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인 남성들의 피부 인식 및 관심 정도

        김선영 ( Sun Young Kim ),송연숙 ( Yeon Sook Song ) 대한미용문화예술학회 2015 대한미용문화예술학회지 Vol.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degree on perception and interest for skin of adult men``s. Th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regarding subjects general information, 30``s was the highest with 37.3% in terms of age. In terms of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college graduates(56.0%), married(59.1%) and self-employed and services(37.1%)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kin type 42.9% responded I don``t know. Among the respondents who knew their skin type, oily skin was the highest with 32.7%, followed by dry skin and combination. In overall, interest in skin was lower than the average. When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skin care in their social lives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s, they responded pretty much(higher than the average) with 3.45 scores in average. as younger, interest in skin was higher. generally, the necessity of skin care was 3.54 score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When asked how often they use any UV blocker to protect their skin, none was most responded with 45.7%, followed by occasionally(38.3%) and always(16.0%).

      • KCI등재

        반성적 교수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행동 연구

        송연숙(Song Yeon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반성적 교수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행동 변화에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90명을 대상으로 반성적 교수모형을 적용한 후 과학교수행동의 변화를 과학적 탐구발문, 피드백행동, 그리고 이과 관련된 저널자료들을 통해 분석하였다. 반성적 교수는 사전협의회, 수업수행 및 녹화, VTR 녹화를 통한 과학교수행동 관찰 및 분석, 사후협의회 및 토의, 저널쓰기 및 면담이 순환되는 과정으로, 유치원 생활주제에 따른 현장 연계 과학 수업으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성적 교수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발문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반성적 교수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과학교수실제에서 유아의 반응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수행동과 관련된 질적 자료들을 분석해 본 결과, 과학수업 시 나타나는 교수행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현장연계수업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겪게 되는 불안과 두려움, 실패와 좌절, 성취와 도전이라는 심리적 갈등과 이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자신의 현재 모습을 자각하고 미래의 필요한 자질을 깨닫고 노력하게 하는 모습은 반성적 교수가 주는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 scientific inquiry questioning second, feedback behavior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reflective teaching, third, to analysis changes of reflective thinking on scientific teaching behavior.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Ulsan(experimental group 45, control group 45).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cientific inquiry questioning is proved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t application of reflective teaching (p<.01). In total, the scientific inquiry questioning is improv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rat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2. The preservice teacher's positive' negative behaviour on the children's response depends on whether reflective teaching is used or not to a degree of a meaningful difference(p<.01). 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of reflective teaching affects on feedback behaviour of preservice teachers positively, while a negative reaction reduces. 3. By the result of analysing the cases related to showing the change of scientific teaching behaviour, the reflective thought process of the behaviour makes the preservice teachers overcome uneasiness and fear of field class, leading into the opportunity of self-development, affecting positively on discovery of theory and realit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s practice development, enhancement of teaching skill through post-conference and class analysis, change of teaching behaviour. Further eduz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숲 유치원에 대한 유아기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송연숙 ( Yeon Sook S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학부모를 대상으로 숲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숲 유지원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학부모가 작성한 31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숲 유치원 교유에 대한 제반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숲 유치원 교육의 필요성과 숲과 인간에 대한 인식, 숲 유치원의 교육효과 및 교육내용에 대해 대부분의 어머니들은 긍정적으로 공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숲 유치원의 운명방안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들은 안전성이 확보되며 주1회, 1-2시간 이내로 유치원 활동과 연계 통합된 생활형 숲 유치원의 운영형태를 요구하였으며, 숲 유치원의 교사로는 교사와 숲 해설가로 숲과 인간의 공존관계에 대한 인식을 가진 교사가 적합하여, 숲 유치원 교육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참여를 희망하였다. 숲 유치원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공간 확보 및 주변여건의 개선에 대한 지원과 다양한 숲 유치원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등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mothers in the kindergarten to get some information on development of the Forest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310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s that were managing related forest program for a fews years in Ulsan. To measure perceptions and needs on the forest kindergarten, the questionnaire (2013) survey was developed by researcher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erceptions of the forest kindergarten were higher. and also the most of mothers were sympathized on necessity of the forest kindergarten, the forests and huma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forest kindergarten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forest kindergarten. Second. as an analysis of the management plan for the needs of the fore>t kindergarten. mothers required a combination type of forest kindergarten activities and regular kindergarten activities that were secured safety. and also they wanted to manage forest kindergarten within one to two hours. once a week. mothers Pointed out both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a forest commentator as an appropriate teachers that had perceptions on coexistence relation of human and forest. With respect to the activation of the forest kindergarten, mothers pointed out various comment on space and improvement of surrow1dings, development and supply of forest program.

