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일치의 전이와 사유의 효과 - 이상론

        송기섭(Song, Ki-seob) 한국비평문학회 2022 批評文學 Vol.- No.84

        여기서 불일치라는 용어는 관례적인 모방론에 토대를 두어야 그 기본적인 개념이 성사된다. 물론 이 말은 삶과 형식이 등가라는 모방론의 본질을 옹호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그것의 근본적인 전복이자 이론 수정을 위해 도입되어야 한다. 재현의 발생이란 모방론 혹은 재현론의 관점은 그렇게 전통 시학을 교정하면서 그것의 원리를 제대로 수용할 이론을 정초하고자 한다. 발생은 현실과 문학, 즉 삶과 형식의 불일치를 깨닫고 문학의 형식이 질료로서의 삶을 그대로 반영함이 아닌 진실을 향해 운동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오직 부정적인 것만이 이 지속되는 운동 속에서 진실이라 지명할 의미를 생성한다. 이것을 재현의 발생이라 부른다. 이상의 문학은 재현의 발생을 살피기에 아주 적합한 텍스트이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적극적 의의를 부여하자면, 이상의 문학은 재현의 발생이란 재현의 체계에 의해서 온전한 형태를 드러낸다. 이상은 루카치가 통찰한 ‘삶과 형식의 불일치’를 자신의 글쓰기를 통해 너무도 확연히 보여준 작가이다. 그렇게 연애의 형식이 만들어지는데, 그것은 삶과 불일치하는 형식 속에 진실이 은닉되어 있음을 극화의 방법으로 보여준다. 그것이 형식의 질료로 나타남이 분열되는 주체 ‘나’들과 그것의 피사체인 대상 ‘독화’들이다. 그것들은 문학 형식의 질료로서 부정적인 힘으로 머무르면서 물질적인 부분 대상들을 조합하고 나아가서 정신적 종합을 거쳐 진실 혹은 의미를 생성한다. 그러한 과정은 고정되고 확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면서 차이의 반복을 가져오는 발생이기에, 즉 결과로서의 의미의 도출이 아닌 운동으로서의 작용이기에 사유의 효과라 지칭함이 마땅하다. 이상의 텍스트들은 의미가 일의적인 것으로 의미작용에 열려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듯 이상이란 문학 형식에서 도입할 것은 확증을 위한 증거나 이론이 아닌 진실 탐구의 방법이자 재현의 발생과 같은 의미작용의 체계이다. The term inconsistency has its basic concept only when it is grounded in conventional imitation theory. Of course, this term is not used to defend the nature of mimicry that life and reality are equivalent. This is an essential overthrow of it and should be introduced to revise the theory. The mimetic view of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modifies traditional poetry. The occurrence arises from the inconsistency between reality and literature, that is, life and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development, it reminds us that the form of literature does not reflect life as it is. It reflects a thought meaning. Only negativity causes thought, and it creates meaning. This is called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Lee Sang’s literature is a very suitable text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Lee Sang’s literature reveals its complete form by such a system of representation. Lukács refers to ‘a mismatch between life and form.’ Lee Sang shows this very clearly through writing. That is how the form of love is created. It shows that the truth is hidden in a form that is inconsistent with life. Its material is the subject ‘I’ and its object ‘poisoning flower.’ They contain both material and spiritual properties. They remain as negative forces and create truth or meaning. Such a process is not fixed, but continuous. Therefore, the occurrence of representation should be called meaning. Lee Sang’s texts generate meaning through semantic action. We can call it the effect of thought. The literary form of Lee Sang cannot be explained by evidence or theories for confirmation. For it is a system of signification that brings about the occurrence of semantic action.

