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향가> 중 이날치 더늠 동풍가의 전승과 변용

        송미경 ( Mi Kyoung Song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춘향가 중 이날치의 ‘동풍가’ 더늠이 전승 및 변용된 양상을 고찰하였다. 공방망부사였던 이날치의 ‘동풍가’ 더늠은 이후 옥중망부사로 불리게 되었으며, 이러한 전환에는 동편제 집안인 송문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해 보았다. 서편제 계열의 창자들도 옥중망부사로서의 ‘동풍가’를 부르게 되었으나, 그 사설은 이날치 더늠의 것을 거의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현대 판소리로 활발히 전승되지는 못했다. 동편제 계열의 ‘동풍가’는 이날치 더늠의 사설을 부연·확장하고 새로운 사설을 넣는 방향으로 변모하였다. 그중 하나인 송만갑의 ‘동풍가’는 그 제자 및 후배들에게 전수되어 현대 판소리계에 일군의 전승 맥락을 형성하였다. 판소리에서는 단순한 아니리를 기반으로 더늠이 새로 만들어지기도 하며, 기존의 더늠을 후대의 다른 더늠이 대체하기도 한다. 공방망부사였던 이날치의 ‘동풍가’ 더늠은 전승 과정에서 옥중망부사로 변개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 이르러서는 동편제 계열의 ‘동풍가’ 전승이 보다 우세하게 되면서 이날치의 더늠을 대체하였다. 그러나 정정렬 제·정응민 제 중심의 현대춘향가에서 동편제 춘향가의 전승은 점차 미미하게 되었고, ‘동풍가’ 역시 잘 불리지 않는 더늠이 되어버렸다.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f Lee Nalchi`s East Wind Song in Chunhyangga. The song of longing in a vacant room, Lee Nalchi`s East Wind Song, has been turned into the song longing in a prison. I think Song`s Family, a representative family of the master singers in the East school of Pansori, would have had a immediate influence on that change. To fit this transition, the master singers in the West school gradually sang East Wind Song as the song longing in a prison, but this song`s lyrics were pretty much the same as before. East Wind Song handed down in the West school seems not to have reached the contemporary Pansori. The master singers in the East school transformed the former East Wind Song, Lee Nalchi`s deonum, by means of expansion and creation. Song Mangap`s deonum is also the song of some transformed works. His followers and juniors learned and passed down the song, thus the Song Mangap-style East Wind Song reached the contemporary Pansori. In Pansori, there is a newly created deonum and a replaced deonum instead of a existing thing. Lee Nalchi`s deonum, East Wind Song as a song in a vacant room turned into a song in a prison in process of transmission. After the Japanese Ruling Era, Song Mangap`s East Wind Song became a prevalent deonum and substituted for Lee Nalchi`s deonum. In the contemporary Chunhyangga, however, Jeong Jeongryeol version and Jeong Eungmin version are the mainstream. The East school`s Chunhyangga belongs to a nonmainstream, and East Wind Song became a rare song in Chunhyangga.

