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치(落齒): 쇠락하는 신체의 발견과 그 수용의 자세

        송혁기 ( Hyok-key Song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4 No.-

        낙치는 머리로만 알던 노화가 나의 문제로 강렬하고 고통스럽게 체험되는 순간이다. 순차적이면서 분절적인 낙치의 진행을 거치며 당사자는 노화를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다. 서서히 진행되는 신체의 쇠락을 문득 ``발견``하게 만드는 경험인 낙치를 제재로 삼은 한문학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노년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노화의 진행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정한다 해도, 막상 낙치를 경험했을 때 느끼는 것은 당혹감이다. 낙치로 인한 외모 및 발음의 변화는 부끄러움과 대인기피로 이어지기도 한다. 당혹감과 부끄러움은 좌절을 낳는다. 이미 진행되어버린 노화에 대한 일차적인 반응은 이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순응하는 것이다. 인정과 순응을 넘어서서, 노화에 대한 인식을 전환함으로써 스스로를 위로하는 길도 있다. 노화가 진행될 나이까지 살았다는 것 자체가 이미 감사할 일이며, 낙치로 인해 잃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얻는 것도 있다. 조금 거리를 두면 낙치는 해학의 소재로도 적당하다. 낙치를 빌미로 상대에게 농을 걸기도 하고 낙치 자체를 희화하여 시를 짓기도 한다. 씹지 않고도 넘길 수 있는 술 밖에 못 먹으므로 술을 즐길 이유가 더해졌다는 말도자주 등장하는 해학이다. 많은 작가들이 낙치를 해학으로 다루고 놀이처럼 시를 지었다. 시를 통한 놀이와 해학이야말로 쇠락해 가는 신체를 위한 정신적 자위의 방법이다. 노년이라는 이유로 젊은 시절에는 금기시되던 것에 대한 자유를 누리는 길을 택할 수도 있다. 물론 적극적으로 얻어낸 자유가 아니라 그저 노화와 함께 주어져버린 자유이긴 하다. 나아가 노화로 인한 깨달음을 표현한 작품들도 있다. 노화 자체가 깨달음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노년에 이름으로써 얻게 된 ``일 없음의 자유``는 그 전에 보지 못한 것을 볼 수 있게 하며, 젊은 날에는 알 수 없었던 흥취를 누리게 하기도 한다. 노년의 나는 지금의 나와 일도선상의 시간 위에 놓여 있다. 노년의 나는 바로 나인 것이다. 그런 면에서 노년의 문제는 아직 노년에 이르지 않은 이들의 것이기도 하다. 문학을 통해서 노년에 일어나게 될 신체 변화를 지금 나의 신체와 감각을 가지고 추체험 하는것은, 그래서 매우 독특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Since experience of losing one’s teeth means sudden discovery of aging in the middle of gradual process of growing old, Sino-Korean writings about lost teeth show the attitude of recognizing and ccting the evening of one’s life It is embarrassment that people feel when their teeth fall out with aging. Their appearance and pronunciation changes due to lost teeth, and it some times ends up with the sense of shame and soial phobia. The feeling of embarrassment and shame easily turns into depression. The common reaction to the reality of the ongoing aging process is just to admit and accept it. One can also change his attitude toward aging to reconcile oneself, being grateful of having a long life enough to loose teeth. It can be a good subject to make fun of when standing apart from it, like many writers chose to make jokes and versify humorous poems on loosing teeth. Being humorous is also a good way of self-consolation for withering body .In addition, there are some works showing wisdom coming with aging. Even though aging itself never guarantees someone``s wisdom, seniors’ freedom from duty sometimes gives them new perspective to see what they could n’t see when young. Since the aged and the young are standing on the same path of time, there ality that the elders face with also matters to those future oldsters. That’s where we can find the unique feature of the imaginary experience of aging through literature, sensing and feeling the old body via personal body experience not yet old.

      • KCI등재

        특집 1: 백운 심대윤의 문학과 사상 : 심대윤(沈大允) 산문(散文)의 의론성(議論性) 일고(一考)

