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명등 화재사례 연구(전구 및 형광등 중심으로)

        송태현,이의평,Song, T.H.,Lee, E.P. 한국화재조사학회 2008 한국화재조사학회 논문지 Vol.11 No.1

        등불의 발견은 인간 생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 왔으며, 그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그러나 비약적으로 발전한 것은 1879년 에디슨이 탄소 필라멘트 진공 전구를 발명하여 조명에 사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명은 피로를 덜어주고 안전도를 높이며 사람의 활동 능률을 올리고 즐거운 분위기를 만들어 준다. 그러나 부주의나 관리소홀로 인해 소중한 재산과 인명을 앗아가는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명등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하고 일반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백열전구과 형광등을 중심으로 출화가능성과 조사확인사항에 대하여 발화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배선과 가연물 접촉에 의한 사례 및 재현실험을 통하여 논문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The history of illumination has been much long since the discovery of lamplight caused huge changes in human lives. However, the swift development of the illumination actually started with the invention of a carbon filament lamp by Thomas Edison in 1878. Generally, the illumination tools plays important roles in human lives such as reduction of fatigue, improvement of safety and working efficiency, and the creation of enjoyable atmosphere. But, the illumination tools can be an origin of the fire due to carelessness and lack of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illumination lamp were dealt with. The possibility of the fire outbreak caused by the incandescent lamp and fluorescent lamp most used in home was investigated. The examples of the fire outbreaks by the incandescent and fluorescent lamps and by the contact between the inflammable materials and the distributing wires were mentioned and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al.

      • KCI등재

        `리스본 대지진`을 둘러싼 볼테르와 루소의 지적 대결과 근대지식의 형성

        송태현 ( Song Tae-hyeo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1755년 만성절(萬聖節) 아침에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에서 발생한 대지진은 근대에 들어와 유럽에서 발생한 가장 심각한 자연 재앙이었기에 온 유럽을 충격에 빠뜨렸으며 18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인 볼테르와 루소는 각각 리스본 지진에 관한 글을 남겼다. 볼테르는 이 지진을 주제로 삼은 시를 지었고, 이어서 루소는 그 시를 비판하는 서한문을 작성하여 볼테르에게 보냈다. 이 두 글은 리스본 지진이라는 거대한 자연 재해를 다룬 문학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지만, 이들 두 작가의 글이 양자사이의 지적 대결의 단면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리스본`은 근대성탄생의 상징으로서, 리스본 지진을 출발점으로 세계인식이 신학과 형이상학을 떠나 과학과 인간의 책임으로 이동하며 형성되기 시작했다. 볼테르와 루소는 그 이행기를 살았던 작가들이다. 사실 볼테르와 루소는 양자 모두 신정론의 문제를 철학적으로 적절히 풀지 못했다. 하지만 그들의 글들은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닌다. 볼테르의 시는 라이프니츠가 확립한 전통적인 신정론을 혹독하게 비판함으로써 당대까지 주류 이론으로 자리매김해온 그의 신정론에 강력한 타격을 입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리스 본 대재앙 문제를 다루면서 신이 아닌 인간에게 책임을 지움으로써 루소는 재난을 사회-문화 맥락으로 풀고자 한 최초의 논증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볼테르와 루소 양자 간의 리스본 지진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리스본 지진에 대한 그들의 입장이 공히 신과 신학에 의지하는 전근대적인 지식에서 떠나 근대 지식을 향해 나아가는 이행기의 성격을 보여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The great earthquake struck Lisbon midmorning on All Saints Day, 1755.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natural disasters ever recorded, it had far-reaching consequences. When news of the Lisbon quake spread, it inspired an intellectual debate, not only in Portugal but in all of Europe, about the natural world and God`s place in human affairs. Voltaire, Jean-Jacques Rousseau, Immanuel Kant etc. took up the disaster as a vehicle to express their own Enlightenment ideas. In this article I focus on the controversy between Voltaire and Rousseau on the Lisbon earthquake. Voltaire learns, at the end of November 1755, that Lisbon undergoes an earthquake such a magnitude that the victims amount “a hundred thousand”, and, in early December, he composes in Alexandrine verse “Poem on the Lisbon disaster. Or an Examination of the Axiom, `All is Well`”. This French philosopher criticise, in his “Poem”, Leibniz`s concept of theodicy as well as the axiom of Alexander Pope “Whatever is, is right.”, suggesting that the massive destruction of the “unhappy mortals”, victims of the Lisbon earthquake demonstrated that God was not providing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Then the quarrel festers when Rousseau contradicts, in a reply to the poem of Voltaire, the concept of providence exposed in the “Poem”. For Rousseau, it is not God but human beings and their civilization who are really responsible for this enormous sacrifice. First of all, I indicate the points of dispute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Then, I try to reveal the deep-rooted reasons of the difference which results from differences in their world-views as well as their religious viewpoints. Finally, I bring to light the implication of the controversy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the Enlightenment.

