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품종 소개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검정색 팥 '검구술'

        송석보,Song, Seok-Bo 전국농업기술자협회 2012 농업기술회보 Vol.49 No.5

        팥은 비타민 B1이 곡류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사포닌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변비와 과식을 방지하는 데 좋다. 때문에 전통음식인 팥죽을 비롯하여 떡, 빵, 과자, 팥빙수 등의 앙금 및 양갱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현대인의 건강식뿐만 아니라 천연 색소, 다이어트 음료, 미백용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업화 되고 있다. 현재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팥 소비 증진과 가공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색상의 기능성 팥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번에 개발된 검구술은 검정색 종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가공식품 개발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바랭이 발생밀도가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송석보(Seok Bo Song),이재생(Jae Saeng Lee),강종래(Jong Rae Kang),고지연(Jee Yeon Ko),서명철(Myung Chul Seo),우관식(Koa Sik Woo),오병근(Byeong Geun Oh),남민희(Min Hee Nam) 韓國雜草學會 2009 Weed&Turfgrass Science Vol.29 No.4

        통 재배시 많이 발생하고 있는 일년생 잡초인 바랭이의 발생밀도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이들 경합에 의한 콩의 피해를 예측하여 콩 재배시 효율적인 잡초방제체계 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바랭이의 발생밀도가 높아지더라도 콩의 경장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지수, 백립중, 협수를 크게 감소하였으며 콩 수량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협수> 백립중> 분지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랭이 경합밀도가 4~492본 m-2 일 때 콩 수량은 각각 17~57%의 수량감소를 보였으며, 바랭이 경합밀도별로 조사된 콩의 수량 자료에 따른 콩 수량 예측모델은 Y=204.462/(1+0.0069X), R²=0.896이였으며, 50% 수량감소를 유발하는 바랭이의 잡초밀도는 m²당 145본으로 추정된다. 생산 및 증수비용을 고려한 콩밭 바랭이의 경제적 피해한계 밀도 수준은 1㎡당 3.4개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보다 발생밀도가 많을 경우에는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reduction of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Digitaria sanguinalis. All data were fitted to Cousens’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o estimate parameters for predicting soybean yield loss. The yield of soybean in the various densities (4 tod 192 plants m-2) of D. sanguinalis was reduced by 17 to 57%, respectively. Among yield components, number of pods was th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ed interferences. The prediction model for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competitive density of D. sanguinalis was as follows : Y=204.462/(1+0.0069X), r²=0.896. Economic threshold levels calculated using Cousens’ equation was 3.4 plants m-2 in D. sanguinalis.

      • KCI등재

        미국실새삼 발생밀도가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송석보(Seok Bo Song),이재생(Jae Saeing Lee),강종래(Jong Rae Kang),고지연(Jee Yeon Ko),서명철(Myung Chul Seo),우관식(Koan Sik Woo),오병근(Byeong Geun Oh),남민희(Min Hee Nam)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4

