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년의 개인적인 특성이 기회발견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년창업스쿨 교육생을 대상으로

        김형철,송충환,안병린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청년창업스쿨 교육생을 대상으로 창업개념 설정에 있어서 창업자의 사업기회 발견과 창업의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창업의 기회를 탐색하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청년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을 구상하고 실행에 옮기는 초기창업자 행동 단계에서 사업기회발견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청년 창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창업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회발견은 사업기회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창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청년의 개인적인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청년의 창업에 있어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사업기회 발견을 위해서는 청년의 개인적인 특성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특성을 고려한 기회창출에 대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기회발견은 개인적인 특성과 창업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청년 창업가가 성공적인 창업을 하고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업기회발견을 통해 창업의도로 이여 지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년 창업가의 성공적인 창업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보여 진다. 창업교육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기회발견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창업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창업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기회발견으로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창업으로 이여질 수 있는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Many of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Start-up Opportunity but it is rare that what is the mechanism of bringing the successful outcome of venture, especially young people. In order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survey of 178 young entrepreneurs who did the registration of entrepreneur was carried out, and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were examined with all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youth entrepreneurs’ competence can affect on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rough entrepreneurial behavior. In other words, we investigate the intial stage in which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 influence on the discovering the opportunity and on launching the new business, and provide an insightful implication of how young entrepreneur successfully accomplish the new business. Enterpreneurial Intention of characteristic of young people on the discovering business opportunity and practicing startup in the behavioral stage. This suggests that properties of entrepreneurs capability does not affect directly to the performance but through the discovering an opportunity and implementing business. Implementing the new business is linked with the success of the business but both should be regarded separately and we verify the distinction in our empirical result. Entrepreneurial activity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discovering opportunities and serious searching for business value to become a successful business.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our result to boost economic and to encourage young people to build a sound enterprise.

      • KCI등재후보

        일터학습이 교육훈련전이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형철,윤종록,송충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터에서 발생하는 일터학습유형을 살펴보고, 일터학습 유형에 따라 교육훈련전이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일터학습의 유형에 따른 교육훈련전이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터학습과의 연계성을 통해 학습을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삼고자 하는 중소기업들에게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일터학습 유형의 변수 중 무형식적학습은 교육훈련전이에 유의미한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형식적 학습은 교육훈련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중소기업근로자의 교육훈련전이와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훈련전이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근로자의 일터학습 활동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교육훈련전이의 매개효과를 검증결과, 일터학습활동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교육훈련전이가 관계를 매개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근로자들의 업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일터에서의 무형식학습활동에 관심을 갖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중소기업은 근로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차별화된 경쟁력의 방법으로 일터에서의 무형식학습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인적자원개발 담당부서는 일터에서의 무형식학습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촉진자의 역할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육훈련전이는 일터학습과 경영성과를 효과적으로 매개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으므로 교육훈련전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workplace learning in small and medium business, and identify the workplace learning and Transfer of Training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ist the Korea Federation of Business, 583 workers were sampled for the study based on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out of the population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with an alpha level of 0.05 to establish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ackage. A questionnaires, the method of data analysis, consisted of workplace learning scale, Transfer of Training scale, Performance scale, The workplace learning scale was adapted Moon as translated form Rowden. The Transfer of Training scale was translated form Blau into our business context. The Performance scale adapted Allen & Meyer, Smith as revised from Allen & Meyer into our business context.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such as workplace learning with others, Transfer of Training and ,Performance of HRD company workers and learning transfer. Second, the study showed how awareness level of HRD company employees toward learning transfer climate influenced learning transfer. Third, the study analyzed moderating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transfer of individuals working for HRD companies. In conclusion, learning with others and Transfer of Training and Performance that ar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of HRD company employees provides positive influence to learning transfer. Awareness of peer support and performance support in learning transfer climate also positively affects learning transfer. Peer support, supervisor support and performance support in learning Transfer of Training climate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learning transfer. In regards to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ear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transfer, awareness of supervisor support plays Performance moderating role. In order to ramp up learning transfer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of HRD company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promotes self-refle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with colleagues and supervisors in workplace. In addition, workplace learning transfer climate should be well organized so that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Transfer of Training and Performance and external searching, can be well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