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임진왜란 직전 전라좌,우수영의 철쇄설치

        송은일 ( Eun Il S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5 호남학 Vol.0 No.57

        이글은 임진왜란 직전 전라좌수영의 철쇄설치 과정 및 배경과 전라우수영의 철쇄설치 진위여부 등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우선 전라좌수영의 철쇄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조달처 및 조달방법 설치과정, 공사공정, 규모 설치소요기간 등을 알아보았다. 철쇄를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재료는 석재ㆍ목재ㆍ철 등이었다. 석재조달처는 조선시대 국영석재 채취장이 자리한 선생원 즉 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의 대륵도ㆍ소륵도ㆍ월도 등이었으며, 목재조달처는 조선시대 국영 소나무 배양지가 존재했었던 현 돌산읍 송도였고, 철의조달처는 전라좌수영의 사철소가 존재했었던 현 여수시 봉강동 일대였다. 이들 재료의 채취작업은 전라좌수영 소속 군관들의 통솔 하에 석재는 석수, 목재는 이장,철은 水鐵匠ㆍ沙鐵吹鍊匠ㆍ皮鐵匠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렇게 채취된 석재ㆍ목재ㆍ철 등은 전라좌수영 군관의 통제 하에 전라좌수영의 군선이었던 협선 등으로 공사현장까지 운반되었다. 철쇄장치 공정은 크게 철쇄를 감아두거나 잡아매어두는 장치, 석축쌓기, 철쇄 걸어 매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철쇄를 감아두거나 잡아매어두는 장치에는 목재가 사용되었다. 이것의 구조나 형태는 정확히 알 수 없었으나 배를 끌어당기거나 어선에서 그물을 끌어당길 때 쓰는 막개와 유사한 장치가 아니었나 생각되었다. 석재는 철쇄를 감는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목재주변에 석축을 쌓는 데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양쪽 해변에 각각 설치했었던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 철을 가로 질로 매어두었던 것이다. 이 공사규모는 철쇄길이가 약 300m이상이었으며, 철쇄를 감아두는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쌓은 석축이 10m×10m×10m 정도는 되었다고 생각되었으며, 공사기간은 최소 3개월은 소요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전라좌수영의 철쇄설치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에 철쇄를 설치하게 된 우선적인 배경은 임진왜란 직전 전라좌수영 관할 지역이었던 손죽도에 왜적이 침입하여 엄청난 피해를 주었던 일명 손죽도사건을 계기로 전라좌수영 본영을 왜적으로부터 방비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임진왜란 직전 漁船을 軍船으로 편입하거나 水軍을 충당하기 위한 배경과 함께 사회적 불안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풍수의 山川裨補 내지는 邑落裨補 사상을 앞세워 당시백성들과 수군들의 불안한 상태를 해소하고 나아가 그들의 安居까지를 바라는 목적 아래에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마지막으로 전라우수영의 철쇄설치 진위여부와 설치시기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명량해전 때에 철쇄가 가동되었다는 정황증거가 되는 사료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료 내용이나 일본학자의 주장을 종합해 봤을 때 명량대첩 당시에는 철쇄가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였다. 한편 명량해전시 사용되었던 철쇄는 명량해전 이전 즉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에 이미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다. 이 때 설치되었던 철쇄장치가 시일이 지나면서 일부 훼손되었을 것이고 이를 김억추가 전라우수사로 부임하면서 이순신의 명에 의해 보수되었던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process and backgrounds of Cheolsoae by Jeollajwasuyeong shortly before the Imjin war and the truth about the installation of Cheolsoae by Jeollawoosuyeong.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procurement site and method of necessary materials, installation process, construction process, size, and duration of installation that Jeollajwasuyeong needed to install Cheolsoae. The materials needed to install Cheolsoae include stone, wood, and iron. The prorement site of stone materials was Seonsaengwon where there was a national collection site of stone materials during Joseon. It today spans across Daereuk, Soreuk, and Wol Islands in Shinpung-ri, Yulchonmyeong, Yeosu City. The procurement site of wooden materials was current Song Island