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나체크의 후기 작품에서 나타나는 음도변동 - # 4 b 7을 중심으로 -

        송세라 ( Se-ra Song ),안소영 ( So-yung Ah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1

        야나체크(Leos Janacek, 1854-1928)는 모라비안 민속음악의 독특한 특징인 음도변동을 자신의 작품에 수용하였다. 그는 초기 작품에서 온음계적 7음음계 중 3, 4, 6, 7의 음도변동을 특별히 감정적 요소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그의 후기 작품에서 이들 음도 변동 중 # 4와 b 7을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그는 독창적인 새로운 음계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비전통적 방법으로 조성을 성취한다. 전통적 조성음악의 관점에서 볼 때 이들 # 4와 b 7은 조성으로부터 벗어나는 요소의 음들로 간주될 수 있지만, 오히려 야나체크는 7음음계 중에서 가장 강력하다고 여기는 1과 5를 강조하는 수단으로 # 4와 b 7를 사용함으로써 독창적인 방법으로 조성을 표현한다. Leos Janacek(1854-1928) accepted degree inflection, which was a characteristic of Czech Moravian folk songs, in his compositions. He used degree inflections of 3, 4, 6, 7 in a diatonic scale as a means of expressing emotional elements in his early works. Later, the composer gradually used # 4 and b 7. As a result, not only did he create an original unique musical scale, but he further accomplished the tonality in a non-traditional way. In fact, 4 and 7 function as important roles to determine the tonality in tonal music, while # 4 and b 7 can be regarded as the notes that deviate from the tonality. However, Janacek expressed the tonality in a unique way using # 4 and b 7 as a means of emphasizing 1 and 5.

      • KCI등재

        하이든의 교향곡 중 미뉴에트 악장에서 나타나는 순환2부분형식의 유형들

        송세라(Se-Ra Song),신동진(Dong Jin Shin),안소영(So-Yung Ahn) 한국서양음악학회 2023 서양음악학 Vol.26 No.1

        본 연구는 J. S. 바흐의 2부분형식에 대한 브로디의 “3-순환형식”을 바탕으로 하이든 교향곡의 미뉴에트 악장에 나타나는 다양한 순환2부분형식을 유형화 하였다. 바로크 시대 궁정 문화와 연결된 미뉴에트의 춤곡은 반복되는 2부분형식으로 고정되었고, 이는 고전시대의 교향곡 악장에서도 유지되었다. 하이든은 관습 안에서 새로움을 추구하였는데, 본 연구자들은 이것이 바흐 춤곡과 구분되는 선율적인 특징으로 발현되었음을 주장한다. 하이든 교향곡의 미뉴에트 악장은 바로크 시대의 전통에 따라 시작 선율이 세 차례 순환되는 ‘순환2부분-유형1’과 두 번째 단락에서 새로운 소재가 등장함으로써 새로움을 추구한 ‘순환2부분-유형2’로 구분된다. 각각의 형식은 두 번째 단락의 종지 및 경과구의 유무에 따라 a와 b의 또 다른 두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결과적으로 총 네 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하이든의 순환2부분형식을 이론적 측면에 국한하지 않고 바로크 시대의 2부분형식으로부터 그 흔적을 살펴보았다는 음악사적 성과와 함께 고전주의 시대의 다양한 순환2부분의 형식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형식론의 교수법적 기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Based on Brody’s “3-rotation form” for Bach’s binary dance suites, this study categorizes various rounded binary forms in the minuet movements of Haydn’s symphonies. During the Baroque period, the minuet was linked to the court culture and its music was typically identified as a binary form with two repeated sections. The formal traits were maintained in the minute movements of the classic symphony. Meanwhile, Haydn pursued novelty in h is m inuet movements, w h ich was r evealed as a n ew m elodic ch aracteristics th at distinguished his music from Bach’s. The first, “Rounded binary-type 1,” follows the Baroque tradition by circulating the opening melody three times, while the second, “Rounded binary-type 2,” pursues novelty by introducing new materials in the second section. Each type is further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a and b) based on the cadence and transition of the second section. As a result, our study derives four types of rounded binary form in the classical period. Our research is not limited to the analysis of Haydn’s rounded binary forms, but also includes tracing the evolution of binary forms from the Baroque period. This contributes to both historical and theoretical achievements in academic research and musical form pedagogy.

