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프리카(Capsicum annuum)의 미세번식과 이후 온실 재배에서의 생산성

        송주연(Ju Yeon Song),Iyyakkannu Sivanesan,안철근(Chul Geon An),정병룡(Byoung Ryong Jeong)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2

        파프리카(Capsicum annuum)는 중요한 신선 과채류 작물중 하나로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프리카는 온실에서 종자로 번식하나 종자값이 비싸 농가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마디배양을 통한 대량번식 시스템을 개발하고, 수확된 조직배양묘와 일반묘의 생육특성과 과실의 수 및 무게를 조사하였다. 조직배양묘는 파프리카의 종자를 1/2 MS배지에서 암발아시켰다. 발아된 유식물체를 경단을 포함한 식물체를 MS배지에서 배양하고, 생장한 식물체의 마디를 잘라 새로운 배지에 옮겨 신초생장과 발근을 유도한 후, 온실에서 순화하였다. 일반묘는 종자를 암면플러그에서 발아시킨 후 본엽이 완전히 전개된 후 암면슬래브에 이식하여 조직배양묘와 일반묘의 번식 이후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일반묘와 조직배양묘의 생산성 검증에서는 조직배양묘가 일반묘에 대해 초장과 주경장의 길이는 작았으나총 과실의 수는 약 49.8%가 많았다. 따라서 조직배양을 이용한 묘를 농가에 보급함으로서 비싼 종자를 이용한 번식방법을 대신할 수 있게 되고, 번식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재배농가에 소득향상이 기대된다. Paprika (Capsicum annuum) is one of the important fruit vegetable crops and there is a big demand in the world fresh market. Conventionally the species is propagated mainly by seeds, but seeds of paprika are expensive, especially in Korea, and a burden to growers. Therefore, a simple micropropag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paprika ‘Ferrari’ using nodal explants. Also, plant growth and fruit productivity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micropropagated plants (MPP) vs. seed propagated plants (SPP). In the micropropagated plants, seeds were germinated on the 1/2 MS in a dark condition, and shoot tip explants were taken and cultured on the MS medium. Elongated shoots were cut into multiple single nodal cuttings and then were cultured on the fresh MS for shoot growth and rooting. Well-rooted plants were acclimatized in a greenhouse. In the seed propagated plant, seeds were germinated in rockwool cubes and then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 rockwool slabs after true leaves appeared. In the comparison of greenhouse performance of SPP and MPP, no. of fruits from MPP was 49.8% higher than that of SPP, though its plant height and main stem length were smaller. Therefore, micropropagated plants can be expected to be used as alternative propagules and to increase grower’s income by decreasing cost on propagules.

      • KCI등재

        구조화된 냉요법이 발목 골절 수술환자의 부종, 염증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송주연(Ju Yeon Song),손경희(Kyung Hee Shon),김남희(Nam Hee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구조화된 냉요법 적용이 발목 골절 수술 환자의 부종, 염증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B광역시 정형외과전문 B병원에 입원하여 발목 골절 수술을 받은 환자 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6년 8월 19일부터 2017년 3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구조화된 냉요법은 발목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자체 제작한 방수포가 달린 주머니에 냉젤팩을 넣어 고정시키고 1시간 간격으로 20분간 적용 후, 40분의 회복기를 두고, 1일 10회 수술 후 1일부터 7일까지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가설검정은 발목둘레 변화, 염증수치의 차이 및 객 관적 통증강도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주관적 통증강도의 변화는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않고 동질성이 확인되지 않아 일반화추정 방정식 모형(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부종감소(F=36.02, p=.001), CRP수치 감소(F=3.64, p=.039), ESR수치 감소(F=4.51, p=.013) 및 주관적 통증강도(Wald x<sup>2</sup>=13.995, p=.007)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진통제 사용횟수(F=2.83, p=.098)에는 차이가 없었다. 발목 골절 수술환자에게 적용한 구조화된 냉요법은 부종감소, 염증완화 및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조화된 냉요법은 발목 골절 수술환자의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근거기반 간호 실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구조화된 냉요법의 정확한 효과 검증을 위해 추후 발목 골절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quasi experimental study of the design of non - equality control postpartum time lag to confirm the effect of structured cold therapy on edema, inflammation and pain in patients with ankle fracture surgery.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9, 2016 to March 31, 2017.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n=29) and control group (n=29). The structured cryotherapy using a cold gel pack in a plastic bag with a specially designed tarpaulin which can be molded around the ankle was applied. This intervention was performed 20 minutes followed by 40 minutes rest and repeated 10 times per day for 7 days after surger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Hypothesis test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based on repeated measures ANOVA. The change in subjective pain intensity did not satisfy the assumption of normality, and homogeneity was not confirmed, so it was analyzed by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structured cryotherapy to the ankle fractured patients after surgery was effective in reducing edema(F=36.02, p=.001) and decreasing the level of CRP(F=3.64, p=.039) and ESR(F=4.51, p=.013). While this intervention showed an effectiveness in relieving pain(Wald x<sup>2</sup>=13.995, p=.007),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found from the frequency of taking pain killers(F=2.83, p=.098) in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is study contributes an evidence based practice of using structured cryotherapy as an effective postoperative nursing intervention in ankle fracture patients. To validate the effect of structured cold therapy, we propose an iterative study on patients who have had an ankle fracture surgery in the future.

