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의 비밀>의 구성적 특징과 전통귀신담의 콘텐츠화의 의미

        송소라 ( Song So-r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9 No.-

        본고는 국내 애니메이션 전문채널인 투니버스가 자체 제작한 <신비아파트> 시리즈를 대상으로 작품의 구성적 특징을 살피고, 이를 통해 귀신담의 콘텐츠화가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신비아파트> 시리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공포 애니메이션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제작이 이루어졌고,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다. 아울러 국내에서 주로 방영되었던 일본 제작 공포 애니메이션과 서사의 구성과 지향에서 차이를 보이면서, 국내 전통 귀신담의 형식과 지향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야기가 갖는 구성적 특징 및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탐색해볼 만한 의미를 갖는다. <신비아파트> 시리즈 가운데 정규 방송 첫 시즌으로 방송되었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의 비밀>(이하 <고스트볼의 비밀>)은 현대의 괴담이 갖고 있는 일상 속에서 갑작스럽게 출몰하는 귀신의 형식을 따르면서도, 전통적인 귀신 이야기 가운데 ‘원귀형’의 구조를 수용함으로써 이야기의 서사를 보다 풍부하게 하였다. 괴기스러움과 예측불가능한 면모를 가지고 있는 귀신의 형상은 현대의 괴담이 지향하는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으로서 귀신을 구체적으로 구현한다. 그러나 이에서 그치지 않고, 등장하는 귀신에 사연을 입히고 이를 들어주고 소통하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마련하여 서사의 지향을 소통과 이해, 그리고 용서와 화해에 두고 있다. <고스트볼의 비밀>이 갖는 독특한 이야기의 구조와 내용은 ‘귀신’을 단지 충격과 공포, 두려움과 불안의 대상으로만 보지 않고, 친근함과 오락의 대상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어린이’라는 개념이 생성되면서 교훈과 교화의 차원으로 귀신이야기를 다루었던 근대의 관습을 계승하며, 악귀를 통해 ‘어린이’에게 필요한 모험과 용기는 물론 현대사회의 물질과 외모 지향에 대한 경계 등으로 이야기의 교훈성을 지속한다. <신비아파트> 시리즈는 ‘귀신’을 상업적 콘텐츠로 성공시키는 데도 기여하였다. 아이들을 위한 교육용 도구는 물론 완구 등에도 이야기의 구성과 캐릭터가 적극적으로 사용이 되었다. 이는 오락과 유희 대상으로 귀신을 향유하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귀신문화가 대중적으로 확산되는 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귀신’이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케 하였다는 점에서 <신비아파트> 시리즈가 보여준 스토리텔링의 힘과 캐릭터의 탄생은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he “Shinbi Apartment” (Mysterious Apartment) series produced by Tooniverse, a domestic animation channel, and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contents of the ghoststory (鬼神談). The “Shinbi Apartment” series is a horror animation for children. It was p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recorded high ratings. Additionally, it is different from Japanese horror animations that were dubbed and broadcast in Korea in terms of composition and narrative direction, and it succeeds in the form and direc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ghost story. “Shinbi Apartment - The Secret of Ghost Ball” enriches narrative stories by embracing the structure of the “female ghost story” in traditional ghost stories while following the form of ghosts that suddenly pop up in the daily routines of contemporary ghost stories. The ghost’s shape, which has a bizarre and unpredictable aspect, embodies the ghost as the object of fear that modern horror stories intend. However, it does not stop there, but puts the attention on the hero who focuses on the emerging ghost and listens and communicates with it, placing the emphasis of the story on communication, understanding,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unique story of “The Secret of Ghost Ball” contribute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ghost into a subject of friendliness and entertainment, not merely as one of shock, fear, and anxiety. Additionally, as the concept of “child” is being created, the custom of modernity, which deals with the story of ghosts in the dimension of teaching and edification, is also manifested in “The Secret of Ghost Ball.” In other words, through the figure of the devil, it is to continue the lesson of the story by revealing the adventure, the courage necessary for the “child,” and the boundaries for substance and appearance. The “Shinbi Apartment” series has also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ghosts as commercial contents. The structure of the story and its characters have been actively used as educational tools and toys for children. It can be said that ghost culture contributed to this popularization by establishing a base for enjoying ghosts for amusement and entertainment.

