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법적 감정에 관한 일고찰 ―테리 마로니(Terry A. Maroney)의 감정 조절 모델―

        송윤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3

        Since the mid-1990s, research related to law and emo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flection gained through early law and emotion studies was that it was neither realistically possible nor normatively correct to exclude emotion from legal analysis. Further, the study of jurisprudence had the task of explaining and demonstrating how the law accommodates the role of emotion. Of course, the early studies still have their limitations in terms of the descriptive aspects of law and emotion research, but they show reflections rich enough to at least prompt academic interest in the field of law and emotion. If the initial goal of the study of law and emotion was to overcome the dichotomy between reason and emotion, later research subjects begin to explore in the ‘question on the nature of emotion’ and ‘the role of emotion in law’. In this research trend, this paper intends to deal with the issue of ‘judicial emotion’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major studies of Terry A. Maroney, who is leading the study of law and emotion in the United States. Judicial emotion is a subject that has not been explored more than any other subject in legal research, an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has been suppressed and concealed in legal decision-making. Breaking the collective silence about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judgment and transparently identifying the role of emotions in judicial judgment will ultimately be an important way to gain judicial credibility. In this respect, this paper consists of following parts. Chapter II critically reviews the cultural script of ‘judicial dispassion’ that has been in the law for a long time, and what new script can replace this, and furthermore, what are the tasks for theoretical construction of judicial emotions? Chapter III explores ways to utilize emotions for better judicial judgment through the emotional participation model proposed by Terry A. Maroney. Finally, in Chapter IV,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judicial emotions and future tasks is pointed out.

      • KCI등재

        탈냉전시대 양국간 군사분쟁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중국․러시아와 대비되는 미국의 분쟁행태를 중심으로

        송윤진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1

        This article analyzes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in the Post-cold War. It stresses that 9․11 as a turning point in the Post-cold War has brought the landscape of conflict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 sea change. The reason is that in the mapping of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in the Post-cold War, the US as the hegemon of international system has displayed different behavior before or after 2001 when 9․11 happened. This article finds that the tendency that the US prefers to stand on the offensive and to use force in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has become even more pronounced after 2001. Thus, it argues that the hard-power mechanism of the US has not worked effectively after 9․11 in the Post-cold international system.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방법을 적용하여 탈냉전시대에 발생한 양국간 군사분쟁들에서 미국의 분쟁행태를 중심으로 시각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의 과정에서 미국의 분쟁행태가 9․11을 전후한 시점에서 국제체제상 분쟁의 네트워크 구조가 차별적 의미성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 큰 변화를 보이고 있음이 발견됨을 본 논문은 강조한다. 왜냐하면 탈냉전시대 양국간 군사분쟁 형세와 관련하여 미국의 분쟁행태가 9․11 이전과 이후 사이에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다른 하드파워 강대국들인 러시아, 중국과 대비할 경우 보다 선명해지는 바 9․11 이후 미국은 이전보다 분쟁 발생시 개시자가 되기를 선호할 뿐만 아니라 무력을 사용하는 경향 또한 이전보다 강해지고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특정 국가와 반복하여 군사분쟁을 재연하는 경향까지 보인다. 결론적으로 탈냉전시대 분쟁의 네트워크 구조에 있어 미국의 하드파워 기제가 9․11 이후 그 이전과 다르게 작동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본 논문은 주장한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적대감 상호작용에 대한 게임이론적 접근: 양국간 군사분쟁의 확대와 축소를 중심으로

        송윤진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3

        This article intends to analyze the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within the network of bilateral state relations in the Northeast Asia through a game-theoretical approach on the interactions of hostility that lead to escalation or de-escalation of dispute. For this, statistical distributions on the interactions of hostility in the Northeast Asia are turned over to separate tables for game-theoretic analysis by dispute dyads. Its result implies that it is probable that the state actors that would be directly involved in bilateral militarized match-ups in the Northeast Asia will have different strategic equilibrium points on the interaction of hostility level by dispute dyads, which may pose the real vulnerability at least to the Northeast Asian system of regional security. 본 논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된 동북아시아 국제체제하에서 발생한 지역 내 주요한 이해 국가들 사이에 발생한 양국간 군사분쟁들을 게임이론적 접근을 통해 조사한다. 그것을 위하여 본 논문은 우선 동북아 국제체제 내 주요 국가들간 양자적 매치업 관계를 통계적으로 살핀다. 다음으로 동북아 지역 내 핵심 국가들간에 발생한 양자적 분쟁들을 적대감 수준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분쟁 다이애드별로 적대감 수준의 상호작용이 어떠한 분포를 보여 왔는지를 검토한다. 이어서 이러한 각 분쟁 다이애드별 적대감 수준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계상의 분포들을 게임이론을 위한 표들로 전환하여 분석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게임이론적 분석의 결과는 각 양국간 군사분쟁 다이애드마다 분쟁 당사국들이 전략적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클 것 같은 적대감 수준의 상호작용의 조합이 존재함을 함의하는데, 이것은 적어도 동북아시아 지역 안보의 취약성을 내포하는 것일 수 있다.