        송혁기 ( Hyok Key Song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본고는 심대윤 산문의 특징인 의론성의 실체와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의론 산문의 관건은 참신한 立意와 설득력 있는 전개에 있다. 심대윤은 일반의 이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문제를 제기하고 通道의 허를 찌르는 작품을 즐겨 창작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들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익숙한 지점을 집요하게 파고들어가고,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대상을 재규정하며, 역발상과 반어로 통념을 흔드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세상살이에 畸人이었던 심대윤은 본인의 문장에 대한 자부심만은 대단했다. 改作과 擬作이 많다는 점, 역대 문장가와의 대결 의식을 보여주는 自註와 評語등에서 심대윤의 창작 실험과 문장력에 대한 자부심을 볼 수 있다. 기존에 인정받아온 작품들을 비틀고 뒤집고 다시 쓰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심대윤 산문에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을 함께 제시하면서 하나 혹은 여럿의 이항대립을 전개의 축으로 삼아서 전개하는 작품이 많다. 심대윤이 즐겨 구사한 이항대립의 논법은 이항대립의 극복으로 나아가기 위한 포석의 성격을 지닌다. 그극복은 주로 개념의 근원으로 돌아가 상대화시키거나, 또 다른 기준의 개입을 통해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모든 것에 우선하는 개념이 公利다. 심대윤이 글을 쓰는 이유는 福利사상을 전하고자 하는 데 있었다. 자신의 옳음만을 내세우며 따르라고 외치는 것이 능사가 아니고, 대중과 눈높이를 맞추고 보조를 함께하여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심대윤 사상의 특징이었다. 그의 산문에 유독 의론성이 강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당장 세상을 바꿀 수 없다 하더라도 글로 남겨야 언젠가 실현될 수 있으리라는 신념과 사명감에서 심대윤은 실로 다양한 방식으로 언젠가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한 글쓰기를 시도한 것이다. The persuasive characteristic(議論性) is what defines Sim Dae-yun``s prose. This thesis will analyze the repetitive theme, the way of organizing the argument and rhetoric, after categorizing some of Sim``s persuasive style prose, Ui-ron(議論), into several patterns. The key point of Ui-jak is the originality of the subject and the persuasiveness of the argument. Sim raised a question a step ahead of common thoughts and wrote prose works targeting the weak point of a stereotype. Strategies he used is throughly investigating a familiar aspect of life, redefining an object commonly recognized as something negative, reversing the way of thinking and using irony to disturb the common sense. Simwas very proud of his literary ability. His ui-jak(擬作) and gae-jok(改作) proses, a writing style that twists and rewrites famous literary works, show his experimental writing approach, and his own footnotes and the evaluation fromhis colleagues suggest his rivalrous attitude with successive writers. There are many works that is organized on the basis of one or more dichotomy, presenting pairs of counter-concepts, in Sim``s prose. In his line of argument, he used those dichotomous concepts only to get over the dichotomy itself, by relativizing the ideas back to the origin of the concept, or reassembling those concepts with a new standard. In his writing, Sim tries to show a kind of utilitarianism. The idea that one should keep the pace with the average readers rather than be dogmatic, is what distinguishes his writing, and that``s why he mainly wrote the persuasive style prose. In his conviction that even though he couldn``t reform the society right away, his writing would preserve his ideas to be realized, he wrote a variety of prose works to persuade someone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송혁기 ( Hyok Key Song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사직상소문은 대개 표면적인 창작 동기와 형식적 수사, 심지어 사직을 청하는 주된 논거의 내용까지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 글쓰기이다. 따라서 그 문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이러한 관습을 포함하여 상소문이 산생되는 일반적인 과정과 각 상소문이 놓이는 정치적 배경에 대한 이해, 투식적인 수사 가운데 담긴 작가의 속내 등을 섬세하게 읽어낼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 문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는 방법론적 시도로서 장유, 이식, 김창협의 작품 한 편씩을 사례로 삼아 분석하였다. 관습이 강하게 작용하는 사직상소문이지만, 천편일률적으로 격식화된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각자 자신이 처한 상황과 그 자리에서 왕에게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자신의 방식으로 표현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어떻게 표현하였는가''를 중심으로 각 작품의 문학적인 면을 분석한 중간보고는 다음과 같다. 장유는 극단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평이한 문체로 속내를 토로하였다. 논지의 강화를 위해 억양과 비유를 동원하기는 했으나, 강한 반론이 요구되는 창작 배경에 비해서는 비교적 평이한 흐름을 보여준다. 그러나 논리나 수사와는 또 다른 측면에서 정서적 공감을 통한 설득력을 지닌다. 이식은 스스로를 탄핵하는 상소문임에도 자신의 감정을 직접 드러내지 않으면서 전범적인 단락 구성 가운데 간접적으로 왕에 대한 경계를 숨겨 두었다. 반복해서 읽어 내려가다 보면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새로운 의미들이 단락과 단락 사이에서, 혹은 단락을 뛰어넘어 복류하는 내적 구조를 통해 모습을 드러낸다. 김창협은 감사와 슬픔, 칭송과 원망을 교묘하게 착종하는 방식을 통해 말한것과 말하지 않은 것 사이의 긴장을 끝까지 유지하였고 구법 및 장법의 탁월한 운용을 보여주었다. 원망의 말을 한 마디도 직접 내뱉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왕의 마음을 흔들 수 있을 만한 힘을 지닌 문장이다. 이들 세 작가의 작품 세 편으로 사직상소문 전체를 대별하거나 유형화할 수는 없으나, 이를 통해 사직상소문에 대한 문학적 접근의 가능성 및 방법론의 일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Memorials to the King for resignation. This kind of articles have regular patterns and forms in motivation, rhetorics, and even its contents. Therefore we need to take theoretic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m delicately. As an academical attempt, I analyzed three articles written by Chang Yoo, Lee Sik, and Kim Chang-hyup. Though it has definite form, there is a chance to observe the variation following by each author. Focusing on the modes of expression, I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writers like following. First, Chang Yoo shows true heart in his article. He left 18 articles for resignation. He wrote in a plain style, while he wanted to arouse emotional sympathy from the King. Second, Lee Sik shows the intention of alert to the King in his article. Though he impeached himself, he tried to warn the King in minute composition. As it is perfectly logical, it is hard to refute his argument. Third, Kim Chang-hyup shows the tension throughout his article. He blended the emotion of gratitude and grief, compliment and resentment to maintain the tension. Though he did not say anything about resentment directly, he could move the King's mind. It is true that we can't classify all the memorials to the King for resignation with these three articles. However I hope to make a stepping stone of literary approach for them.

