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계변수 값의 동적이 변경을 이용한 점층적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신광철(Kwangcheol Shin),한상용(Sangyong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11·12

        This study is purported for suggesting a new clustering algorithm that enables incremental categorization of numerous documents. The suggested algorithm adopts the natures of the spherical k-means algorithm, which clusters a mass amount of high-dimensional documents, and the fuzzy ART(adaptive resonance theory) neural network, which performs clustering incrementally. In short, the suggested algorithm is a combination of the spherical k-means vector space model and concept vector and fuzzy ART vigilance parameter. The new algorithm not only supports incremental clustering and automatically sets the appropriate number of clusters, but also solves the current problems of overfitting caused by outlier and noise. Additionally, concerning the objective function value, which measures the cluster’s coherence that i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product clusters, tests on the CLASSIC3 data set showed that the newly suggested algorithm works better than the spherical k-means by 8.04% in average. 본 논문은 점층적으로 대규모 문서 분류를 힐 수 있는 새로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대한 것으로, 고차원의 대규모 문서 집합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spherical k-means (SKM) 알고리즘과 점층적인 방식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퍼지(fuzzy) ART(adaptive resonance theory) 신경망의 특성을 이용하였다. 즉, SKM의 벡터 공간 모델과 개념벡터를 토대로 퍼지 ART의 경계변수의 개념을 결합한 것이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점층적 클러스터링의 지원과 함께 최적의 클러스터 수를 자동으로 결정할 뿐 아니라 이상치(outlier)와 노이즈(noise)에 의한 overfitting의 문제도 해결하였다. 또한 생성된 클러스터들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응집도를 측정하는 목적 함수의 값에 있어서도 CLASSIC3 데이타 집합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SKM에 비해 평균 8.04%의 향상된 응집도를 나타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종교경관의 의의와 활용방안

        신광철(Shin, Kwangcheol)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2 종교문화연구 Vol.- No.18

        Religious landscape is important not only religiously but also as cultural tourism resourc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religious landscape as cultural resources gets emphasized and practical plans to make use of religious landscape are being attemp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tch the meaning of religious landscape and to search its concrete applying models. To achieve this, I investigated a preceding case and proposed an example of content development of religious landscape. The preceding case I investigated in this essay is “The Development of Chimyoungja Moutain Sacred Place”. This case was accomplished by the collaoboration between Jeonju City and Catholic Parish of Jeonju and has a limit in that it was developed in hardware-centered way. Consequently, I became keenly aware that practical use of religious landscape needs backup of software and contentware. I introduced the case of Golgul Temple area as a concrete example of contnent development. Golgul Temple is a head temple of Seonmudo, traditional martial art of Korean Buddhism. I developed theme park and theme tour program, focusing on the theme of Golgul Temple and Seonmudo.

      • KCI등재후보

        기독교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과 방법

        신광철(Shin Kwangcheol)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한국교회는 선교 초기부터 문화를 선도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한국교회의 문화적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교회의 문화적 역량을 재기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기독교문화콘텐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맥락을 고찰하는 한편,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의 프로그램과 커리큘럼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육 체계와 관련해서는 전통적 신학(순수기독교학)과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응용기독교학)의 복수 전공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커리큘럼과 관련해서는 기독교문화학, 기독교문화콘텐츠 장르, 기독교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 기독교문화콘텐츠 경영 등 4개의 영역을 제시하였으며, 4년간의 커리큘럼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기독교문화콘텐츠학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의 실행은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 전문가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교회내적 필요에 부응하는 전문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시도는 ‘교회와 문화’, 그리고 ‘기독교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쌍방향적 소통에 기여할 것이다. Korean Church has guided culture part of Korea from Missions early. However, a criticism is recently raised that the cultural influence of Korean Church is getting weakened. Consequently, a voice that Korean Church has to recover the cultural influence gets power,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plan. In this essay, I considered why Christian culture contents is necessary and carried out a research on program and curriculum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 suggested a double major system of traditional theology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n the part of education system. I proposed four fields of study composed of Christian culture studies, Christian culture contents genre, Christian culture contents planning & production,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management, and besides, a concrete curriculum model of four years in the part of curriculum. To practice the program and curriculum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s expected to satisfy the need for training efficient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This attempt seems to contribute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church and culture’, and ‘Christian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 KCI등재

