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젠더혐오범죄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응 방안

        승재현(Jea-Hyen Soung)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6 이화젠더법학 Vol.8 No.2

        2016년 5월 17일 0시33분경 새벽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이 서초구 지역의 한 노래방에서 피의자 김모(34세)가 남녀 공용 화장실에서 들어가 대기하고 있다가 남성 6명은 그대로 보내고, 약 30분 뒤 오전 1시 7분 경에 들어온 여성(23세)을 길이 32.5㎝ 주방용 식칼로 좌측흉부를 4차례 찔러 살해한 사건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여성 혐오범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미국의 경우 특별법을 제정하고 현재 발생되고 있는 혐오범죄에 대한 통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독일은 혐오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특별하게 없다가 극우세력의 살인범죄가 발생함에 따라서 혐오범죄에 대한 수사력 집중과 혐오범죄를 가중처벌 할 수 있는 형법을 개정하여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혐오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특별법을 만들어 대응하고자 하는 방안이 모색되었으나 형사입법으로 혐오범죄를 규정하고 가중처벌하는 것에 대하여 ‘혐오’라는 단어가 죄형법정주의에 반할 위험이 있고, 범행의 동기를 이유로 가중처벌하는 형식은 현행법이 따르지 않는 방식이며, 대법원도 양형에서 이러한 가중처벌은 가능하다는 입장에서 반대하는 입장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혐오 범죄 그 중에서 특히 젠더에 관한 혐오 범죄는 가중처벌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기 보다는 그 혐오의 원인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당장은 늦어 보일 수 있으나 이러한 시민공동체를 회복하고 상호의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회를 구현하는 것은 여성혐오 범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소망하고 소원하는 안전한 대한민국,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는데 반드시 요구되는 조건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모을 때이다. A recent horrific example of a gender-based hate crime provoked a full-blown discussion on its characteristics and attendant criminal justice responses within South Korea. On May 14th 2016, at 12:33AM local time, a 34-year-old man, surnamed Kim, allegedly hid searching for a female victim at the gender-neutral restroom inside a karaokebar in Seocho-district located between Gangnam and Shinnonhyeon Metro Stations in downtown Seoul. Waiting until six men left the toilet at 01:07 AM, the perpetrator murdered a 23-year-old female victim by stabbing her left chest four times with a 32.5-cm-long kitchen knife. In order to counter such forms of hate crimes, various other countries have taken efforts to form appropriate criminal justice responses. For instance, the U.S. Congress has enacted special acts to conduct a scientific analysis of hate crime statistics. Meanwhile, the German authorities, which have been less alarmed by such forms of crime, now begin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investigating and revising the existing criminal laws to impose additional punishment on the perpetrators. Although the Korean authorities have similarly considered enacting a special legislation on gender-based hate crimes, some critics oppose it on the grounds that enacting a new criminal law to define and criminalize such crimes and to impose additional punishment on its perpetrators could violate the most basic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The critics also hold that imposing additional punishment merely on the grounds of a crime motif does not concord with current legal provisions. Justices at the Supreme Court of Korea concur with the reasoning when it conclude in its recent ruling that current sentencing can still accommodate the needs of additional punishment in gender-based hate crime cases, if required and that a special legislation targeted on the crime is unnecessary. In light of the recent discussions, it seems reasonable to hold that a special legislation to impose additional punishment on perpetrators of hate crimes needs not be adopted. A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criminal policy should entail a comprehensive strategy in finding the root cause of gender-based crimes, albeit it being a slow and protracted process. When implemented consistently, the policy can rejuvenate a vibrant civil community based on mutual trust and dependence. It seems to have the best potentials of not only preventing gender-based hate crime in the future, but also of laying the foundations for a safer and happier community that all citizens desire.