      • KCI등재

        자율성 역량 모델의 법철학적 함의

        송윤진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2

        Today, with the expansion of individualistic liberalism, the discourse of autonomy and rights to self-determination tends to be understood as the narrow privacy rights, which is largely centered on individual autonomy. In other words, the respect for autonomy or self-determination is understood as ensuring an independent self-determination by the subject with sufficient decision-making ability. That is, under any circumstances, the subject has an independent authority to decide on his own business without being disturbed. However, such a tendency to understand rights to self-determination as narrow privacy rights does not have a practical alternative to how it can be realized other than to declare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by returning the nature of self-determination to the passive right of the individual.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autonomy, which is concentrated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should be newly transformed, and the justification of autonomy should be shifted from the procedural level to the substantive level. This article proposes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in order to overcome the narrowness of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Based on these research goal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structure. First,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is based 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basis of Martha Nussbaum's capability approach, so this approach is introduced within the necessary range. Then, afte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s and core issues of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model is examined in terms of substantive justification of rights to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can be justified from the standpoint of autonomy capability model, and the legal philosophical search for active management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attempted. Finally, the leg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is model are mentioned. 오늘날 개인적 자유주의의 확대와 함께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담론은 대체로 개인적 자율성을 핵심으로 하는 협의의 프라이버시권으로 이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자율성 내지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란 ‘충분한 의사결정능력을 가진 주체가 내리는 독립적인 자기결정’을 보장하는 것으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든 주체는 방해받지 않고 자신에 관한 일을 결정할 독립된 권한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결정권의 사사화(私事化) 경향은 자기결정권의 성격을 개인의 소극적인 자유권으로 환원시키며, 누구나 자기결정권을 보유한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 이외에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별다른 실천적 대안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협의의 자기결정능력으로 집중되고 있는 자율성 개념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전환되어야 하며, 자율성의 정당화는 절차적 차원에서 실질적 차원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필자는 자율성 역량 모델(Autonomy Capability Model)을 제안하여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논의의 협소함을 극복하고 보다 실질적인 자율성 담론 방식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표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우선 자율성 역량 모델은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역량 이론(capability approach)에 개념적, 방법론적으로 기초하고 있으므로 우선 필요한 범위 내에서 누스바움의 역량 이론을 소개한다. 이후 자율성 역량 모델의 기본 개념과 핵심 논제를 설명한 후, 자기결정권의 실질적 정당화라는 관점에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의의를 살펴본다. 아울러 개정민법상 성년후견제도를 자율성 역량 모델의 관점에서 정당화함으로써 성년후견제도의 적극적 운용을 위한 법철학적 탐색을 시도한 후 최종적으로 자율성 역량 모델의 법철학적 함의를 밝힌다.

      • KCI등재

        낙태죄 위헌판단에서 이익형량 구조 및 기준 비판-헌법재판소 2012.8.23.선고 2010헌바402 결정을 중심으로-

        송윤진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叢 Vol.25 No.3

        Women's abortion rights have been justified on the basis of an individual's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the light of the philosophical view of rights. Women's abortion claims, however, can not be adequately explained by inviolable protection of their ‘choices’ and have the nature of reproductive rights, which are understood as part of women's human rights or citizenship. In view of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reproduction, the abortion rights of the pregnant women should be more considered according to women's interests and disadvantages. In addition,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on the 2012 Korean Constitutional decision on the Crime of Abortion. In particular, an improper setting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conflict of the right of the fetus’ life versus the right of mother’s self-determination is examine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not allow the limitation of basic rights by the abstract interest of protecting the life of the fetus,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interests and disadvantages of the pregnant women.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is a process of looking for specific individuals' rights an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legislative policy consideration of abortion regime and life protection. 여성의 낙태권은 법철학적으로 볼 때 권리의 선택설의 입장에서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근거로 정당화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들의 낙태권은 자신의 ‘선택’에 대한 불가침적보호로 충분히 설명될 수 없으며, 오늘날 여성 인권 혹은 시민권의 일부로 이해되는재생산권의 성격을 가진다. 재생산에 대한 공동체 전체의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여성의 낙태권은 여성의 이익과 불이익을 실질적으로 고려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낙태죄 위헌판단의 이익형량 구조 및 내용 분석을 통해, 헌법재판소의 법익 균형성 판단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위헌판단에서나타난 태아의 생명권과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충돌 프레임은 법원리의 충돌과 이익형량의 개방적 구조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일종의 범주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임부의 구체적인 이익과 불이익을 최대한 고려하여, 태아의 생명보호라는 추상적이익에 의한 기본권 제한을 쉽게 용인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위헌여부 결정은 구체적 개인의 권리를 찾는 과정이며, 낙태 규제 방식 및 생명 보호에 관한 입법 정책적 고려와는 구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국제체제 분쟁의 풍경: 아편전쟁에서 북핵위기까지 양국간 군사분쟁에 대한 분석

