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종의 음악 정치 목적과 방법 고찰

        송혜진 ( Hye Jin S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동양예술 Vol.20 No.-

        본고에서는 세종대에 이루어진 여러 가지 음악관련 일들을 ‘음악정치’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음악은 감정의 언어로 인간의 감정을 유발, 발산, 정화, 격려하며, 메시지를 전달한다. 감정 언어로서의 음악의 성격은 고대로부터 인지되었다. 그래서 국가가 애써 교육하고 퍼뜨려야 할 음악과, 배격해야 할 음악을 분류하고, 국가의 지도자는 ‘건전한 음악’, ‘교육하기에 적합한 음악’, ‘바른음악’을 알고, 국민들을 ‘바른 음악’의 세계로 이끄는 것을 중히 여겼다. 이처럼 음악을 정치의 목적과 수단을 위해 어떤 음악이 ‘선전(propaganda)’되고 ‘금지’되었다. 이같은 예는 중국의 고전 『樂記』의 예악론에서부터 서양의 근현대사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음악정치의 사례까지 무수히 많으며, 관련 연구도 적지 않다. 기존의 연구에서 세종의 음악정책을 예악론과 연관지은 논의는 있었으나 음악정치의 관점에서 세종의 음악정치 역량, 목적, 방법, 평가 등을 고찰한 논저는 없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에 초점을 두었다. 음악정치의 성공여부는 통치자의 음악 이해도와 관계가 깊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세종은 음악 소양을 갖추고, 이론적 체계를 공부하였으며, 일상에서 향유할 줄 아는 知音 군주였다. 이를 토대로 세종은 尊卑의 차등이 분명하되 각기 능멸하지 않고 크게 조화를 이룬다는 예악론을 현실에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신악을 창제하고, 악보를 창안하였다는 점에서 세종은 음악정치를 주도할만한 역량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세종의 음악 정치 목적에 주목해 본 결과, 守成期의 정치상황을 음악으로 풀어보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세종은 上下通情의 화합을 도모하고 건국의 명분과 정당성을 펼치는데 관심이 높았다. 세종이 정치의 목적을 담은 歌詞 짓기를 독려하여 수십곡의 樂章이 新制된 점, 여러 곡 중에서 선왕의 공덕을 기리는 내용의 노랫말을 선별하여 가사에 담긴 ‘이야기’를 직접 작곡하여 발표한 일련의 과정들은 세종의 정치적 목적을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다. 세종이 택한 음악 정치의 방법은 첫째, 백성들과 교감할 수 있는 음악언어, 즉 향악의 선택, 둘째, 가사에 담긴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악가무 종합구성 양식의 선택, 셋째, 전파, 전승을 위한 기록방법 고안, 넷째. 강제적인 선전이 아닌 점진적 교화였다. 세종은 건국 정당성과 선왕의 업적을 기리는 노랫말에 전통적인 예악론에서 중시되는 ‘아악’ 대신 고려 전래의 토속성 강한 향악을 선택하였다. 이는 사람과 지리, 기질, 풍토에 따라 말과 音이 다르다는 점을 간파하고, 백성과 교감하는데 향악의 음악요소가 보다 효율적임을 판단한 결과였다. 세종은 정치적 목적을 담은 가사를 연주와 노래뿐 만 아니라 복식, 儀物을 갖춘 무용수들의 움직임 등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진 대규모의 작품으로 완성하였다. 이는 단순한 이야기의 전파를 염두에 둔 민요풍의 노래만들기가 아니라, 왕조의 위엄과 권위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공감하게 하는 장치로서 중요한 선택이었다고 판단된다. 한편, 세종은 새로이 제정한 음악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연주제도를 만들고, 악보를 편찬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를 강제로 선전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았다. 즉, 음악정치에서 흔히 논의되는 독재자들의 음악정치 선전 양상은 발견되지 않는다.이밖에 세종은 국가의 풍속을 바른 데로 이끈다는 명분으로 불교 및 무속관련 음악을 ‘폐풍’으로 규정, 통제하고, 향락적인 유흥은 금하였다. 그러나 통제의 방법에서도 오래된 풍속이어서 백성들이 알지 못하여 죄를 범하는 일이 없도록 점진적인 방식을 택하도록 하였으며, 예악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원론에는 맞더라도 관습을 참조하여 규제를 유예함으로써 통제가 억압과 독재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였음을 밝혔다. 이같은 세종시대의 음악정치는 동시대에는 대내외적으로 예악문물이 중화에 못지않으며 周 시대의 이상을 재현한 것으로 평가 받았고, 후대의 통치자들에게는 예악으로 善政을 펼친 성군으로 인식되고 있다. In politics, music has been exploited as one method used to govern a country. In the ancient document, Akki, "Ye-ak (the formal practice of human ethics and music) is defined as the root ideology used to govern the country, and politics can be comprehended by the understanding of music". Based on various examples related to the exploitation of music in politics in the history of Western society, the notion that "music is political whether fair or foul" has been current for a long time in western society as well. Therefore, the relation between music and politics is surely very close. If we look at aspects of music based on a political view, some music takes on the role of propaganda while other music is prohibited. Also, some musicians use their music to praise somebody or something while others use their music to oppose. Music is a language of emotion. It induces and releases the emotion of human beings. At the same time, it also purifies and encourages people``s emotion, and delivers a message.