        콩재배시 발생하고 있는 기생잡초인 미국실새삼의 발생밀도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이들 경합에 의한 콩의 피해를 예측하여 콩 재배시 효율적인 잡초방제체계 관리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실새삼의 발생밀도가 높아지더라도 콩의 생육초기에는 경장과 분지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식물체 건물중, 백립중, 협수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콩에 미치는 피해정도는 협수> 백립중> 건물중> 분지수> 경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실새삼 경합밀도가 1~48본 m-2일때 콩 수량은 각각 80.3~99.7%의 수량감소를 보였으며, 미국실새삼 경합밀도별로 조사된 콩의 수량 자료에 따른 콩 수량 예측 모델은 Y = 274.6783/(1+4.3522X), R²=0.999$였으며 50% 수량감소를 유발하는 미국실새삼의 잡초밀도는 ㎡당 0.23개로 추정되어 콩 재배지에 발생시 심각하게 피해를 줄 잡초로 예상된다. 생산 및 증수비용을 고려한 콩밭 미국실새삼의 경제적 피해한계 밀도 수준은 ㎡당 0.004개로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보다 발생밀도가 많을 경우에는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reduction of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Cuscuta pentagona. All data were fitted to Cousens"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o estimate parameters for predicting soybean yield loss. The yield of soybean in the various densities (1 to 48 plants m-2 of C. pentagona reduced by 80.3 to 99.7%, respectively. Among yield components, number of pods was th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eed interferences. The prediction model for soybean yield as affected by weed competition was as follows: Y= 274.6783/(1+4.3522X), r²=0.999 in C. pentagona. Economic threshold levels calculated using cousens" equation was 0.004 plants m-2 in C. pentagona.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팥 품종별 볶음시간에 따른 팥과 팥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송석보(Seuk Bo Song),고지연(Jee Yeon Ko),김정인(Jung In Kim),이재생(Jae Saeng Lee),정태욱(Tae Wook Jung),김기영(Ki Young Kim),곽도연(Do Yeon Kwak),오인석(In Seok Oh),우관식(Koan Sik Woo)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 flavonoids, and tannin contents were 12.72 ㎎ gallic acid equivalent (GAE)/g, 3.01 ㎎ catechin equivalent (CE)/g, and 3.56 ㎎ tannic acid equivalent (TAE)/g, respectively, for the Jeolgangsung-ipat sample roasted for 16 min. The highest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7.81 ㎎ Trolox equivalent (TE)/g in Bulgeun-ipat sample that was roasted for 14 min.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hot water-leached liqueur of adzuki bean tea was 26.55 μg GAE/100 mL in Yungum-pat that was roasted for 12 min. The total flavonoids and tannin contents of Whin-ipat and Jeolgangsung-ipat roasted for 10 min were 15.10 μg CE/100 mL and 14.60 μg TAE/100 mL, respectively. The highest DPPH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ot water-leached liqueur of adzuki bean tea were 488.72 and 728.25 ㎎ TE/100 mL, respectively, in Yungumpat roasted that was for 12 m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oasted adzuki bean tea has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and i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health benefits.

      • KCI등재

        재배방법에 따른 팥의 항산화 특성 및 앙금의 품질 특성

        우관식,송석보,고지연,김영복,김욱한,정헌상,Woo, Koan Sik,Song, Seok Bo,Ko, Jee Yeon,Kim, Young Bok,Kim, Wook Han,Jeong, Heon Sa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1

        재배방법에 따라 팥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생산된 팥에 대해 앙금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품종에 비해 홍언이 높았다. 충주팥, 홍언 및 아라리의 습물중 앙금 수율은 각각 296.64~339.01, 271.36~282.24 및 268.21~292.32%, 건물중앙금 수율은 각각 71.68~85.41, 77.90~85.19 및 74.15~78.65%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냈다(p<0.05). 습물 및 건물 앙금의 명도는 충주팥과 아라리는 약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홍언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평균입자 직경은 충주팥, 홍언 및 아라리가 각각 66.21~98.80, 61.62~97.07 및 $82.96{\sim}106.71{\mu}m$로 재배방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앙금의 미세구조는 타원형 모양의 입자로 세포막과 단백질이 둘러싸서 표면이 거친 것을 볼 수 있다.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 또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 using various cultivation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beans grown using different methods of cultivation (p<0.05). Also,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cultivation method (p<0.05). The sediment yield before drying of Chungju-pat, Hongeon, and Arari was 296.64~339.01, 271.36~282.24, and 268.21~292.32%, respectively, and the sediment yield after drying was 71.68~85.41, 77.90~85.19, and 74.15~78.65%, respectively. The L-value of Chungju-pat and Arari sedimen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given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p<0.05), but Hongeon sedi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 and b-value of adzuki bean sediments cultivated using different methods (p<0.05). The particle size of Chungju-pat, Hongeon, and Arari sediments was 66.21~98.80, 61.62~97.07, and $82.96{\sim}106.71{\mu}m$, respectively, and al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cultivation method (p<0.05).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ter absorption index, water solubility index, and swelling power when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were used (p<0.05).