in Dolsan-eup where there used to be a national cultivation site of pine trees during Joseon. Iron was supplied from current Bonggang-dong, Yeosu City where there used to be Sacheolso of Jeollajwasuyeong. Under the supervision of military officers that belonged to Jeollajwasuyeong, masons, village foremen, and Sucheol, Sacheol Chuiryeon, and Picheol heads collected stone, wooden and iron materials, respectively. Collected in those ways, stone, wooden, and iron materials were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s to Hyeoseon, which was the warship of Jeollajwasuyeong under the control of its military officers. The process of Cheolsoae equipment consists of coiling and chaining Cheolsoae, building stonework, and hanging Cheolsoae. Wooden materials were used to coil or chain Cheolsoae.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pict their structures or forms, but it is estimated that they might have been similar to Makgae that was used to pull boats or fishing nets onboard. Stone materials were used to fix the wooden materials that coiled Cheolsoae and build stonework around the wooden materials. Such an equipment seems to have been installed on both the shores with a bar of iron chained across it. As for the size of construction, the length of Cheolsoae was approximately 300m or longer; the stonework that was build to fix wooden materials that coiled Cheolsoae was 10m×10m×10m; and the duration of construction must have been at least three month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backgrounds of Cheolsoae installation by Jeollajwasuyeong. Admiral Lee Sun-shin installed Cheolsoae in Jeollajwasuyeong mainly to defend the headquarters of Jeollajwasuyeong from the Japanese invaders after the incidence of Sonjukdo, which caused immense damage to the districts under the control of Jeollajwasuyeong shortly before the Imjin war as the Japanese invaders attacked Joseon people at Sonjukdo. The Cheolsoae was also installed to integrate fishing boats into the warship fleet shortly before the Imjin war and to reinforce the naval forces. In addition, it was installed to relieve the anxious state of people and soldiers of the naval forces and further guarantee their safe and sound living based on the Sancheonbibo and Euprakbibo ideas of feng shui to reduce social anxiety.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truth about the Cheolsoae installation by Jeollawoosuyeong and the time of its installation. The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Cheolsoae was in operation at the Battle of Myeongnyang was discovered at many different places. When those historical materials were put together with the arguments of Japanese scholars, it is very likely that Cheolsoae was installed at the time of Battle of Myeongnyang.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Cheolsoae that was used at the Battle of Myeongnyang had been already installed before the battle and also the Imjin war. Some of the Cheolsoae equipments installed during the time must have been damaged over time, and Kim Eok-chu seems to have repaired them by the order of Admiral Lee Sun-shin after he was appointed as Jeollawoosusa.