      • KCI등재

        구전설화 속 ‘역병’의 서사화 양상과 의미 -『한국구비문학대계』의 자료를 중심으로-

        송소라 ( Song So-r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6 No.-

        본고는 구전설화 속 ‘역병’의 서사화 양상과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현대에도 그러하지만, 과거에도 역병은 인류에게 커다란 공포의 대상이었으며 병을 앓는 사람은 물론 그 주변인들에게 심각한 고통을 주었다. 그러나 어느 시기이든 전염병은 지나가고, 사람들은 이를 어떤 형태로든 기억하기 마련이다. 역병에 대한 기억은 서사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당대 역병의 참상을 기록한 문헌, 혹은 역병과 관련한 이야기들의 기록과 전승이 그것이라 할 수 있다. 그간 문학을 통해 나타난 ‘역병’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 이야기들은 대부분 역병의 고통과 참혹함, 그것으로 인한 슬픔과 괴로움을 표출하거나, 역병을 귀신의 소행으로 바라보며 형성된 신이한 것들이었다. 그러나 구전설화가 다루는 역병 이야기에는 그와 같은 이야기의 비중이 상당히 적다는 점에서 주목이 필요하다. 역병으로 인해 죽은 가족, 혹은 잃은 사람에 대한 슬픔을 전하는 이야기는 물론 역병이 휩쓸고 간 자리에서의 고통이나 괴로움을 토로하는 이야기 또한 만나기 어렵다. 다양한 전승자 집단을 통해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 만큼 개인적 슬픔이나 고통의 형상화가 부족한 것은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으나, 흥미로운 것은 역신의 소행으로 인해 벌어진 역병의 피해, 역신을 잘 모시지 못해 겪은 고통의 이야기 또한 잘 보이지 않다는 것이다. 즉, 문헌설화에는 역신의 횡포와 그에 대한 두려움을 보여주는 이야기와 역신이 도움을 주는 이야기가 공존하고 있다면, 구전 설화에는 공포를 자아내는 이야기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구전설화 속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역병의 서사적 특징을 보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역병이 서사의 주요한 요소로 작동하는 60여 개의 이야기를 추출하여, 구전설화 속 역병 이야기의 양상을 ① 역병으로 죽은 시신의 장례를 치러주는 이야기 ② 역병으로 죽은 줄 안 사람이 살아난 이야기 ③ 역병을 다스린 존재의 이야기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야기를 통해 역병이 가져온 ‘죽음’에 대한 기억이 깊게 전승되고 있다는 것을 추출하였고, 역병이 가져오는 죽음의 비참함 속에서도 인간적 선함에 대한 갈망이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중요하게 포착하였다. 마지막으로 역병으로부터의 회생과 구원에 대한 당대인들의 강렬한 소망을 읽어내었다. 역병의 재난은 참혹하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간 자리에서 민중이 말하는 ‘역병’은 그 어떤 서사에 비해 인간에 대한 희망을 붙잡고, 역병의 고통을 이겨내고 싶은 소망을 담고 있다. ‘역병’의 재난 상황 속에서도 언제나 선의를 잃지 말고 구원을 소망하여, 앞으로 또 다가올지 모르는 예측 불가능한 재난을 대비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이 ‘역병’을 기억하고 서사화하는 다양한 면모를 실제로 확인하고, 이야기 문화 안에서 발현되는 인간의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보편적 염원을 읽어낼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pidemic” in oral folktales. About 60 stories were extracted from the “Gubi Literature Grand Prix” with an epidemic is a major narrative element. The stories of the epidemic in oral folktales were categorized as a story of the funeral of a person who died of plague, of a person who was thought to have succumbed to an epidemic, and of a person who controlled the epidemic. Furthermore, through this story, the memory of “death” brought on by the plague is conveyed deeply, and the desire for human goodness despite the misery of death is important. I also read out people’s intense desire during this time to recover from the plague’s death and be saved from it. The plague-induced calamity is devastating. However, what the public referred to as “epidemic” in the past, compared to any type of narrative, is a desire to hold on to human hope and overcome the pain of plague. By examining the stories of infectious diseases found in oral folktales, this article identified stories with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discuss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Chinese literature. Consequently, various aspects of humans remembering and narrating an epidemic were identified. Furthermore, we were able to highlight the belief in ourselves and the desire for universal hope within the story culture.

      • KCI등재

        비디오 녹화를 통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간호술기 수행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송소라(Song, So-Ra),김영주(Kim, Young-Ju) 기본간호학회 2015 기본간호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with 35 participants in each group. Intervent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video recording and students’ self-evaluation of what they did. Nursing skills included in the study were tube feeding, intraderm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and intramuscular injecti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was measured one time at the end of the study using a checkli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measured 3 times (pre-, mid-, and post-intervention) over the 8 week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es.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ver the 8 weeks of the practice s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groups over time.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is an effective learning wa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박동진 창작 판소리 <충무공 이순신>의 정서지향과 역사서사물로서의 의미

