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제

        송진숙,진영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2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understanding and an ide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ociety, which is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paradigm regarding characteristics and thought in Korea. Global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cent trend moves integrating centered uni-national culture to understanding centered multi-ethnic culture. So, it is a provocative circumstance about school education and its accountabilit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to persist in transformative citizenship in a global age. It is possible when minority becomes agents and majority changes consciously. The transformative citizenship means minority group students have equal authentic opportunities for abilitable citizens through school curriculum.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 transformation and inclusion in dimension of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e people in school can understand the past and present about the multicultural contents more than acquiring limited multicultural contents, develop the skill to draw the future, and further more improve our intellectual mind understand deeply other culture as well as Korea cultur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키며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상과 체계 및 미래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한 실천적 과제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다문화 사회는 세계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문화와 가치, 태도를 형성하고 다양한 구성원간의 고유한 특성을 인식함과 동시에 공존과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최근 세계 여러 나라의 이슈로 학교 교육과 사회 전반에 걸쳐 그 교육적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교육만이 가지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은 다른 교육과정보다 인간의 평등을 추구하는 철학적 개념의 교육 과정으로 인종이나 집단을 위한 교육이 아닌 모든 인간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사회적 공평과 평등의 기본적 발달원리를 추구하는 사회 정의교육이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다문화교육을 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본 원리로 삼아야 할 것은 다양한 인간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근절,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와 포용, 이질적인 문화 및 사회 집단의 평등적 공존 등을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의 원리로 추구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 다문화교육의 원리를 통하여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상황을 합리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개방적 태도와 인류 차원의 보편적인 문화 원리에 비추어 다양한 문화를 비판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幼兒 道德敎育의 實踐的 方案에 대한 硏究

        송진숙,진영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ive direction of guide and method after analyzing major content of moral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experience in kindergarte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methods of teachers' role, which is in kindergarten. establishing the moral awareness by practicing the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Ministry of Education. Moral education was considered not only as the concept limited to ethics to be keep at individual but also as the core of all the ethics maintaining society and nation as well as home. Therefore, the value of moral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ethical subject.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re describe in aspect of concession, honesty, conform to the rule and equity. The meaning of practicing moral in moral education are interpreted in the moral, behavior of moral, and experience of moral emotion.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hildren join a group and begin to consolidate the foundation of morality. Second, the moral education in kindergarten should be identified as the formation of basic habits. therefore young children should internalize good habits. In conclusion, teacher should be instruct teaching strategies which are presented to help young children's habit formation through self-expression, discussion, problem solving, social reasoning, inductive reasoning, modeling, and expla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도덕교육의 개념 및 내용체계에 입각한 이론적 탐색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올바른 도덕교육을 실현하여 유아 도덕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유아기는 인격형성이나 기본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인생의 중요한 시기이고 또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도덕적 인식력이 성립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도덕교육이 꼭 이 시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인간사회 속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 할 것인지에 대한 가치를 형성하는 것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이루어지며, 특히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도덕적 가치형성이 유아기부터 시작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므로 유아기의 도덕교육의 책임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 있다고 본다. 과거의 도덕교육의 내용은 종교적인 성향에 바탕을 둔 사랑, 신앙심의 실천을 그 내용으로 하였고, 그 후에는 그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과 규범이 주요한 내용의 핵심이 되었다. 그리고 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그 사회의 문화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규칙이나 규범을 반영하여 시대의 사회적인 요청에 의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덕이란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판단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행위의 적절성에 대한 타인의 관점으로 책임, 사상, 그리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신념과 관련된 것들이라고 본다. 유아기에 학습해야만 하는 중요한 행동목표로 도덕교육은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나 부모에게 하나의 의무이며 책임으로서 매우 중요한 지표임은 자명한 사실이며, 더욱이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송진숙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15개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유아들의 학부모와 그들의 교사 130영을 대상으로 유아의 적응에 영향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가족 요인으로 설정하여 그에 따른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의 적응에 관련 있는 변인은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능력, 문제행동, 기질 중 몇 개의 하위영역들이 관련이 있었고, 둘째, 유아의 적응을 설명하는 변인은 부모의 양육태도 중 방임성, 정서지능 중 자기정서의 이해, 기질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기분과 주의전환성이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djustment and the related variables(parenting style, emotionality, temperament, social ability, and behavior problem). Subjects were 130 parents and 15 teachers.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he children's social ability scale, children's adjustment scale, children's temperament scale, children's emotionality scale, parenting style scal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ocial ability, children's temperament, behavior problem, and parenting style were related to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econd, parenting style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children's adjustment.