      • KCI등재

        백남준 예술세계와 전통사상

        송태현(Song Tae-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백남준(1932-2006)은 전위적인 플럭서스 행위예술가로 출발해, TV를 이용한 비디오 아트를 창조한 후, 레이저 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영역을 개척한 ‘영원한 개척자’이다. 백남준의 독특성은 그러한 첨단 테크놀로지 속에 자신의 전통 문화와 사상, 다시 말해 한국 혹은 아시아의 문화 및 사상을 담으려고 시도한 데 있다. 백남준의 작품에는 선불교, 샤머니즘, 주역, 도교 등 다양한 아시아의 종교적 요소가 용해되어있다. 그 가운데서도 그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선불교와 샤머니즘이다. 그는 동양 종교에서 많은 모티프를 가져왔으나, 그것은 종교인으로서 그 종교의 세계관을 표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종교를 통한 깨달음을 자신의 예술에 반영하여 새로운 예술을 창조하기 위해서이며, 특히 자신의 전통 종교와 테크놀로지의 만남을 통해 소통과 동서 문화교류를 추구하기 위해서이다. 선불교적인 가르침을 응용하여 그는 전통음악에서 사용되는 악기 및 공연 방식과 관련한 터부를 깨트리고, 서양의 과학기술 문명과 동양의 명상 문화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선불교의 공(空) 사상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그는 선불교에 대해서 비판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수용하였다. 백남준은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예술과의 만남 및 교감, 그리고 상호소통에 의한 창조를 추구해왔는데, 이는 샤머니즘의 정신과도 상통한다. 샤머니즘은 그가 추구하는 소통과 참여의 예술에 영감을 주는 동시에 디아스포라 예술인 백남준의 뿌리 의식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 한국인으로서의 뿌리 의식을 지니고 있는 백남준은 한국인, 그리고 이를 넘어 ‘시베리언 몽골리언’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그는 ‘시베리언 몽골리언’은 유목민이었으며, 그들의 공통된 종교가 샤머니즘이라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고 이를 자신의 작품 속에 담아내었다. 백남준은 한국 및 아시아의 전통 사상과 문화를 그의 첨단 예술작품 속에 담아냄으로써 지구적인 것(the global)과 지역적인 것(the local)인 사이의 공존을 추구하는 지구지역화(glocalization) 문화의 좋은 사례를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Nam June Paik(1932-2006) is an eternal pioneer in the world of modern art. His originality resides in his attempt to harmonize Korean or Asian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with cutting-edge technology. Various Asian religious elements like Zen Buddhism, Shamanism, I-King, Taoism dissolve in his artistic work. Among others, Zen Buddhism and Shamanism are prominent. He broke a taboo concerning Wester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performance custom by applying the teachings of Zen. He tried the meeting between Eastern meditation and Western technology. He adopted Zen Buddhism, but maintained a critical attitude. Nam June Paik pursued the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in the artistic creation, which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Shamanism. The latter, inspiring him in his art for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s deeply connected with his consciousness of roots. He presented a good case of glocal culture which seeks the coexistence between the global and the local by harmonizing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with high technology.

      • KCI등재후보
      • 복음과 종교혼합

        송태현 ( Tae Hyeon Song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7 No.-

        어떤 의미에서 선교 초창기에는 종교혼합 현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 기독교 역시 종교혼합의 위험을 안고 있다. 한국 교회에서 드러나는 가장 심각한 혼합 종교 현상은 샤머니즘과 유교와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종교혼합은 기독교의 본질을 완전히 가로막는 것인가? 기독교가 다른 지역으로 이식될 때 진정한 기독교가 정착하는 것은 과연 불가능한 것인가? 가령 동아시아인은 기독교를 온전히 수용할 수 없는가? 우리는 이 문제를 일본의 현대 문학가 엔도 슈사쿠(遠藤周作)가 지은 소설 『침묵』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슈사쿠에 의하면 일본인은 지금까지도 하나님의 개념을 갖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가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일본인은 전통적으로 신을 "인간을 미화시키거나 확대시킨" 존재, "인간과 동일한 존재"로 본다. 인간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초월적이며 전지전능한 존재 개념이 없었기에 일본인에게 서양의 신은 진정으로 이해될 수 없는 신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진정한 기독교가 일본에 수용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하다고 단정하는 것은 지나친 견해라고 본다. 물론 비성경적인 사상에서 떠나 복음의 정신으로 복귀하는 일은 단 번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 우리는 그 동안 우리가 기독교적이라고 믿어온 세계관을 성경 말씀에 비추어 지속적으로 성찰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잘못된 것은 고쳐나가야 한다. 그렇게 하여 우리의 다양한 문화적 활동 가운데에서 복음의 순수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The syncretism may be inevitable in the earliest days of missionary work. Korean Christianity was in the same boat: the most serious syncretism is related to shamanism and confucianism. Does this syncretism obstruct the essence of Christianity? Is it impossible for authentic Christianity to take root when one transplants it in another territory? For instance, can East Asian accept in its entirety the Christianity? We inquire into this problem through Silence of Endo Shusaku, japanese modern novelist. According to Shusaku, the Japanese do not have and can not have the true concept of (Christian) God. For the Japanese the Christian God is beyond their grasp, because they did not have a concept of transcendent and omnipotent God. But we think that it is an excessive view to assert that an authentic Christianity can not be accepted in Japan. It is not easy, in fact, to proceed to the spirit of Gospel at the first go, parting from the non-biblical thought. But we have to examine ourselves continuously in the light of the Bible, reexamine what we have believed as Christian world view. By that way we should maintain the purity of Gospel.