        송소라 ( So Ra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8

        본고는 박동진 명창의 창작 판소리 <충무공 이순신>을 중심으로 판소리가 역사적 영웅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충무공 이순신>의 역사서사물로서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행물로서 판소리는 독서물인 소설과는 차별화된 소통방식으로 수용자의 정서를 자극한다. 창자는 다양한 시점으로 서술자의 목소리를 내며 관객과 직접 의사소통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메커니즘은 관객을 작품에 보다 근접하여 몰두하게 한다. <충무공 이순신>에는 전승 5가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시점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그 시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어느 정도의 주관성을 띤 채서술된다. 따라서 관객은 창자의 입을 통해 나오는 소리의 주관성에 직접 영향을 받고 창자가 이끄는 정서에 보다 강하게 공감을 하게 된다. 아울러 제한된시간 내에 역사적 인물의 삶 전체를 조명해야 하기 때문에 서사의 시공간은 상당히 압축되어 나타난다. 인물의 28년 인생이 단 17분의 소리로 묘사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창자는 인물 생애의 중요한 국면에 장면을 집중하는데 그 장면 가운데에서도 특정 부분을 클로즈업 시켜 서술하는 방식을 택한다. 흔히 판소리의 장면의 극대화, 부분의 독자성이라고 일컬어지는 이러한 특징은 역사서사물을 그 재료로 택할 때 좀 더 전략적으로 이용된다. 관객은특정 장면에 더욱 몰입하여, ``지금, 여기``의 공연 현장에서 ``인물의 역사적 투쟁이 일어난 그 때, 그 곳``, 즉 특정 시공간으로 이동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인물의 체험을 관객 자신의 것으로 느끼는 추체험을 통해 정서의 감응과 감동은극대화가 된다. 박동진이 <충무공 이순신>을 창작하면서 전승 5가와 달리 골계미를 거세하고 비장미를 확대한 것도 역사 영웅의 이야기를 보다 진지하고 무게감 있게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정서적 공감을 이루려 한 의도라고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고는 박동진의 <충무공 이순신>이 노산 이은상의 『태양이 비치는길로』와 춘원 이광수의 『이순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신문 기사의 내용을근거로 그 영향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박동진의 <충무공 이순신>은역사적 사실을 문학적 상상력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의 ``표현``에 있어서는 춘원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특정 서사를 취사선택하여 그리고자 한 이순신 상에 있어서는 이은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은상은 박정희 정부의 대표적인 이데올로그로 그가 만들어 낸 이순신 상은 박정희 정부가추구한 이순신 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박정희는 이순신을 통해 반공이데올로기를 첨예화하여 불안한 정국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멸사봉공을 통한 애국정신, 조국애, 민족애, 자주·자립·자위의 정신, 창의와 개척 정신, 유비무환의 정신, 정의에 사는 정신으로 이순신의 구체적인 정신을 만들어 대중에게 각인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모든 대중이 이순신의 정신으로 무장되도록 끊임없이 강조하였다. 박동진의 <충무공 이순신>이 그리고 있는 이순신의 모습은 이에적확하게 부합되며 시대의 요청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판소리가 갖는 수용자에 대한 호소력과 정서의 감응이 박정희가 원하던 이순신의 대중화, 이순신 정신의 국민화가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한 방편으로기능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Chungmu-gong Yi Sun-shin> as a historical narrative by studying how the pansori is expressing the historical hero by focusing on the Newly Created Pansori <Chungmu-gong Yi Sun-shin> by master pansori singer Park Dong-jin. Pansori as a performance stimulates the emotion of consumers by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method from novel as a reading material. The singer of pansori directly communicates with audience by singing the voices of narrators in variety of viewpoints and the audience gets closer to the pansori and becomes immersed in it by such mechanism. Like the ``jeonseung-5-ga`` (five passed-down pansori`s), multiple viewpoints are mixed in <Chungmu-gong Yi Sun-shin>, however, the viewpoints narrate the story with certain extent of subjectivity though the extent of subjectivit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audience gets directly influenced by the subjectivity of the voice coming out of the singer`s mouth and more strongly sympathize with the emotion led by the singer. In addition, since a performance should be done within limited time, the temporal space of the narration is substantially compressed. For instance, 28 years in a character`s life should be described within 17 minutes. Accordingly, the singer concentrates on the scene of important situation and intensifies a moment out of that scene in narration.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monly called as the ``scene maximization of pansori`` and the ``independence of a part`` and they are utilized in more strategic way when a historical narrative is chosen as the material. Then the audience becomes more immersed in specific scene and experiences a travel from the performance site of ``here and now`` to specific temporal space of ``that place when the historical struggle of the character happened``. Thismaximizes the emotional sensing and charge by ``enactment`` (追體驗), which is feeling the experience of a character as one`s own experience. Pansori <Chungmu-gong Yi Sun-shin> is different from ``jeonseung-5-ga`` in removing the humoristic beauty and intensifying the tragic beauty and it is the intention to have the emotion of audience immersed in the pansori by expressing the heroic tale in more serious and heavy way. There was a newspaper article on Park Dong-jin`s <Chungmu-gong Yi Sun-shin> that it was heavily influenced by <Taeyangi bichineun gillo> (Toward the road with sunshine) of Nosan Yi Eun-sang and <Yi Sun-shin> of Yi Gwang-soo. This study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in Park Dong-jin`s <Chungmu-gong Yi Sun-shin> by exploring the detail content of such impact in the newspaper article. Park Dong-jin`s <Chungmu-gong Yi Sun-shin> received substantial impact from Chunwon Yi Gwang-soo in realizing the historical facts with literary imagination, in other words, in the ``expression`` of literary imagination. On the other hand, Park Dong-jin`s <Chungmu-gong Yi Sun-shin> received heavy influence from Yi Eun-sang in describing the image of Yi Sun-shin by selecting specific narration. Yi Eun-sang was a representative ideologue of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and the image of Yi Sun-shin created by Yi Eun-sang has substantial relation with the image of Yi Sun-shin pursued by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Park Chung-hee tried to control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by intensifying the anti-communism ideology. He created detail spirits of Yi Sun-shin such as sacrificing personal interest for country, patriotism, nationalism, the spirit of independence, selfstanding and self-defense, the spirit of creativity and pioneering, the spirit of preparing for hard time and the spirit of living by justice and imprinted these spirits of Yi Sun-shin on people`s mind so that people would have same spirit with Yi Sun-shin. The image of Yi Sun-shin described in Park Dong-jin`s <Chungmu-gong Yi Sun-shin> exactly meets the image of Yi Sun-shin created by Park Chung-hee and it implies that Park Dong-jin actively answered to the demand of the time. In conclusion, the appealing power and the emotional sensing force of pansori toward consumers functioned as a tool which facilitated the popularization of Yi Sun-shin and nationalization of Yi Sun-shin spirit