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as a language of emotion have been recognized from ancient times. Therefor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tate assorted music into several various kinds such as music that should be promulgated and distributed, and music that should be rejected. It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matter that the leader of the state understood ``healthy music``, ``music that is suitable for education``, and ``correct music``, and thus guided the people to the realm of ``correct music``.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Ye-ak (thought based on Confucianism) was regarded as the basic ideology of society. The realization of politics with human ethics and music was a significant issue since the early years of the dynasty. Therefore, in this period, the organiz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tate``s ceremonial music based on this ideology was a matter of great concern. In particular,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degree and extent of effort aimed at achieving this end reached a high point. In this paper, I have re-examined various achievements related to music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based on a political point of view. Sejong was well equipped in this regard, since he had learned about the theory of music and was able to enjoy music in his daily life. With this background, he organized court music, created new musical pieces, and used these pieces in various court ceremonies and parties. There were three purposes for this. First, it was to maintain the Ye-ak concept tha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but at the same time to create harmony between them. The second purpose was to promote accord and good rapport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people throughout times of prosperity. The third was to clearly define the justification and legitimacy of the state``s foundation. Numerous songs were created, and performance forms mixing song and dance were selected to express ``stories`` of the songs`` texts in synesthetic metaphor. Such presentations were stylized, and high levels of performances were accomplished with appropriate costumes, accessories and movements. Although Aak, which had been introduced from China and influenced by its music, was used in court music during his time, several elements from n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also adopted based on Sejong``s understanding that the language and music must be different according to people, geography, tendencies, and natural characteristics. A new system of dissemination was established, and several new score books were published to promulgate achievements. However, no enforced propaganda was carried out. Music and dance related to Buddhism and Shamanism were restricted, and this was justified on the grounds that the state``s custom had to be guided in a correct direction. Also, entertainment merely for pleasure and enjoyment was prohibited. However, enforcement progressed gradually, and several regulations were postponed, and so national control never reached a level of oppression or dictatorship. Such achievements related to the exploitation of music in politics were well evaluated during this time. It was also deemed that the Korean Ye-ak culture was well established, and conducted just as well in Korea as in China, such that it was often compared to the ideal level of the Chu state of China when the Ye-ak ideology had reached its climax. In addition, Sejong has been recognized, even up to now, as a good and wise king who governed the people very well using Ye-ak thought and culture.