      • KCI등재

        합리적 양형기준을 위한 공통된 양형인자 도출의 필요성 - 제2기 양형위원회 양형기준 대상범죄 양형인자 도출의 통일성 위한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

        승재현 ( Soung Jea-hyen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외법논집 Vol.34 No.3

        In order to reflect the general public's sound common sense in setting sentencing and to realize fair and objective sentencing that the people could trust, the Supreme Court provided groundwork regulations for the Sentencing Committee in the 2007 Supreme Court Organizational Act. The first committee held in May 7, 2009 proclaimed sentencing guidelines for eight major crimes - murder, bribery, sex crimes, robbery, embezzlement, malpractice, perjury, and false incrimination. These guidelines will be applied to criminal cases beginning in July of 2009. Establishment of such sentencing guidelines not only relieves inequities in sentencing terms but also allows for the people to observ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entencing terms, thereby promoting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 criminal law. The existing Sentencing Committee's sentencing guidelines prescribe sentencing factors on each crime. When examining sentencing factor on each crime, these factors draw conclusions on the crimes in some cases but in some cases, they are not, although according to the regulatory perspective, they are the common sentencing factors. Therefore, there would be some problems under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since both of the procedure of sentencing and the evaluation of sentencing may differ in each case. This can cause the problems of transparency and equality in sentenc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article intends to scrutinize sentencing factors from the judicial decision-making perspectives and to establish groundwork for the common sentencing factors.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research on the United States Sentencing Commission Guidelines Manual, Chapter 3 (Adjustments) Part A, B, C, D, and E, which is about the common sentencing factor, applicable to almost all crimes, such as the adjustments on victims, crime roles, obstructions to justice, conflicts in laws, and liability recognition. It will also study on the sentencing factors in the UK Criminal Justice Act 2003 Part 12 - Sentencing Section 142~146, Section 166, which is the model for the Korean provision (this UK law includes aggravate or mitigating sentencing factor), and on the Overarching Principles; Seriousness which was announced in December 2004, thereby introducing a common sentencing factor for the Korean jurisdiction. Through introducing this common sentencing factor from the research, this article aims at producing the common sentencing factor among the existing sentencing factors in the Korean sentencing guidelines. This will eventually help the second Sentencing Committee to examine abduction, larceny, fraud, forgery, obstruction of justice, and narcotic crimes, thereby making sentencing factors that do not conflict each other in crimes respectively. This will further create the public's trust and will also enhance equality and appropriateness of sentencing in each crime under the sentencing guidelines.

      • KCI등재

        부진정부작위범에 있어서 행위태양 동가치성의 필요성

        승재현 ( Soung Jea-hyun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2

        Brauchen der Entsprechungsklausel beim unechten Unterlassungsdelikt Durch die Verbindung allgemeiner Regelung der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 koennen die Tatbestände der unechten Unterlassungsdelikte erst im AT mit einzelner Begehungstatbestände im BT gestellt werden. Dennoch bei einigen Begehungstatbestände ist solche Verbindung nicht möglich, weil das Unwert einiger Bgehungstatbestände läßt sich vom Inhalt her durch Unterlassung nicht verwirklichen. Da das Erfordernis der Entsprechung des Gesamtunwertes im Unrecht und Schuld eine zwingende Strafbarkeitsvoraussetzung fur alle Unterlassungsdelikte ist, muß die Entsprechung jedes Unterlassungsdeliktes ohne Ausnahme mit dem im Bezug genommenen Begehungstatbestand festgestellt und begrundet werden. Das Erfordernis der Entsprechung kann nur auf den tatbestandsartigen und tatbestandsindividuellen Unwertgehalt bezogen werden, der in der Verwirklichung des gesetzlichen Tatbestandes durch Tun verkörpert ist. Es kommt damit der Gesamtunwertgehalt, der im Begehungstatbestand im Besonderen Teil typisiert und individualisiertet wird, als tertium comparationis in Betracht.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양형위원회 양형인자의 도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협의의 양형인자를 중심으로

        승재현(Soung Jea-Hyen)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10 法學硏究 Vol.21 No.3