      • KCI등재

        유아의 산수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송연숙(Song Yeon Sook),황해익(Hwang Hae 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3개의 유치원에 다니는 161명의 남녀 유아를 대상으로 산수 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유아연령, 지능, 수세기 지식과 같은 관련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산수문장제 검사, 수세기 지식검사 및 유아지능검사(KISC)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연령별로 수세기 지식 상집단, 지능 상집단, 지능 하집단, 수세기 지식 하집단 순으로 산수문장제 수행에 차이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문장제 해결 전략유형에서는 지능수준별, 수세기지식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지능, 수세기 지식이 산수 문장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인이며, 이 중 수세기 지식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ed variable effects on arithmetic story problem 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children(82 boys, 79 girls) selected from 4 kindergartens in Ulsan area. Measures were the Test of Arithmetic Word Problem, Counting Knowledge, and 1Q(KISC). All scales were developed by authors except IQ test(KISC).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ple regression. The SPSS/PC+package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dat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ult identity problems(single and double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between high IQ group and low IQ group of 4-year-olds, and between high counting knowledge group and low counting knowledge group in terms of result identity problem(addition), change identity problem, start identity problem and subtraction problem. In terms of change identity proble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between high 1Q group and low IQ group of 5-year-olds, and between high counting knowledge group and low counting knowledge group in terms of change identity problem, start identity problem. Second, in terms of error-type, both low IQ and low counting knowledge group of 4-year-olds showed trun on ratio of a logic error> far error> no response> near error. and both high IQ and high counting knowledge group of 4-year-olds showed turn on ratio of a logic error > far error> near error> no response. Both low IQ and low counting knowledge group of 5-year-olds showed turn on ratio of a near error> logic error> far error> no response. and both high IQ and high counting knowledge group of 5-year-olds showed turn on ratio of a far error > logic error> near error> no response. And a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terms of IQ and counting knowledge level. Third, IQ, age and counting knowledge of 4- and 5-years-olds accounted for 45% of the total variance in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ability(F=43.57, p<.001).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explain the total variance was young children's counting knowledge.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및 요구도

        송연숙(Song Yeon-sook),유수경(Yoo Soo-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U, B, K시의 유치원교원 289명을 대상으로 국가수준의 유치원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한 유치원교원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은 낮으나 그 필요성과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 평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에서 조력을 가장 필요로 하였다. 둘째, 조력활동의 시기 및 횟수, 조력담당자, 내용 및 운영형태 등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교원들은 유치원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조력활동이 지원되고, 개별 유치원의 요청에 따라, 각 평가영역별 전문성이 확보된 조력전문가가 유치원을 방문하여 평가지표별로 점검ㆍ진단하여 평가관련 정보나 자료를 제공해주고, 점검결과 유치원의 취약영역을 개선하고 지원해주는 조력활동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조력자의 자질 중 유치원교원은 책임감이 강하고 유아에 대한 사랑과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확보되면서도 현장 파악 능력이 뛰어난 조력자를 가장 기대하는 반면 조력자의 역할에서는 조력자가 먼저 자신들의 이야기에 경청해 주고 안전ㆍ영양영역에 전문적인 지원을 해주는 역할을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wareness and demand for support systems for Kindergarten Evaluation at the National-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9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lsan, Busan, Kung-Nam.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demands, role and quality of assistance for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service teacher's awareness of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level was rated lower but in-service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mong kindergarten assessment areas, in-service teachers anticipated most assistance in curriculum area and education physical environment area. Second. in-service teachers's needs were demanded differently on the Assistance System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Level. Therefore the assistance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information tailored to the needs about assistance activity and assistant selection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Level. Third, in-service teachers preferred personal responsibility, loving young children and expert acknowledg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mong qualities of assistant and in-service teachers preferred listening on teacher's discuss, professor assistance on safety and nutrition area in the roles of assistant.

