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수학교육 인식조사 :

        송륜진(Song, Ryoon-Jin),주미경(Ju, Mi-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우리나라는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화해 감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교사가 다문화적 민감성, 효능감, 역량 등을 갖추는 것은 미래 세계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교사 전문성 중 하나이다. 이러한 측면에 서 수학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해 다문화수학교사교육 과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수학교사교육 과정 개발에 앞서 우리나라 중등 수학교사수학교사들이 구성하고 있는 다문화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그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등 수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다문화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적절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과정 개발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this research, as part of developmental research of a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we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We interviewed two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investigate their narratives about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s thought that multicultural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 was not necessary because it is beyond the standardized curriculum. They revealed color blinded attitudes toward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s by arguing that highlighting difference and diversity in class would rather result into discrimination against mainstream students. They also had the whiteness as a mainstream therefore they 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equity biased and tendentious view. The results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curricula need to be reformed to help teachers deconstruct and reconstruct their color-blindedness would to create equitable education for empowering all in school.

      •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통한 수학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변화 분석

        송륜진(Ryoon Jin Song)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敎科敎育硏究 Vol.38 No.2

        수학교실에서 다양성이 점차 증가하면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이 매우 중요한 요소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16주 동안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실시한 이후,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학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역량을 검사하고 이에 대한 기술통계 결과 및 t검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의 사전평균 2.69에서 사후평균 3.53으로 약 0.84점 향상되었으며, t 검정 결과, 사전-사후 평균에 대한 t=-5.226, 범주1의 t=-2.325, 범주2의 t=-4.632, 범주3의 t=-4.633, 범주4의 t=-4.617으로 t분포에 의한 기각값 ±1.771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수학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수학교사의 인지적, 정의적, 실천적인 다문화적 역량을 종합적으로 함양하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되어야 하는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 increasing the diversit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emphasized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teacher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lemen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mathematics teachers after 16 week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researchers carried out the pre-post test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mathematics teachers.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tched pair t-test showed significant chang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particular, t-values such as t=-2.325 in category1, t=-4.632 in category2, t=-4.633 in category3, and t=-4.617 in category4 was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1.771.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subjec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in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aspect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hich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의 융복합교육 실행 방안 탐색

        주미경(Mi-Kyung Ju),송륜진(Ryoon-Jin Song),문종은(Jong-E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과와 관련하여 융복합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실행한 Focus Group Interview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적용 가능한 융복합교육 실천 방법을 융복합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면담 참여 교사들에게 융복합교육은 학문적 정체성 구현과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지향함으로써 경쟁 중심의 학교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실천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면담 참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자율성과 능동성,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면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은 융복합교육이 이전의 교육과 차별화되는 교육목표와 접근법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이 가지는 중요성과 더불어 교사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행 · 재정 체계의 변화, 그리고 융복합교육에 대한 비젼의 공유 및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수학교과의 성격을 고려하면 융복합교육의 적용이 가능하고 융복합교육이 수학교육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과학 및 기술 교과에 비하면 현재는 학교 현장에서 융복합교육의 실행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수학교과의 특성이 적용된 융복합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여 융복합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현장 수학교사들에게 실행적 측면에서의 지침을 제공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Yungbokhap education has been one of the key policies for school reform driven by the Korean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subject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investigate how they conceptualize Yungbokhap education, particularly, educational goals,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required administrative system. Th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that Yungbokhap education has a great pot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mathematics and introduced teaching practice to facilitate students’ active agenc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we discussed implications to improve Yungbokhap education in school mathematics.

      • KCI등재

        수학교과서 속 수학자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융합적 협업으로서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정수용,주미경,송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2

        최근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식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수학교과에서의 연구는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기초한 ‘다양성’과 ‘평등성’의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자들을 출신 국가 및 대륙 별, 성별에 따른 분포현황과 그들의 수학적 업적을 수학 내적 · 외적 맥락과 연결지어 서술하는 방식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교과서에서 다양한 수학자들을 제시하고 있었지만, 유럽 중심의 남성 수학자들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교과서가 유럽문화권 내 전문적인 남성수학자들의 영향을 받아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수학자들의 수학적 업적이나 결과물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촉진하기 위해 관련된 수학 내적 · 외적 맥락과의 연결없이 단편적으로 소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수학자들의 사고 과정이나 문제해결 방법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충분한 맥락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학자의 업적이 등장하는 시대 사회의 역사적 맥락과 수학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문화수학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 학생들이 수학을 사회문화적 산물이며 다양한 문화의 인식론적 규범 사이의 융합적 협업 결과 만들어진 지식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는 교과서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앞으로 수학교과서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수학자들과 유럽 중심의 남성수학자들을 대등하게 제시하고 그들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함양할 수 있는 과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in Korea, the number of studi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variety of subjects have increased. There are few studies, however, in the field of mathematics. For these reasons,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the description of historical mathematicians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The analytic frame of this study was twofold: 'the diversity' and 'the equity', each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although mathematicians of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were presented. most of the mathematicians in the textbooks were European males. This suggests that most of the mathematical facts in mathematics textbooks were discovered by European males. In addition, most of the textbooks depicted the achievements of a particular mathematicians without reference to their relationships. The various mathematicians, therefore, lack a relationship between in-issue and meta-issue. In conclusion, mathematics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include learning tasks that present mathematicians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not just European male mathematicians. Mathematics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also describe the various mathematical backgrounds based on the dialogical relationships among diverse ethnomathematics according to the historico-genetic princi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