      • KCI등재후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및 부모의 양육태도

        송진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related variables(children's gender, children's age, parenting style, emotionality, temperament, and social ability). Subjects were 130 parents and 15 teachers.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 from the children's social ability scale, children's temperament scale, children's emotionality scale, parenting style scal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gender and ag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 Second, children's social ability,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ity, and parenting style were related to children's behavior problem. Third, parenting style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children's behavior problem.

      • KCI등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의 생활문화와 관광체계

        송진숙,이영관,왕홍기,김영이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This study purposed to find identities, natural landforms and principl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through presenting the process that the location and space of HAHOE villages and YANGDONG villages were formed. And also the elements of home life culture through traditional villages were derived planning guidelines applicable to tour system. Both traditional villages, HAHOE village and YANGDONG village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dea of harmony with nature and have been maintained by supplement of location and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philosophy of home life culture. An understanding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way of home life from the harmony with nature as the factor of life wisdom for tour system in modern time. The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seems to human relationship with all the living things on the world, which mean human life style of adaptation into natural feature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principle of landscape to the distribution of traditional villages is that the location of traditional villages regards a geographical feature not as a separated one but as a integrated one. This spati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villages seems to create familiarity and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human beings. That is, the meaning of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is the life culture in harmony with nature, which recognizes human and nature identically 우리의 전통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한국의 전통마을들은 물질만능주의와 외래문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조선 초기에 형성되기 시작했고, 조선 중기에 마을공동체로서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하회마을은 풍산류씨 가문에 의해 형성된 동성마을이고, 양동마을은 월성손씨와 여강이씨의 가문에 의해 형성된 양성마을이다. 우리의 전통마을들이 보편적으로 씨족사회 중심으로 마을을 형성하고 발전시켜 왔음을 보여주는 증좌가 된다. 두 마을 모두 풍수지리적인 여건을 중시해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중시했고, 주거지와 경작지 외에도 배후지와 물길을 포함하는 생활여건을 두루 갖춘 곳에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마을을 호위하고 있는 뒷산이 마을 주위를 좌우로 감싸고 있으며, 맞은편의 경작지와의 조화도 돋보인다. 하회마을은 풍수적으로 태극형 또는 연화부수형이고, 두 종가가옥이 마을중심에 위치하고 민가(民家)들이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형국이다. 양동마을은 물(勿)자형의 길지에 형성되었는데, 고지대에는 양반들의 살림집이 자리잡았고 저지대에는 소작인이나 노비층의 가람집이 위치하여 지형적인 위계로 표출되는 구조를 띄고 있다. 두 마을은 또한 정치⋅휴식 중심으로서의 공동체 공간과 공동생활 중심으로서의 공동체 공간 및 유교적⋅민속적 의례 공간을 갖추고 있지만, 양동마을은 민속적 제의공간이 미약하다. 반면 하회마을은 제의적 예법과 관련 시설들이 잘 갖추어져 있다. 다만 관광문화의 고유성 차원에서는 양동마을이 하회마을보다 관광개발이 미흡한 관계로 민속문화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따라서 두 마을 모두 문화관광 개발에 따른 순기능을 높이면서도 역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광체계의 종합적인 진단과 대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여가 및 시간관리행동이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송진숙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19 호텔리조트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family leisure activity, frequency of family leisure, number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time management behavior). The data were gather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entitled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er modified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to be used for the actual research. The researcher used 230 questionnaires of students who study in middle school through December 12 to December 21, 2018. The data were analyze using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quency of family leisure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mber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mily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frequency of family leisure and time management behavio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Fifth, frequency of family leisure and time management behavior were significantly predicting variable in life satisfa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gration of family leisure activity that can arouse good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 영유아교사의 교육적 신념 및 직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송진숙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11 人文論叢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the related variables(teacher's educational beliefs & work environment). Subjects were 130 teacher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 Instrumentations were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job stress scal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scale and work environment scale. Data analysis was by mean, percenti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ge an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working period an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work environment. Third, teachers'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work environment. Fourth, work environment was the most predicting variable in teachers' job str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