      • KCI등재후보

        曺兢燮의 金澤榮 諸家文評 비판과 그 비평사적 의의

        송혁기(Song Hyok k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金澤榮(1850~1927)의 산문비평 언급들은 그간 산문사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쳐왔다. 본고는 當代의 曺兢燮(1873~1933)이 가한 비판을 통해, 김택영의 우리 산문사 인식 자체를 상대화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조긍섭이 지적한 지점들 각각이 현 단계 산문사 연구에서 석연하게 정리되지 않는 몇 대목과 직접 연관된다는 점에서 재고가 필요하다. 첫째 李穡 이래 조선 전기 산문의 평가 문제이다. 이제현 이후 장유ㆍ이식 이전의 모든 작가를 배제한 김택영의 견해는 독특한 경우에 속하는 것임을 조긍섭의 지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전기 산문사는 그것대로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고, 한편으로는 왜 조선전기를 산문사의 공백기로까지 치부하는지의 문제를 본격적인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조선 중기 산문사 전변의 실질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擬古派의 존재와 崔?의 산문사적 위상 문제이다. 최립이 전후 칠자와 연관되어 비판적으로 거론된 것은 영향의 실제 여부를 떠나 문체의 유사성을 근거로 후대에 이르러 성립된 것이다. 그가 당송문 일변에서 진한문으로 전범대상을 전이ㆍ확장하는 데 중요한 몫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작법으로서의 ‘의고’ 혐의는 전범대상과는 분리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최립 당대로서는 오히려 그가 주력한 전범 학습과 수사 단련 자체가 산문이 추구할 수 있는 문예미의 기본으로서 특필되기도 했다. 조긍섭은 최립 산문의 전칠자 연원과 의고성을 지적하면서도 그 나름의 산문적 성취와 산문사적 위상을 제기함으로써, 당송문 편향인 김택영의 작가 선정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셋째 朴趾源 문학에 대한 평가와 古文의 개념 문제이다. 조긍섭이 생각한 古文의 요건은 전통적인 ‘辭理具備’였는데, 이때의 理는 여전히 주자성리학적 세계관 안에 있었으며, 辭가 지나치면 오히려 理를 가리게 되며 그 대표적 경우를 박지원으로 들었다. 반면 김택영은 절묘하고 기발한 辭를 통해 문학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修辭의 측면에서 박지원 산문을 조명하고자 했다. 김택영의 古文觀을 唐宋文이나 明代 唐宋派, 혹은 이전 시기 고문가들의 그것과 비교?대비하여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Kim Taek-young"s literary criticism has been influenced on the study of prosaic history. This paper aim at the new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criticism by Cho Keung-sub"s comments on him. Especially Cho"s comments have related matters with following some doubtful questions in the study of prosaic history. First, the standpoint about the estimation of the very former term of Chosun dynasty. Kim excluded almost all writers before Chang Yoo and Lee Sik. Cho admitted Kim"s opinion as an unique thing. Since we may illuminate that period itself, meanwhile we may illuminate that period leaning Kim"s opinion. Second, the group of writers who pursued the pseudoclassical literate style and the position of Choi Lib in the prosaic history. Choi Lib was so meaningful in the field of writing style at that time. Kim only focused on the writers who wrote Tang-Song style literatures while Cho noticed the writers who wrote Qin-Han style literatures. Cho called in questions that kind of Kim;s views. Third, the estimation of Park Ji-won and the classical literate style. Cho put more values on the principles more that the rhetoric, while Kim stood on the opposite position. Cho suggested Park Ji-won as a suitable writer but Kim regarded him as one of novel writers.

