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VID-19 팬데믹 시대의 법과 의료 윤리: 의료자원의 분배 문제를 중심으로

        송윤진 ( Song¸ Yoonjin ) 아세아여성법학회 2020 아세아여성법학 Vol.23 No.-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현안 중 하나이다. 특히, 코로나19가 인체의 호흡기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중환자실 병상과 인공호흡기 부족과 같은 필수 의료자원의 부족은 위중한 상태에 있는 환자들을 적절히 치료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되는 올겨울에 이르러 대규모의 n차 유행에 또다시 직면할 수 있음을 지속적으로 경고하고 있다.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다면, 이번 겨울 우리나라도 넘쳐나는 감염된 환자를 수용할 중환자실 병상 부족은 거의 확실시된다고 볼 수 있다. 비단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대응을 넘어, 세계는 인류의 존립과 문명을 위협하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대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적응력을 높이는 ‘사회 회복력’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공동체의 윤리적·제도적·정책적 고려사항의 일환으로서,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어떻게 의료자원을 공정하고 윤리적으로 분배할 것인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중보건의료정책의 관점에서 의료자원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방향을 세우고 관련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감염병으로 인한 사회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적 논의를 더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표하에, II장에서는 의료자원 분배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소개하고, 이를 팬데믹 상황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분배 기준들을 중심으로 개관한다. 이어서 III장에서는 감염병 상황에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대응 지침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기본 원칙을 강조하고, 이와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한다. 마지막 IV장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정리하도록 한다. Fair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is one of the most pressing and important issues in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COVID-19 mainly occurs in the respiratory system of the human body, the lack of essential medical resources such as intensive care unit beds and lack of ventilators makes it more difficult to adequately treat patients in critical conditions. Moreover,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continue to warn that this winter may face a massive Nth outbreak again. Assuming the worst situation, it can be said that even in Korea, the lack of intensive care unit beds to accommodate the overflowing infected patients is almost certain. In this background, as part of the community’s ethical, institutional, and policy considerations,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issues of how to distribute medical resources fairly and ethically in the context of an infectious disease pandemic. In addition, this paper should further promote these normative discussions to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confusion of society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by establishing a direction to ensure equitable access to medic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care policy and establishing relevant guidelines. In Chapter II of this articl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are introduced, and the distribution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by applying them to the pandemic are outlined. Being followed by Chapter III, guidelines for responding to fair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in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on the premise that these guidelines must go through public discussions from the stage of making these guidelines, we will review guidelines for reference. The final chapter IV summarizes future research tasks in this area.

      • KCI등재

        핵무기 시대 양국간 군사분쟁의 미래

        송윤진(Song, Yoonj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본 논문은 복수의 핵무기 국가들이 국제체제상에 존재하기 시작한 이래 발생한 양국간 군사분쟁들을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는 국제체제 내 양국간 군사분쟁의 연간 발생 횟수가 해를 거듭함에 따라 이전보다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분쟁에 개입된 당사국 행위자들이 선택하는 적대감 수준은 무력을 직접 사용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러한 추세적 방향성은 핵무기 보유 국가들의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수행된 마르코프 연쇄분석을 통해 분명해질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에서 계산된 고정 확률 벡터값들의 변화 추이를 통해 미래 분쟁의 양상이 그러한 추세로 진행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요약하건대 마르코프 연쇄와 같은 확률론적 분석 결과를 통해 핵무기 시대의 도래 이래 최근까지 누적된 적대감 수준의 선택과 관련한 양국간 군사분쟁의 양상이 미래 국제체제에까지 지속성을 지닐 것임을 확인해준다. This article quantitatively analyzes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in the nuclear age. Its findings show that the occurrence of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has been on the increase every year in the nuclear age, while the use of force, namely high level of hostility has been on the decrease between the state actors directly involved. Thus, it implies that the number of occurrences seems to increase as the years go by in the international system, whereas state actors seem to more hesitate to use their military force when a dispute happens. In a word, the likelihood of using force by states in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seems to be decreased with the lapse of time. Furthermore, this article also examines whither the dispute clock for forecasting through stationary probability vector values calculated by a Markov chain analysis. The probabilistic method confirms that such empirically tested results will last far into the future of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in nuclear-proliferation-adjusted terms.

