresses the conduct of goodness in accordance to the Buddhist teachings, and the “philosophy of adopting the old⋅creating a new (法古 創新)”, which advocates practical re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Buddhism. The Seon thought of Ilta encompasses various aspects of Buddhism both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contemplation of hwadu (看話)” and “quotations from old masters” as well as the emphasis on the observance of precepts (持戒) and rules (戒律) - are eventually to culminate in the actual practice of hwadu (話頭, big doubt),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light as the “philosophy of dharmata” asserting the originally enlightened nature of mind. This perspective is also shared by many other Seon masters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이 논문은 동곡 일타의 선사상을 그의 작품에 의해 분석한 것이다. 그가 해설한 『梵網經菩薩戒』 속에 나타난 사상은 법성종의 입장에 기반하고 있다고필자는 보았다. 그래서 필자는 법성교학의 입장에서 그의 사상을 조망했다. 법성교학이란 모든 중생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모두 본각진심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런 일타의 사상은 크게 셋으로 요약할 수있다. 첫째는 ‘水中蓮花의 철학’인데, 이는 속제 속에 진제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것이고, 둘째는 ‘普賢行願의 철학’인데, 이는 부처님의 말씀대로 수행하는것이고, 셋째는 ‘法古創新의 철학인데’, 이는 옛 제도를 계승하면서 새 시대에알맞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일타의 선사상은 실천과 이론 면에서 불교의 여러 측면을 아우르고 있는데, 예를 들면 화두를 관찰하는 ‘看話’와, 화두를 설명하는 ‘說話’의 두 측면을병행하되 계와 율을 지키면서 하는 것이다. 이 모두를 필자는 법성교학의 지평에서 이해하고 조망했는데, 이 점은 한국 근현대의 여타 선사들에도 적용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석전 박한영 강백의 교학 전통- 『화엄경』십지품」과 『선문염송집』연찬을 중심으로 -

        신규탁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zen practice is accompaniedby studies of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This tradition of combining practice and study can be also found in the activities of “Seokjeon(石顚)” Park Han-young(朴漢永; 1870-1948) in the 20th century. In this essay, I investigated “documents for lectures” in two different types that wereedited and published by Park Han-young – a collection of “topics” relatedto The Gaṇḍavyūha-sūtra(『華嚴經』) and a compilation selected from Seonmunyeomsongjip and Yeomsongseolhwa.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was edited by Jingak Hyeshim(眞覺慧諶; 1178-1234)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His disciple Gakwoon(覺雲) added an notations to the book and published it as Yeomsongseolhwa(『拈頌說話』).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ekpa Geungseon(白坡亘璇1767-1852) wrote a commentary based on exegetical studies comparingthese two books. This kind of commentary is traditionally called PersonalExplication(私記). These Personal Explications enable us to glimpse howscholarly monks of those days studied zen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Hwaeomgyeongsusoyeonuicho(華嚴經隨疏演義鈔) (Commentary on Eliciting the True Meaning of The Gaṇḍavyūha-sūtra)was engraved in the Jeolla-do region, and scholarly monks who studiedThe Gaṇḍavyūha-sūtra published a collection of “topics” related to this book. In addition, Personal Explications of exegetical commentaries basedon this book were written. These studies were mainly led by Seolpa Sangeon (雪坡尙彦; 1707-1791) and scholarly monks in the Jolla-do region who were influenced by him. In this tradition, monks of those days gave lectures combining zenpractice and studi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thinkingof Joseon period. As the result, scholarly monks inheriting this traditionpublished various books supporting the convergence of zen practice andstudy in literature. This tradition continued to the period of the JapaneseOccupation culminating in Park Han-young’s studies. 조선 후기에는 화엄학에 대한 교리적 연구와 선 수행이 병행되었다. 이렇게 선교를 병행하여 연구하는 전통은 20세기에 활동하던 石顚 朴漢永(1870~1948)에게도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전통을 확인하기 위하여박한영이 편집하고 간행한 두 계통의 ‘강의용 문서’를 조사했다. 하나는 화엄교학에 관계된 ‘科目’ 모음집이고, 또 다른 하나는 『門拈頌集』과 『拈頌說話』를 會編하여 精選한 책이다. 고려 말엽 眞覺 慧諶(1178∼1234)은 『선문염송집』을 편집했는데, 그의 제자 覺雲은 그 책에 주석을 붙여 『염송설화』를 저술하였다. 조선 말엽 白坡亘璇(1767~1852)은 위의 두 책을 대본으로 훈고적 주석서를 썼다. 예부터 이주석서를 ‘私記(사적인 기록)’라 이름한다. 우리는 이 ‘사기’를 통해 당시의 학승들이 선 문헌을 어떻게 연구했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17세기 조선의 전라도 지역에서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가 판각되는데, 당시의 화엄학승들은 그 책에 관한 ‘과목’ 모음집을 간행한다. 이와 더불어 그 책을 대본으로 훈고적 주석서인 ‘사기’를 저술했다. 이런 일들은 주로 雪坡 尙彦(1707~1791)과 그의 영향을 받은 전라도 일대의 학승들이주도했다. 이상과 같은 역사적 전통 속에서, 당시의 승려들은 선교를 병행하여 강의하였다. 이런 강의 전통은 조선의 사상계에도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학승들은 선교일치의 입장에서 각종 저서를 내놓았다. 그리고 이런 전통은 계속되어 일제강점기에도 이어졌으니, 그 전통에 서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석전 박한영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