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승연,이창배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Cyber violence is increasingly becoming a substitute for physical violence, and to clarify and solve the problem, societal debates will predictably become an absolute necessity. Given a situation of a modern society,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duce research on cyber violence. However, in contrast to the urgency of addressing this problem, research on cyber violence still has much to be desired. Rather than examining cyber violence by differentiating between specific cases, the existing literature assumes that "cyber violence" is a holistic concept or has focused on a particular ac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study cyber violence by distinguishing several types and assess their differences by comparing their specific features. Moreover, by observing how the causes and features of each form of cyber violence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we can not on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iterature, but also explore policy options which would allow us to effectively respond to cyber violence. Based on such critical awarenes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adopt social learning theory and deterrence theory as explanatory models to identify causes behind each type of cyber violence. 사이버폭력은 물리적 폭력의 대체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담론의 전개와 더불어 사이버폭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이버폭력을 다룬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특히 많은 선행연구에서 사이버폭력에 대해 구체적 유형을 살펴보기보다는 이를 하나의 개념으로 취급하거나 여러 가지 유형의 사이버폭력 중 하나의 행위에 집중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폭력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그 원인과 영향 요소가 각각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다면 그 결과를 통해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이버폭력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정책적 방안까지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러한 비판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학습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 때 처벌에 대한 인지가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먼저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가해에 대한 실태나 동향을 파악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사이버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혀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학습 요인이 중요 영향 변수로 확인되어 사이버폭력은 주변 환경에서의 학습으로 인해 비롯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억제요인의 경우 모든 유형의 사이버폭력을 억제하지는 않았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다.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폭력의 세부 유형별 영향 요인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이번 연구의 의의를 발전시키고 한계점들을 보완하여 더 나은 후속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송승연,정유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Purposes: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employment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ty after analyzing what factors can positively afect their employment and job search activities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clasifying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ty as the employed, the unemployed, and job-seker. Method: This study used the 2nd data of a research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7, the "Curent Status of Mental Disabilties in the Community" in which 1,00 people with mental disabilty using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mental health rehabiltation facilty, and social service voucher participated. This study conducted a basic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1,00 people with mental disabilty and a frequency analysis of job-seeking activities. It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on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at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duc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ion to analyze determining factors for employment and job-seking activities to compare characteristics among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erms of social factors, the more people lived in a large city and used mental health rehabiltation facilty,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employed and seek their job. As for the psychological factors, the higher the mental health confidence,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employed and find their job. As for the demographic factor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low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employed and find their job. Conclusions: It is necesary to properly operate and supplement the disabilty registration system in promoting employment and job-seeking activiti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This study proposes the expansion of loc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uch as mental health rehabiltation facil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취업과 구직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취업자, 취업시도자, 미취업자로 구분하여 다차원적으로 분석한 후, 정신장애인의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7년 보건복지부 연구,‘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은 지역사회 내 정신건강 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사회서비스바우처 이용자 총 1,000명이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분석, 인구사회적 요인에 따른 정신장애인 구직활동 여부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개인심리적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정신장애인의 취업과 구직활동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군집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사회적 요인에서는 장애등록집단, 수급상태에 속한 집단,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할수록 취업 및 구직활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개인심리적 요인에서는 정신건강자신감이 높을수록,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제상태가 하층에 속할수록 취업 및 구직활동 시도 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났다. 결론 : 결론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취업과 구직활동 증진에 있어 장애등록제도를 적절하게 활동하고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정신재활시설과 같은 지역사회복지기관의 확대를 제안한다.