      • KCI등재

        동남아시아 국제체제 군사적 상호작용의 중심성

        송윤진(Song, Yoonj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3

        본 논문은 동아시아 국제체제의 반쪽이라 할 수 있는 동남아시아 국제체제상에 주요한 이해를 가진 국가들 사이에 발생한 군사적 상호작용들의 누적인 국가간 군사분쟁(MID: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네트워크의 구조를 분석한다. 그것을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남아시아 국제체제상에서 분쟁의 중심성을 점유해 온 국가행위자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 결과는 동남아시아 국제체제의 경우 이 지역에 전통적으로 상수적(常數的) 이해를 견지하여 온 역외 열강들보다 역내 주요 국가들이 오히려 군사분쟁 발생 시 무력사용하기를 선호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과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같은 특정 국가행위자들이 분쟁 네트워크 구조에서 확연히 높은 중심성 지수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패권지향성을 확연히 강화해나가고 있는 중국의 움직임에 비추어 이 지역 국제체제의 미래와 관련하여 불안정성을 시사한다. 나아가 그러한 사실은 양국간 군사분쟁 네트워크에서 특정 국가들의 분쟁행태가 동남아시아 국제체제 안정을 위하여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내포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within the network of bilateral state-actor relations in the Southeast Asia after the World War II through a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some measures of ‘centrality’ that is a useful concept used in analyzing social network structures. Its result shows that some state-actors in the region seems to prefer to use force when a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occurs and that state-actors such as China, Vietnam, Indonesia are much more centrally positioned in the social network of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in the Southeast Asia. It also suggests that such state-actors should be strategic balancers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regional interstate system.

      •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송윤진 ( Song Yoonjin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16 아세아여성법학 Vol.19 No.-

        본고는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의 내용과 근거를 규명하기 위해 새로운 자율성 개념 및 이론 틀로서 자율성 역량 모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표 하에 본고에서는 첫째, 필자가 제안하는 자율성 역량 모델을 명확히 소개하고 이러한 제안이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논의에서 새로운 의미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둘째, 이러한 자율성 역량 모델이 낙태라는 구체적인 사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실천적 유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오늘날 자율성 개념 및 자기결정권 담론은 대체로 `충분한 의사결정능력을 가진 주체가 내리는 독립적인 자기결정`을 보장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어떠한 상황에서든 주체는 방해받지 않고 자신에 관한 일을 결정할 독립된 권한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의사결정이 내려지는 과정을 들여다보면 결정자는 결정이 내려지는 구체적 상황적 요인들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으며 주체의 의사결정능력 역시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변화한다. 필자는 개인의 의사결정을 하나의 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런 관점에서 종래의 자기결정권의 내용 및 근거 역시도 재구성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결론적으로 대안적 자율성 개념 및 근거로서 제안되는 자율성 역량 모델은 헌법상 자기결정권의 성격 및 정당화 논의에 있어서도 새로운 의미 형성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낙태는 개인적이면서도 사회적인 딜레마로서, 단순히 낙태의 금지 여부만을 다투는 것이 아니라 임신과 출산, 육아와 관련된 재생산 전반의 문제들과 함께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망되어야 한다. 따라서 낙태에 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은 단순히 여성 개인의 소극적 자유권으로 협소하게 이해되기보다는 사회적인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나아가 공동체는 낙태에 관한 결정의 책임을 여성 개인의 문제로 돌리지 않고, 낙태 예방을 위한 사전적 조치들을 마련하고, 낙태에 관한 신중한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공적 시스템을 정비해야 할 의무를 진다. 이런 관점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을 중심으로 이해되는 자기결정권을 넘어서 보다 우리 사회에서 재생산에 대한 책임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 담론이 요청된다. My Study aims to propose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as a new autonomy concept and theoretical framework to identify the content and basis of women`s self-determination rights in abortion. In this paper, firstly, I introduce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and propose the possibility of forming new meaning in autonomy discourses. Secondly, I discuss about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in abortion and check its practical meanings. Today, the concept and discourse of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rights are generally understood as ensuring an independent self-determination by the subject with sufficient decision-making ability. That is, under any circumstances, the subject has independent authority to decide things about himself without being disturbed. However, when we look at the process of actually making a decision, the decision maker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pecific situational factors that make the decision, and the subject`s decision-making ability also changes by various variables. We need to understand individual decision-making as a dynamic process, an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ontents and grounds of conventional self-determination rights. In conclusion,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which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autonomy concept and basis, is expect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new meaning in the debate on the nature and justificat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s in the Korean Constitution. Abortion is a personal and social dilemma and should be viewed from an overall, not merely on the prohibition of abortion, but on the issues of reproduction throughout the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Therefore, wome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regarding abortion should be composed entirely from a social point of view rather than merely a narrow understanding of women`s passive freedom. Furthermore, the society has the obligation to prepare preliminary and post-procedural measures to prevent abortion and then to build the social supportive system for a proper decision-making on abortion. From this viewpoint, it is required to have a discourse on self-determination rights that allows us to discuss on public responsibility for reproduction in our society rather than self-determination rights which are based on individual`s right to privacy.