        In order to correct the irrationality of the sentencing practices, to reflect constructive common sense of the public in sentencing, and to realize just and objective sentencing that the public can trust, the Sentencing Commission, established in 2007, based on focused endeavor, passion and dedication, adopted detailed guidelines on sentencing adults (aged 19 or more) for murder, bribery, sex crimes, robbery, embezzlement, malpractice, perjury and false incrimination, which are applied to crimes prosecuted after the first of July 2009. The second Sentencing Commission is discussing establishment of sentencing guidelines for fraud, document forgery, theft, abduction, food and healthcare related crimes, drug crimes, and obstruction of justice. Sentencing guideline system adopted by the current Sentencing Commission produces different sentencing factors depending on offenses, since it follows the individual, narrative approach of the UK guideline, rather than the grid-style American guideline that covers all crimes. However, such system results in a very complicated sentencing guideline. It is more troubling that the identical sentencing factors are ass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crime cases. For example, while “a person's participation in crime activities due to coercion or threat by others”is a factor that can reduce sentence,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 applies this factor only to theft and embezzlement, excluding murder and bribery. Objectivity of a sentencing guideline will lose its meaning if the factors that produce concrete sentence are inconsistent. Even the best written laws and punishments can ruin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last bastion of public freedom, if their components are unclear. On this wise, consistent sentencing factors are key to sustaining validity of sentencing guidelines. While establishing objective and fair guidelines for sentencing proves validity of the sentencing method, reviewing rationality of sentencing factors will prove validity of the results of sentencing.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o solve the issues of inconsistent sentencing factors under the current guideline system. Pursuit of fairness and objectivity in sentencing is not an empty call for utopian ideal, but is a foundation for achieving a practical ideal of realizing constitutional justice for the public and creating an integrated venue for human-centered dialogue of mutual respect.

      • KCI우수등재

        합리적인 양형을 위한 양형 조사 방안 -양형 조사 주체 및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승재현 ( Jea Hyen Soung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9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양형조사의 주체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양형조사를 누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하여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규범적 관점에서 양형조사 주체를 누구로 하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하여 보기로 하겠다. 이를 위하여 현재 양형조사 담당 주체에 관한 문제의 핵심적 쟁점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주장의 타당성을 법원과 검찰의 권력의 대립적 차원이 아니라 형사피고인의 관점에서 심도 있게 규명하여 양형조사 주체에 관한 국민적 공감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설정적 기초 토대를 마련하여 보기로 하겠다. 둘째, 양형조사의 결과가 가지는 실질적 가치와 관련하여 양형조사 주체를 누구로 하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하여 보기로 하겠다. 이를 위해서 각국 나라들이 취하고 있는 양형조사 시스템을 비교법적으로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각국의 나라들이 양형조사 주체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그 조사의 결과가 가지는 실질적 가치를 고려하여 결정하였을 것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교법적 고찰은 규범적 타당성과 더불어 양형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지에 대한 본질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실적 측면에서 양형주체를 누구로 하는 것이 타당한지 논증하여 보기로 하겠다. 이를 위하여 현재 법원이 실시하고 있는 법원산하 양형조사관이 조사하는 양형인자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재 법원산하 양형조사관이 조사하고 있는 현실적인 양형인자가 현 형사사법절차에서 수사기관 혹은 보호관찰소 소속 보호관찰관이 조사하기에 부적절하여 법원 소속 양형조사관에 의하여 조사되는 것이 당위적 이라면 이는 규범적, 비교법적 차원을 떠나 현실적 측면에서 법원 소속 양형조사관의 고유한 존재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적 모색은 소리 없는 공허한 이상적 발상이 아니라 방법적 타당성과 더불어 결과적 타당성을 충족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양형의 합리화는 검찰과 법원의 이해득실의 차원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입장에서 사법에 대한 신뢰 회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다. 즉 양형의 합리화는 국민을 위한 헌법 가치적 사법정의 실현하고, 인간 중심적 상호 존중 주의에 입각한 통합된 대화의 마당인 생산주의적 이상향을 달성하기 위한 토대임을 반드시 기억하고 이를 실현하는 바람직한 양형조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우수등재