      • KCI등재

        조선시대 순천도호부의 목장(牧場) 연구

        송은일 ( Song Eun-il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2 No.-

        조선시대 순천도호부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던 목장은 백야곶 목장으로 1432년(세종 14) 이후에서 1434년 사이에 설치되었다. 이 목장 설치를 필두로 1454년(단종 2) 이전 즈음에 제리도·송도목장이 증설되었다. 이후 1481년(성 종 12) 이전 어느 시기 즈음에 돌산도·묘도목장이 설치되었다. 그런데 순천부목장 중 임진왜란 시기에서 1618년(광해 10) 사이에 제리도·묘도목장의 경우 일시적으로 폐지되었고, 송도목장의 경우 완전 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임진왜란 때 목장이 적의 수중으로 들어가면서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이러했었던 순천부의 목장은 1678년(숙종 4)에 재정비되었는데, 이 때 목장 수는 23곳으로 전국 고을단위 중에서 가장 많았다. 이후 순천부의 목장은 축소 또는 폐지되는 과정을 밟게 되다가 1895년(고종 32)에 모두 폐지되었다. 순천부의 목장 위치는 그 소재지를 알 수 없는 사질도목장 그리고 낙안군 소속에서 순천부로 편입되었던 장도목장, 행정구역의 변동으로 흥양현(현 고흥군)에서 순천부로 편입되었던 내라노도·외라노도목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현 여수시 일원에 위치에 있었다. 순천부의 목장은 곶과 섬에 위치에 있어 울타리가 없어도 방목하기 용이했고, 입지 조건은 대부분 구릉지와 평지가 잘 어우러져 있으며 물이 풍부하고 겨울에도 그다지 춥지 않아 목양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목장의 실태를 보면 우선 큰 목장은 둘레가 130리 정도, 작은 목장은 둘레가 10리 정도 였고, 마필 수는 많은 곳은 1,000여 마리, 작은 곳이 8~9마리 정도 보유하고 있었다. 각 목장에는 다수의 公廨가 있었으며 그 외 마신당, 假家, 저수지 등이 있었고 일부 목장에는 목장성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순천부의 목장에는 여러 목장조직이 있었다. 우선 목장을 관할하여 말의 번식ㆍ개량ㆍ관리ㆍ조달 등의 일을 책임 감독하는 자는 감목관이었다. 감목관 하부조직으로 우선 목양에 직접 종사하는 직책으로 群頭ㆍ群副ㆍ牧子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행정업무 등을 담당하는 監官ㆍ砲手ㆍ人吏ㆍ牧吏ㆍ通引ㆍ及唱ㆍ房子ㆍ知印ㆍ使令ㆍ津夫·軍官ㆍ封進馬喂養軍ㆍ納番牧ㆍ牧募軍ㆍ理馬 등도 있었다. 순천부의 목장 자금운영은 크게 수세와 지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수세는 토지와 환곡 등이며, 지출은 奉上·선물상납·녹봉·관청유지비·출장비·사료비·운반비 등 다양하였다. 이렇게 운영되었던 순천부의 목장은 수세보다 지출이 많았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따라 순천부의 목장에서는 백성들에게 다양한 목록의 조세를 과다하게 징수하였을 것으로 보였다. 순천부의 목장은 임진왜란 때 국란극복을 위해 앞장서기도 했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순천부의 목장은 평상시에 조선정부의 마정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충실히 했었으며,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에는 이를 극복하는데 적극 앞장섰던 곳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t was Baekyagot Ranch that was first established in Suncheon Dohobu during Joseon. It was built between 1432(14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nd 1434. Following its establishment, Jerido and Songdo Ranches were enlarged around 1454(second year of King Danjong's reign). Later, Dolsando and Myodo Ranches were established some time before 1481(12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Of these ranches in Suncheonbu, Jerido and Myodo Ranches were temporarily closed between Imjinwaeran and 1618(tenth year of King Gwanghae's reign) with Songdo Ranch closed completely. It was because these ranches were seized by the enemies and suffered damage during the war. After this hardship, Suncheonbu rearranged its ranches in 1678(four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and recorded the biggest number of ranches at 23 in the nation. Since then, its ranche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duction or closure until 1895(3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en all of its ranches were closed. As for the locations of ranches in Suncheonbu, all of them were located in current Yeosu City except for Sajildo Ranch whose location was unknown, Jangdo Ranch that was transferred from Nakangun to Suncheonbu, and Naeranodo and Oiranodo Ranches that were transferred from Heungyanghyeon(current Goheunggun) to Suncheonbu due to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uncheonbu, the ranches were located on capes or islands, which made it easy to put the cattle out to pasture even without fences. The location requirements of a ranch were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hill and flatland, abundance of water, and mild weather during winter which prevented the temperature from dropping too low to raise sheep. As for the actual states of ranches, big and small ones were approximately 130 and 10 ris, respectively, in circumference. The number of horses was approximately 1,000 at big ones and eight to nine at small ones. Each of the ranches had many Gonghaes with some equipped with Masindang, Gaga and reservoir. Others even had a fortress within the perimeter. The ranches of Suncheonbu had several ranch organizations. Gammokgwan had supervision over a ranch and was in charge of breeding, improving, managing, and procuring horses. Under him, Gundu, Gunbu and Mokja were directly involved in raising horses. Administrative works were taken care of by Gamgwan, Posu, Inri, Mokri, Tongin, Geupchang, Bangja, Jiin, Saryeong, Jinbu, Gungwan, Bongjinmawiyanggun, Napbeonmok, Mokmogun, and Ima. In Suncheonbu, ranches managed their funds between tax incomes and expenditures. Their tax incomes came from their land and Hwangok. Their expenditures spanned various areas including the presentation of gifts to a king, offering of gifts, stipends, maintenance of offices, travel expenses, feed costs, and transportation costs. Given this management style, it seems that the ranches of Suncheonbu must have had more expenditures than tax incomes and levied excessive taxes on people across various lists. The ranches of Suncheonbu took the lead in overcoming the national hardship during Imjinwaeran. In short, they were loyal to their roles of supporting horse-related works under the government of Joseon in usual times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 KCI등재