      • 토양 내 유입된 농약에 의한 지렁이 장내미생물의 변화

        송윤진 ( Yoonjin Song ),이지훈 ( Ji-hoo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병해 방지와 제초를 위해 사용된 농약성분들은 농경지에 잔류할 잠재성이 높아, 후작물로의 전이 등에 대한 우려로 잔류 실태나 분해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농약 성분이 토양에 유입될 경우를 가정하여, 토양 내 지렁이 장내 세균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농약의 생태적 영향 및 독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실제 농경지에 존재하는 지렁이의 장내 세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 종류의 농경지로부터 지렁이를 채집하였다. A그룹의 농경지는 cypermethrin, B그룹은 buprofezin을 사용한 농경지이며, C그룹은 농약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예상되는 농경지이다. 각 그룹에서 채집한 지렁이fétida)S\ 장내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Brain Heart Infusion(BHI), LB, PTYG, R2A, Nutrient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고, 희석 배양을 통하여 군락을 선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RNA gene 염기서열 (sequence)을 토대로 계통수(phylogenetic tree)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농약을 살포하지 않은 C그룹에서의 종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ypermethrin을 살포한 그룹보다 amitraz+buprofezin을 살포한 그룹에서 더 높은 종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같은 토양 조건에서 농약살포로 인한 지렁이 장내 미생물 군집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입한 지렁이(Eisenia fetida)를 사용하여 농약 노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농약은 유제인 피레스(cypermethrin)와 깍지킬(amitraz+buprofezin) 2개를 사용하였다. 피레스(A그룹)의 유효농도 37.5 mg/kg soil, 깍지킬(B그룹)의 유효농도 50 mg/kg soil이 되도록 첨가한 토양에 지렁이를 16주 동안 배양하였으며, 4주, 8주, 16주차에 지렁이를 채취하였다. 각 시간별 지렁이 장내 균주들을 동일한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 및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토대로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C그룹을 제외한 A, B 그룹의 지렁이 장내미생물 군집 다양성이 높아졌으며 농약의 사용이 지렁이 장내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 연명의료결정 및 임종기 돌봄 경험 연구

        안경진(Kyongjin Ahn),공병혜(Byunghye Kong),송윤진(Yoonjin So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20 생명윤리 Vol.21 No.2

        의・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응급실 및 중환자실 등에서 집중연명치료를 받다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관행 속에서 ‘김할머니 사건’은 임종기 상황에서 무분별하게 적용되는 연명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법제화의 필요성에 대해 공론화의 장을 열어주었다. 그 결과로 우리사회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을 제정하였으며, 이 법을 시행한지 2년이 넘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명의료결정법’은 생애말기 의료적 의사결정과정에서 생명연장을 위한 연명의료 적용에 대한 환자의 자율적 의사 존중과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를 통한 죽음의 질 문제를 포괄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정되었다. 그러나 이 법은 대부분의 임종이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료현실에 대한 성찰로 연결되지 못하고, 연명의료결정 과정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딜레마 상황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근본적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연명의료결정 및 임종기 돌봄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의료 현장에서 법이 제정 목적에 맞게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지역 일개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 및 기관 간 격차 등을 비교분석하지 못한 측면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중환자실 임종기 돌봄 경험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발견되는 관련 제도의 유의미한 장·단점을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에 근거해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환자의 존엄한 죽음을 위한 연명의료결정 및 임종기 돌봄환경을 위한 근본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임종기 돌봄 환경의 실질적인 개선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개발을 위한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pite recent developments in medical and biotechnology, most people die while undergoing intensive life-sustaining treatments in emergency rooms or intensive care units. Amid these social practices, the “Grandmother Kim case” opened a forum for public debate about the necessit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and about the legaliz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s that are indiscriminately applied to dying patients. As a result,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s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was enacted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February of 2018.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currently in effect,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patient"s autonomy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the quality of death through hospice and palliative care during the medical decision-making process at the end of life. However, because this law does not properly consider the reality of the medical set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 and the various dilemma situations that arise during the actual intensive care unit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process, this law has fundamental limitations in securing a dignified death fo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experienc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life-sustaining care decisions-making and end-of-life car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ultimately to determine whether the law is proper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its enactment in the actual medical field. In addition, by grasping the significan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elated systems which have arisen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pertaining to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for the dignified death of patients and end-of-life care environ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research data for both institutions and those involved in policy development, leading to practical improvements of end-of-life care environm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local general hospital,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니켈 내성 균주의 동정과 유전체 분석을 통한 잠재적 기작 연구