        종범의 성립시기와 처벌 범위

        승재현(Soung, Jea-Hyen) 한국형사법학회 2011 刑事法硏究 Vol.23 No.2

        Der vorliegende Beitrag diskutiert die sukzessive Beilhilfe, die im Verhaltmis zur sukzessive Mittaterschaft wenig besprochen wird. Im koreanischen Schriftum wird die Haftung einer sukzessive Beilhilfe nochmals bei zwei Untergruppen behandelt. Einerseits die Moglichkeit des Hilfeleisten zwischen Vollendung und Beendigung, anderseits die Haftung der sukzessiven Beihilfe fur vor deren Hinzukommen verwirklichte Tatbestandteile zur Diskussion steht. Die Unterscheidung zwischen Vollendung und Beendigung ist wichtig und notwendig. Aber eine tatbeststandslose oder außertatbestandliche Beendig ung ist mit dem Erfordernis der Tatbestandbestimmthei nicht zu vereinbaren. Auch die Rechtsgutbezogene teleologische Auslegung ist auf den moglichen Wortsinn begrenzt ; der Wortsinn des Wegnehmens ist aber uberschritten, wenn man darunter auch noch did Beutesicherung hinsichtlich der weggenommen Sache verseht. Rechtstaatlich haltbar ist demnach nur ein tatbestandskonformer Beendigungsbegriff. Nach der tatbestandsbezogenen Beendigungsbegriff sind bei Dauerstraftaten die Beilhilfe nach der Vollendung bis zur Beendigung moglich. Gegenstand der strafrechtlichen Verbote und Gebote kann nur das sein, was dem Menschen uberhaupt moglich ist, zu tun oder zu lassen. Wenn die Hilfeleistung erst erfolgt, nachdem einzelne Teile des Tatbestands bereits verwirklicht wurden, die Beihilfe also nur eine Verantwortung fur ihres erst spateren Hinzukommen angelastet werden muß.In koreanischer Rechtsprechung und Lehre ist die Beilhilfe nach der Vollendung bis zur Beendigungmoglich und wird eine sukzessive Beihilfe mit Hftung fur eine Teilnahme am gesamten Delikt fur moglich gehalten. Aber diese Stellungsnahme der Rechtsprechung und Lehre kann in Kritik geraten werden. Denn die Ausweitung der Strafbarkeit zum außertatbestandliche Beendigungsbegriff ist mit dem ”Erfordernis der Tatbestandbestimmthei nicht zu vereinbaren. Auch es ist unrichtig, die Beihilfe fur das Kausalgeschehen, das gar nicht beeinflussen konnte durch sie, haften zu lassen.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양형위원회 양형기준모델의 타당성 평가

        승재현 ( Jea Hyen Soung )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1

        현재 법원에서는 2009년 5월 7일 양형위원회가 정한 7개 범죄(살인범죄, 뇌물범죄, 성폭력범죄, 강도범죄, 횡령·배임범죄, 위증범죄, 무고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종래 양형은 법관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던 관념에서 벗어나 양형의 판단도 법적 판단이라는 점을 인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은 양형의 균등성과 투명성의 측면에서 아쉬운 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현 양형기준을 정립하게 된 이유가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법원의 관대한 양형``, ``원칙 없는 집행유예의 인정``, ``개별적 사건에 있어서 합리성이 없는 형량의 불균형``을 시정하고, 국민에게 양형의 균등성과 투명성을 제공하여 사법의 신뢰를 회복하는데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현 양형기준은 개선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은 형량을 도출함에 있어서 양형기준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문제를 비판적 시각에서 논의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현 양형기준의 구조, 특징 및 양형도출의 모습을 검토한 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여 보기로 한다. 첫째 우리 양형기준이 개별 범죄마다 양형기준을 별도로 설정한 영국식 양형기준을 따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본질적 문제점, 둘째 현 양형기준은 양형 기준의 설정의 목적인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양형기준``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문제점, 셋째 규범적 측면에서 현 양형기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넷째 양형기준에 있어서 양형인자의 평가방법과 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마지막으로 형사 정책적 측면에서 국민이 현 양형기준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는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해보기로 한다.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비판이 법원의 양형 판단권을 검찰의 권한으로 이양하고자 하는 논의가 아니라 국민의 입장에서 어떠한 양형기준이 사법판단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고 양형과정의 투명성과 균등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임을 밝혀두기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