      • KCI등재

        판소리의 영화적 해석과 변모의 과정

        송소라 ( Song So-ra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판소리를 소재로 한 영화를 대상으로 영화 속에서 판소리가 수용된 양상을 살핌으로써, 판소리에 대한 현대사회의 인식과 기대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후기 상하층의 사랑을 두루 받았던 판소리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겪으며 그 위상이 꺾이게 된다. 일본에서 유입된 신문물의 영향과 미국 문화의 유입으로 대중적 관심을 잃게 되며, 고루하고 낡은 전통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이에 국가는 점차 사라지는 판소리를 보호 및 계승하기 위해 1964년 판소리를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지만 1980년대까지도 판소리의 자생적 대중성 확보는 어려웠다. 그러나 판소리는 국가의 꾸준한 지원과 명창들의 판소리 전승 노력, 그리고 2000년대 들어 우리의 것을 세계화하자는 사회문화적 담론 속에서 점차 동시대의 대중과 호흡하는 노력을 해왔고, 문화콘텐츠의 주요 소재로도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팝밴드 ‘이날치’와 현대무용그룹 ‘앰비규어스 댄스 컴퍼니’가 선보인 뮤직비디오 형식의 ‘Feel the Rhythm of KOREA’가 보여주듯 현재의 주목받은 대중문화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현대사회 속에서 점차 변화해가는 판소리에 대한 대중적 인식과 판소리의 위상은 영화라는 대중매체 속에서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는 1993년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를 비롯하여 최근의 <소리꾼>까지 판소리를 소재로 한 6편의 영화를 선별하여 이와 같은 변화의 추이를 탐색하였다. 먼저 1990년대에 제작된 영화 <서편제>와 <휘모리>이다. 이 두 편의 영화는 모두 당대에서 그리 멀지 않은 시대의 판소리, 즉 20세기 초중반 전승의 위기와 대중적 관심에서 멀어진 판소리의 현실을 보여주며, 그 속에서도 판소리 자체의 예술적 완성을 위해 치열하게 분투하는 소리꾼의 모습을 영화에 담아내었다. 판소리가 가진 정서로써 ‘한’과 북과 소리의 조화를 통한 판소리 미학을 강조함으로써 우리 소리의 숭고함과 특수함을 대중에게 선보였다. 판소리에 관해 관심이 적었고, 따라서 이의 가치를 잘 모르던 대중은 즉각 이에 화답하며 우리 음악과 우리의 정서에 대한 폭발적 지지를 보여 이른바 ‘<서편제> 신드롬’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서편제>와 <휘모리>는 우리 소리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부족한 시기, 그러나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청되던 199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이 영화의 내용과 구성에 반영되며 당대 판소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기대를 드러내었다. 다음으로 2008년에 제작된 영화 <소리, 아이>와 2012년의 <두레소리>이다. 두 영화는 판소리와 국악을 하는 동시대의 어린이, 학생을 주인공으로 하여 예술을 하는 아이들의 성장기를 그려나가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들 영화에서 판소리는 ‘요즘 세상에 누가 그것을 하냐’의 소리를 듣는 옛 음악도 아니고, 혹독한 수련과 고통 속에서 완성이 되는 숭고한 음악으로 묘사되지도 않는다. 부모님의 권유, 집안의 사정 속에서 판소리를 시작한 아이들이 소리를 익히고 성장하고, 갈등하고, 고민하는 이야기를 통해 판소리는 동시대의 하나의 자연스러운 예술로 그려질 뿐이다. 판소리를 비롯한 국악의 정통성을 신념화하여 강조하지 않고, 교조적으로 이를 대중에게 전달하지 않는다. 이는 동시대의 예술로 판소리를 바라보는 2000년대의 달라진 대중적 인식을 반영하는 속에서 판소리가 해석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2015년의 <도리화가>와 최근 상영된 2020년의 <소리꾼>이다. 흥미롭게도 두 작품 모두 판소리가 민중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던 조선후기를 영화의 시간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영화의 이야기를 판소리의 역사를 토대로 구성하였는데, <도리화가>의 경우는 실존 인물인 신재효와 진채선을 바탕으로 영화적 상상력을 덧붙인 서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소리꾼>의 경우는 광대의 소리가 판소리 사설의 원류가 되었다는 판소리 이론과 판소리 <심청가>의 서사를 활용하여 당대 존재했을 법한 소리꾼의 삶의 이야기를 그려냈다. 두 영화는 판소리의 역사에서 이야기의 소재를 찾아 이를 영화화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전통을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삼고자 하는 시대적 분위기와 연결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국가 간의 문화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는 때에, 콘텐츠의 소재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역사를 활용한 이야기가 그간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전통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삼고자 하는 시도는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되었고, 판소리의 음악뿐만 아니라, 판소리의 역사 또한 활용 가능한 콘텐츠의 대상이 되었다. 지금의 판소리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옛것도, 낡은 전통도 아닌 동시대와 끊임없이 소통하는 예술이자, 다양한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 가능한 자리에 온 것이다. 상기 영화들은 현대 판소리가 걸어온 길과 변모하는 위상, 그리고 이에 따라 달라지는 대중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판소리 문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examine the acceptance of pansori in movies based on pansori, and to explore changes in modern society's perception and expectations of pansori. A pansori is getting the love of the upper and lower castes in the late Joseon period, but loses the status at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Korean War. In response, the country designated pansori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1964 to protect the disappearance of pansori. Until the 1980s, however, pansori did not gain popularity by itself. After the 2000s, Pansori tried to breathe in with the contemporary public due to the socio-cultural demand to globalize our culture. And now Pansori is one of the most popular cultures in the world today, as the pop band Feel the Rhythm of KOREA shows. The changing public perception of pansori and its status in modern society can also be seen in the mass media called movies.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this change with six films based on pansori, from "Seopyeonje" directed by Lim Kwon-taek in 1993 to the film "The Singer" in 2020. First, the films "Seopyeonje" and "Hwimori" were produced in the 1990s. Both of these films show the reality of pansori, which has fallen out of public interest due to the crisis of transmission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And in the midst of that, he captured the scene of a singer struggling fiercely for the artistic completion of Pansori itself. Next, look at the film "Lineage of the Voice" in 2008 and "DURESORI: The Voice of East" in 2012. These two films depict the growth of children who perform art, featuring contemporary children who play pansori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in these films is no longer an old piece of music, nor is it a sublime art that is completed in harsh training. It is only naturally treated as one of the contemporary arts. Finally, "The Sound of a Flower" in 2015 and "The Singer" in 2020. The two films constructed a story from Pansori's history based on the time background of the film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Pansori was loved the most by the people. This reflects the atmosphere of the times when traditions are used as the subject of cultural content, and shows the changed public perception of pansori and the status of pansori.