      • KCI등재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 전통과 변용

        송미경 ( Song Mi-k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6 No.-

        본 논문에서는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 전개 양상 및 그 전통과 변용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발탈로부터 20세기 이후 민요 만담으로의 확장 및 변모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팔도유람 소재의 재담은 민속극 레퍼토리의 ‘전통-변용’ 양상을 설명하기에 매우 적절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우선 전통적인 재담 레퍼토리로 살펴본 작품은 이동안과 박해일의 발탈 재담 중 팔도유람 대목이다. 이동안 식의 재담은 팔도 각지의 대표적인 노래를 부를 만한 공연판을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탈의 형용·동작에 관객들이 주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박해일 식의 재담은 작품 내에서의 비중 자체가 확장된 특징을 보였는데, 주고 받는 대화에 팔도의 지역색 및 정보를 재치 있게 담아 전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핀잔주기’라는 특징적인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변용된 재담 레퍼토리로는 김원호·손원평, 장소팔·고춘자, 김영운·고춘자, 김뻑국 예술단의 민요 만담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김원호·손원평의 민요 만담 <팔도풍경>은 팔도유람 삽화 위주의 대화식 재담 장르가 처음으로 시도되었다는 데에, 장소팔·고춘자의 민요 만담은 남-여 콤비 진행 방식을 정착시켰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그리고 장소팔·고춘자의 레퍼토리는 팔도유람이라는 소재를 단순히 말놀음식 만담을 풀어내기 위한 코스로 활용하였으며, 다소 성적인 소재로 여성을 재담화 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김영운·고춘자의 민요 만담에 이르러서는 이전부터 나타났던 변화가 심화되어 팔도유람이라는 주제와 관련 없는 말놀음식 재담의 비중이 확대되었으며, 영화 <팔도강산>의 사례와 유사한 정치색의 개입도 일부 엿보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팔도유람 소재의 재담 레퍼토리를 이어가고 있는 김뻑국 예술단은 전국 순회공연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색을 한층 강화시킨 재담을 구사하고 있다. 한편 팔도유람 소재의 재담 레퍼토리에 나타난 전통과 변용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팔도유람 소재 재담의 작품 내 비중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발탈 연희에서 여러 삽화 중 일부를 구성하였던 것이 이후 민요 만담으로 오면서는 그대로 한 편의 작품을 구성하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팔도유람이라는 단일한 소재, 민요라는 동일한 가창 양식의 수용이라는 점에서 민요 만담으로의 이행은 작품의 집약도를 한층 높인 전환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담 연행자의 구성 방식 및 역할은 탈의 동작과 가무를 담당하는 발탈 연희자, 탈의 민요창을 이끌어 내며 서로 대화식 재담을 주고받는 어릿광대(혹은 주인)로 구성되었던 남성 2인 체제에서 역할상의 차등이 없는 2인 체제로 변화하였다. 이후에는 민요 만담에서도 남-여 콤비 체제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여성이 보조적인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차차 남성 만담가와 대등한 입장을 차지하게 되었다. 재담의 성격 및 주된 구사 기법을 비교하여 보면, 발탈에서는 재담이 탈의 연희를 돋보이게 하고 보조하는 수단에 머물렀지만 이후 그 비중이 점차 확장되면서 ‘핀잔주기’, 삽화극 삽입, ‘○’자로 말 잇기, 빠른 속도로 말 주워섬기기 등 다양한 수법도 등장하였다. 한편 재담에 드러나는 지역색은 후대로 갈수록 약화되었지만, 김뻑국 예술단에 이르러 다시금 강화되었다.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sightseeing trip throughout Korea) and its problem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re very appropriate cases for explaining about the issue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olk drama, because there are many transfiguration from the traditional Palt'al(foot puppet performance) to gags with folk songs in the 20th century. At first, the works as the traditional witticisms are P'aldoyuram part in the Palt'al by Lee Dongan and Park Haeil. The purpose of the Lee's wordplay is to set up the spirited entertainment ground for the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Korea's eight provinces and to attract attention to the features and actions of the mask. In Park's scripts, the quantity of wordplays are increased and the distinguishing technique of scolding. Next, the transformed works are the gags with folk songs by the comedy duo Kim Wonho & Son Wonpyeong, Chang Sopal & Ko Chunja, Kim Yeongun & Ko Chunja and Kim Ppeokguk Art Company. It is significant that the work by Kim & Son, P'aldop'unggyŏng, was the first attempt of composing just stories about P'aldoyuram and Chang & Ko's was the first mixed duo in this genre. And the duo Chang & Ko used stories about P'aldoyuram as simple course for wordplays not the main material and expressed women as a sexual object. In Kim & Ko's, previous change deepened and wordplays had no direct relevance to the theme and title of P'aldoyuram increased. Also, there were the political undertone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movie P'aldogangsan in it. Kim Ppeokguk Art Company succeeded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nd showed wordplays strengthened local featur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nationwide tour concerts. Meanwhile, the aspects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itticisms about P'aldoyuram are given more weight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than traditional Palt'al. The conversion into modern gags with folk songs raised the degree of intensive. Second, the male duo of mask performer playing the mask and singing and clown speaking to the mask and inducing that to sing in traditional Palt'al changed the male/female duo chatting each other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Third, witticisms in traditional Palt'al were supporting devices for highlighting mask's play. But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witticisms got importance and various techniques, such as scolding, inserting short play, following rhyme, speaking quickly like a rap song, etc., were tried. And, weakened local feature of witticisms reinforced again in the repertories by Kim Ppeokguk Art Company.

      • KCI등재

        『창극조 대춘향가』에 나타난 서편제 춘향가의 전승양상

        송미경 ( Mi Kyoung Song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3 No.-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of Changgeukjo Daechunhyangga, by Han Deoksu and Cheong Gwangsu, and its contents, composition of parts, distinguishing deoneum, and its historical material value. The details of publication of Changgeukjo Daechunhyangga is as follows. Han Deoksu,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Jeollanam-do, had interested in pansori. So, after his retirement, he learned pansori in Gwangju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e near his scrivener´s office. Chae Iseok, the former police inspector, took pansori lessons with Mr. Han, and suggested he should publish the script of Chunhyangga. Mr. Han accepted Mr. Chae`s advice and made the script with Cheong Gwangsu, a teacher in Gwangju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e, under the sponsorship of Mr. Chae. Meanwhile, Mr. Han maintained his opinions strongly on the farewell part and the sing of the four paintings on the wall in the Chunhyang`s room. Next, Changgeukjo Daechunhyangga(1954) and Jeontongmunhwaogasajeonjip(1986), another pansori script book by master singer Cheong Gwangsu, have different order of chang(singing) and aniri(recitation) in two parts. One is that Chunhyang was put in jail and the other is that Doryeong Lee became a Royal secret inspector and went to Namwon. And, the following pieces of Changgeukjo Daechunhyangga differ from Jeontongmunhwaogasajeonjip in jangdans(rhythmic patterns) and contents: the song of Lee`s makeup, the song of Jeokseong, the song of pointing toward Chunhyang`s house, the song of getting off work, the song of the glorious silvery moon, the song of Vice minister Seong from Hoedong, the song of preparing drinks and snacks, the song of love, the song of Chunhyang`s last ditch, the song of farewell, the song of lower servants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song of appealing to the new magistrate, the song of protesting Chunhyang, the song of beaten Chunhyang, the witticism of question and answer with the Royal secret inspector and farmers, the song of Bangja paying his respects to Lee, the song of Chunhyang` will, and the song of the meeting of Lee and Chunhyang. This Changgeukjo Daechunhyangga includes the old Badi by Kim Changhwan and the new Badi by Cheong Jeongryeol. So, Park Jongwon, the master singer in same school, that is seopyeonje, supported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sending congratulatory address. It is possible to appoint this script as the comprehensive book of the old and new seopyeonje Chunhyangga in the 1950`s performing pansori arts world.