정신장애인 개인예산제 도입에 관한 호주 국가장애보험(NDIS) 연구
송승연,김효정,장선미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6 No.56
Currently, Korea's disability services have many policies and budgets centered on providers rather than users, the disabled. In the case of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not only problems arising from these service provider-centered disability policies and budgets, but also inequality that is relatively excluded from discussions or decision-making processes on disability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an Australian personal budget system based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and based on this,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personal budget system as a policy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in Korea. Specifically, the background, target, support, delivery system, finances, and current status of NDIS were examined as to whether Australia's NDIS support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works in line with the concept of ‘freedom’, ‘choice’, ‘autonomy' emphasized by UN CRP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NDIS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meaningful change in the method of providing social services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to convert them who currently remain passive beneficiaries in Korea.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ing measures for self-advocacy and decision-making to ensure choice and control by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which NDIS lacks. 현재 한국의 장애인 서비스는 이용자보다는 제공기관 중심으로 많은 정책과 예산이 구성되어 있다. 정신장애인의 경우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장애인 정책과 예산에서 오는 문제뿐만 아니라, 기존 장애인 정책은 물론 장래의 장애인 정책에 관한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배제되는 불평등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서비스의 이용자인 장애인의 욕구를 기반으로 하는 호주의 개인예산제인 NDIS의 프로세스과 운영 현황(지원대상, 전달체계, 재원구조, 실태 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정신장애인 지원정책으로서 개인예산제 논의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주의 NDIS 내 정신장애인 지원이 UN CRPD가 강조하는 당사자의 ‘자유’와 ‘선택권’ 및 ‘자율성’ 개념에 맞추어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NDIS의 도입 배경, 대상, 지원, 전달체계, 재원구조, 현황 등을 살펴보았으며, 호주에서의 정신건강서비스 변천 과정과 NDIS의 관계, 그리고 정신장애인이 NDIS를 이용하게 될 때의 세부적인 절차, 마지막으로 NDIS를 통해 정신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지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한국에서 수동적 수혜자로 머물러 있는 정신장애인을 능동적 주체자로 전환 시키려는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방식의 변화에 NDIS가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정신장애인의 선택과 통제를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자기옹호지원 및 의사결정지원이 NDIS에 미비하여 국내 도입시 이러한 조치들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Qualitative Analysis of the Hwa-byung Recovery Process and Influencing Factors
송승연,김종우,정선용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4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5 No.4
Objectives: To describe the progres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wa-byu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progress of and recovery from Hwa-byung were examined using the collected experiences of eight middle-aged women who suffered from Hwa-byung. For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was used. Results: Of the eight participants who thought they had Hwa-byung, six were actually Hwa-byung patients and two were non-Hwa-byung patients. Four years later, four of the six Hwa-byung patients recovered, while the Hwa-byung of one patient persisted, and the remaining patient had circular Hwa-byung. Over time, the symptoms of Hwa-byung declined substantially. However, the patients recognized that their disease continuously persisted. Moreover, they thought their symptoms had worsened. Many types of changes were observed during the recovery period, including environmental,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changes, as well as changes in attitudes toward others. Recovery factors included the reduction of stimuli, social support, exercise, treatment, control of rumination, and some cognitive changes. Conclusions: To recover from Hwa-byung, it is necessary for patients to experience changes in environment, cognition, and emotion, and to employ self-management in everyday life.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당사자가 주도하는 연극 참여자들의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미친존재감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송승연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in the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Mad Presence Project.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consumers and non-consum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nd analyzed using a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key categories and 17 sub-themes were derived: Revealing new stories of theater activities led by the person with mental distress; Breaking barriers that prevent the person with mental distress from participating in artistic activities; New identity emerging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and initiative; Mad Presence Project to move out of the ‘individual’ and into the ‘world’. The lived experience of the consumers was actively utilized in the Mad Presence Project activities, and it was found that various barrier-free devices were utilized in this process. Contemplation about a new identity began due to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Mad Presence Project in which the perspective and initiative of the consumers are emphasized, and this identity has been revealed to be empowered in various aspect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Mad Presence Project made by using the artistic tool of theater brings about various changes in life. Based on the points of discussion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art activities led by the person with mental distress were deriv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친존재감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람들의 경험 분석을 통해, 이 과정에서 어떤 인식과 관점의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에 참여한 당사자와 비당사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일반적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당사자가 주도하는 연극 활동으로 