        이슬 ( Seul Lee ),( Anamika Khanal ),여준구 ( Junkoo Yeo ),( Kathyleen Nogrado ),조아현 ( Ahyeon Cho ),송윤진 ( Yoonjin Song ),권미지 ( Miji Kwon ),이지훈 ( Ji-hoo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The widespread use of metals influenced many research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 toxicity and bacterial resistance. In this study, we have inoculated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from Jang-hang region of South Korea in the nickel-containing media (20 mM Ni) for the enrichment. Among dozens of the colonies acquired from the several transfers and serial dilutions with the same concentrations of Ni, 3 colonies with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chosen for further studies, which were named as strains Ni-a, Ni-2 and Ni-3.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for their phylogenetic affiliations by using 16S rRNA gene analysis. The strains Ni-2 and Ni-3 were close to Cupriavidus metallidurans and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antibiotics of vancomycin, erythromycin, chloramphenicol, ampicillin, gentamicin, streptomycin and kanamycin by disk diffusion method. Of the isolated strains, Ni-2 was sequenced for the whole genome, since the Ni-resistance seemed to be better than the other two strains. From the genome sequence we have found that were a total of 89 metal-resistance-related genes including 11 Ni-resistance genes, 41 heavy metal (As, Cd, Zn, Hg, Cu, and Co)-resistance genes, 22 cation efflux genes, 4 metal pumping ATPase genes, and 11 metal transporter genes.

      •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논 토양 내 질소순환 관련 기능 유전자의 평가

        어나미까커날 ( Anamika Khanal ),이슬 ( Seul Lee ),여준구 ( Junkoo Yeo ),노그라도캐시린 ( Kathyleen Nogrado ),조아현 ( Ahyeon Cho ),송윤진 ( Yoonjin Song ),권미지 ( Miji Kwon ),이지훈 ( Ji-hoo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The nitrogen cycle and the microbes responsible for mediating this process have an important role in natural ecosystems, terrestrial habitats and also have a major impact on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we use molecular techniques such as conventional PCR, clone library construction, sequencing, phylogenetic analysis and real-time PCR to explore microbial communities in a rice paddy soil by detecting and quantifying some of the key functional genes that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nitrogen cycle i.e., nitrogen fixation (nifH), hydrazine synthase (hzsA), nitrous oxide reductase (nosZ), copper-containing (nirK), cytochrome cd1- containing nitrite reductase (nirS), nitrite oxidoreductase (nxrB), and ammonium monoxygenase (amoA). The sequence assessment from the clone library targeting these different genes i.e., nifH, hzsA, nosZ, nirK, nirS, nxrB, and amoA showed a high diversity and dominance of bacterial community. Besides that, Real-time PCR using SYBR green dye and some old and recently developed primers specific for each individual gene revealed the high abundance of nxrB gene and low abundance of hzsA gene. This finding will be very helpful in exploring and exploiting microorganism in terrestrial habitat.

      • 살코스키 시약과 Indole-3-acetic Acid의 반응 중 트립토판의 간섭

        이슬 ( Seul Lee ),어나미까커날 ( Anamika Khanal ),여준구 ( Junkoo Yeo ),노그라도캐시린 ( Kathyleen Nogrado ),조아현 ( Ahyeon Cho ),송윤진 ( Yoonjin Song ),권미지 ( Miji Kwon ),이지훈 ( Ji-hoo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Indole-3-acetic acid (IAA) is the most common auxin hormone produced in the plant and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regulates various aspects of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Tryptophan is the main precursor for IAA while IAA can be synthesized by two pathways i.e., tryptophan-dependent pathway and tryptophan-independent pathwa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using Salkowski regent to measure the IAA production by bacteria.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there was the interference of tryptophan on the colorimetric estimations of indole-3-acetic acid (IAA) by using Salkowski reagent (35% HClO4 and 10 mM FeCl3), which developed a pink color complex of tris-(indole-3-acetate) iron(III) with IAA. Moreover, we detected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tryptophan (100, 200, and 300 μM) on different concentration of IAA (100, 200, and 300 μM). The absorbance on IAA for the tested concentrations was found to b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ryptophan. It seems that both the IAA and tryptophan show the maximum absorbance at the similar wavelength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concentrations of IAA became larger as the predicted IAA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ryptophan would interfere with accurate measurements of IAA, and therefore care should be taken for the measurement of IAA generated by the precursor, tryptoph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