      • KCI등재
      • KCI등재

        김동리의 「무녀도」에 나타난 샤머니즘과 기독교의 충돌

        송태현(Tae Hyeon So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김동리의 「무녀도」는 이 땅에 새로운 종교사상인 기독교가 유입되어 한국인의 정신세계에 파고들기 시작하면서 생성된 기독교 문화와 한국 고유의 민족 종교인 샤머니즘의 문화가 충돌하는 상황을 그린 소설이다. 이 충돌 혹은 갈등 속에서 승자는 누구이고 패자는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평자들의 견해가 엇갈린다. 이 충돌에서 표면적으로는 기독교가 승리하고 샤머니즘이 패배했다고 할 수 있으나, 심층적으로는 오히려 동양 정신이 승리하는 내용이라는 작가의 창작 의도가 작품 속에서 충분히 구현되었는지 고찰한다. 작가는 기독교와 충돌하는 샤머니즘에서 새 시대의 가치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근대 인간주의는 기독교의 신본주의에 대한 철저한 안티테제인 만큼 그것은 반신적(反神的) 성격을 띠며, ‘영원에의 통로’를 막아버렸고, 그 결과 ‘허무’만을 남겨주었다. 작가는 이러한 니힐리즘을 초극할 수 있는 새로운 휴머니즘과 새로운 인간을 샤머니즘에서 찾아보고자 했다. 그런데 우리는 작가가 「무녀도」에서 제시한 인물인 모화가 새 시대의 인간상으로는 미흡한 존재이기에, 기존의 인간상을 넘어서는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는 데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본 논고에서 우리는 기독교가 배타주의를 넘어 전통문화를 재조명하며, 이 시대를 위한 새로운 인간상과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데 과감하게 도전해야 함을 역설한다 Kim Dong-Ri’s “Munyeodo” is a short story which deals with a conflict between Shamanism and Christianity. On the face of it, Christianity seems to win the battle, but internally Shamanism wins the day. That is the intention of writer. Kim Dong-Ri desired to rediscover the new values of a new era. Modern humanism, as a drastic antithesis of Christian theism, opposed to the God, blocked the gate to the eternity. The result was nihilism. To overcome such nihilism, Kim Dong-Ri tried to identify a new humanism as well as a new human being through Shamanism. We judge, however, that the writer failed to provide an image of a new human being, because Mowha, an alternative person suggested in “Munyeodo”, is unsatisfactory as a new human being. The Christianity should resolutely try to create a new human being as well as a new culture for this epoch of ours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view of the Gospel.

      • KCI등재

        디드로의 유물론적 과학관과 문학: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에 나타난 결정론과 자유 의지