      • KCI등재

        정응민 창 ‘이별가’로 본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

        송미경(Song Mi-kyou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6

        본 논문에서는 정응민 창 ‘이별가’를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권진,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이 부른 ‘이별가’, 서편제 계열 <춘향가>의 전승자인 정광수, 김화선, 정정렬, 박록주가 부른 ‘이별가’와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박유전-정재근-정응민으로 이어진 서편제 계열 <춘향가>가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연원이 되었음을 밝혔다. 정응민이 1961년에 녹음한 ‘이별가’는 ‘창조-중모리-중중모리-중모리’로 구성되는 7-8분가량의 소리이다. 보성소리의 대부로 일컬어지는 명창임에도 그의 육성 녹음 자체가 드문 현실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귀중한 음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정응민 창 ‘이별가’에 나타나는 사설상 특징은 현전 보성소리 <춘향가>의 ‘이별가’보다 현전 서편제 <춘향가>의 ‘이별가’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정응민에 앞서 보성소리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이 정재근이므로 그 특징도 그에게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정재근의 출신지인 나주가 김창환 가(家), 정창업 가(家), 정재근 가(家)의 세 걸출한 명창 가문이 판소리 전통을 형성․확산한 지역이자, 서편제 <춘향가>가 주로 전승된 곳이었다는 사실이다. 그렇게 나주에 전승된 서편제 <춘향가>의 흔적이 정재근을 거쳐 정응민 창 ‘이별가’에 남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서편제 계열 <춘향가>가 보성소리 <춘향가>의 한 기반이 되었음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논의된 부분이나, 이번에 정응민 창 ‘이별가’라는 실제적인 자료에 근거해 그 사실을 구체적으로 재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정응민이 ‘이별가’에 남은 서편제 <춘향가>의 흔적을 계속 그대로 두기만 하지 않았음을 함께 기억할 필요가 있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보성소리 <춘향가>를 끊임없이 갈고 다듬었을 정응민의 노력을, 이 ‘이별가’를 통해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revealed that Seopyonje Chunhyangga, passed down following the lineage from Park Yu-jeon to Jeong Jae-geun to Jeong Eung-min has become a source of building Boseongsori Chunhyangga. To prove this,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was compared to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s disciples, such as Jeong Gwon-jin, Sung Woo-hyang, Cho Sang-hyun, and Sung Chang-soon, and Farewell song sung by the Seopyonje Chunhyangga s pansori singers, such as Jeong Gwang-su, Kim Hwa-seon, Jeong Jeong-ryeol, and Park Rok-joo. Recorded by Jeong Eung-min in 1961, the Farewell song consists of the rhythm of Changjo, Jungmori, Jungjungmori, and Jungmori, which has a playback time of about seven to eight minutes. Although Jeong is considered the founder of Boseongsori, his vocal recording itself is very rare, making it a very valuable music source. However,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Jung s 1961 recording of the Farewell song are more similar to the Farewell song of the current Seopyonje Chunhyangga than the one sung by Jeong s disciples. Jeong Jae-geun is the one who laid the foundation of Boseongsori before Jeong Eung-min. Hence, it is quite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from Jeong Jae-geun. What is noteworthy is that his hometown of Naju was where the family members of three prominent pansori master singers, Kim Chang-hwan, Jeong Chang-eup, and Jeong Jae-geun created and popularized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the Seopyeonje Chunhyangga, which was largely passed down. The traces of Seopyonje Chunhyangga, performed in Naju was retained in Jeong Eung-min s Farewell song recorded in 1961, through Jeong Jae-geun. Of course, the fact that the Seopyonje Chunhyangga has become a foundation for Boseongsori Chunhyangga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prior studies, but this paper specifically reaffirmed the fact based on actual data of the Farewell song sung by Jeong Eung-min.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Jeong did not let go of the traces he received from Seopyeonje Chunhyangga until the end. The efforts of Jeong, who had constantly refined Boseongsori Chunhyangga until the end of his life, can be confirmed again through the Farewell song of the current Boseongsori Chunhyangga.

      • KCI등재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에 따른 박동진제 춘향가 소리 대목의 변이 양상