      • KCI등재

        20세기 창극 〈장화홍련전〉의 존재양상과 특징적 면모

        송소라(Song, So-Ra)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본고에서는 고전소설 〈장화홍련전〉의 다양한 장르 전환 가운데 창극으로 전환된 것에 집중하여, 20세기 창극 〈장화홍련전〉의 존재양상을 파악하고 현재 남아있는 음반과 대본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창극 〈장화홍련전〉은 20세기 초 극장문화가 유행하는 무렵부터 무대에서 연행되었다. 당시 〈장화홍련전〉은 1910년대 신파극의 유입과 흥행 속에서 신파극 혹은 신구파극의 형태로 공연이 되었고, 경성구파배우조합 중심의 전통연희자들이 공연 연행의 주된 주체들이었다. 경성구파배우조합이 시들해질 무렵에는 권번의 연주회에서 〈장화홍련전〉이 연희 형태로 공연이 되었다. 이후 〈장화홍련전〉은 1943년에 이르러서 조선창극단에 의해 정형화된 창극의 형식으로 연행이 되었고, 1950년대에는 김연수가 이끄는 창극단체인 우리국악단의 공연 레퍼토리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창극 〈장화홍련전〉은 1950년대 이후 음반으로도, 방송으로도 제작이 되었는데, 현재 남아있는 음반 창극 〈장화홍련전〉은 5종 (유니버샬 레코드사, 현대음반 주식회사, 아시아 레코드사, 신세계 레코드사, 도미도 레코드사)이며, 대본도 2종 (경상대학교 소장 ‘한국자유 여성국극단 공연용’ 〈장화홍련전〉, 〈KBS 지정석 장화홍련전〉(1982))이 확인된다. 본고는 음반과 대본으로 남아있는 〈장화홍련전〉을 통해 1960-80년대 창극본 〈장화홍련전〉의 특징을 다음의 3가지로 살펴보았다. 첫째, 창극 〈장화홍련전〉은 장화, 홍련의 억울한 죽음의 한을 풀어주고 악인을 징치하는 것에 서사를 집중한다. 무대극이라는 특성으로부터 갈등을 집약하고 단일화하여 이야기를 끌어가도록 한 것이다. 두번째는 ‘창’극이라는 특성으로부터 인물의 정서를 ‘창’이라는 노래를 통해 극대화한다. 창극 〈장화홍련전〉은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공포의 요소(처녀 원귀의 등장)보다 억울하게 죽은 인물의 비극성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장화와 홍련의 창은 절절하며, 구슬퍼서 작품 내 비극성을 강조한다. 이는 1940년대 창극 〈장화홍련전〉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는 바이며, 창극 〈장화홍련전〉에 흐르는 비극성은 이로부터 연유가 되었다고 추정이 된다. 마지막으로 창극 〈장화홍련전〉은 소설과는 달리 ‘장쇠’라는 인물에 새로운 성격과 역할을 부여한다. 창극에서 장쇠는 바보, 천치로 등장한다. 그러한 까닭에 극 속에서 벌어지는 갈등에 긴장을 부여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의 바보스러움으로 긴장을 이완시키기도 한다. 또한 장쇠의 존재는 홍련의 자결을 이끌고 마지막 극적 사건을 해소하게 하는 열쇠로 기능하기도 한다. 소설 속의 보조 인물이 무대극에서는 보다 기능적인 인물로 재창조된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Changhwa Hongryon Jeon〉 (薔花紅蓮傳) from the various genres of the classic novel, 〈Changhwa Hongryon Jeon〉 to the Changgeuk. This research studied the present status of the 20th century Changgeuk, 〈Changhwa Hongryon Jeon〉, and examined its features through what remains of recordings and scripts. Changgeuk 〈Changhwa Hongryon Jeon〉 was performed on stage from the time theater culture was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At the time, 〈Changhwa Hongryon Jeon〉 was performed in a new paradigm during the influx of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new era in the 1910s, and the traditional performers of the Kyungsung Community Association were the main characters in the performances. In 1943, 〈Changhwa Hongryon Jeon〉 was performed as a form of Changgeuk, which was composed by Chosun Changgeuk Company. 〈Changhwa Hongryon Jeon〉 was produced in the 1950s as a record label and broadcasting. Currently, there exist 5 kinds of 〈Changhwa Hongryon Jeon〉 records and two scripts.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60-80s Changgeuk 〈Changhwa Hongryon Jeon〉 through the three features. The first Changgeuk 〈Changhwa Honryon Jeon〉 solves one of the unfair deaths of Changhwa and Honryon(two sisters), and focuses narrative on punishing the wicked. From the traits of the drama, it has concentrated and unified the conflicts to draw the story. Second, it maximizes the character’s emotion through singing(which is called ‘Chang’(唱 ))from the character of Changgeuk. Changgeuk 〈Changhwa Honryon Jeon〉 is more focused on the tragedy of the person who died unjustly than revealing horror. The song of Changhwa and Honryon is sorrowful and emphasizes the tragic nature of the work. Lastly, the Changgeuk 〈Changhwa Honryon Jeon〉, unlike the novel, gives a new character and role to the character of ‘Jangsoe’(two sisters’ stepbrother). In Changgeuk, Jangsoe has emerged as a fool, an idiot. For this reason, he gives the tensions in the conflict taking place on the stage, and on the other hand he causes relaxation of tension in his silly sense. He also serves as a key to the resolution of the last dramatic conflict. The assistant person in the novel was recreated as a more functional character in the drama.