      • KCI등재

        조 배유 특성별 분말 즉석 죽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고지연,송석보,최명은,우관식,최지명,곽도연,김기영,정태욱,고종철,오인석,Ko, Jee Yeon,Song, Seuk Bo,Choe, Meyong Eun,Woo, Koan Sik,Choi, Ji Myeong,Kwak, Do Yeon,Kim, Ki Yong,Jung, Tae Wook,Ko, Jong Cheol,Oh, In Se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4

        영양 및 기능성이 높은 조의 다양한 수요 창출을 위하여 배유 특성이 다른 조를 대상으로 분말 즉석 죽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징 및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 사용한 조 원료곡은 메조 삼다메, 차조 삼다찰을 사용하였고, 물만 부어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전분의 호화 후 노화를 막는 가공처리로서 1) 건조곡 볶음, 2) 수침곡 볶음, 3) 찐 후 급속냉동, 4) 팽화처리하고 대조로 5) 원곡을 사용하였다. 재료의 수분 흡착능을 알아보는 WAI는 팽화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원료곡에 따라서는 차조가 높았다. 즉석 죽 가루의 RVA 특성은 메조의 경우, 가공처리 후 전체적으로 점도 및 setback이 저하되어 열과 수분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차조는 가공 처리된 즉석 죽을 재호화함에 따라 점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석 죽 가루에 뜨거운 물에 부었을 때의 점도는 건조곡 볶음가루 죽은 원료곡 가루죽과 점도 차이가 크게 없었고, 메조는 팽화처리, 차조는 찐 후 냉동건조, 수침곡 볶음 및 팽화처리 분말에서 즉석 죽으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점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찐 후 냉동건조를 제외하고는 가공처리에 의해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가공처리 중에는 팽화처리 시 원료곡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의 1.5배, 1.7배로 가장 증가가 컸다. 배유 특성 및 가공처리별 즉석 죽의 관능검사 결과, 메조 삼다메를 팽화처리한 분말 즉석 죽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뜨거운 물에도 엉김 현상 없이 잘 녹아 가공적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죽의 점도 및 수분흡착능은 차조 삼다찰이 높았으나, 항산화 활성, 열과 수분에 대한 안정성, 기호도 및 물에 풀었을 때 엉김 현상을 고려할 경우, 메조 삼다메가 더 우수하였으며, 가공처리방법으로는 팽화처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apabil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porridge made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 from different varieties with different endosperm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using different methods. The two foxtail millet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were waxy foxtail millet, 'Samdachal', and non-waxy foxtail millet, 'Samdame'. The means of processing food to create instant porridge were dry cereal frying, wet cereal frying, freeze drying after steaming, popping, and no treatment. The WAI (water absorption index) of instant porridge made of waxy foxtail millet was higher than that of non-waxy foxtail millet, and popping created the highest WAI among the treatments tested. Whean we analyzed RVA characteristics of non-waxy foxtail millet instant porridge, peak viscosity and setback values were decreased in all processed foxtail millet instant porridge compared to non-waxy foxtail millet instant porridge. In waxy foxtail instant porridge, the peak and final viscosities of processed treated instant porridge increased. The viscosity just after pouring hot water into the instant porridge was higher in waxy foxtail millet porridge treated by freeze drying after steaming, popping, and wet cereal frying; the viscosity of non-waxy foxtail porridge was increased after popping a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s. The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ll processed, treated-instant porridge except for freeze dried porridge after steamingnt. The popping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1.5 fold), and ABTS antioxidant activity (1.2 fold), compared to no treatment. Non-waxy foxtail millet porridge produced by popping earned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scores.

      • 기주특이성 잡초 활성 미생물을 이용한 잡초방제 기술

        홍연규,이봉춘,송석보,박성태,김정남,전민구,김인섭,Hong, Yeon-Kyu,Lee, Bong-Choon,Song, Seok-Bo,Park, Sung-Tae,Kim, Jeong-Nam,Geon, Min-Goo,Kim, In-Seob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2