      • KCI등재

        입상의 이산화티타늄 박막을 이용한 수소센서

        송혜진,오동훈,정진연,웬득화,조유석,김도진,Song, Hye-Jin,Oh, Dong-Hoon,Jung, Jin-Yeun,Nguyen, Duc Hoa,Cho, You-Suk,Kim, Do-Jin 한국재료학회 2009 한국재료학회지 Vol.19 No.6

        Titanium dioxide thin films were fabricated as hydrogen sensors and its sensing properties were tested. The titanium was deposited on a $SiO_2$/Si substrate by the DC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d was oxidized at an optimized temperature of $850^{\circ}C$ in air. The titanium film originally had smooth surface morphology, but the film agglomerated to nano-size grains when the temperature reached oxidation temperature where it formed titanium oxide with a rutile structure. The oxide thin film formed by grains of tens of nanometers size also showed many short cracks and voids between the grains. The response to 1% hydrogen gas was ${\sim}2{\times}10^6$ at the optimum sensing temperature of $200^{\circ}C$, and ${\sim}10^3$ at room temperature. This extremely high sensitivity of the thin film to hydrogen was due partly to the porous structure of the nano-sized sensing particles. Other sensor properties were also examined.

      • KCI등재

        가상화폐를 이용한 자금세탁 도구화에 관한 연구

        송혜진,Song, Hye Jin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화폐를 통한 범죄수익금의 자금세탁 경로를 범죄스크립트 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예방 및 대책 방안을 강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자금세탁을 통한 가상화폐의 수익 경로에 대하여 선행연구 조사결과와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범죄사례 등을 바탕으로 범죄스크립트 기법을 활용하여 자금세탁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금세탁을 한 가상화폐 대부분이 범죄수익금으로 전환되고, 이 수익금은 다시 세탁되어 현금화 되거나 범죄자금으로 쓰이는 악순환이 발생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스크립트를 통해 본 결과 자금세탁의 경로는 익명성을 이용한 가상화폐거래소에서 주로 범죄수익금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 경로를 여러 번 반복되기 때문에 가상화폐소를 이용하여 세탁되어진 자금을 형사사법기관 등에서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가상화폐를 이용한 자금세탁의 방법이 교묘화 되어가고 있어 이에 따른 흐름을 파악한 뒤 자금세탁에 대한 가상화폐 거래금지 또는 몰수에 따른 강력한 처벌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 of money laundering of criminal proceeds through cryptocurrency using criminal script analysis and to devise measures to prevent and prevent criminal justice agencies from doing so.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a prior study on the profit path of cryptocurrency through money laundering and criminal cases in Korea, the path of money laundering was analyzed using criminal script techniques. Result: Most of the cryptocurrencies that have been launched are converted into criminal proceeds, which are re-launched and cashed or have a vicious cycle of being used as criminal funds are used. According to the script, the route of money laundering is mainly converted to criminal proceeds from cryptocurrency exchanges using anonymity, which is repeated several time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find the money using cryptocurrency in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Conclusion: As the method of money laundering using cryptocurrency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legal sanctions and preventive 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prepared for the prohibition or confiscation of cryptocurrency transactions for money laundering after understanding the flow.