      • KCI등재

        번안 여성국극의 원작 수용 양상과 문학적 함의 -여성국극 <청실홍실>, <흑진주>를 중심으로

        송소라 ( So Ra S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6

        여성국극 <청실홍실>과 <흑진주>는 각각 1952년, 1961년에 부산극장, 시공관에서 초연된 작품이다. 이들은 그간 여성국극의 레퍼토리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안하였다는 사실로만 간단하게 언급되었을 뿐, 구체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못하였다. 이는 서사물로써 여성국극의 가치에 대한 선학들의 평가 절하와 대본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았다는 연구사적 한계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번안 여성국극 작품과 원작의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 어떤 부분에서 변형·각색이 일어났으며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가 적극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채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1954년 <로미오와 줄리엣>을 번안한 여성국극 대본 <청실홍실>과 1961년 <오셀로>를 번안한 <흑진주>를 대상으로, 각각의 작품이 원작을 어떻게 변형하여 수용하고 있는가의 문제와 셰익스피어의 작을 수용하는 범위가 어째서 달라지고 있는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색하였다. 먼저 본고는 두 작품을 소개하여 셰익스피어 원작과의 차이를 살펴보고, 두 작품이 원작을 수용하는 정도와 양상에서 차이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청실홍실>의 경우, 원작 <로미오와 줄리엣>의 전반부 - 이룰 수 없는 두 집안의 남녀가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 - 만수용한 채, 후반부는 원작과는 전혀 다른 서사를 이끌어 간다. 원작이 풀리지 않은 갈등과 오해로 결국 두 남녀의 비극적 결말을 형상화했다면, 여성국극 <청실홍실>은 그 갈등을 전쟁이라는 서사로 자연스럽게 풀어내며 행복한 결말을 만들어 낸다. 번안을 통한 재창조가 이루어진 것이다. 반면 <흑진주>의 경우, 번안이 이루어지면서 개작되기는 하였지만, 원작이 갖는 서사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즉, 신분의 문제를 안고 있는 남성과 고귀한 집안의 여성이 만나 사랑을 이루지만 남성의 오해와 질투로 파국을 맡는 원작의 서사를 그대로 잇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이 같은 원작 수용의 차이를 국내에서 셰익스피어를 수용하는 과정과 결부지어 일차적으로 설명하였다. 요약하여 제시하면, <청실홍실>은 셰익스피어가 문학적·연극적으로 국내에 제대로 소개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줄거리 수준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의 특정 모티프를 기반으로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반면 <흑진주>는 1960년대 셰익스피어가 문학과 연극에서 대중의 사랑을 받고 그 작품성을 인정받은 상황에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여성국극이 새로운 레퍼토리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번안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두 번안 작품이 당대의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통해 두 작품의 문학적 위상을 검토하였다. <청실홍실>은 전쟁이라는 전국가적 경험을 원작으로부터 수용하면서 적극적으로 번안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었다. 작품 내에서 볼 수 있는 충성의 정치학은 이 작품을 행복한 결말로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남북 갈등의 모습을 두 집안의 대립으로 설정하고 화해를 모색하는 결말은, <청실홍실>이 사랑을 외피로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동시대의 현실 문제를 결코 간과하고 있지 않음을 드러낸다. <흑진주>는 ① 원작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추구하고, ② 국극이 지닌 특성을 발휘하여, ③ 재래의 매너리즘에서 벗어나려는 목적으로 <오셀로>를 선택, 번안하는 과정에서 탄생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번안의 배경에는 점점 관객을 잃고 있는 여성국극의 현실 상황을 타개하려는 여성국극 내부의 자성의 목소리와 여성국극의 레퍼토리를 둘러싼 내·외부의 문제점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흑진주>는 남녀의 시시콜콜한 연애 문제를 정형화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다룸으로써 재래의 매너리즘을 극복하지 못한 것은 물론 원작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구현하기 위해 비극적 결말을 살리는 과정에서 작품을 무겁고 지루하게 만들고 말았다. 또한 남성의 질투로 모두가 파국을 맞는 서사가 정서적 공감을 주기엔 무리가 있었고, 무리한 국극식의 행복한 결말도 전후 개연성 없이 일어나 관객에게 어떤 뚜렷한 메시지를 전달하지도 못하였다. 