        조선전기 고흥지역 수군진(水軍鎭)의 설치와 수군(水軍)의 동향

        송은일 ( Song Eun-il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4 No.-

        현 고흥지역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던 수군진은 고흥포에 존재했었던 축두만호진과 녹도량에 존재했었던 녹도만호수군진이었다. 이들 수군진은 늦어도 1398년(태조 7년) 이전에 이미 설치되었다. 이렇게 이른 시기에 고흥지역에 수군진이 설치되었던 이유는 무엇보다 이 지역이 수군기지로서 중요한 입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후 1425년(세종 7)에 현 여수시 화양면 고진마을 일대의 용문포에 존재했었던 도만호진이 현 고흥군 점암면 여도리로 옮겨오면서 여도리는 도만호수군진이 설치되기에 이른다. 여도에 도만호진이 설진된 이유는 그곳이 좌도의 중앙에 위치에 있어서 도만호가 순환하면서 방어하기가 편리하다는 배경이 작용하였다. 이 당시 여도도만호수군진은 전라도 수군을 총괄하는 수군처치사 바로 아래로 전라좌도 8개 수군만호진(내례ㆍ돌산ㆍ축두ㆍ녹도ㆍ회령포ㆍ마도ㆍ달량ㆍ어란) 전체를 관할하는 거진이었다. 이렇게 설치되었던 여도도만호수군진에 1427(세종 9)과 1429년 경에 약간의 변화가 일어난다. 여도의 병선이 사도로 옮겨진 후 축두만호진 군선과 수군 일부가 사도로 옮겨지고 사도에 있던 군선과 수군이 다시 여도로 옮겨지는 변화가 그것이었다. 이 당시까지 4개의 수군진이 설치되었던 현 고흥지역은 1439(세종 21)에 또 하나의 수군진이 들어서게 되었는데, 그것이 현 고흥군도화면 내발리에 존재했었던 발포만호수군진이였다. 기존에 만호가 설치되었던 소흘포가 방어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여 그곳의 수군과 군선을 발포로 옮겨 수군진을 설치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계속적으로 증설되었던 현 고흥지역의 수군진은 세조대에 이르러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된다. 1457년(세조 3)에 축두만호진이 본진과 멀지 않고 인근 좌우에 녹도와 발포만호진이 있다는 이유 때문에 폐지되었다. 그리고 전라좌도를 관장하고 있었던 여도가 만호진으로 강등되고 군선과 수군만이 있었던 사도가 첨절제사진으로 승급되었던 것이다. 당시 사도첨절제사진 역시 전라좌도를 관장하는 거진으로 예하에 내례ㆍ회령포ㆍ달량ㆍ여도ㆍ마도ㆍ녹도ㆍ발포ㆍ돌산포만호 등 8개 만호진을 거느리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전라좌도의 수군진을 관할하게 된 사도진은 성종대 변화를 맞게 된다. 전라좌수영의 신설이 그것이었다. 이로 인해 기왕에 전라좌도의 수군진을 관장하였던 사도첨절제사진이 이제 전라좌수영의 통제를 받는 수군진으로 변화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사도진은 거진으로 위상을 그대로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위상을 지녔던 사도진은 1522년(중종 17) 경 전라우수영 지역의 완도에 가리포첨절제사진과 현 여수시 돌산도에 방답진이 설치되면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난다. 사도진 관할 달량만호진이 폐지되어 가리포진으로 합속되고 마도만호진이 가리포진 예하진으로 이속됨과 동시에 돌산포만호진이 혁파되면서 관할 수군진은 5곳으로 축소되었던 것이 그것이다. 이렇게 사도진의 위상이 변화하는 가운데에서도 당시 현 고흥지역에는 사도진을 비롯하여 여도ㆍ녹도ㆍ발포 등 4개의 수군진이 존재하였다. 이러했었던 현 고흥지역은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을 계기로 방어체계가 기존의 진관체제에서 제승방략체제로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수군진 외에 읍수군이 설치되었다. 이리하여 당시 현 고흥지역에는 사도진을 비롯하여 여도ㆍ녹도ㆍ발포만호진 그리고 읍수군까지 자리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당시 현 고흥지역에 존재했었던 4개의 수군진과 1개의 읍수군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후기 때까지 유지되었다. 고흥은 지형적으로 4면이 대부분 바다를 끼고 있어 왜구들이 출입하는 주 통로지역이었다. 때문에 이 지역은 수시로 왜구들의 침입이 잦았다. 이렇게 고흥지역에 잦은 왜구의 침입이 있었고 그에 따라 이 지역 수군들은 왜적과수시로 접전하는 상황이 많았다. 따라서 이 지역 수군진들은 항상 전시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평상시에도 수군의 확보를 비롯한 임전태세에 만전을 기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이것은 현 고흥지역의 수군들이 왜구 침입시 정예화 된 면을 보여주고 있었다는 데에서도 잘 알 수가 있었다. 한편 현 고흥지역의 수군은 평상시에 전라좌수사의 지휘아래 군사들의 기강도 엄격하게 유지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했었던 현 고흥지역 수군진들의 전력이 더욱 증강될 수 있는 계기가 있었는데, 그것은 임진왜란 직전인 1591년(선조 24) 2월에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의 수군절도사로 부임하면서부터였다. 이순신은 전라좌수사로 부임하자마자 전라좌수영과 그 관할 수군진 및 각 고을에 수군확보와 군비확충에 최선을 다할 것을 명하면서 한편으로 자신이 직접 나서서 임전태세에 임하였다. 이순신은 현 고흥지역의 수군진에 대해서는 직접 점검에 나서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서 대체로 양호한 평가를 내렸다. 이러한 결과는 이순신의 노력도 있었지만 흥양지역 수군들이 평상시에 왜침 대비에 최선을 다해 준비한 결과이기도 하였다. 이렇게 전쟁준비가 완벽하게 갖추어지고 정예화 된 현 고흥지역 수군들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전라좌수군에서 그 활약이 도드라졌던 것이다. The first naval bases set up in current Goheung were Chukdu Manhojin in Goheungpo and Nokdomanho Naval Base in Nokdoryang. Those naval bases were established at the latest 1398년(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Their early establishment in the Goheung area was explained by the important position of Goheung as a naval base. In 1425(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Domanhojin, which was in Yongmunpo in the whole area of Gojin village, Hwayang-myeon, current Yeosu City, was moved to Yeodo-ri, Jeomam-myeon, current Goheung-gun,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Domanho Naval Base in Yeodo-ri. The establishment of Domanhojin in Yeodo was due to its central location in Jwado that made it convenient for Domanho to circulate and defend. Those days Domanho Naval Base in Yeodo was a Geojin that had jurisdiction over the eight Naval Forces Manhojins(Naerye, Dolsan, Chukdu, Nokdo, Hoiryeongpo, Mado, Dalryang, and Eoran) in Jeolla Jwado right under Naval Forces Cheochisa that supervised the Naval Forces of Jeolla Provinces. There were some changes to Domanho Naval Base in Yeodo around 1427(9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nd 1429: the warships and part of Naval Forces in Chukdu Manhojin were