      • KCI등재

        낭만주의 시대의 이명동음 표기, 그 기능과 활용

        안소영 ( Ahn So-yung ),송세라 ( Song Se-ra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음악이론포럼 Vol.27 No.1

        본 연구는 이명동음 표기에 대한 정의와 기능, 그리고 이러한 이명동음 표기가 낭만주의 시대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명동음기보와 이명동음 전조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밝혔다. 즉, 전조에서 축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이 새로운 조에서 기능의 변화 없이 나타나고, 단순히 기보의 단순함을 위하여 이명동음이 사용되는 경우를 이명동음 기보로 간주하면서 이명동음 전조와 분명하게 구별하였다. 또한 낭만주의 시대의 몇몇 가곡과 기악곡을 예로 하여, 한 악곡에서 이명동음 관계로 이루어진 두 조성, 예를 들면 C# 단조와 D♭장조의 변화가 전조가 아닌 단순히 이명동음 표기를 통한 장단조혼용의 관계임을 피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enharmonic spelling in Romantic period: its definition, function, and utility. First, we have clarified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enharmonic spelling and the enharmonic modulation. Enharmonic spelling, different from the enharmonic modulation, is used when the pivot chord of the modulation does not show any change in harmonic function in the new key and it is enharmonically involved for ease in reading. Second, with some musical examples from art songs and instrumental pieces in Romantic period, we have examined that a change of key between two enharmonically equivalent keys such as C# minor and D♭ major is not a modulation but mode-mixture by enharmonic spelling.

      • KCI등재

        고전주의 소나타형식의 발전부에서 나타나는 거짓재현의 다양한 양상들

        정희원(Heewon Chung),송세라(Se-Ra Song),안소영(So-Yung Ahn) 한국서양음악학회 2023 서양음악학 Vol.26 No.2

        본 연구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작품 중 발전부에서 거짓재현이 등장하는 소나타형식의 곡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거짓재현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본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자들은 발전부에서 나타나는 거짓재현이 발전부와 재현부의 단락적 구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하여 거짓재현의 양상에 따라 소나타형식이 2부분적 관점에서 점차 3부분의 구조로 파악될 수 있음을 작품 예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발전부에서 거짓재현이 출현하는 지점과 조성 및 형태를 살펴볼 뿐 아니라 재현부 직전의 딸림화음의 강도를 거짓재현 앞의 딸림화음과 비교하고,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빈 악파의 소나타형식 악곡에서 발전부와 재현부의 구분이 점차 명확해지는 변화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소나타형식에 관한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논의되어 온 발전부를 음악 실제에 기대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빈 악파의 소나타형식 악곡에서 나타나는 발전부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amines the works in sonata form by Haydn, Mozart, and Beethoven in which false recapitulation occurs in the development section, and discusses various aspects of false recapitulation in these works. We note that the false recapitulation in the development section affects the sectional division of the development and the recapitulation, and suggest through musical works that the sonata form can gradually be understood as a three-part structure from a two-part structure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false recapitu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not only explores the location, key, and melodic and harmonic design of the false recapitulation in the development section, but also compares the intensity of the dominant chord before the recapitulation with the dominant chord before the false recapitulation. Through this process, we investigate how the sectional demarc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sections gradually becomes distinct in the works in sonata form by the first Viennese School.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development section, which has been relatively less well studied, in relation to musical practice, and contributes to the discussion of the diverse spectrum of development sections in the works in sonata form by the Viennes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