결국 플롯이 주는 감동의 효과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wo female Gukguek literature adaptations - <The Red and Blue Thread> which adapted <Romeo and Juliet> in 1954 and <The Blakc Pearl> which adapted <Othello> in 1961- to analyze how the original pieces were transformed different and accepted into the adaptations, why the acceptance range of Shakespeare`s original piece differs in two works, and what that implies. This article will, first introduce the two female Gukguek works in order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with Shakespeare`s original pieces, and second identify how each two adaptations differ in acceptance degree and complexion from the orignal works. In <The Red and Blue Thread>, only the beginning setting is identical with <Romeo and Juliet>, but as the story proceeds the story changes into whole different one. If the original composition was about a couple ending tragically due to perennial conflicts and misunderstandings, the female Gukgeuk <The Red and Blue Thread> has a happy ending which all the discords are resolved through the war narrative.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recreation happened, changing the story in big parts.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Black Pearl> is as well as an adaptation, it follows the same narrative as <Othello> does. The storyline is identical which is despit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between a couple, they fall in love at the beginning but breaks down due to the man`s misleading and jealousy. This article primarily explains why the acceptance range of Shakespeare on account of the acceptance processes and backgrounds. In short, <The Red and Blue Thread> was written before Shakespeare was thoroughly introduced and understood in Korea. Thus, in the outline level, it was borrowed the rudimentary and specific motif of <Romeo and Juliet>. On the contrary, <The Black Pearl> was written in 1960 when Shakespeare was widely beloved in both literature and theatre by the public. The female Gukguek in that time was finding new repertoires that it borrowed Shakespeare`s work as a new attempt. Lastly, this writing reviews how the two adaptations reflect the reality of the time and their literary status. <The Red and Blue Thread> is an active creation by unfolding against the background of war, a nationwide issue. The conflict between two families transformed into conflic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discords are resolved as the protagonist in the outside tells her love story as well as in the inner part expresses her political views of the time. Such narrative clearly shows that the story definitely and successfully both contained the ardent love story and the poignant political reality. <The Black Pearl> was a recreation ① in pursuit of veracity and artistry of the original work, ② through exhibiting the attributes of Gukgeuk, and ③ for the purpose of escaping the traditional mannerism. Such adaptation was a call for self-examination to break through the downturn of female Gukgeuk and overcome criticisms of the repertoire of female Gukgeuk. However, <The Black Pearl> had the limits as it adapted the storyline of <Othello>, it can not overcome the traditional mannerism because it deals with relationship issues of women and men as it did from the past and it makes the audience boring because of origin`s heavy topics and Othello`s long monologue. In addition the plot which makes the tragedy for the man`s misunderstanding and jealousy can not make people feel empathy. Ultimately <Black pearl> can`t give the impression of narrative to audience.

