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넷 기반의 공간정보유통망 성능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진희채,시종익,Jin, Heui-Chae,Si, Jong-Yik 한국공간정보학회 1999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1 No.1

        공간정보의 구축이 활발해지면서 정보유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보유통은 각 시스템 마다 개별적 체계를 갖을 수 있으며 GIS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GIS의 공간정보 유통체계를 설정하고, 그 체계에 대한 정보망 성능평가 방식을 연구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전산망의 유형별로 지리공간정보의 보관 내용 및 규모, 유통되는 정보의 량 등을 가정하고 현재의 인터넷 망을 기준으로 한 분석을 수행한다. 유통망의 성능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대기행렬모형을 적응하도록 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통서버가 운영될 경우 이들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와같은 방법은 향후 GIS의 정보량과 정보 유통량이 예측되었을 경우 유통망의 구성 형태에 따른 다방면의 성능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우수한 성능의 유통체계의 수립을 도울 수 있다. Recently, brisk up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many people highly concern to tile information circulation of GIS. Each system like GIS has a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circulation to itself.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ile structure which to circulate til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To do this, we hypothesize values of content and scale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n each internet network and volumes of the information to circulate between internet networks. Then we suggest a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to aid the circ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queueing model. Henceforth, with the volumes of data stored and circulated information of each GIS, this method can help to design the structure to circulate the GIS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 지리정보 DB 설계 지침의 표준화 연구

        임덕성,문상호,시종익,홍봉희,Lim, Duk-Sung,Moon, Sang-Ho,Si, Jong-Ik,Hong, Bong-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3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5 No.1

        현재 ISO, OGC 등의 국제표준화 기관들을 중심으로 지리정보 표준화에 대한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다수의 GIS 표준이 제정되었다. GIS DB 들간의 공간정보 공유, 상호 교환, 유통 등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화 작업들은 개방형 인터페이스 설계 표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 작업에서는 지리정보 DB 자체에 대한 스키마 설리 절차 및 방법 등은 고려하고 있지 않고, 상호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거나 공간 DB의 추상스키마 표준만을 제안하고 있다. 설계 표준 없이 서로 다른 데이터 모델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축된 지리정보 DB들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공유는 데이터 모델의 상이성으로 인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GIS DB를 구축할 때 서로 다른 GIS S/W를 이용하더라도,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들간의 공간 데이터 모델, 논리적 구조, 의미 구조 등을 통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리정보 DB의 설계 지침을 제시한다. 특히, ISO 추상 스키마 표준을 관계형 모델, 객체-관계형 모델, 객체 중심 모델, 기하 중심 모델로 변환하는 표준 지침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 GIS S/W를 대상으로 논리적, 물리적 설계 지침에 따른 각 S/W의 적용 예제 모델을 제시하여 DB 설계 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리정보 DB 설계 지침의 응용 스키마, 개념적 및 논리적/물리적 구현 스키마를 적용하여 GIS DB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각 DB들 간의 상호운용성이 원활해지고 각 스키마들의 산출물을 통하여 통일화된 스키마 정의 및 카탈로깅 지원이 가능해진다.템 개발은 지자체 GIS 재사용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정들이 단계적으로 성과를 확보하며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여러 지자체를 중심으로 수행된 지자체 GIS 감리와 컨설팅의 경험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을 일반화시켜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자체 GIS사업의 추진 및 운영모델을 제시하였다. 표시할 수 있음으로서 의사결정에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비트율의 증가와 화질 열화는 각각 최대 1.32%와 최대 0.11dB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음을 확인 하였다.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 Recently, tw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ISO and OGC, have done the work of standardization for GIS. Current standardization work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among GIS DB focuses on the design of open interfaces. But, this work has not considered procedures and methods for designing GIS DB. Eventually, GIS DB has its own model. When we share the data by open interface among heterogeneous GIS DB, differences between models result in the loss of information. Our aim in this paper is to revise the design guidelin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s in order to make consistent spatial data models, logical structures, and semantic structure of populated geographical databases. In details, we propose standard guidelines which convert ISO abstract schema into relation model, object-relation model, object-centered model, and geometry-centered model. Furthermore, we provide sample models for applying these guidelines in commercial GIS S/Ws. Building GIS DB based on design guidelines proposed in the paper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the interoperability among databases, the standardization of schema definitions, and the catalogue of GIS databases through.