moved to Sado after the military vessels in Yeodo were moved to Sado, and then the warships and Naval Forces in Sado were moved back to Yeodo. The year of 1439(21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another naval base in current Goheung, which held four naval bases so far, and it was Balpo Manho Naval Base in Naebal-ri, Dohwa-myeon, current Goheung-gun. After making a judgment that Soheulpo, where the old Manho was set up, was not fit for defense, they moved its Naval Forces and warships to Balpo and set up a naval base there. The naval bases in current Goheung faced an ongoing extension of installations and underwent considerable chang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1457(3rd year of King Sejo`s reign), Chukdu Manhojin was abolished partly because it was not far from the military headquarters and partly because there were Nokdo and Balpo Manhojin in the near distance. Yeodo, which supervised Jeolla Jwado, was degraded to Manhojin, and Sado, which contained the warships and Naval Forces bay, was promoted to Cheomjeoljesajin. At that time, Sado Cheomjeoljesajin was also promoted to a Geojin that supervised Jeolla Jwado and had control over eight Manhojins including Naerye, Hoiryeongpo, Dalryang, Yeodo, Mado, Nokdo, Balpo, and Dolsanpomanho. Going through those changes, Sadojin got to control the naval bases of Jeolla Jwado and then faced another chang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t was the new establishment of Jeollajwasuyeong, which put Sado Cheomjeoljesajin, which used to supervise the naval bases of Jeolla Jwado, under the control of Jeollajwasuyeong. Meanwhile, Sadojin maintained its status as a Goejin. It, however, also faced huge chang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Garipo Cheomjeoljesajin in Wando of Jeollawusuyeong and Bangdapjin in Dolsando of current Yeosu City around 1522(17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Dalryang Manhojin under the jurisdiction of Sadojin was abolished and incorporated into Garipojin; Mado Manhojin was placed under the jurisdiction of Garipojin; and Dolsanpo Manhojin was broke down. After those changes, the number of naval bases under its jurisdiction was reduced to five. Even after the status of Sadojin changed, there were four naval bases in current Goheung including Yeodo, Nokdo, and Balpo as well as Sadojin. The defense system of current Goheung was changed from the old Jingwan system to the Jeseung Bangryak system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Eulmyo year of 1555(1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with the addition of Eupsugun to the old naval bases. As a result, the current Goheung area contained Sadojin, YeodoㆍNokdoㆍBalpo Manhojin, and even Eupsugun. Its four naval bases and one Eupsugun were maintained eve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after Imjinwaeran. Being surrounded by the sea in four sides geographically, Goheung was on the passage of Japanese raiders and thus often invaded by them. Frequent invasions of Japanese raiders in Goheung meant frequent combats between the Naval Forces and Japanese raiders in the area. The naval bases in the area thus were on the war basis all the time and made full preparations for battles including the securement of Naval Forces even during the ordinary times, which is well demonstrated in the elitism of Naval Forces in current Goheung during the invasion of Japanese raiders. Under the leadership of Jeollajwasusa, the Naval Forces of current Goheung kept the discipline of soldiers tight even during the normal times. There was an event that further reinforced the military strength of naval bases in Goheung, and it was the new appointment of Lee Sun-shin as the Sugunjeoldosa of Jeollajwasuyeong in February, 1591(24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right before Imjinwaeran. Upon arriving at his new post, Lee gave an order to Jeollajwasuyeong and each naval base and town under its jurisdiction to do the best to secure the soldiers and increase armaments and got ready for combat himself. He made first-hand inspections of naval bases in Goheung and gave overall satisfactory scores to them. Those outcomes were thanks to the full preparations of Naval Forces in the Heungyang area for the invasion of Japanese raiders even during the ordinary times as well as Lee`s efforts. The Naval Forces of current Goheung were perfectly prepared for war and became the best, thus being able to play prominent parts in Jeollajwasugun after the outbreak of Imjinwaeran.