        미생물제재(mycoherbicide)라는 용어는 197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미생물 제재에 대한 관심은 화학제재의 비용증가로 인해 최근 주목을 받게 되었다. 고전적인 생물학적방제재(Biological Control Agent, BCA)는 생태적으로 안전하다는 이유로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반면, 현대적인 의미의 생물학적방제재는 인공적으로 배양이 가능하고, 또한 그 잡초방제 효과도 화학제초제와 같은 수준이 요구된다. 현재 미생물제재는 7개국에서 곰팡이로부터 만들어지는 26종이있다. 이들은 재배작물에는 안전한 기주특이성을 갖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약제전달체계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활력을 유지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조건을 충족시키질 못하였다. 또한, 실험실 수준에서는 방제효과가 잘 나타나지만, 실무적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년도 및 포장에 따라 방제효과의 발현성과 지속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 밖에 미생물제재 사용시 습도, 이슬, 온도 및 이들 요인이 잡초방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도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잡초방제효과가 뛰어난 미 생물제재를 선별해야한다. 선행된 연구에서 제안된 효과적인 미생물제재의 조건은 첫째, 인공 배양법으로 내구성이 있는 접종원(inoculum)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둘째, 유전적으로 안정하면서 기주 특이성이 있고, 셋째, 다양한 범위의 잡초방제효과 있어야 한다. 미생물제재의 생산과 보급은 잡초의 생물학적인 방제에 지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액상보다는 입상 형태의 미생물제재가 가벼워서 사용이 간편하며, 젤(gel) 타입의 미생물제재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term mycoherbicide started in 1970, but its interest heightened due to increase costs of chemical herbicides. A classical biocontrol agent is expected to become a permanent part of its new environment and do no harm to it. Contemporary biological control agent(BCA) must be produced by artificial culture and could be applied like chemical herbicides over weeds. BCA is different from the classical approach in that it released through natural spread. To date 26 species of fungi are used as classical BCA against 26 species of weeds in seven countries. There are a number of examples of pathogens attacking non-target plants. But through risk assessments which include understanding the taxonomy, biology and ecology, the target and non-target species, it will be safe to introduce of exotic pathogens to control weeds. But pathogens have not been successfully used in practice. Many mycoherbicides show potential in laboratories, but are ineffective in the field and not consistent from year to year or field to field. There is also a lack of understanding humidity, dew formation and temperature and their effects on suppression of weeds by plant pathogens. Potential pathogen must be selected as a BCA.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se pathogens must (1) produce abundant and durable inoculum in artifical culture, (2) be genetically stable and weed specific and (3) kill weeds in control. A granular preparation of mycoherbicide into sodium alginate is lighter than liquids and less bulky than organic matter. Gel forms have also been used.

      • KCI등재

        논 재배 팥 품종별 수량구성요소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비교

        전현정,정기열,최영대,이상훈,송석보,고지연,최지명,장윤우,Chun, Hyen Chung,Jung, Ki Yuol,Choi, Young Dae,Lee, Sanghun,Song, Seok bo,Ko, Jee Yeon,Choi, Ji Myung,Jang, Yun Woo 한국작물학회 2017 한국작물학회지 Vol.6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yields,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11 adzuki bean cultivars cultivated in a paddy field with somewhat poorly drained soil. The adzuki bean cultivars were cultivated in the paddy field from 2015 to 2016 in Milyang, Gyeongsangnam, Korea.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16.5% in 2015 and 31.0% in 2016 at the experimental site during adzuki bean cultivation. As the soil moisture content increased, most of the adzuki bean cultivars showed deceases in stem height, first setting pod node, number of pods, 100 seed weight, and yield. Chungju-pat produced the greatest yields among the 11 cultivars in 2015 and 2016, whereas Hongeon had the smallest yields. Adzuki bean yields after paddy field cultivation was lower for all cultivars than for adzuki bean yields from the same cultivars after upland field cultivation. Chungju-pat and Chilbo-pat showed the smallest decreases in yields after paddy field cultivation, whereas Hongeon and Kumsil showed the greatest yield reduc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composition. Some mineral components ($P_2O_5$, Ca, and Mg)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ross cultivars. Chungju-pat had the highest Ca and Mg contents, but antioxidant components (polyphenol and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BTS and DPPH) were highest in Saegil and lowest in Jungbu-pat. PCA and clustering analyses, based on the growth, yield, and antioxidant component measurements, performed to identify which variables contributed the most to separating adzuki bean cultivars or to grouping cultiva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had the most influence on grouping cultivars together. Among the 11 cultivars, Saegi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cultivars, but the other 10 cultiva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paddy field cultivation. Soil moisture content affected adzuki bean yield and antioxidant component contents. An increase in soil moisture led to a decrease in yield, but an increase in antioxidant components.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improve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adzuki bean cultivar for use in paddy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