      • KCI등재

        창극의 성격과 양식에 관한 재고찰 ―‘창극논쟁’을 넘어서기 위하여―

        송소라 ( Song So-ra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1 No.-

        본고는 전통공연예술로서 ‘창극’의 성격을 재확인하고, 창극의 양식을 재고찰하고자 작성되었다. 한국의 대표적인 음악극인 창극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사회, 문화적 가치와 기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그 성격과 양식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장르이다. 애초 창극은 “판소리가 낳은 근대적 요소의 음악극”으로 설명되면서, 전통의 ‘판소리’와 새로움의 ‘근대’라는 키워드 안에서 정체성의 논란을 겪어왔다. 흥미롭게도 현대 창극은 기존 판소리 중심의 음악극 외에도 다양한 레퍼토리와 음악적 시도, 감각적 연출을 거듭하며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창극의 성격과 양식에 관한 학술적 정의는 여전히 과거의 것에 머물러 있다. 이로 인해 현대 창극의 다양함은 ‘파격’과 ‘실험’이라는 용어 아래에서 설명되고, 정형화된 형태를 벗어나는 시도로 간주되곤 하였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가. 본고는 창극의 성격을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창극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소리이자 형식이고, 드라마로서의 ‘연극성’을 상당히 강조하면서 20세기를 거쳐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창극의 하위양식을 인정함으로써 다양한 창극 양식이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본고는 그 예로써 창극의 음악적 지향과 극적 지향, 그리고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여러 하위양식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창극 양식의 하위체계를 세움으로써 전통적인 창극과 현대적인 창극의 공존과 화합, 그리고 더욱 자유로운 창극의 창작과 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리라 생각한다. 또한, 이를 통해 100여 년의 시간 동안 다양한 모습으로 대중과 함께 한 창극의 성격을 학술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물론, 현시대에 창극 작품을 창작하고 이해하는 폭넓은 시각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reaffirm the characteristics of Changgeuk as a traditional performing art and to reconsider the style of Changgeuk. Changgeuk is Korea’s representative musical play, but it is a genre that continues to be controversial about its character and style until now.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geuk in the 20th century were reconsidered, examining the various aspects of Changgeuk. As a result, Changgeuk has a musical character that pursues ‘newness’ from Pansori and has passed through the 20th century with a considerable emphasis on ‘playfulness’ as a drama. Next, this study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subforms of Changgeuk in various styles of Changgeuk in the 21st century. When ‘traditional music’ and ‘play art’ are identified as Changgeuk, the subforms may appear in various ways. In this work, as an example, the following sub-systems of Changgeuk are presented: First, musical orientation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music or trade-offs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music. Since then, each case has been divided into a trend toward traditional theater and a style toward modern theater. Finally, each sub-item was divided into works that utilized and reinterpreted the repertoire of ① Korean classical narrative, ② creative works, ③ foreign works, and reinterpreted works according to the repertoire. The sub-system of Changgeuk style will promote the coexistence and harmony of traditional Changgeuk and modern Changgeuk, and the creation and study of more free Changgeuk.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will provide an academic explanation of the character of Changgeuk with the public in various forms over more than 100 years, and a broad perspective will be provided to create and understand Changgeuk works in this era.

      •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송소라(So-Ra Song),반영환(Younghwan Pan),정지홍(Jihong Jeong) 한국HCI학회 2008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3 No.1

        어린이 도서관의 주 이용고객은 어린이와 주부로서 최근 이들이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고 공부를 하는 장소에서 나아가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가능한 문화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어린이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책을 읽는 조용한 공간이지만 주 이용자가 6세 미만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이기에 독서행위와 더불어 또래 친구들과의 친교행위, 부모님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행위, 소규모 근육활동과 같은 놀이행위가 병행된다. 따라서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태 이면에 내재한 특성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어린이 도서관이라는 특수한 물리적 환경요인 및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로 어린이 도서관에서 사용되어지는 정형적인 모듈의 책상과 의자는 소수의 디자이너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을 이용하는 다수의 어린이들은 디자이너의 의도와 방법에 따라 가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 환경적 컨텍스트에 맞추어 훨씬 더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및 놀이행위 시 아동-부모의 상호작용 방법에 기반하여 아동의 가구사용방법(Way of Seat)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행태정보를 모델링하여 가구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다양한 행위 이면에 내재된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The major users of children’s library are children and housewives. Recent increasing frequency of their visit to the library expands the function of it from the place where they borrow and read books further to the cultural space where each family unit can enjoy leisure activities. Though the children’s library basically is a quiet place for reading books, peers’ establishing friendship and emotional bond with the parents, and such plays as small scale muscular movements take place in addition to reading activities because the major users are infants under six or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us, in order to study the features and requirements that are inherent in the various behaviors of the children who use furniture,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r factor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hildren’s library and the user context must precede. In reality, though the fixed form of the desks and chairs in the library was made by a small number of designers, a large number of children are using them in tremendously various ways beyond the ways that the designers had intended, adapting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al contex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ildren’s using way of seats when they do reading and playing activities based on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nd, after modeling of the children’s behavior data, to understand the demands inherent inside the various behaviors of children who use furni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