      • KCI등재후보

        가야금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연구

        송혜진 ( Hye Jin S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 동양예술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개발을 위한 방법론 연구이다. 필자는 「가야금 교수이론체계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2002)를 통해 가야금 교수이론에 대한 학술적 논의와 奏法 학습 이전의 통합적인 음악성 향상을 위한 학습 목표의 설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효율적인 연주를 위한 자세와 연주법을 주제로 한 「가야금 초기 연습 방법론 연구(1)-신체 운동 원리와 연주 자세」(2004)를 발표하였고, 가야금 기초연습의 합리적인 체계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연습곡 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관련 교재 연구와 실습을 진행해왔다. 기존의 남북한의 가야금 교본 류 저작물과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등의 기악 교재, 일반적인 음악 교수법 등을 참조하여 가야금 기초학습 및 연습곡 체계를 구상하는 한편, 대학원에 ‘가야금교수법’이라는 학과목을 개설하여 실기전공자들과 함께 집중적으로 토론하면서 연구의 기초영역을 넓힌 결과를 종합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개발을 위한 논의와 그동안의 실습을 통해 검증과정을 거쳐 ‘기본연습과정’과 ‘응용연습과정’으로 구분하여 4가지의 연습체계로 구성하였다. 일반 기악연습의 예와 남북한의 가야금 교본 류에 적용된 방법론을 살펴본 결과 보다 효율적인 연습을 위해서는 단 권으로 이뤄진 교본보다 연습체계와 연습곡이 각각의 목표에 맞게 설계되고, 지도자가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습을 위한 창의적인 다양한 응용연습체계와 이에 맞는 연습곡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12현의 응용연습과정에서는 ‘표제적 음형 연습을 위한 연습체계와 연습곡’을, 25현 가야금 응용연습과정에서는 ‘코드 익히기를 중심으로 한 연습체계와 연습곡’을 제시하였다. 연습체계에서는 난이도를 고려한 단계별 학습체계가 효율적임을 검토하였고, 각각 ‘주법익히기를 위한 간단한 악구’, ‘주법연습’, ‘연습곡’, ‘연주곡’의 체계를 수립하여 이에 맞는 곡들을 개발하였다. 간단한 악구와 주법연습은 각 단계의 목표에 맞게 새로 만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악보읽기, 부호익히기, 소리내기, 음색익히기, 이전 및 다음 단계와의 연계성, 수법 고치기, 음악표현력 익히기 등을 부수적으로 고려하였다. 연습곡은 기존의 악곡을 활용하여 악보를 가야금에 맞게 정리하거나 부분적으로 편곡하였는데, 악곡의 소재는 기초학습과정임을 고려하여 가야금 음악의 전통음악성 함양에 목표를 두어 주로 민요로 한정하였고, 25현 기초연습과정의 경우 창작국악동요를, 25현 응용연습과정의 경우 외국의 민요와 대중음악 등을 활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연습체계별로 30곡에서 70곡 정도의 연습곡을 마련하고, 실습과정에서는 이 체계와 연습곡이 1) 주법의 종류를 과정별로 달리하여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높여 연습할 수있다는 점, 2) 각 주법별로 ①주법 익히기를 위한 악구, ②연습, ③연습곡 ④연주곡으로 구성된 연습체계는 기존에 남한에서 간행된 교본류의 연습체계에 비해 효율적이라는 점, 3) 연습곡과 연주곡을 통해 다양한 악곡의 체험, 장단 익히기, 지역별 민요의 음악성과 특징적인 표현법 익히기, 악상기호에 유의하며 연주하기 등을 익힐 수 있도록 고려한 점, 4) 각 과정이 너무 길지 않아, 다음 단계로 연습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도록 기획되었음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is on the methodology for developing rational and basic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the gayageum, which enables students to comprehensively learn the educational contents essentially required for all beginners in the instrument. In 2002, in another paper entitled,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oretical system for teaching and learning gayageum," I have already suggested various issues that spring from teaching gayageum, strongly advocating for sequential research on the topic. Ever since, I have continued pursuing this issue with students of gayageum,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cusing on their learning experience, to learn if they need a special course according to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and whether developing creative teaching methodology based on step-by-step learning and systematic etudes is necessary for their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learning system and methods for developing etudes for the 12 and 25-stringed gayageum, based on the result of my compiling of basic disciplinary works for the gayageum and its application on the students for 12 weeks. This paper first looks at what is considered important in most textbooks for teaching he piano, violin, and guitar, followed by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teaching manuals for gayageum currently used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s. Then it suggests 4 types of systems as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systematic teaching for the basic disciplinary etudes for the 12 and 25 stringed gayageums respectively. First, the essential constructive elements necessary for basic disciplinary system of gayageum is categorized into basic learn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the premises that creative and multiple application system and related etudes must be developed, I have suggested, for the 12 stringed gayageum,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learning program note forms`` and, for the 25-stringed gayageum,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learning to play chords.`` I have decided also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presuppose different learning levels for teaching gayageum, for each of which various systems for learning are provided with appropriate musical examples accordingly; ``simple melodic forms for learning different techniques,`` ``training your fingers`` ``etudes`` and ``stage pieces.`` In ``Simple melodic forms for learning different techniques, special care is given to learning to read scores and symbols, as well as training to make sound and different tone colors. This is supported with tips for learning lower and higher technical levels, as well as practice methods for correcting your techniques and for learning various musical expressions. Etudes are partial arrangements of established musical pieces to suit gayageum performance. The subjects for the pieces were chosen based in the consideration that this is for basic learning and that it should promote the deepening of musical abilities required for playing traditional pieces. Therefore, the etudes include mostly folk songs, but for the 25 stringed gayageum, I have included newly composed children``s songs for the basic level and folk songs of other culture and popular tunes for the application level. The resulting 30-70 etudes, categorized into different practice levels, were test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which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allows a step-by-step learning, by altering the level of etudes according to one``s present abilities. 2) For each technique, four levels of difficulty are provided; ①basic melodic forms ② its application ③ etude ④ musical piece. Such format allows a more efficient learning compared to other currently practiced textbooks. 3) Experiencing and learning various musical pieces and rhythmic forms through etudes and musical pieces, learning musical features of local folk songs and their unique musical expressions, and playing with a special attention to expressive symbols. 4) Each section is not too extensive, designed in order to motivated students to keep going without slackening their energy. I have no doubt that such study as this, of the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 for the instrument, has already been formulated in the minds of most textbook designers and teachers of gayageum. However, there was no sufficient discussions on what kind of system would be most appropriate, which leads to mere duplication of current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required a more logical approach and open discussions on the disciplinary system and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gayageum.