        송태현 ( Tae Hyeon So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2 No.-

        우리는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이 디드로 자신의 유물론적 과학관이 제기하는 ‘결정론과 자유 의지’ 문제를 문학적 상상력으로 풀어낸 소설로 간주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우선디드로의 이 소설에서 말하는 ‘운명’이 결정론적 삶의 은유이며, ‘운명론’이란 사실상은 디드로의 유물론적 과학관이 제기하는 ‘결정론’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 소설의 주인공 자크는 운명의 주관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관심이 없는 무신앙자이며, 인간이 인과율의 연쇄 속에 있는 기계임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자크의 관점이 ‘강한 결정론’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한다. 이 입장에서는 모든 사건이 필연적인 인과법칙에 따라 일어나며 인간에겐 자유 의지가 없다고 주장하기에 자유와 결정론이 양립하기 힘들다. 이 관점을 취하는 한, 디드로가 윤리의 가능성을 확보하고 윤리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우리는 디드로 사상의 난점이 근본적으로 그가 ‘강한 결정론’을 취하기 때문에 야기된 것으로 본다. 자유 의지가 없는 인간에게 교정 혹은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논거가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에서 충분하지 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소설은 결정론과 자유 의지의 난제를 여전히 이론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자유 의지는 부인되지만 마치 자유 의지가 존재하는 것처럼 생활하는 실천적 해결을 디드로는 제시하지만 우리는 디드로의 ‘실천적 해결’ 역시 미진하다고 판단한다. We regard Jacques le fataliste et son maitre as a novel in which Diderot solves the problem of “determinism and free will”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tiny” of this novel as a metaphor of the deterministic life, with “fatalism” as a form of determinism that the scientific materialism of Diderot brings to the fore. This is because Jacques,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as a non-religious man who is indifferent to the supervisor of fate-looks upon human beings as machines in the chain of causality. We judge Jacques’s viewpoint to be a case of “hard determinism.” In this instance, free will and determinism are incompatible, because the events of the novel suggest that the whole thing happened as a result of necessary causality and that humans have no free will. As long as Diderot takes this view, it is very difficult for him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ethics and to emphasize ethical practices. For us, this “hard determinism” is at the crux of Diderot’s ideas. In Jacques le fataliste et son maitre, Diderot does not present enough arguments for the need for human calibration and human improvement, nor does he solve the sticking points of “determinism and free will.” Although when Diderot denies human free will, he presents a “practical solution” by which we may live as if free will exists, we still find this “practical solution” fundamentally lacking.

      • KCI등재후보

        볼테르의 관용 사상과 `보편적 관용`의 문제

        송태현 ( Song Tae Hye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최근에 국내 학계에서 볼테르의 관용에 대한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어떤 이들은 볼테르의 관용 사상을 무신론까지 수용하는 “보편적 관용 사상”으로 해석해왔다. 반면에 다른 진영에서는 볼테르의 관용이 “무신론자를 관용하지 않는 `협의`의 보편적 관용”이라고 주장한다. 만일 볼테르의 `관용`이 무신론과 같은 특정 사상을 예외로 둔다면, 볼테르의 `관용`이 진정한 관용이라 말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볼테르는 과연 무신론을 관용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는가? 이 문제는 `관용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라는 관용의 정의(定義)와도 관련이 된다. 볼테르는 사상적인 오류와 범죄를 구분한다. 그에 따르면, 그 사상이 실제로 사회에 해를 끼치는 행동으로 이어질 때 범죄가 된다. 이론적으로 비판하는 것과 실제적으로 박해를 가하는 것은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이론적으로 동의하지 않더라도 자신과 이견을 가진 사람을 박해하지 않는 것이 관용이다. 볼테르가 무신론을 동의하지 않고 강한 어조로 비판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는 무신론자에 대한 박해를 주장하지 않았고 모든 종교에 대한 관용을 주장했기에, 그의 입장은 무신론자에 대한 관용을 포괄하는 보편적 관용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상 문제는 권력이 아닌 이성의 활동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다는 점에서 그의 `관용 정신`은 `사상의 자유`를 위한 토대가 된다. Several recent studies on the tolerance of Voltaire were carried out in the domestic academy. Some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Voltaire`s tolerance as a “universal tolerance” which accepts even an atheism. In the other camp, they argued that Voltaire excluded atheists from his tolerance. If Voltaire`s tolerance make an exception for some thoughts like atheism, his tolerance is not a true tolerance. Did Voltaire really exclude atheism from his range of tolerance? Voltaire distinguishes the crime from ideological errors. According to Voltaire, only when an ideology actually leads to behaviors harmful to the community, it constitutes a crime. If one does not persecute those who do not agree theoretically with him, he practices the tolerance. It is true that he doesn`t agree with the atheism, and he criticized it in a firm tone. However, he did not insist on the persecution of atheists. So his tolerance is an universal tolerance which embraces the tolerance for the atheism as well as all kinds of religions. His `spirit of tolerance` is the foundation for `Freedom of thought` in respect that the problem of thought should be resolv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reason`, not through the `authority`.

      • KCI등재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문화관 연구

        송태현 ( Tae Hyeon Song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2 No.-

        Claude Levi-Strauss is a representative anthropologist who criticized severely the eurocentrism.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culture in Claude Levi-Strauss. For this purpose we set out, first of all, from the consideration on the racism as well as the ethnocentrism which gave rise to a wholescale genocide. Then we inquire into cultural relativity. Cultural relativism confines itself to starting that a culture possesses no absolute criteria authorizing it to apply this distinction to the products of another culture. Third, we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cooperation and diversity of culture. In conclusion, we reflect on the implication of his thought on culture in the reality of our contemporary culture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