      • 조선후기형 복원 거북선의 현황과 제언

        송은일(Song, Eun-Il)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4

        이 글에서 조사·분석한 조선후기형 복원 거북선은 구조와 형태적 측면에서 보면 전라좌수영거북선형과 통제영거북선형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 거북선들의 특징은 대부분 조선후기와 임란시 거북선 관련 기록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혼합형이었으며, 일부 구조에서는 복원의 근거를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향후 조선후기형 거북선 복원시 유념해야 할 사항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우선 거북선을 복원할 때에는 어떤 거북선을 복원할 것인가에 대한 목표 설정이 분명해야 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예컨대 임진왜란형 또는 조선후기형 등으로, 조선후기형 중에서도 소속(수군영·진)과 시기 등을 정확히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통제영거북선과 전라좌수영거북선의 크기를 동일하게 복원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조선후기 거북선은 크기, 형태, 구조 등이 수군영·진은 물론이고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셋째, 거북선 복원이 완료되면 운항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넷째, 층 구조에 대한 부분은 권수 도설 중 포판과 관련된 기록을 정확히 파악하고 복원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신방과 방패의 연결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권수도설에 나타난 신방과 방패의 연결 구조가 수직선상에 있었다는 사실을 각별히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여섯째, 노에 대한 부분이다. 현재 복원된 노의 구조와 크기로는 추동력 등이 원활하지 않다는 사실 등을 언급한 후 향후 복원 시에는 다양한 각도에서 고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일곱째, 거북선 복원시 관련 기록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훼손시켜서는 안되며, 사실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여덟째, 돛대를 보관하는 구조와 움직임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북선 건조 재료에 대한 것과 거북선 주요치수에 대한 부분을 제언하였다. Late Joseon-style restored Turtle Ships examined and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were mainly categorized into Jeolla Jwasuyeong- and Tongjeyeong -style Turtle Ships in the structure and form aspect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urtle Ships is that they were in a mixed form based on the complex application of Turtle Ship records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Imjinwaeran in most cases. In some structures, it was impossible to trace grounds for restoration. Based on these facts, the study discussed issues with the restoration of late Joseon-style Turtle Ships along with a couple of notes. First, it is important to set a clear goal regarding a Turtle Ship style to be restored. For instance, a choice can be made between the Imjinwaeran and late Joseon styles. Under each style, it is critical to set the affiliation(Sugunyeong and Jin) and time of Turtle Ship accurately. Second, it is important not to restore Tongjeyeong- and Jeolla Jwasuyeong-style Turtle Ships in the same size as Turtle Ships varied in size, form, a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time as well as Sugunyeong and Jin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Third, there is a need to check whether a restored Turtle Ship can sail after the restoration process is over. Fourth, it is necessary to examine Popan records in Gwonsu Doseol accurately before restoring a Turtle Ship for its layer structure. Fifth, there is a need to pay extra attention to the vertical connective structure between Sinbang and shield in Gwonsu Doseol. Sixth, the study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restored oars provide no enough driving force for a Turtle Ship in their structure and size and proposed to investigate oars at multiple angles based on historical evidence. Seventh, no arbitrary interpretations and damages of records are allowed in the restoration of Turtle Ships. It is important to apply records as they are. Eighth, the study mentioned the storage structures and movements of masts. Finally, the study made proposals about the shipbuilding materials and major measurements of Turtle Ships.

      • KCI등재

        대학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가 스포츠자신감, 운동 몰입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은일(Song, Eun-Il),이종호(Lee, Jong-Ho)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4

        이 연구는 현재 전국 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으로 231명의 표본을 추출하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 정신관리, 대인관리는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능력입증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관리, 대인관리, 몸 관리는 코치지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몸 관리는 운동 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의하위요인인 몸 관리는 운동만족의 하위요인인 선수생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자신감은 운동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 자신감은 운동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 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은 운동만족의 하위요인인 선수생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대학태권도선수의 경기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관리를 통한 자신감의 증진과 몸 관리와 인지 몰입을 높여 선수생활만족의 수준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Taekwondo athletes currently registered in Korea Taekwondo Association. 231 copies of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rough purposive sampl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such as training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factor of confidence such as proof of total capability. Mental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significantly affected coaching leadership. Second, the sub-factor of self-management such as body management affected the sub-factor of exercise flow such as recognition commitment. Third, the sub-factor of self-management such as body management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factor of exercise satisfaction such as athlete careers. Fourth, sport confidence did not affect exercise flow. Fifth, sport confidence did not affect exercise satisfaction. Sixth, the sub-factor of exercise flow such as recognition flow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factor of exercise satisfaction such as athlete careers.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confidence through self-management and to increase levels of exercise satisfaction through body management and recognition commitment in order to enhanc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college Taekwondo athletes.

      • KCI등재

        대학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가 스포츠 자신감 및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송은일(Song, Eun-Il),최천(Choi, Chun) 한국체육과학회 2015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4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know self management’s effect on Sports-Confidence and Vocational Identity among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we Analyzed 197 questionnaire responses and draw a conclusion using statistic test (Correlation Analysis &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First,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discipline management which are low factors of self-management’s was found to affect the low factors, sub-factor of the sports confidence such as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Second, Interpersonal which is low factors of self-management affected to Goal Orientation of Vocational Identity’s low factors. Also, self-existence consciousness which is low factors of Vocational Identity’s affected to discipline management of self management’s low factors. Third, physical, mental preparation and capabilities which are sub-factor sports confidence affected goal orientation of Vocational Identity’s Capabilities which is the sub-factor of sports confidence affected to self presence awareness of Vocational Identity’s sub-factors.