      • KCI등재

        피해액에 따른 소비자분쟁의 집단적 구제제도

        송혜진(Song, Hye-Jin) 한국재산법학회 2017 재산법연구 Vol.34 No.2

        소비자분쟁은 피해소비자의 다수성, 소비자의 열등한 지위, 증명책임의 곤란 등을 일반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소비자피해의 특수성으로 인해 전통적 소송방식으로는 소비자분쟁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따라서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국의 입법자들은 소비자권리 보장을 위한 최적의 수단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집단적 권리실현의 수단을 다양하게 갖추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민사소송법상 공동소송․선정당사자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외에 간접적 구제수단인 소비자단체소송과, 사후적 구제수단으로서 소비자집단분쟁조정 및 증권관련집단소송이 도입되어 운용되고 있다. 현재 몇몇 구제수단은 소비자분쟁 해결을 위하여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으나, 소비자피해를 효과적으로 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기에는 불충분하다. 특히 사후적 구제수단의 불비가 끊임없이 지적되어 왔으며, 그로인하여 집단소송 도입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집단소송 도입과 관련하여 현재 계류 중인 법안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미국식 옵트아웃 집단소송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외국의 입법례에서 보듯이 옵트아웃 집단소송뿐 아니라 옵트인 집단소송, 또는 혼용형 등 다양한 방식의 집단적구제수단이 존재한다. 다양한 각국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집단적 권리구제의 방식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소비자피해는 일반적 특징 이외에 피해액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소액다수의 피해의 경우 개별 소비자의 피해는 소액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서 소송을 통한 권리실현을 포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업자가 위법행위로 얻은 거대한 이익이 그대로 사업자에게 남게 되고, 오히려 사업자에게 위법행위를 반복하도록 유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 다. 따라서 소액다수의 피해의 경우 개별피해자에게 손해를 배상하는 것보다는 사업자의 불법이익을 환수하여, 사업자의 장래의 불법행위를 억지하는 것이 소비자보호를 위하여 더욱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소액피해에서 소송기피현상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므로, 소비자단체 등이 이익환수소송을 수행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고액다수의 피해의 경우 다수의 개별소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송경제상의 낭비나 법적 안정성 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액다수의 피해는 생명․신체의 침해로 인하여 발생하므로, 피해당사자의 손해의 모습이나 손해액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1단계에서 는 공통쟁점(사업자의 책임증명)을, 2단계에서는 개별쟁점(손해액의 확정 등)으로 나누어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1단계 소송은 인적․물적 시스템을 갖춘 소비자단체등이 수행함으로써, 개별피해자의 증명책임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개별피해자들은 참가신청을 통하여 1단계소송의 결과를 원용할 수 있도록 한다. Consumer disputes are characterized by the majority of injured consumer, the inferior status of consumers, and the difficulty of the onus of proof.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se consumer damage, it has been difficult to resolve consumer disputes through traditional litigation methods. Therefore, legislators who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other countries have tried to find the best means to guarantee consumer rights for decades. As a result, various forms of collective remedies have been provided. In Korea, there is a joint litigation and appointed party system under the Civil Procedure Code. In addition, consumer organization action, collective dispute mediation and securities-related class action are introduced and operated. Currently, some remedies contribute to consumer disputes to a certain extent, but they are insufficient as means for effectively relieving consumer damage. In particular, the need to introduce class action is increasing. Consumer damage seems to be a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amage amount besides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small damages, the damage of each individual consumer is often small, so that a lawsuit is commonly avoided. Therefore, the business gains huge profits by illegal act and is induced to repeat the illegal act. Accordingly,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consumers to protect the illegal act of the business by redemption of the illegal profit of the business rather than individual compensation for damage. Because of the frequent occurrence of avoiding lawsuits in small damages, it is necessary for consumer organizations to take legal action for redemption of the illegal profit. In contrast, in the case of large damage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judical economy and legal stability that can be caused by a number of individual cases. Generally, a large amount of damage is caused by the invasion of life and body, so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damage and the amount of damag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carry out a litigation by dividing the common issue(procedure of determining liability) in the first step (by consumer organizations) and the individual issue(procedure of determining scope of compensation) in the second step. The effect of the first phase procedure is on the individual injured consumer who applied for the entry.

      • KCI등재

        세종대 동아시아 예악론의 인식 양상과 의례음악 정비

        송혜진(Song, Hye-jin)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세종대의 국가 음악 정비 과정에서 노정된 동아시아 예악에 대한 인식을 주요 쟁점별로 정리하고 이를 세종대에 간행된 악보를 통해 재검토하였다. 세종대에는 국가 의례음악 정비과정에서 예악의 불균형, 예악 전거(典據)의 선별과 습용(襲用) 범위, 아악전용과 향악겸용 문제, 조종의 공덕을 기리는 악무 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예에 비해 소홀히 취급된 악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현실 인식에서 촉발된 예악정비는 고제(古制)를 전형으로 삼고 경전과 역대의 주요 역사서와 사전류를 참고하되, 중국의 예악 전승도 ‘순정’하지 않으므로 ‘고례(古禮)’와 ‘시의(時宜)’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귀결되었다. 아울러 세종 전반기에는 고제의 예악론에 따라 속악을 버리고 아악만을 전용하자는 논의가 우세하였지만, 점차 ‘조선의 음악이 중국과 다르다’는 인식하에 향악 겸용론이 정착되었다. 세종 후반기에는 조종의 공덕을 기리는 교화 목적의 대규모의 악무 제정이 새롭게 추진되는데 이 과정에서는 전통적인 예악론에서 기피하는 속악을 과감히 채용함으로써 중국과 다른 국가의례음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세종대의 예악론의 인식과 국가예악 정비의 성과는 세종대에 세 종류의 악보로 완성되어 『세종실록』 권 136부터 권147권에 부록되어 전한다. 『세종실록악보』의 아악보는 군·신·민·사·물의 질서를 악률론으로 구현한 『율려신서』의 이론 중 일부를 채택하여 논리적 체계를 세우고 이를 활용하여 조회아악과 제사아악을 완성하여 악보화하였다. 이 악보는 중국의 원전을 조선의 방식대로 재편한 것이며, 중국과 다른 기보체계인 ‘궁상자보’를 새로 만들어 쓴 것이다. 신악보는 향악과 고취악에 기하여 조종의 공덕을 기리는 악가를 수록한 것이다. <봉래의>·<정대업>·<보태평>·<발상>의 42곡이며, 중국악보에서도 활용된 적이 있는 네모칸 악보를 응용하여 가사와 악기선율, 음높이를 적고, 여기에 중국과 달리 음의 시가를 표기할 수 있는 유량악보, 즉 정간보를 탄생시켰다. 세종대에는 아악 외에 전래의 속악을 정비하는데도 힘을 기울였다. 세종대에 속악 23곡을 수록한 『시용속악보』가 간행되었고, 이 중 두곡이 『세종실록악보』말미에 수록되었다. 이상과 같은 세종시대의 음악정비는 동아시아 유교의 근간을 이루는 보편적 예악론의 구현에서 출발하여 고제에 맞는 아악을 완성한데 이어, 예악론의 자율적 해석을 통해 조선 고유의 독창적인 신악을 창조하였다는 점에서 유례없는 음악사의 업적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국경을 넘는 소비자계약을 위한 소비자 · 사업자개념의 통일적 정의