        송윤진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1

        This article quantitatively analyzes the bilateral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BMIDs) in the Northeast Asian international system from the period of Imperialism, through the Cold War, to the Post-cold War, which covers from the Opium War to the ongoing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a network approach. Its result shows that there have been some particular state actors that are more involved in the bilateral militarized dispute or that have different interstate dispute behaviors at the historical period level. This article, particularly, finds an appreciable change in Japan’s behavior-patterns such as initiation and use-of-force by historical period. It might lead to highly volatile severe clashes, which add fuel to the instability in the Northeast Asian international system, along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weapon issue. 본 논문은 아편전쟁으로 촉발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제국주의 시기부터 코리아(Korea)의 분단과 중국의 공산화로 고착된 냉전 시기를 거쳐 여전히 진행형인 북핵위기의 탈냉전 시기에 이르기까지 동북아시아 국제체제에 있어 상수(常數)적 핵심 이해관계를 형성하여 온 국가행위자들 사이에 발생한 양국간 군사분쟁들을 대상으로 COW MID 데이터를 통해 관계망(네트워크)적 관점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동북아시아 국제체제가 역사적 시기에 따라 군사분쟁망의 전체적 풍경이 유의미한 변화가 있어 왔음은 물론 각 국가행위자별 분쟁행태에 있어서도 가시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왔음을 보여준다. 특히 본 논문은 탈냉전 시기에 들어와 이전 냉전 시기와는 가시적으로 대비되는 일본의 분쟁행태에 주목한다. 그러한 근거로 냉전 시기와 탈냉전 시기 사이에 확연히 대비되는 일본의 선제 공세율과 무력 사용률상의 급격한 변동을 지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이 북핵위기에 천착한 나머지 간과되어 온 또 다른 하나의 가능성 높은 동북아시아 국제체제상의 유의미한 불안정 요인으로써 작동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요컨대 동북아시아 내 분쟁 네트워크상에서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일본의 행태적 변화가 북핵 문제와 더불어 동북아 국제체제의 불안정성을 배가시켜 심각한 충돌로 이어질 수도 있음을 본 논문은 강조한다.

      • KCI등재

        채소류의 기미론(氣味論) 연구 - "임원십육지" 중 [정조지] 중 <식감촬요>와 "동의보감" [탕액편]를 중심으로-

        송윤진,이효지,차경희,Song, Yun-Jin,Lee, Hyo-Gee,Cha, Gyung-H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2 No.5

        Classifying vegetables recorded in Sikgamchalyo of Jeongjoji of Limwonsibyukji and Tangaekpyeon of Donguibogam and comparing the types features, efficacy and side effects based on Kimi Theory(氣味), we found forty one leafy vegetables, six root vegetables, nine fruit vegetables, nine mushrooms, seven seaweeds and two other vegetables in Limwonsibyukji and thirty five leafy vegetables, eight root vegetables, eight fruit vegetables, one mushroom, two seaweeds and one another vegetable in Donguibogam. According to the literature, vegetables are classified by five conditions(五氣) and five tastes(五味) and many are cold with sweet and bitter taste or warm with hot taste. They are efficacious in protecting the five viscera, building up energy, controlling heat, calming febrile diseases, promoting urination and excretion, calming cholera morbus, improving skin condition, calming the stomach, neutralizing poisonous effects and improving eyesight. To help prevent and cure diseases, those with cold physical constitution must take warm vegetables to vitalize their physiology and those with hot physical constitution cold vegetables for balance. To improve their physical health, our ancestors tried to control their bio rhythm with food and medicinal material and promoted health and prevented diseases by taking such food. We therefore expect that we can have a healthy dietary life by taking advantage of the five conditions and five tastes of vegetables and continuing the spirit of Yacksikdongwon(藥食同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