      • KCI등재

        SNS의 참여정도와 성별에 따른 대학 태권도 품새 선수의 여가제약 및 여가만족 분석

        송은일(Song, Eun-Il),정태성(Jeong, Tae-Seong)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alysis of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by gender and participation degre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in university athletes in Taekwondo round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opulation was defined as over university students whom were taking part in domestic 2011. The total 419 people among them were chosen for a survey by utiliizing cluster sampling, sampling from a popula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two-way ANOVA using the SPSS 15.0 for Windo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NS in leisure constraints there was no significants difference. Second,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NS and gender in leisure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s difference. In this overall perspective,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degree of SNS in unversity athletes in Taekwondo round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 to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시대 전라좌수영의 將軍島城 축조과정 및 배경과 李良將軍

        송은일 ( Eun Il S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4 No.-

        이 글은 조선시대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부임하였던 이량장군이 현 여수시 장군도 일대에 축조하였던 장군도성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이량장군이 수중에 쌓았던 城의 명칭은 ‘將軍城’, ‘將軍島城’, ‘水中城’, ‘防倭築城’ ‘將軍島 水中城’ ‘防倭築堤’ 등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나 조선시대 문헌상으로 가장 이른 시기부터 조선 말기까지 등장하고 현재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면서 그 명칭의 유래에 대한 역사성이 가장 뚜렷한 장군도성을 성의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되었다. 장군도성의 규모는 이 성이 수면위로 드러났다는 「李將軍咸川君諱良防倭築堤碑」의 내용과 현재 밀물이 되면 드러나는 장군도성의 흔적을 종합해보면 총연장 약100m, 하부 넓이 약 30m, 상부 넓이 약 10m, 중간지점 높이 6~7m 가장자리 높이 약 4~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군도성의 축조과정은 크게 석재채취·석재운반·석재투하·석재고르기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석재량은 대략 12,000㎥~14,000㎥ 정도였는데 조선시대 선(성)생원(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 인근 섬)원 인근에서 채취·조달하였던 것이며, 운반은 전라좌수영 본영 군선과 군선 외 기구에 석재를 적재한 후 군선으로 曳引하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렇게 석재가 장군도성 축조 장소로 운반되면 이 석재를 곧장 해상에 투하하였으며, 이후 속고르기나 피복석고르기를 하여 성곽의 형태를 의 형태를 만들었던 것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공사 방식은 현재에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 당시 해상 토목공사가 수준이 상당하였음이 감지되었다. 이량장군이 장군도성을 축조하게 된 배경은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고 한편으로 풍수의 산천비보 내지는 읍락비보 사상을 앞세워 백성들의 불안한 상태를 해소하고 나아가 그들의 安居까지를 해결할 수 있다는 목적아래 행해졌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군도성의 착공단계는 연산군 3년(1497) 6월 정도였고 완공단계는 연산군 4년 6월에서 동년 12월 사이였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량장군은 일선 군 지휘관은 물론이고 행정 능력을 두루 갖춘 즉 문·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군 지휘관으로 있을 때에는 수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그러한 결과 조정에서 신망이 매우 두터웠다. 특히 이량장군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직후 적의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 성을 쌓았다는 사실은 그의 군사적 전략이나 전술능력 등을 가늠하는 방점이 된다. 이량장군이 수중에 쌓았던 성은 국내 유일한 것으로 전통시대 군사시설물은 물론이고 수군사와 해양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따라서 장군도성유적은 그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Janggun Island Fortress built around the Janggun Island in current Yeosu City by General Lee Ryang that was appointed as the Sugun Jeoldosa of Jeollajwado during Joseon. The fortress built underwater by the general is called by many different names including "Janggun Fortress," "Janggun Island Fortress," "Underwater Fortress," "Bangoichukseong," "Underwater Fortress on the Janggun Island," and "Bangoichukje." The investigator decided to call it Janggun Island Fortress in the study because it seemed the most rational choice given that it appeared in literatur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Joseon, that it is still used today, and that its origin has the clearest historicity. It is estimated that the Janggun Island Fortress was approximately 100m in total, approximately 30m in lower area, approximately 10m in upper area, 6~7m in middle point height, and about 4~5m in edge height based on the content of "Yijanggunhamcheongun huiryangbangoichukjebi", which states that the fortress emerged over the water, and its traces exposed during a flood tide today. The building process of the fortress mainly consisted of extracting, transporting, dropping, and selecting stone materials. The volume of stone materials used was approximately 12,000㎥~14,000㎥, and they seem to have been collected and procured around Seon(Seong) Saengwon(current an island near Shinpung-ri, Yulchon-myeon, Yeosu City) during Joseon, transported on warships that belonged to Jeollajwasuyeong, and towed on warships after being piled up in apparatuses other than warships. It seems that once stone materials were carried to the building site, they were dropped into the sea right away and formed into a fortress through core or armor stone evening. The building method is a method of construction generally used even today, which suggests that the marine engineering works reached a considerable level those days. The backgrounds behind General Lee Ryang`s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include defending the nation from the attacks of Japanese raiders, resolving the anxious state of mind of people with Sancheonbio or Euprakbiobo of Feng Shui, and guaranteeing their peaceful life. It is estimated that its construction began around June in the third year of Yeonsangun`s reign(1497) and ended around June ~ December in the fourth year of Yeonsangun`s reign. General Lee Ryang was a man that excelled both in scholarship and martial arts, being equipped with the commanding skills at the front line of military and the administrative abilities. As a commander in the military, he attained numerous military merits and thus earned solid trust from the royal court. The fact that he built an underwater fortress to prevent the invasion of enemies in advance right after being appointed as Jeollajwasusa especially serves as a side point to figure out his abilities with military strategies and tactics. His fortress is the only underwater fortress in the nation and offers crucial clu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naval forces and marine culture as well as traditional military facilities, which indicates that the relics of Janggun Island Fortress claim huge historic significa.