        송혜진(Song, Hye-J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東亞法學 Vol.- No.76

        소비자계약이란 소비자와 사업자간의 계약을 의미한다. 소비자계약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보호를 받을 소비자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그와 대응하여 소비자계약의 일방 당사자인 사업자개념 역시 확정되어야 할 것이다. 두 개념을 정립하였을 때 소비자계약에서 보호받는 소비자 범위를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리 민법에서는 소비자계약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각종 소비자법에서 소비자 · 사업자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즉 소비자기본법, 표시광고법, 방문판매법, 전자상거래법, 할부거래법, 약관규제법 등에서 소비자계약을 전제하고 있다. 각국은 자국의 상황에 맞는 소비자․사업자개념을 정립하였으며, 국경을 넘는 계약에서의 소비자보호를 위하여 국제계약법(CISG, PICC, PECL, DCFR 등), EU지침 등은 소비자 범위를 직 · 간접적으로 확정해왔다. 이와 관련하여 공통참조기준초안(DCFR)에서는 국제계약법 중 처음으로 소비자매매계약을 명시적으로 규정함으로써 소비자 · 사업자개념을 정의 내렸다. 소비자․사업자 정의는 대체적으로 일치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상이한 점 역시 존재한다. 국제계약법 · EU지침 · 유럽 각국의 입법례(이하 국제계약법 등)에서의 소비자 · 사업자개념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 소비자법에 3가지 시사점을 준다. 먼저 소비자 범위 확장에 있어서도 국제계약법 등은 법적 안정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소비자는 자연인에 한하며, 원칙적으로 법인을 소비자 범위에서 배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소비자법에서는 소비목적을 중시하여 소비자를 규정함으로써 소비목적을 가진 법인의 경우 소비자 범위에 포괄적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책적 의미의 소비자를 인정함으로써 생산목적을 가진 경우라도 일정한 요건 하에서 법인 등을 소비자로서 보호하고 있다. 다음으로 소비자․사업자개념을 적극적 방식으로 정의할 것인가 또는 소극적 방식으로 정의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혼합목적의 경우(소비목적과 소비목적 이외의 목적의 혼재의 경우)가 문제된다. 국제계약법 등에서는 소비자인지의 여부는 주된 목적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사업자인지의 여부는 부분적으로라도 영업목적 등으로 행위하는 경우 사업자로 판단한다. 우리 소비자법에서는 혼합목적에 관한 명문의 규정이 없다. 다수의 개별소비자법에서 소비자 · 사업자개념이 흩어져서 규정되어 있어, 우리 소비자법의 통일화 작업은 시급하다 할 것이다. 소비자 · 사업자개념의 체계적 통일화를 위하여 국제계약법 등의 규정을 참조하여 국경을 넘는 소비자계약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A Consumer contract is a contract between a consumer and a business. To protect consumer in the consumer contract, it has to be preceded about definition to the concept of consumers to be protected. In response, the concept of a business, one party of a consumer contract, should also be established. For consumer protection, International Contract Laws(CISG, PICC, PECL, DCFR etc.), EU Directives and the laws of the European countries(hereinafter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have established the concept of consumer and busin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efinition of a consumer and a business in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m Korean consumer law.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is: there are three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a consumer and a business between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und Korean consumer law. First, in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a consumer is only natural person while in Korean consumer law can be legal person. Korean consumer law contain special protection for small business and similar enterprises. Second, in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a “consumer” means any natural person who is acting primarily for purposes which are not related to his or her trade, business or profession(negative definition). However, in Korean consumer law, a consumer means those who use the goods and services provided by business for their daily lives as consumers or for their production activities(positive definition), who are designated by Presidential Decree(the comsumer of the politic meaning). Third, in some cases the natural or legal person could be acting both within and outside a trade, business or profession. In such cases,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determein whether a consumer or a business is based on the primary purpose. But in Korean consumer law, there is no standard rule for mixed cases. A comparative legal review with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is useful for the Uniform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the Consumer and the Business for Cross-border consumer contracts. The harmonization with International Contract Laws etc. should strive for a higher level of consumer protection.