      • KCI등재
      • KCI등재

        분열된 생각의 처소들―이상의 소설 탐구

        송기섭 ( Ki Seob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이상의 소설들은 모호한 구석이 많다. 그것은 그의 소설들에 대한 지적 흥미를 자극한다. 또한 그것은 잘못된 해석이나 이해를 낳을 여지를 늘 남겨두고 있다. 이를 염두에 두면서, 나는 이상 소설들을 축자적으로 읽어 나가고자 한다. 그렇게 단순하게 그의 소설들을 접근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서사담론에 빈번하게 떠오르는 말들이다. 생각, 질병, 방, 거리 등은 그의 소설들에서 빈도 높게 사용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말들이다. 그런데 이 말들은 서로 긴밀하게 결합 관계를 이루고 있다. 소설 속의 주인공들은 거의 생각하는 존재들로, 그들 스스로 생각이란 말을 강박적으로 떠올린다. 방과 거리는 그들이 그 생각을 진행시켜 나가는 공간이다. 그 생각의 원천에 그의 질병이 있다. 생각의 힘은 질병과 그 질병으로 인해 비롯된 적빈(赤貧)에서 나온다. 방과 거리가 생각의 처소라면, 질병은 생각의 에너지원이다. 이상의 소설들은 이 생각들을 기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그 생각들이 인간의 내면을 통찰하는 절박함과 그에서 비롯된 놀랄만한 통찰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Lee Sang`s novels have something ambiguous. It makes his novel academic interest. It makes lots of possible interpretation and also makes lots of false interpretation. Therefore, I try to read his novel purely. In other words, I read the novel by used words. When I read his novel by purely words, what I saw most is words in narrative discourse. Thought, disease, room, street used high frequency have important meaning. These words are closely connected. Characters in novel are mostly thoughtful, and they recall ``thought`` compulsorily. Room and street are the space where characters progress their thought. They think in room and street. They often recall the word ``thought``. Source of the thought is his disease. Power of thought come from disease and poverty. Room and street are abode of thought and disease is source of thought. Lee Sang`s novels are record of thought. He said that is record of fear. The disease which will make him dead makes his thought to fear. His thought spreads to character in his novel. What we should notice is his thoughts have urgency that see through human`s inner side.

      • KCI등재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

        송기섭 ( Kim Seob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9 No.3

        글쓰기 교육은 이미 대학 교양의 중심 영역으로 자리잡아 왔다. 글쓰기 능력은 학생들이 전공 학습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졸업 이후 갖추어야 할 필수 기능으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필요성에 의하여 대부분 대학에서는 글쓰기 교육을 강화하면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나 제도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고 있다. 글쓰기 교육도 기본적으로는 다른 교과목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 설정, 학습 내용의 구완, 그리고 학습평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글쓰기 교육의 특성상 요구되는 글쓰기 교실이나 센터와 같은 제도적 기구의 보조적이고 협력 관계가 요구된다. 여기서 가장 먼저 점검해 볼 문제가 교육목표이다. 그것은 이후에 전개되는 글쓰기 교육의 기본 지침이 될 뿐만 아니라 세부적인 교육 행위의 방향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충남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을 사례로 분석하면서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를 설계해 보고자 한다. 글쓰기 교육은 대개 기초적인 수준의 공통적 과정과 계열별로 심화된 과정으로 분리되고 있다. 기초 글쓰기는 학부생들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는 공통적인 글쓰기 교과과정으로, 전공과 무관하게 수강할 수 있도록 수업의 내용과 수준이 주어진다. 그런 까닭에 수업목표 또한 이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에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전통적인 작문교육과는 다르게 그것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작문교육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을 글쓰기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하곤 했다. 또한 문장 단위의 수사학에 그것의 핵심을 두곤 했다. 문학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전문화의 함정을 곁들이기도 했다. 기초 글쓰기는 이러한 전통적 글쓰기 교육과는 다른 층위에서 출발한다. 그것은 글쓰기가 영감이나 재능에 의해서가 아니라 준비와 전략에 의해 수행됨을 일깨우고 한다. 그리하여 글쓰기의 작업 프로세스와 그에 대한 인지적 과정을 중점적으로 가르치고, 실습을 통하여 이를 익혀가고자 한다.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는 이 두 측면에 맞추어 기획되어야 한다. Writing education is one of core subjects among liberal arts courses. Writing ablity is required for students to accomplish their majors as well. For some practical reasons, most universities have intensified their writing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institutional supplement have been established. Writing education is comprised of purpose setting, lecture contents and grading. Writing classes and centers assist writing education effectively. The purpose needs to be examined thoroughly because it is not only the basic guideline of writing education but also the direction of lecturing method. This essay tries to plan education purpose of fundamental writing by analyzing writing education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s classified into fundamental course and specialized course. Fundamental course is a prerequisite for all students. Its contents and level are formed for students regardless of majors to accomplish it. The purpose should be set reflecting this circumstances. It differs from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emphasizes creative thinking and rhetoric. It contains literary writing as well. Fundamental writing is based on different level with traditional writing. It premises that writing is conducted by preparation and strategy, not inspiration and talent. It emphasizes the process of writing. It also requires cognitive process considering conversational community. Education purpose of fundamental writing should be set considering these two aspects.