        송미경(Song, Mi-kyoung)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8 No.-

        본 논문에서는 박동진제 춘향가 소리 대목의 변용 양상을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의 맥락에 따라 고찰하고 그 주요한 특징을 밝혀보았다. 보다 확장된 관점에서 박동진제 춘향가 전승의 문제를 다뤄보고자 1969년 박동진의 완창 춘향가 공연 실황 기본 자료로 삼고, ‘판소리-음반’ 양식의 SKC 〈인간문화재 박동진 판소리 대전집 춘향가〉(1988), ‘창극-음반’ 양식의 힛트레코드 〈춘향전〉(1979), ‘오디오드라마-음반’ 양식의 아세아레코드 〈춘향〉(1968)를 대상 자료로 선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에 임하는 박동진의 태도나 방식은 그가 전통의 ‘판소리-공연’ 양식에 대해 가졌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는 기본적으로 판소리와 타 장르 간 구도에서 판소리를 우선시했기 때문이다. 박동진제 춘향가의 장르 전환 및 매체 수록 전승에 나타난 특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 전환과 관련해서는 우선 창극 장르의 연출 방식을 고려해 판소리의 음악적 맛과 대사 전달의 간극을 적절히 조절하여 주는 도창을 선보인 점을 주목할 만하다. 창극이나 오디오드라마로의 장르 전환을 위해 기존의 박동진제 춘향가에 없는 사설을 새로 지을 때는 넉자화두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그 외에는 기존의 사설을 축약해 그대로 불렀다. 오디오드라마는 판소리나 창극과 달리 드라마의 대사가 중심이 되고 노래(창)가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해 음악적 밀도가 높은 더늠만 부분창 형태로 취입하는 전략을 택했다. 한편 오디오드라마의 극적 특징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마지막 대목을 교환창과 합창으로 구성하는 변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둘째, 매체 수록과 관련해서는 무대 위 공연을 ‘눈으로도’ 보고 ‘귀로도’ 듣는 것이 아니라,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음향을 ‘귀로만’ 듣는 창극 음반의 향유 방식을 고려해 도창과 창, 도창과 대사를 효과적으로 구분 짓는 표지를 마련한 점이 특징적이다. 오디오드라마-음반의 마지막 대목을 교환창과 합창으로 구성한 것 역시 일종의 듣는 재미를 고려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variation of Chunhyangga by Park Dong-jin according to the context of genre and media conversion and identified its key characteristics. Here, from an expanded viewpoint, I tried to deal with the problem of Chunhyang-ga. Park, Dong - jin`s Chunhyangga performance materials(1969) was used as a basic data, and SKC 〈Inganmunhwajae Park, Dong-jin Pansori Daejeonjip Chunhyangga〉(1988) as a pansori-record data, Hit Record 〈Chunhyangieon〉(1979) as a Changgeuk-record data, and Asia Record 〈Chunhyang〉(1968) as a audiodrama-record. Park`s attitude and method of converting genres and media was not much different from what he had about the traditional pansori-performance style. Park Dong-jin basically puts Pansori at the forefro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nsori and other genr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conversion and media of Chunhyang by Park Dong-jin. First, when it comes to genre convers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art of making a genre of Changgeuk has been shown to properly adjust the musical taste of pansori and the gap between lines. In order to turn the genre into a Changgeuk or an audio drama, the new four-letter composition was used as a rule when it was written by Park Dong-jin. Since audio drama is a genre where lines of drama is central and songs play a secondary role, he chose to adopt a strategy that allows for a sub-window with a high density of music.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hance the dramatic character of an audio drama, he attempted to change the composition of the last part into an one-to-one singing and a chorus. Second, when it comes to media content, it effectively distinguishes lead songs, songs, lead songs and lines by considering the way a Changgeuk record, which is recorded in the studio is enjoyed by ear, not by eye or ear. The composition of the last part of the audio drama - one-to-one singing and a chorus - is also a way of considering the fun of listening.

      • KCI등재

        창자와의 관계에서 본 판소리 고수의 공연학