      • KCI등재

        『세조실록』 圓丘 《新製 雅樂譜》의 연원에 대한 고찰

        송혜진(Song Hye jin)(宋惠眞) 국립국악원 1995 국악원논문집 Vol.7 No.-

        This paper explores the Sinje Aakpo 新製雅樂譜 [New Ritual Music Scorel) for the Won gu 圓丘 [Heavenly Spirits) in the Annals of King Sejo(1455-1468). The Origin of this score has been questioned by the editor of Taeak-hubo 大樂後譜 [Scores of Great Music : Later Edition] (1759), and has not yet been studied until now. My analysis compares this score to those from Sung, Yüan, and Ming China and reveals their differences as follows. The the Sinje Aakpo melody performed only between the Third and Tenth year King Sejo(l457-1464) is unlike the other Korean Aak melodies, making us believe that it originates from another source, rather than Ta-ch eng yüeh-p u 大成樂譜 [Collection of Ta-ch eng Music) written by Lin yü 林宇, This score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Aak Notations in that it does not indicate the orchestration of each order; it fails to follow the Principle of Yin-yang Harmonic Sound, using only the key of F in the Tangsang 堂上 Terrace of the shrine building and the Tangha 堂下 Chortyard; and melody and text follow the four syllables, eight lines format; and finally, it lacks titles of the pieces in its text. The Annals refer to the differences shown above as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at of Ming Dynasty. However, my analysis reveals that these differences are related to that of Yüan and Sung Dynasties, not Ming. Thus New Ritual Music Score for the Heavenly Spirits is a significance source that should be further studied.

