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표면 거칠기가 곡사포탄의 탄도에 미치는 영향

        신건호,천강민,신백천,고정일,이준혁,허장욱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5 No.4

        Surface state change of ammunition generat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creases the surface roughness and this affects the flight of ammunition, but there are no research results quantitatively indicating this. In this study, the drag force for each Mach number of howitzer shells was calculated through CFD to which the surface data of the howitzer shell was applied, and analysis of trajectory was performed using drag force values as an input of the 4th Runge-Kutta method, and the degree of decrease of the maximum range caused b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howitzer shell was estima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range of howitzer shell with high surface roughness was 1.12 % shorter than that of howitzer shell without rough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the trajectory is not negligible.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부모의 자녀성적에 대한 반응과 자녀의 자아개념 및 미래기대에 미치는 영향

        신건호,구본용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2

        This research examines how differently parent's responses towards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children's self-concept and future expectancy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order to make the contrast noticeable, this research divide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into two: the position-oriented interaction and the person-oriented interaction. The division is based on the types of self-identity interacte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examinations lea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arent's positive responses about children's achievement correlate positively with all types of parent-child interaction, but negative responses correlate negatively with them. Second, children's self-concepts correlate positively with all types of parent-child interaction, the self-concepts of children correlate relatively higher in typ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than with types of father-child interaction. Third, future expectancies correlate positively with typ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but do not correlate with types of father-child interaction. Discussing these results according to the precedent researches, this paper(research) aims to suggest further studies on the parent-child interaction. 본 연구는 자아정체이론에 기초하여 부모-자녀관계를 인간 지향적 관계와 지위 지향적 관계로 유형화하여, 이 유형들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대한 반응과 자녀의 자아개념 및 미래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 히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할 때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부정적인 장면뿐 아니라 긍정적인 장면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반응결과에 따라 지위지향점수와 인간지향점수를 산출하였다. 경기도 분당과 용인 초등학교 에서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등 총 506명을 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성취에 대한 긍정반응에서 부모와 자녀의 인간 지향적 관계와 지위 지향적 관계가 모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반응과 무반응은 인간 지향적 관계와 지위 지향적 관계와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자아개념에서는 부모와 자녀의 인간 지향적 관계와 지위 지향적 자 녀관계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부와의 관계보다는 모와의 관계가 자 녀의 자아개념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자녀의 미래기대에서 모와의 인간 지향적 관계와 지위 지향적 관계가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와의 관계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 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하고 앞으로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의 매개효과와 자녀가치의 조절효과

        신건호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value of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of the father’s family-of-origin and his parenting particip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value of children, which in previous studies had been identified as variables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health and parental involvement, were respectively set as the mediating and the moderating variable to verify their effect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85 fathers whose children atte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o b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of the father’s family-of-origin and his parenting participation. Second, the social value of childre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of the father’s family-of-origin and his parenting participation. However,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value of children had no moderating effects. The paper examines these results through the lens of previous research, proposes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and discusses strategies to support and enhance paternal participation in parenting.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이 자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 자녀가치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참여와 관계된 변인으로 지적한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자녀가치를 조절변수로 상정하여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아버지 28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관계적 가치와 심리적 가치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지지하는 교육적 시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건호,심혜숙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ed effect of value of children with a purpose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maternal family-of-origin. A group of 247 mothers having young children in the age of 3 to 5 years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is consisted of the scale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parenting attitude and value of children. The study results show four aspects: First,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 on value of children. Second, maternal value of children also appears to be positive on parenting attitude. Third,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Lastly, value of children shows mediated effect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 and parenting attitude. In other words, having high level of positive awareness in family-of-origin experiences brings positive value of children, and the value of children brings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attitude. Therefore, multilateral measures and methodical supports are needed to develop positive value of children, and consideration on father is required as a joint partner of rearing children. 본 연구는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47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경험, 양육태도, 자녀가치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가족 경험은 자녀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어머니의 자녀가치 역시 양육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경험은 양육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가치는 원가족 경험과 양육태도 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가족 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자녀가치를 갖게되고, 자녀가치는 곧 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적 자녀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다각적 방안과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공동양육자인 아버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종교와 영성이 교사의 교육이데올로기와 갈등대처에 미치는 영향

        신건호 한국종교교육학회 2009 宗敎敎育學硏究 Vol.31 No.-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종교와 영성이 교사의 이데올로기와 대인간 갈등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일원에 근무하는 중등학교 교사 204명이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음의 3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종교집단 간 영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종교집단 간 교사의 교육이데올로기와 갈등대처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영성은 교사의 교육이데올로기와 갈등대처양식과 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 안녕감에서 기독교집단과 가톨릭집단이 무교집단과 불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실존적 안녕감에서는 가톨릭 집단이 무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기독교집단은 교육적 근본주의에서 가장 높았고, 불교집단은 교육적 근본주의와 교육적 주지주의, 그리고 교육적 보수주의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갈등대처양식인 경쟁에서는 기독교집단이 가장 높았고, 가톨릭집단이 가장 낮았으며, 순응과 타협 그리고 협동에서는 무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종교적 안녕감은 근본주의, 주지주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실존적 안녕감은 교육적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교육적 이데올로기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교적 안녕감은 갈등대처양식 중 협동, 순응, 타협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실존적 안녕은 협동과 타협의 대처양식과 유의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선행 연구의 결과와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