        송미경 ( Mi Kyoung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문헌 기록과 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판소리 고수의 출신 배경 및 사회적 위치를 살피는 한편, 창자-고수 간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공연 준비-본 공연-공연 이후``의 공연 전과정에 나타나는 고수의 공연학적 면모를 고찰하여 보았다. 과거에는 줄광대 출신의 고수가 적지 않았다. 고수의 사회적 위치나 판에서의 대우는 물론 줄광대보다 나았지만 판소리 창자에 비해서는 열악하였다. 그러나 1910년대 이후 판소리 공연 공간의 이전과 새로운 매체의 유입으로 관중 및 일반 대중들은 고수에 대해 특별한 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이들의 지위는 크게 향상되었다. 고법도 이 시기 이후 관중들의 기대에 부응하여 정립된 측면이 크다 공연의 전과정에 요구되는 고수의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준비과정에서는 다양한 수준의 많은 창자들을 상대하는 훈련이 고수의 실력, 즉 소리에 대한 대응력을 쌓는 데 필수적이다. 공연 직전의 리허설은 개인연습과 공동연습으로 나뉘는데, 후자는 창자-고수 간의 공연 경력, 고수 개인의 실력에 따라 조정된다. 다음, 공연과정에서는 고수의 보비위와 추임새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고수는 장단 한배에 대한 빠르기 개념 및 소리의 리듬형에 따른 액센트의 표현을 창자와 공유하면서, 창자가 에너지를 어떻게 쓰고 있는지 미리 읽어내 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창자의 내드름을 간파하여 북 장단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 공연을 성격별로 세분화하여 보면, 완창발표회에서는 창자-고수 간의 호흡과 함께 공연했던 경험이 중요하며, 판소리 경연대회에서는 고수가 창자에게 안정감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고수대회(고법대회)에서는 장단의 운용, 북을 치는 자세, 강약 조절, 추임새를 통한 창자와의 조화 등이 고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주요한 기준이 된다. 축하 공연과 같은 개인적인 소규모 공연, 현대적으로 새롭게 각색한 공연에서 창자는 공연비가 저렴하면서 원곡의 변형이나 애드립(ad-lib)에도 당황하지 않고 이에 긍정적으로 대응하여 주는 고수를 선호하며, 강의에 수반되는 공연의 고수에게는 미리 약속되거나 논의되지 않은 상황에 대처하는 순발력을 원한다. 추임새는 소리판에서 고수와 청중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표현 방식이지만, 그 세부적인 맥락이나 성음에는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연 이후 과정에는 창자-고수 간의 상호 평가 혹은 연행자에 대한 청중의 평가가 해당되는데, 현재 판소리 공연계에서는 이러한 문화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방안 마련이 요청된다.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background of pansori gosu(drummer) and his social position based on documents and oral materials and the performance features of gosu in the entire process of pansori performance, ``preparation``, ``performance`` and ``aftermath``,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ja(singer)-gosu. In the past, some gosus were ex-tightrope performers. Their social position and working conditions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ex-tightrope performers but were worse than that of the pansori singer. After 1910`s, people formed some special sense about the gosu due to the change of the space for pansori performances and the technological advances on the media, and gosu`s conditions improved. The theory of pansori drum gradually began to be established well.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gosu in the whole process of pansori performanc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training with various and a lot of singers is required in the ``preparation``. Rehearsals are divided into individual practices and joint practices, and the latter can be controlled by the level of the capacity of gosu and the degree of the experience between chanja-gosu. Next, bobiwi(flattering drumming) and chuimsae(encouraging remarks) are important in tbe ``process``. The gosu has to share the speed of one jangdan(rhythmic patterns) and the accent of the sori and adjust his enery. Besides, he has to acknowledge the naedeureum(beginning sign) and reply with changja`s singing. In formal performances, working in harmony with changja and gosu and their joint experiences are necessary for the gosu; in pansori contests, giving chanja a stability; in contests for gosu, drumming skill, position, chuimsae; in small performances and new adaptation of pansori, cheap fees and positive response of the transformational play or ad-lib; in lecturer concerts, reacting quickly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Chuimsae is way which gosus and audiences express their feeling together, however, its context and sound are different. Finally, ``aftermath`` is a process the pair of chamgja and gosu mutually evaluates about performance or audiences estimate that.