      • KCI등재

        용주(龍洲) 조경(趙絅)의 문학론

        송혁기 ( Hyok Key Song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This review study is focu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Jo, Kyoung(趙絅, 1586-1669)``s philosophies and methodologies in his literature study in a broader way, by taking the recently reported Yong-ju-yu-go( 龍洲遺稿), Yong-ju-chuck- tock( 龍洲尺牘), Mun-gan-gong-gan-tock( 文簡公簡牘), Yong-ju-il-ki( 龍洲日 記), Young-ju-cho-sun-seang-nyun-bo( 龍洲趙先生年譜), and Un-hang-chong- rock( 言行總錄).Jo, Kyoung advocated that writers should be trained with heavy reading and review of the masterpieces of the gurus in the Hna Dynasty era to develop writing skills. In addition, he made his efforts to learn the original forms of the public documents used at the age. Jo, Kyoung``s favorite was Chuang-tzu( 莊 子) and he cited Chuang-tzu in many of his notes. Recently,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Jo, Kyoung``s philosophy and writing were largely influenced by Chuang-tzu. In a number of previous works, it was mentioned that Jo, Kyoung was recommended to learn Records of the historian( 史記) by Youn, Kun-su.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it was not just a single event of studying Records of the historian, but Jo, Kyoung continued to investigate Records of the historian for his entire life. Jo, Kyoung highly estimated the value of Wang, Shi-zhen(王世貞)``s philosophy and articles, which was an extraordinary point of view to him at the age because Wang, Shi-zhen was criticized to copy phrases from other``s articles to his publications and prefer Ko-hak(古學) than Jung-Ju-Hak(程朱學). Jo, Kyoung, however, strongly agreed to Wang, Shi-zhen``s theories of literature study, loved to read his literatures, and recommended them to others. The impact of Jo, Kyoung``s recognition and admiring to Wang, Shi-zhen was intensive enough to turn over the methodology of literature studies at the time: review and realizations of Ko-ki(古氣). The methodology Jo, Kyoung took for the investigation in Wang, Shi-zhen``s publications was to read Ko-mun(古文) exhaustively until the readers can feel the thinkings and hearts of the author deeply. Jo, Kyoung worked this way in his entire life. It is quite surprising that Jo, Kyoung left no independent critic notes in his life because he did many of criticisms in wide range of Chinese literature. From Jo, Kyoung``s criticisms, we can deduce not only what he took importantly in literatures but also how he trie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learning and creating`` literatures, in detail. In this work, we review Jo, Kyoung``s methodology and aims for studying paragon literatures and his realistic literature criticism.

      • KCI등재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 에 대하여

        송혁기 ( Hyok Key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8 No.-

        ``Speech function and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is a new mid-size category of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2009. In this paper, I explain interrelation of ``educating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and ``educating speech function`` by giving specific examples. I think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2009 focused on securing a clear view of our speech function, based on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area. In practice, sometimes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a word without capturing context. I divide these cases into three and try to analyze like below. First, vocabulary which came from the classics. I give some separate examples. Though these are not classed as ``idiom originated in an ancient event(故事成語)``, we can understand easily if we catch the reference. Second, vocabulary which came from linguistic custom. It includes allegory, inference, synecdoche and so on. In this case, the important thing is learning linguistic custom. Third, vocabulary which came from the cultural backgrounds. I also give some separate examples.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se words. I realize that ``speech function`` and ``the culture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 KCI등재

        윤근수(尹根壽)의 서사(敍事) 산문(散文) 일고 -의병(義兵) 기억의 재구를 중심으로-

        송혁기 ( Hyok Key Song ) 근역한문학회 201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6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narrative prose of Yoon Keunsoo, especially on epitaphs about the general of the Righteous Armies. In general, epitaph is a literary style which needs objective evidences and stiff formality. However, writers need to choose evidences and memories properly with fixed standard, and they also need to reassign those materials. And then they can reconstruct a certain person. With this point of view, I observed the process of choosing and reconstructing memories,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epitaph proses. We can find out a notable example from Yoon Keunsoo`s prose. When he wrote the epitaph for Ko Kyung-myung and Cho Heon who are typical general of the Righteous Arm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didn`t focus on services but on the integrity. It is natural that people wants to remember the integrity from patriotic martyrs. But it is not necessarily always call them loyalty and fidelity, since they were formed by exclusion or expansion of such memories. We need to remember that Yoon Keunsoo hoped to reconstruct the nation by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so that he reassign them with the standard of loyalty and fidelity. I analyzed Yoon Keunsoo`s view and intention by comparing with other records. And I also analyzed the paragraph construction and expressions to shed new light on his epitaph pr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