      • KCI등재

        일반논문 : 임란 전후 보성 장흥지방 재지사족(在地士族)의 사회적 기반 -임란 당시 전라좌의병 지도층과 그 가문을 중심으로-

        송은일 ( Eun Il S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50

        이 글은 임란 당시 전라좌의병 지도층 가문의 사례를 통해 임란 전후 보성 장흥지방 재지사족에 대한 사회적 기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전라좌의병 지도층과 그 가문의 사회적 기반을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이들 가문의 입향동기 및 통혼 권, 그리고 학맥과 사우관계 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이 발견되었다. 우선 入鄕동기 및 通婚圈을 보면 전라좌의병 지도층 가문들은 대부분 외부에서 보성 장흥지방으로 직접 입 향하거나 또는 다른 지역을 일차적으로 걸쳐 입 향하는 경우가 많았었는데, 그 이유는 지도층 선대들이 조선왕조의 개창 이후 크고 작은 정치적 파동기에 절의를 고집했거나 정쟁에 연루된 사대부들이었다는 점과 그로 인한 정치적 박해를 피해 중앙으로부터 전라도로 落南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일부 가문은 개인적인 사정이나 妻 鄕을 따라 입 향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보성 장흥의 인근 지역에서 관직생활을 하다가 이 지방에 정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보성 장흥지방에 정착하게 된 이들 가문들은 이 지방의 유력 가문들과 혼인을 통해서 사회적 기반을 확고히 닦고 유지해 나갔다. 이들의 통혼관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우선 世系상 유력가문들 간에 집중적으로 얽혀 나타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원, 진사와 문과에 급제자를 많이 배출한 가문에서는 외부의 유력 가문들과도 통혼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셋째, 전라좌의병 지도층 가문이나 지도층 당사자들과 통혼이 連婚되는 것은 물론이고 중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으로 학맥과 사우관계를 보면 이 지방 사족들의 학맥은 대부분 단선적이지 않고 각 학맥을 넘나드는 중첩적인 관계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6세기경 호남 학맥은 김굉필ㆍ최부ㆍ송흠ㆍ박상 등 네 그룹이 있었는데, 이 시기 보성 장흥지방의 학맥에서도 이네 그룹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통혼 권 및 학맥 등은 이 지방 사족들이 사회적 기반을 다지고 유지해 나가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며, 한편으로 전라좌의병 성군기반이 되었던 것은 물론이고 의병활동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ocial bases of the Jaejisajok in Jangheung, Boseong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to Korea in 1592 by looking into the cases of the families of the commanders that led the Jeollajwa loyal troops during the war. The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for entrance, marriage spheres, school connections, and colleague relations of the commanders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and their families in order to figure out their social base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s for their motivations for entrance and marriage spheres, most of their families directly entered Jangheung, Boseong from other areas or indirectly entered Jangheung through other areas first. This was because their predecessors were illustrious officials that maintained their fide lity to the king during great or small political upheavals or were involved in political strifes and thus moved down from the central region to Jeolla Province to escape political persecution. Some of the families entered Jangheung for their own personal reasons or to be located near the family of the wife, while others held a government office in the surrounding area and got to settle down in it. Whatever their motivations were for entering Jangheung, those families settled down in the area and formed relationships with powerful local families through marriage, thus creating and solidifying their social base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ir marriage relationships is the concentration of such relationships among powerful families in an entangled fashion. Secondly, the families that produced many members who passed the Saengwon, Jinsa and Mungwa exam actively formed relationships with powerful families outside the area through marriage. Thirdly, the commanders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and their families overlapped with one another in marriage relationships as well as formed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rough Yeonhon. As for school connections and colleague relations, most of the local noble families had overlapping school connections among different schools that were not fragmentary. There were four groups of Kim Goingpil, Choi Bu, Song Heum, and Park Sang in the Honam School in the 16th century. The school connections of Jangheung, Boseong were not far from those categories at that time. The marriage spheres and school connections of the local noble families must have been a driving force behind their efforts to solidify and maintain their social bases. In addition, they must have been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Jeollajwa loyal troops and offered considerable advantages to the activities of loyal tro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