      • KCI등재

        ‘판소리유파발표회’에 나타난 유파 인식의 변천

        송미경 ( Song Mi Kyoung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보존연구회(현 한국판소리보존회)가 지난 1971년부터 2020년에 이르기까지 50회에 걸쳐 개최해오고 있는 ‘판소리유파발표회’(현 판소리유파대제전)에 주목해, 판소리유파발표회가 창설된 배경을 살피고, 판소리유파발표회에 나타난 판소리 유파 인식의 변천상을 7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상세히 고찰하는 한편, 무형문화재 제도가 판소리유파발표회의 유파 인식 변화를 추동해온 요인이 되었음을 밝혔다. 1970년 1월 31일 판소리 보유자와 연구자·애호가가 판소리 정립 및 명맥 보존을 목적으로 판소리보존연구회를 창립했다. 판소리보존연구회 설립을 주도한 유기룡은 기념공연 개최를 제안했고, 이보형은 이 공연을 ‘명창 권삼득 탄생 200주년 기념공연’으로 기획했으며, 유기룡은 여기에 ‘판소리유파발표회’라는, ‘유파’를 전면에 내건 이름을 붙였다. 판소리유파발표회 초기인 제1회~제3회(1971~1973)에 나타나는 유파 인식에서 강조된 것은 악조 개념으로서의 ‘제’였다. 제4회~제6회(1974~1976)에 이르러서는 행사명을 ‘판소리고조연구발표회’, ‘판소리고조유파발표회’로 바꾸었는데, 여기에 ‘고조’와 옛 더늠을 강조하는 유파 인식이 드러나 있기는 하나, 실제적인 공연 내용으로까지 반영되지 못했다. 제7회~제9회(1977~1979)는 유파 개념 안에서 바탕소리와 제(악조)를 연결하는 시도를 통해 유파 전승의 갈래를 다양화 했다. 제9회~제17회(1980~1987)는 판소리 ‘유파’ ‘발표회’라는 행사명을 무색하게 하는 내용으로, 유파 인식의 측면에서도 깊이 있는 고민을 보여주지 못했다. 제18회~제22회(1988~1992)에 이르러 판소리유파발표회는 유파 개념으로서의 ‘제’를 강조하며, 문화재 지정 바디 위주의 판소리 전승 문화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유파 인식의 측면에서는, 제23회~제44회(1993~2014)도 전 시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제’, ‘판’, ‘류’와 같은 용어가 혼용되고, 단선적인 전승 계보가 전보다 더욱 강조되었다. 제45회~제50회(2015~2020)는 창작판소리, 창극, 여성국극, 영어 판소리 등 전승오가의 경계에 있거나, 그 경계를 초월한 레퍼토리를 정식으로 포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추동해온 요인은 바로 무형문화재 제도였다. 단일 종목으로서의 판소리가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이 되고, 전승오가의 보유자가 바탕별로 확보되는 동안 판소리연구보존회는 제1회~제8회(1971~1979) 판소리유파발표회를 통해 단일하지 않았던 유파 개념을 있는 그대로 내보이거나 불완전하나마 나름의 방향을 잡고 유파 개념을 정립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강조된 것은 ‘고조(古調)’와 원형이었으며, 이는 원형 보존에 주안점을 두었던 무형문화재제도의 성격과도 맞물린다. 다만 이 시기에는 보유자 및 그 제자들이 기존에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바디 외에 다른 소리도 비교적 자유롭게 발표하는 분위기였다. 다음 제9회~제44회(1977~2014) 발표회가 진행된 시기에는 중앙의 국가무형문화재는 물론 지방의 시·도무형문화재의 판소리 종목 보유자 인정이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판소리유파발표회와 무형문화재 제도 간 관계가 더욱 긴밀하게 작동하게 되었다. 유파 인식의 측면에서도 판소리 전승 주체의 관점에서 나름의 방향성을 정립하려는 노력보다는, 기존에 문화재로 지정된 유파와 ‘제’ 인식을 단순 수용하고 강화하는 데 그쳤다. 이렇게 판소리유파발표회에서의 ‘유파’는 점차 문화재 지정 바디로서의 ‘제’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제45회~제50회(2015~2020)를 구분한 것은, 무형문화재 제도에 ‘원형’ 대신 도입된 ‘전형’ 개념과 그로 인한 영향 때문이다. ‘유파’를 행사명 전면에 내건 판소리유파대제전(전 판소리유파발표회)에서, 창작판소리, 창극, 여성국극, 영어 판소리, 순우리말 판소리 등 전승오가의 경계에 있거나 그 경계를 넘어서는 레퍼토리를 초청 공연이 아닌 본 공연으로 포괄한 것은 분명 전과 달라진 판소리 인식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판소리 ‘유파’의 전승 범주도 전통판소리 또는 전승오가의 영역 그 너머로 확장될 여지가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held by the Pansori Conservation Research Association 50 times between 1971 and 2020,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Pansori School. After dividing the transition patterns into seven periods and considering them in detail, we find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as a factor that dro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in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On January 31, 1970, pansori holders, researchers, and lovers founded the Pansori Conservation Research Association with the aim of preserving the art and reputation of pansori. Yoo Ki-ryong, who led the establishment of the group, proposed that a commemorative performance be held. Lee Bo-hyung planned the performance for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master singer Kwon Sam-deuk, and Yoo Ki-ryong named it Pansori School. The school as it appeared in the 1st-3rd presentations (1971-1973), which represent its early stage, emphasized “je” as the concept of the musical style. In the 4th-6th presentations (1974-1976), the name of the event was changed to Pansori Gojo Research Conference and Pansori Gojo School Presentation. However, this was not reflected in the actual contents of the performance. In the 7th-9th events (1977-1979), the branch of tradition was diversified through an attempt to connect the Batangsori and the “je” (musical style) within the concept of the school. In the 9th-17th presentations (1980-1987), the content overshadowed the name of the event: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did not show a deep concern for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From the 18th to the 22nd events (1988 to 1992),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emphasized “je” as a school concept and moved toward strengthening the pansori tradition centered on the Badi, which wa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y. In terms of school recognition, the 23rd-44th presentations (1993-2014)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but the use of terms such as “je,” “pan,” and “ryu” was mixed and a unilinear lineage of transmission was increasingly emphasized. The 45th-50th presentations (2015-2020) formally included repertoires that were on or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Five Major Versions, such as creative pansori, changgeuk, Yeoseonggukgeuk, and English pansori.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as the main factor driving these changes. While pansori as a single event became a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holder of the Five Major Versions was secured for each Batangsori, the Pansori Conservation Research Association presented the concepts of non-single waves and waves in their own directions. In the process, emphasis was placed on the “Gojo” (old style) and the original form. This coinci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hich focused on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However, during this period, holders and their disciples were relatively free to announce additional Badi, which had previously been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t the time of the 9th-44th presentations, the pansori event holder was continuously recognized not only for the central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but also the local city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a gap emerged between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and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The relationship then became increasingly close.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rather than trying to establish its own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of pansori transmission, it merely accepted and emphasized the school and “je,” which had been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In this way, “school” in the Pansori School Presentation gradually came to mean “je” as a Badi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The 45th-50th presentations gained distance from this trend because the concept of “model” was introduced and gained influence in place of “archetype”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The use of the term “school” is also meaningful regarding the inclusion of repertoires that are within or cross the boundaries of the original pansori, changgeuk, women's gukgeuk, and English pansori as official rather than invited performances. This change occurred because the transmission category of pansori “school” has room to expand beyond the realm of traditional pansori or the Five Major Versions.