      • 인터넷 기반의 공간정보유통망 성능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진희채(Heui Chae Jin),시종익(Jong Yik Si) 대한공간정보학회 199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 No.1

        Recently, brisk up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many people highly concern to the information circulation of GIS. Each system like GIS has a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circulation to itself.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he structure which to circulate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To do this, we hypothesize values of content and scale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n each internet network and volumes of the information to circulate between internet networks. Then we suggest a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to aid the circ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queueing model. Henceforth, with the volumes of data stored and circulated information of each GIS, this method can help to design the structure to circulate the GIS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 지리정보 DB 설계 지침의 표준화 연구

        임덕성,홍봉희,문상호,시종익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5 No.1

        현재 ISO, OGC 등의 국제표준화 기관들을 중심으로 지리정보 표준화에 대한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다수의 GIS 표준이 제정되었다. GIS DB 들간의 공간정보 공유, 상호교환,유통등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화 작업들은 개방형 인터페이스 설계 표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 작업에서는 지리정보 DB 자체에 대한 스키마 설계 절차 및 방법 등은 고려하고 있지 않고, 상호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거나 공간 DB의 추상스키마 표준만을 제안하고 있다. 설계표준 없이 서로 다른 데이터 모델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축된 지리정보 DB들간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공유는 데이터 모델의 상이성으로 인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GIS DB를 구축할 때 서로 다른 GIS S/W를 이용하더라도,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들간의 공간 데이터 모델, 논리적 구조, 의미 구조 등을 통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리정보 DB의 설계 지침을 제시한다. 특히, ISO 추상 스키마 표준을 관계형 모델, 객체-관계형 모델, 객체 중심 모델, 기하 중심 모델로 변환하는 표준 지침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 GIS S/W를 대상으로 논리적, 물리적 설계 지침에 따른 각 S/W의 적용 예제 모델을 제시하여 DB 설계 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리정보 DB 설계 지침의 응용스키마, 개념적 및 논리적/물리적 구현 스키마를 적용하여 GIS DB를 구축하는 경우에는 각 DB들 간의 상호운영성이 원활해지고 각 스키마들의 산출물을 통하여 통일화된 스키마 정의 및 카탈로깅 지원이 가능해진다. Recently, tw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ISO and OGC, have done the work of standardization for GIS. Current standardization work for proiding interoperability among GIS DB focuses on the design of open interfaces. But, this work has not considered procedures and methods for designing GIS DB. Eventually, GIS DB has its own model. When we share the data by open interface among heterogeneous GIS DB differences between models result in the loss of information Our aim n this paper in to revise the design guidelin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s in order to make consistent spatial data models, logical structures, and semantic structure of populated geographical databases. In details, we propose standard guidelines which convert ISO abstract schema into relation model, object-relation mode, object-centered model, and geometry-centered model. Furthermore, we provide sample models for applying these guidelines in commercial GIS S/Ws. Building GIS DB based on design guidelines proposed in the paper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 the interoperability among databases, the standardization of schema definitions, and the catalogue of GIS databases through.

      • KCI등재

        국내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에 적합한 PMO 성과요소 도출 연구

        서용원,오강탁,이덕희,시종익,김소정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6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3 No.4

        Recently PMO is recommended by government to be applied on public IT projects, toimprove public IT project performances. However, the adoption is rather slow and limited due tolow awareness and lack of references of PMO, resulting in limited budget allocations. To enhancethe awareness level, it is important to systematically model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structureof PMO. Thus, in this study, we develop the performance reference model of PMO. Through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surveys, we identify the factors for managing/evaluating PMO performances, and model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formance factors. Basedon the model, we present the basic structure of the PMO performance reference model, on top ofwhich further detailed performance model can be built. 최근 국내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에 도입된 PMO 제도는 일부 기관의 중요 정보화사업에 적용되어 왔으나, PMO에 대한 기관의 낮은 인식도, 참조사례 부족, 예산확보 여러움 등의 문제로 인하여 다수 기관으로 확산 및 정착이 지연되고 있다. 이러한 PMO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 또는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는 기관 및 예산당국의 인식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인식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서 PMO 성과를 관리 및 측정할 수 있는 성과관리참조모형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MO 성과관리참조모형 수립에 가장 핵심이 되는 PMO 성과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선행연구 조사를 기반으로 성과요소 도출에 필요한 요인들을 식별하였으며, 설문조사및 요인 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국내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에 적합한 성과요소들을 정보화사업단계에 따라 도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도출된 PMO 성과요소를 기반으로 향후 성과관리참조모형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구조를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