드러나는 살아있는 이야기’,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당사자의 예술활동 참여를 가로막는 장벽 허물기’, ‘당사자 관점 및 주도성으로 인해 피어나는 새로운 정체성’, ‘개인을 벗어나 세상으로 나아가는 미친존재감 프로젝트’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미친존재감 프로젝트 활동에서 당사자의 살아있는 경험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배리어 프리가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사자의 관점과 주도성이 중시되는 미친존재감 참여 활동으로 인해 새로운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고, 그 정체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힘을 부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연극이라는 예술도구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미친존재감 경험은 삶에서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결과에서 발견된 논의점을 바탕으로 당사자가 주도하는 예술활동이 지닌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송승연(Song Seung Yeon),배진영(Bae Jin Yeong),윤삼호(Yoon Sam ho) 한국장애학회 2018 한국장애학 Vol.3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드러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당사자 관점을 중시하는 참여행동 연구방법을 시도하였고, 15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운동 경력이 풍부한 정신장애 당사자들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강제적 정신의학 영역에서의 차별’, ‘가족 안에서의 차별’, ‘연애와 결혼에서의 차별’, ‘사회 속에서의 차별’, ‘언론 및 미디어에서의 차별’ 이 다섯 가지 주요 측면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의료기관과 전문가 중심의 의료 모형에서 지역사회와 당사자 중심의 사회 모형으로 정책의 큰 틀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정신의료기관 입원 일수와 강제입원 비율을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추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 관련 예산을 확충하고, 그 예산이 당사자의 자립과 권익을 지원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넷째, 정신장애인도 다른 유형의 장애인과 동일한 수준의 복지서비스와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 및 지방 정부는 정신장애 당사자가 사회참여를 하고 자신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정책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에게도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정신장애인 차별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언론과 시민사회의 변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im to show discrimination which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this, we used method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ch highlights on perspectives of the persons themselves, and interviewed 15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verse and meaningful disabil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discriminated experiences in daily life appears in 5 aspects: ‘discrimination by coercive psychiatry’, ‘discrimination by family’, ‘discrimination about love and marriage’, ‘discrimination by society’ and ‘discrimination by news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reform the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irst, policy framework should be changed from clinical model that is centered on psychiatric institutions and experts to social model that is focused on community and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Second, days of hospitalization and proportion of compulsory hospitalization have to be lowered up to the level of OECD average. Third, budget on mental disability have to be expanded and it has to be used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and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ourth, legislation has to be revised to guarantee welfare services and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o the extent of level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Fif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take prospective policies and measures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manage themselves. Sixth,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have to be provided to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Seventh, it needs to change news media and civil society to reduce the discrimination problems abou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이 주거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적차원(선행요인, 가능요인, 욕구요인)에 지역사회차원(맥락적 가능요인)을 추가한 확장된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여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개인적 수준(1수준)의 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연구용역 과제를 수탁하여 수행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지역사회 수준(2수준)의 자료는 국립정신건강센터 등 국가수준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의 특성에 대응하고, 서비스 이용자가 지역사회 수준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로지스틱 다층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적 수준의 선행요인에서는 결혼상태가, 가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수급여부, 스티그마가, 욕구요인에서는 주거서비스욕구, 가족관계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차원의 맥락적 가능요인에서는 지역별 정신의료기관 병상수, 지역별 장애인복지예산, 지역별 정신건강복지법 관련 조례가 정신장애인 주거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주거서비스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정책적 함의 등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using the expanded Andersen Model, which added community dimensions(Contextual enabling factors) to the existing personal dimensions(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 in 2017 was used, which was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t the same time, the data of community level(level 2)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extracting national level data, such as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nd, logistic hierarchial linear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rvice users we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level. Accordingly, as a result of inputting personal level variables, in the predisposing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the marital statu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In the enabling factors, employment status, public assistance status, stigma, and in the need factors, housing service needs and family relation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the contextual enabling factors of the community level,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mental hospital beds by region, the welfare budget for the disabled by region, and the ordinances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by reg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promote the use of housing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in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