      • KCI등재

        장안사 및 장안사 소속 일행의 공연 활동 연구

        송혜진 ( Hye Jin S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본고에서는 1910년 전후에 전통공연을 펼친 여러 극장 중에서 기본적인 정보가 불분명한 장안사(長安社)를 주제로 공연장의 설립과 폐관시점, 극장주와 운영방식을 재고하였다. 아울러 전통공연레퍼토리와 출연진을 살피고, 전통공연활동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장안사(長安社)는 1900년대 초기에 협률사(協律社) 개관 직후 중부 장사동(長沙洞)에 문을 연 ‘삿갓집 모양’의 연희장(演戱場)에 연원들 두며, 공연활동 시점은 지금까지 알려진 1908년 7월 이전으로 소급할 수 있다. 장안사에서의 전통공연은 1914년 10월경에 막을 내렸다. 그러나 그 이후로도 극장은 존속했으므로 공연 종료시점과 폐관 시기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장안사의 극장주는 이길선(李吉善) 한사람으로 거론된 것과 달리 7년여 동안 극장주가 수차례 바뀌었고, 극장은 주로 대관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음을 밝혔다. 장안사의 존속기간이 길지는 않았으나 활동의 양상을 네시기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설립시점부터 1909년까지 전통공연 및 연극, 영화, 중국연희 등 대관공연 중심으로 운영되던 초창기, 이동백(李東伯) 등의 판소리 명창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대중의 지지를 얻기는 했으나 사회적으로는 음탕한 공연물의 온상으로 표적이 되었던 1910년부터 1912년까지의 전통공연 모색기, 배응현(裵應鉉)·심정순(沈正淳)·김재종(金在鍾) 일행(一行)이 주도한 상설공연과 지방공연으로 전통공연의 최전성기를 구가한 1913년과 1914년초까지의 융성기, 재정난을 이기지 못해 문을 닫기까지 1914년 6월전후의 극장운영 쇠퇴기로 정리할 수 있다. 한편, 전통공연 최 전성기를 구가한 시기의 장안사 공연활동을 일행별로 살펴보면 배응현(裵應鉉)은 전통가무 종목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심정순(沈正淳)은 실연자로서는 전통 종목에 강했지만, 일행을 이끄는 기획자로서는 신소설 등을 소재로 하여 개량한 구연극(舊演劇) 형태의 공연에 주력하였다. 김재종(金在鍾) 일행은 배응현, 심정순이 구축한 장안사 레퍼토리를 토대로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기존 프로그램의 개량은 물론 타 극장에서 인기 있는 레퍼토리를 적극적으로 차용하였다. 장안사는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전통공연을 이끈 ‘일행’(一行)들이 전통적인 양식을 극장공연형태로 전환하고, 새로운 공연종목을 개발하는데 매우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한편, 서울 공연에 한정하지 않고 지방순업대를 운영하여 극장의 영향력을 확산하였고, 지방과 서울에서 청중들의 지지를 얻은 ‘구연극’ 종목이 타 극장에서 공연활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The Changansa 長安社 was the one of the theaters in Seoul used during the early 1900s for the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ance and drama.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kinds of performance that were held, and when and how many times these performances were staged by groups of entertainers called irhaeng 一行-actors/actresses under contract to the theater. The Changansa theater began as a place of entertainment from 1907, not 1908 as previously thought. It was the principal venue for all kinds of entertainment such as film, drama and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Between 1907 and 1909 the repertoire of the theater consisted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drama, movies, and Chinese theatrical entertainment; between 1910 and 1912, p``ansori 판소리 (single actor operatic drama) performances, including some by the singer Yi Tong-baek 李東伯 were produced which unfortunately led to the theater being criticized for becoming a source of loose morals. In 1913-1914 the Changansa reached its pinnacle in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with the trio Pae ong-hyon 裵應鉉, Sim Chong-sun 沈正淳 and Kim Chae-jong 金在鍾 leading regular performances in Seoul as well as on provincial tours. From June 1914 the theater began to experience financial difficulties which led to its closure. During the theater’s heyday, Pae 裵, Sim 沈 and Kim 金 formed their own entertainment groups, Pae in traditional dance, Sim dramatizing the modern novel, and Kim staging adapted dramas by Pae, Sim or artists from other theaters. Kim also adapted dance performances by the Kang Son-ru group 降仙樓一行 of the Tansongsa 團成社 theater, by adding new elements to them. This has led many researchers to regard the main repertoire of the Changansa as dance, but actually the main activity of the theater was old-style play (kuyon``gok 舊演劇) like operatic drama, ch``anggok 唱劇. As the first modern theater in Korea, the Changansa brought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hat had been staged outdoors to an indoor stage, and it allowed groups of performers to create a new genre, old-style play, which influenced the repertoire of other theatrical groups in the 1900s.

      • KCI등재

        각질형성세포에서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이 Lamini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

        송혜진 ( Hye Jin Song ),김미선 ( Mi-sun Kim ),이홍구 ( Hong Gu Lee ),진무현 ( Mu Hyun Jin ),이상화 ( Sang Hwa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2

        피부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이란 표피와 진피 사이에 존재하는 특별한 구조물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켜 피부 구조를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노화 및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기저막의 구조적 변화와 파괴는 피부 주름 형성과 탄력 저하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현상의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Laminin-332 (LN-332)는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피부에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Melandrium firmum hexane fraction, MFHF)이 각질형성세포에서 L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 (RT-PCR)과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서 MFHF가 LN-332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FHF가 어떤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LN-332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38 MAPK 억제제인 SB202190과 ERK1/2 억제제인 U0126을 처리한 결과, p38 MAPK 억제제에 의해서 LN-332 발현이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타입 VII과 integrin α6의 mRNA 발현 역시 MFHF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MFHF가 각질형성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소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저막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노화 현상의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Skin basement membrane (BM) is a specialized structure that binds dermis and epidermis of the ski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skin structure. Structural change and destruction of BM is reported to appear due to UV exposure and aging, which may contribute to skin aging including wrinkle formation and a decrease in elasticity of the skin.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the BM is laminin-332 (LN-332), and is a major contributor to epidermal- dermal attachment.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effects of Meladrium firmum hexane fraction (MFHF) on LN-332 expression in HaCaT, a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Quantitative real-time PCR (RT-PCR) and immunoblot analysis revealed that MFHF induced upregulation of LN-332 gene and protein expression. Next, cells were treated with p38 MAPK inhibitor (SB202190) prior to MFHF treatment to analyze the signaling pathway contributing to LN-332 expression.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LN-332 expression were suppressed completely by pretreatment with p38 MAPK inhibitor. Furthermore, MFHF also increased the mRNA level of collagen type VII and integrin α6 of skin BM component.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MFHF may have potential as an effective agent to stimulate the synthesis of BM components, and could be used to improve phenomenon of skin aging ascribed to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impairments of BM in aged human sk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