      • KCI등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현황과 과제

        송미경(Mi kyoung Song)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등 주관 기관별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을 개관하고,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기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유형, 특징 등을 토대로 향후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문화재청 산하의 ‘무형유산 복합기관’이라 할 수 있는 국립무형유산원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을 주관했으며, 2021년 해당 사업을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이관했다. 판소리의 경우 단독으로 사업에 선정된 것은 2019년 경서도소리포럼의 ‘서도명창 박월정의 판소리 재현’뿐이며, 그 외에는 합동 공연의 한 프로그램 또는 구성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은 2021년부터 그 운영 주체가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전환되면서, 명칭도 ‘인류무형문화유산 민간 지원 사업 공모’,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 공모’ 등으로 바뀌었다. 문화재청 산하 공공기관이자, 문화유산의 전승·보급·활용을 위한 전문기관이라는 정체성을 아울러 지니는 한국문화재재단은 2022년부터 지원 분야를 ‘1. 공연/전시/체험, 2. 축제/의례, 3. 평생교육, 4. 연구과제/도서출판/학술대회, 5. ICT 및 영상 등 홍보콘텐츠, 6. 상품 디자인 및 제작’으로 확장하고 심사 배점을 수정하는 등 기존 내용과 방향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다. 이 공모에서는 판소리 종목 사업이 꾸준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경서도소리포럼, (아트플랫폼) 동화, 한국판소리보존회, 동리문화사업회의 경우 지난 3년 간 2회 그 수혜 대상이 되었을 정도이다. 주제로는 김초향, 100년 전 판소리 <춘향가>, 판소리 갈라쇼, 판소리유파대제전, 대한민국 판소리 한마당, 동리 신재효 등이 활용되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재단설립허가를 받아 전통공연예술 민간부문 활성화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확인 가능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사업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세계무형유산활용 관광자원화 사업’, 그리고 2019년부터 지속되어오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활용 공연사업’ 등이다. 명칭에서 보듯, 공연 콘텐츠 활성화에 집중하는 사업, 등재 종목 기반 우수 공연콘텐츠를 확산하는 사업 등으로 방향 전환이 있었으며, 이들 사업에서 판소리 종목 활용 사업은 전 시기 상당한 비중으로 선정에 포함되었다. ‘판소리 유파대제전’, ‘구례동편제소리축제’,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창작국악극 ‘춘향난봉가’, ‘판소리동화시리즈_안데르센’, ‘완창판소리프로젝트2_강산제 수궁가’, ‘3색 소리극 ‘흥보가 비하인드 스토리’’, ‘바로크 판소리 심청’ 등이 그 예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을 활용한 최소 35개 이상 사업 또는 콘텐츠가 3개 기관이 주관한 지원 사업에 선정·발표되어 온 만큼, 이들 지원 사업의 기여도는 분명히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동안 선정된 판소리 관련 지원 사업을 살펴보면 그 유형이 공연과 축제에 대체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향후 이를 전승공동체 활성화 또는 교육 등과 관련짓는 것도 하나의 전략적이고 의미 있는 움직임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pport projects that have been ongoing since 2014. These projects are undertaken by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jects and discusses their directions and challenges bas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pansori support project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stitute, identified as an “intangible heritage complex”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ganized the Human Intangible Heritage State Subsidy Project from 2017 to 2020. In 2021, the project was transferred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In the case of Pansori, the only item selected for the project was the “Reproduction of Pansori of Seodo Myungchang Park Wol-jeong” by the Gyeongseodo Sori Forum. Other items were included as parts of joint performances or programs. Since 2021, the Competition for State Subsidized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renamed the Competition for Private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etition for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change was prompted by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ng entity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s a public instituti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transmissio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has made significant changes in content and direction by expanding its support areas to include: 1. performances/exhibitions/experiences; 2. festivals/ceremonies; 3. continuing education; 4. research projects/book publishing/conferences; 5. promotional content such as ICT and videos, and 6.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and by revising the scoring system. In this competition, Pansori projects have been consistently received support, with organizations like the Gyeongseodo Sori Forum, (Art Platform) Donghwa, Korean Pansori Preservation Society, and Dongri Culture Business Association being selected twice in the past three years. The topics included Kim Cho-hyang, the 100-year-old Pansori ‘Chunhyangga’, Pansori Gala Shows, the Pansori Yupa Grand Festival, Korea Pansori Hanmadang, and Dong-ri Shin Jae-hyo.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is licen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function as a base for revitalizing the private sect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its officially verifiable UNESCO ICH projects include the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for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ran from 2014 to 2018, and the Performance Project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 ongoing initiative since 2019. The new project names signify a shift in focus towards revitalizing performance content and promoting exceptional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registered item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jects in the selection have utilized pansori items or offered pansori events. Examples include “Pansori Yupa Daeje Festival,” “Gurye Dongpyeonje Sori Festival,” “Seopyeonje Bosung Sori Festival,”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drama “Chunhyang Nanbongga,” “Pansori Fairy Tale Andersen,” “Wanchang Pansori Project 2 Gangsanje Sugungga,” “Heungboga Behind Story,” and “Baroque Pansori Simcheong.” As at least 35 projects or contents involving pansori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selected and announced for support projects organized by these three organizations, the contribution of these support projects needs to be clearly recognized.