        고구려 남부전선의 지휘관과 군사편제

        신광철(Shin, Kwangcheol)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4 No.-

        필자는 그간 한강유역의 고구려 보루 및 북한과 중국 경내의 고구려 성곽, 영세하지만 귀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는 몇몇 문헌사료를 토대로 고구려 후기의 군사전략 및 군사역량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집필된 것으로서, 『翰苑』「蕃夷部」〈高麗記〉의 고구려 군사편제 기록과 관련하여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인식에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더불어 문헌에 기재된 고구려 무관직과 고고자료와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고구려 후기 군사편제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보다 구체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기존 학계에서는 『翰苑』「蕃夷部」〈高麗記〉가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임을 인정하여 여러 방면에서 이를 활용해 왔다. 특히, 고구려 후기 관등 및 관직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실려 있어 고구려 후기의 정치조직 및 군사편제 뿐만 아니라 지방통치체제, 당시 사회상 등을 연구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되었는데, 문헌에 기재된 소략한 정보만 갖고 고구려 후기 군사편제의 면모를 정확하게 살펴보는 것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는‘末若’의 위상 및 편제에 대한 異見이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말약’이 어떻게 해석되느냐에 따라 고구려 후기 군사편제 및 지방통치체제에 대한 전체적인 시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는 민감한 사항이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고민이 많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견해 차이를 고고자료를 통해 새로운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경기도 및 서울 일대의 고구려 관방유적을 토대로 고구려 남부전선의 관방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한원』에 나오는 고구려 후기 무관직과 연결시켜, 고구려 후기 남부전선의 군사편제를 복원하였다. 그중 논란이 되고 있는 ‘말약’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고구려 후기 남부전선의 지휘계통에 대해 再考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고구려 남부전선의 지휘계통에 대해서 어느 정도 밑그림을 그릴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여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체제를 이해하는데 일조를 담당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불어 추후 이를 북한 및 중국 경내의 고구려 성곽에 적용한다면, 고구려의 지방통치체제 및 국가전략을 살펴보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라 판단하며, 본고는 그를 위한 사전 준비 작업임을 미리 밝히고자 한다. I have recently been engaged in efforts, by analysis of such evidence as Goguryeo forts on the Han River, remnants of Goguryeo fortresses in North Korea and China, and fragmented yet valuable textual records; in order to bring to light clues that will uncover a coherent picture of military strategy and capabilities during late Goguryeo; efforts that came to fruition in the form of this treatise. The treatise raises questions on present and general notions in connection with records on the Goguryeo military as they appear in the Records of Gaoli(高麗記), within the Barbarian Chapter(蕃夷部) of the Hanyuan(翰苑). In addition, I seek to identify, if any, connections between titles of military officers of Goguryeo in the textual record and present archeological data. The historical academia has hitherto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the Hanyuan, and the Records of Gaoli(Goguryeo) in the Barbarian Chapter,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research on Goguryeo history. The Hanyuan’s detailed list of bureaucratic ranks and titles from the later part of Goguryeo history provided invaluable and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 on Goguryeo regional governance and society at the time. Yet the description of the military is intermittent at best, which poses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an accurate description of late Goguryeo military organization. Such difficulties are highlighted by the dispute, for example, surrounding the status and positioning of the mal-yak, or moruo(末若). A very delicate issue, given that even a slight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 can alter radically the views on late Goguryeo military organization and regional governance. But the lack of concern regarding this issue in previous studies is surprising. This treatise seeks to scrutinize anew the opposing viewpoints through the use of archeological data. This study begins with an observation of Goguryeo’s defense network on the southern frontier based on forts and defense facilities in Gyeonggi-do and Seoul. A connection is then made with late Goguryeo military titles as listed in the Han Yuan, followed by a reconstruction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in Goguryeo’s southern defensive frontier. A new perspective is offered concerning the hotly-disputed nature of mal-yak, which becomes a key element in the re-evaluation of late Goguryeo military organization in general. It is my firm belief that efforts above can provide the basis for outlining Goguryeo’s military chain of command and facilitat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ystem of regional governance in late Goguryeo. Applying these findings toward what we know about Goguryeo fortresses in North Korea and China would greatly enhance our subsequent investigation of Goguryeo’s regional governance and national security; this treatise will constitute the initial, preparatory phase of the research in that dire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