      • KCI등재

        여교장의 지도성에 대한 교사인식에 관한 혼합방법연구

        송연숙(Yeon Sook Song),조영하(Young Ha C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순차적 설명전략의 혼합방법연구를 통하여 여교장이 재직하고 있는 서울 소재 사립학교인 A여중과 B여고의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풍토, 성역할관, 학교장지도성이 이들의 성별, 세대별, 경력별, 보직유무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분석결과들의 함의를 심층면담자료와의 보완적 연계를 통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먼저 A여중과 B여고의 정교사와 계약직 교사 전원(총 96명)을 대상으로 학교풍토, 성역할관, 학교장지도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설문조사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드러난 유의미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던 교사들 중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기획ㆍ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학교풍토 중 방관적 교사행동의 경우 교사들의 세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를 나타냈고, 성역할관 중 사회문화영역에 대한 인식에서도 평교사와 부장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한편, 교직경력별로 교사인식을 비교하였을 때, 학교풍토, 성역할관, 여교장지도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자는 이상의 통계분석결과들이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자 면담에서 도출된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결과에 대한 통합적 논의와 시사점을 전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way that teachers whose school principals are female perceive organizational climate, gender role, and leadership and compare their perceptions by their gender, generation, teaching career, and position. To do so, this study surveyed 94 teachers from two private secondary schools for gir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s a follow-up procedure, this study interviewed 7 teachers voluntarily selected from the 94 survey participants to reveal the meaningful contexts behind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survey.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delved into how organizational climate, gender role, and leadership can be contextually described by teachers' experiences of female principal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employed a mixed methods research in which quantitative strand using surveys with statistical analysis is complemented with qualitative strand using in-depth interview with abstract coding and interpretation. The results from the two strands are complementarily coupled for the final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showed different levels of perceptions of school climate, gender role, and leadership by their generation, teaching career, and position.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was further developed by interpreting the relevant data obtained from the in-dept interviews.

      • KCI등재

        반성적 교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송연숙(Song Yeon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반성적 교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활동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90명을 대상으로 반성적 교수모형을 적용 한 후 사전ㆍ사후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 활동참여도, 그리고 이과 관련된 저널자료들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반성적 교수모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자료들의 분석을 통해 과학교수효능감의 향상은 과학교수실제에서 과학교수에 대한 흥미유발 및 부담감 감소, 유아의 실제적 발달에 대한 이해, 교수실제 변형시키기,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반성적 교수 경험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경우 전체적인 과학 활동 참여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 활동의 하위 요소 중 계획제시, 주도적인 문제해결 시도, 자료 활용, 다른 상황에의 적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의문제기와 결론 도출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irst,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to quality analysis changes of reflective thinking on scientific teaching self-efficacy third, to analysis scientific activity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through reflective teach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Ulsan(experimental group 45, control group 45).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is proved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t application of reflective teaching (p<.01). By the result of analysing the cases related to showing the change of scientific teaching self-efficacy, the reflective teaching process leads the pre-service teachers into interest incitement and reduction of science teaching burden and scientific teaching,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s practice development, enhancement of teaching skill through post-conference and class analysis, and an awareness change of science teaching. 2. The young children's scienctific activity participation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application of reflective teaching. But difference verification in groups at each sub factors of children's scienetific activity participation reveal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lanning(t=3.23), dominantly solving of problem(t=2.40), utilization of data(t=4.20) and application into other situation.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송연숙(Song Yeon-Sook),김영주(Kim Young-J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을 비교하고 그 관련성 및 설명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U시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600명 어머니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58명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영유아기의 발달단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또한 영유아지의 발달단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어린 자녀를 지닐수록 어머니는 더 많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지식 또한 영유아기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기 어머니 모두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을 보며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는 감소하였다. 양육지식은 영유아기 모두 양육효능감과 상관을 보였으나 영유아기에 따라 부분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영아기의 경우 정서 신체 발달지식 순으로 나타난 반면 유아기는 정서 인지와 사회성 발달지식 순으로 나타났고 정서발달지식은 영유아기 모두 양육효능감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설명함에 있어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식 모두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영유아기의 발달단계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아기에는 정서발달지식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 역능적인 상호작용이 유아기에는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 부모의 고통 신체발달지식 정서발달지식 순으로 양육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and to investigate related variable effects o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8 mothers of children aged I to 5 in Ulsan area. The measures wer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Parenting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mothers indicated higher than that of infant mothers. Seco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Parenting stress of infant mothers indicated higher than that of early childhood mothers. Third, the mother's parenting knowled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Parenting stress of early childhood mothers indicated higher than that of infant mothers. Fourth,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ll sub-fa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ut indicated partially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o grasp what variables would affect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which explained 30% of variables in both development stages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