      • KCI등재

        영화 <모란봉>(1958)과 음반 < Corée Moranbong >(1960) 수록 <춘향전>을 통해 본 1950년대 북한 창극의 실제적 양상

        송미경 ( Song Mi-kyoung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영화 <모란봉>은 1958년, 아르망 가티, 크리스 마커, 클로드 란츠만, 프랑시스 르마르크, 장 클로드 보나르도가 조선필름의 초청으로 떠났던 북한 여행의 산물이다. 그러나 여러 정치적인 이유로 영화는 바로 개봉되지 못했고, 2010년에야 다시 발굴되어 주목을 받았다. 영화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란과 동일의 서사가 저 멀리 조선의 고전 춘향전 속 춘향과 몽룡의 서사와 포개어지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때 조선의 고전은 두 주인공의 서사와 시간대를 공유하는 극중극 <춘향전>의 형태로 재현되며, 두 서사는 총 6개 장면에서 포개어진다. 영화에는 두 겹의 중층적인 액자가 존재하는데, 1950년대의 북한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영란과 동일의 서사가 가장 바깥에 있다면, 그 안에 창극 <춘향전>의 제작진과 배우들이 만들어 가는 서사가 있고, 가장 안쪽에 온전한 작품으로서의 창극 <춘향전>이 배치된다. 영화 가장 바깥의 액자에서는 동일이 주인공이지만, 안쪽 두 겹의 액자에서는 창극 <춘향전>과 함께 성장하는 배우이자 창극 <춘향전>의 등장인물인 영란이 중심이다. 다음 이 영화의 OST 음반으로는 프랑스에서 1960년 발매된 < Corée Moranbong >, 1970년 발매된 < Musique De Corée >, 그리고 일본에서 1968년 발매된 <朝鮮の伝統音楽-唱劇 「春香伝」と伝統楽器-> 3종이 있다. < Corée Moranbong >은 영화 <모란봉>의 음악으로만 구성된 반면, 이후 나온 두 음반은 평양국립방송을 통해 수집 및 녹음한 곡을 추가로 포함하였다. 다만 일본에서 발매된 음반에는 영화 <모란봉>에 관한 정보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정황상 음반사나 음반 해설지의 필자도 영화 <모란봉>의 존재를 미처 확인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며, 영화의 개봉 자체가 금지되었던 배경 때문에 의도적으로 관련 내용을 배제한 것일 수도 있다. 본고에서 영화 <모란봉> 또는 OST 음반에 수록된 창극 <춘향전>의 세부 장면 <이별가>, <십장가>, <춘당시과>, <박석티>, <옥중가>를 분석한 결과를 1950년대 북한 창극계의 변화와 관련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50년대 북한 창극 <춘향전>의 정립 과정을 확인하였다. 1955년에 『조선창극집』을 통해 정리된 희곡이 1956년∼1958년 사이『조선민족음악전집(창극 및 민족가극편)1: 창극 <춘향전>(초고)』에 이르러 실연 가능한 창극 형태로 정착하였고, 영화와 음반에 수록된 부분은 1950년대 말 그 완성판의 한 예시에 해당한다. 1960년대 이후 <춘향전>은 더 이상 기존의 판소리식 창극으로 공연되지 않았기에, 영화 <모란봉>과 음반 < Corée Moranbong >은 창극 <춘향전>과 그 음악을 오롯이 담아낸 거의 마지막 기록물이 된다. 둘째, 1950년대 북한 창극계의 탁성 논쟁과 관련한 창극 배우들의 대응 양상을 확인하였다. 1959년까지도 북한에서는 탁성을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와 이것도 민족적 특징이라는 옹호의 목소리가 어느 정도 공존했다. 맑고 높은 성음의 구사로 탁성 제거에 일정한 성과를 보인 신우선, 분명한 변화를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발성을 달리한 공기남, 탁성을 적극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았으나 그것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배역을 선택한 조상선, 당이 요구하는 발성법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자기 원 음색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임소향, 이들의 판단과 대처는 영화 <모란봉>과 음반 < Corée Moranbong > 속 소리에도 오롯이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조상선과 임소향은 그들의 소리를 계속 해 나갈 수 있는 배역을 보장받았지만, 영화 <모란봉>에 나타난 선택/배제의 양상은 이와 별개로 1950년대 월북국악인들에게 요구되었던 탁성 제거 지침과 그대로 연결된다. The film Moranbong is the product of a trip to North Korea in 1958, when Armangati, Chris Marker, Claude Lantzmann, Francis Lemarck and Jean-Claude Bonardo left at the invitation of Joseon Film. However, for political reasons, the film was not immediately released, and it was not until 2010 that it was rediscovered and received attention. The movie consists of the narratives of Young-ran and Dong-il, set in the Korean War, that are folded into the narratives of Chunhyang and Mongryong in the classic Chunhyangjeon of Joseon. At this time, Joseon's classics are reproduced in the form of the drama Chunhyangjeon, which shares the time zone with the two main characters, and the two narratives are covered in a total of six scenes. There are two layers of middle-story frames in the movie, and if the same narrative is set in North Korea in the 1950s, there is an epic produced by the producers and actors of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nd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s a complete work. In the outermost frame of the movie, Dong-il is the main character, but in the inner double frame, Young-ran, who is an actor growing up with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nd a character in the Changgeuk Chunhyangjeon, is the center. The following three OST albums are Corée Moranbong released in France in 1960, Musique de corée released in 1970, and 朝鮮の伝統音楽-唱劇 「春香伝」と伝統楽器- released in 1968 in Japan. While Corée Moranbong consists only of the music from the film Moranbong, the two subsequent albums included additional songs collected and recorded by Pyongyang National Broadcasting System.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movie Moranbong on the album released in Japan.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author of the record label or music commentary has not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movie Moranbong, and may have intentionally excluded related contents due to the background of the film's ban on its releas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tailed scenes of the Changgeuk Chunhyangjeon, Farewell Song, Sipjang-ga, Chundangsigwa, Bakseokti and Prison Song in the movie Moranbong or OST album in the 1950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orth Korean Changgeuk Chunhyangjeon in the 1950s was confirmed. The play, compiled in 1955 through the Joseon Changgeuk Collection, was settled in the form of a Changgeuk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late 1950s by the Changgeuk Chunhyangjeon between 1956 and 1958. Since the 1960s, Chunhyangjeon has no longer been performed as a traditional pansori-style Changgeuk, so the film Moranbong and the album Corée moranbong are almost the last records to capture the Changgeuk Chunhyangjeon and its music. Second, we confirmed the responses of the actors to the controversy over Takseong in the North Korean creative world in the 1950s. Until 1959, there was a voice of criticism surrounding Takseong and a voice of advocacy that it was also a national characteristic. Shin Woo-sun, who almost eliminated Takseong with clear and high-pitched phrases, air man who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o chose Takseong but did not actively remove Takseong, Lim So-hyang, who tried to maintain his own tone while accepting some of modern vocalization. Although Cho Sang-sun and Lim So-hyang were also guaranteed roles to continue their voices, the selection/exclusion patterns in the movie Moranbong were linked to the Takseong removal guidelines required by North Korean musicians in the name of Dang and People in the 1950s. Second, Changgeuk actors' respons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turbidity of the North Korean Changgeuk community in the 1950s was confirmed. Until 1959, there were voices of criticism and support surrounding Taksung in North Korea. Shin Woo-sun, who showed consistent performance in removing turbidity with clear, high-pitched vocal sounds, Gong Gi-nam, who did not actively remove turbidi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Cho Sang-sun, who accepted some of the vocalization required by the party, while maintaining his original tone. On the other hand, Cho Sang-seon and Lim So-hyang were guaranteed roles to continue their sounds, but the selection/exclusion patterns of Moranbong was independently linked to the guidelines for removing turbidity that the Gugak musicians who crossed to North Korea had been asked f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