      • SA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지원 환경에 관한 연구

        송주연(Ju Yeon Song),김명희(Myoung Hee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이산적/연속적 모델링을 지원하는 GPSS-FORTRAN의 제한된 결과 분석 내용을 지원하기 위해 SRAES(Simulation Result Analysis Environment using SAS)의 구현에 대해 논의한다. SRAES에서는 모델 수행자의 분석 요구를 메뉴방식으로 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절차적 분석 및 편의를 제공하고 확장된 통계처리 및 그래픽 기능을 지원한다.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송주연(Song Ju-Yeo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은 무엇인지 좋은 수업의 실천에 있어 방해요인과 실천방안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경력 6년 이상의 공, 사립 유치원의 교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0년 1월부터 3월 중순까지 교사 1인당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의 개별심층면담이 2회씩 총24회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성은 재미와 즐거움이 있는 수업, 새로운 시도와 아이디어가 있는 수업, 전반적인 흐름이 자연스러운 수업, 아이들이 만들어가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수업을 보는 다른 관점과 높은 유아 대 교사 비율 및 유아들의 다양한 수준 차이, 교사의 과중한 업무로 인해 좋은 수업의 실천을 방해받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 진정한 의미의 장학 활성화, 교사의 끊임없는 노력과 수용적 자세, 유아들에 대한 이해과 사랑이 더욱 필요하다고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good instruction by probing the insights of experienced teachers. Participants were 12 experienced teachers teaching at kindergarten in the B city for more than 5 year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interview was designed to be an open-ended, semi structured friendly convers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joyful and funny instruction’, ‘instruction with active participation’, ‘instruction with new initiation and idea’, ‘a flexible instruction under the teachers' plan’ is related to good instruction. Second, the teachers perceived ‘viewing a teaching from a different point’, ‘overworked shifts’, ‘high teacher-child ratio, children's high developmental gap' to be an obstacle to good instruction. Third, the teachers perceived ‘helpful supervision’, ‘continuous efforts’, ‘more understanding child’ are needed for good instruction.

      • KCI등재

        유아교사 교수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송주연(Ju Yeon Song),황해익(Hae Ik Hw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 교수몰입척도를 개발, 타당화 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개념 탐색 및 문항 개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 적절성 검증을 통해 척도시안을 개발하였고, 예비조사, 본조사를 거쳐 요인분석 및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 및 심층면담, 포커스 그룹인터뷰, 전문가 검증을 통해 총 6요인과 59문항의 척도 시안을 개발하였다. 예비조사를 거쳐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유치원 교사 451명을 대상으로 총 6요인 55문항에 대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체적 계획 5문항, 반응 3문항, 조절 3문항, 도전 3문항, 자연스러운 수행 15문항, 집중 4문항, 내적동기 12문항이 도출되어 7요인 총 45문항으로 선별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가 적합함이 입증되었다. 교수몰입척도의 하위요인 간 상관과 일몰입척도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교수몰입척도의 신뢰도는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모두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rst, develop a teaching flow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 teaching flow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cond, to validate i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nal draft, the study carried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even categorized factors can be listed in the following order: intrinsic motivation, spontaneous performance, moderation, concentration, response, specific planning, and challenge. After the factor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for the 45 selected items. As a result, the teaching flow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in term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goodness-of-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items’ subfactors that were finally selected by factor analysis; it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subfactors ranged from .41 to .86, which was relatively goo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ranged from .59 to .91, which was also goo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elected final items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teaching flow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anged from .77 to .96, indicating the scale possessed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teaching flow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was finalized in this process consisted of seven factors and 45 items: 5 items for specific planning, 3 for response, 3 for moderation, 3 for challenge, 15 for spontaneous performance, 4 for concentration, and 12 for intrinsic motivation.

      • KCI등재후보

        유리앰플 개봉 시 미세 유리조각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주연(Song Ju-Yeon),김동희(Kim Dong-Hee) 기본간호학회 2007 기본간호학회지 Vol.1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glass particle contamination in single dose glass ampules upon opening. Method: The study was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Different methods of opening ampule (hand, wooden stick), different sizes of ampules(1㏄, 2㏄) and different sizes of needles(17gauge, 23gauge, 5㎛ filter) were evaluated. Eighteen ampules were randomly assigned in each group. The number of glass ampule particles ≥ 10㎛ was counted by microscop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rticles aspirated by opening methods. But number of glass particles was much lower when using 1㏄ ampules rather than 2㏄ ampules and was also much lower when using smaller size needles and needles which include a 5㎛ filter rather than larger size of needles. Conclusion: We suggest that larger bore or unfiltered needles increase the risk of aspirating more glass particles than smaller bore or filter needles. In addition, these data show that a wooden stick can be used as a method opening glass ampules.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Song, Ju-Yeon),장미연(Jang, Mi-Ye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총 189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PASW18.0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 및 문제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기조절력 및 자기조절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및 문제행동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 문제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감소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정서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ion, self-efficacy of preschoolers on their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3, 4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Second, as for a pervasive trend in problem behavior, attention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that was most affected by cognitive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fficacy. Third, the preschoolers who were better at self- regulation, who had a better self-efficacy was higher showed less problem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to grasp the personal and internal variables of preschool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