      • KCI등재

        이상의 소설과 아이러니

        송기섭(Song, Ki-Seob)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이상의 소설은 고유한 내면성을 창조한다. 그 내면성은 아이러니에 의해서 표현되기도 하고, 그것에 의하여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상의 내면성은 아이러니한 정신 작용에 의해 부정적 지성으로 거듭 난다. 그렇게 아이러니는 이상의 소설을 지배하는 가장 두드러진 담화의 질서이자 서사의 규범이다. 소설의 주인공은 아이러니에 의해서 세계인식을 자기에게 적용한다. 아이러니는 자기 인식을 위한 반성적 성찰을 이끈다. 이상의 소설은 그러한 아이러니의 인식 구조를 반영한다. 우리는 그것을 이상의 소설만이 독특하게 지니는 탐구의 형식이라 부를 수 있다. 이상의 소설에서 아이러니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말의 아이러니이고 다른 하나는 서사적 아이러니narrative irony이다. 전자가 서사 담론에서 발생한다면, 후자는 서사 구조에서 생성된다. 말의 아이러니는 수사학적 연구를 통하여 많이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서사적 아이러니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상의 소설에서 보다 관심을 기울일 영역은 서사적 아이러니이다. 서사적 아이러니는 문제적 개인이 자신을 찾아가는 형식에서 발생한다. 주인공이 자기를 탐구하는 환멸과 각성의 과정을 그것은 담아낸다. 여기서 이상 소설의 내면성이 만들어진다. 「환시기」와 「동해」는 그러한 이야기 구조를 가장 잘 드러낸다. 「날개」와 「지주회시」 역시 이와 유사한 정신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서사적 아이러니는 이 작품들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Novels written by Lee Sang create unique internality. The internality is displayed by irony. Irony is the most noticeable factor in novels by Lee Sang. Heroes of his novels apply the view of the world to himself by irony. Irony brings about reflective thinking for self-recognition. Lee Sang express that ironic structure in his novels. We call it investigative structure. Irony is expressed in two ways in novels by Lee Sang. One is linguistic irony, and the other is narrative irony. The former is formed in narrative discourse. In contrast, the latter is formed in narrative structure. Linguistic irony has been studied in narrative research. In contrast, narrative irony is barely studied. However, the more important part of novels by Lee Sang is narrative irony. Narrative irony is formed in process of problematic individual’s self-exploration. It includes the individual’s disillusionment and arousal during the process. The internality of novels by Lee Sang is created in this process. “Hwansigi”(Record of Hallucination) and “Donghae” are typical examples of this structure. “Nalgae”(Wings) and “Jijuhwasi”(A Spider meets a pig) also share similar spiritual structure. Narrative irony is strongly related to themes of these novels.

      • KCI등재

        한시를 통해 본 의암 유인석의 반개화(反開化) 논리와 화이적(華夷的) 서양인식 연구

        송기섭 ( Gi Seop S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0 No.1

        일본은 에도시대 쇄국정책으로 서구열강의 개항요구에 반대하였으나 미국과 1854년 미·일화친조약, 1858년 미·일수호통상조약으로, 조선도 병인년과 신미년의 두 양요에 강력히 항거하여 물리치기는 하였으나 1875년 운양호 사건을 계기로 朝日守護條規에 의해 개항하게 되었다. 이렇게 개항하는 과정에서 조선과 일본이 斥外의 입장은 같았으나 개방 후 개화의 입장과 서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조선은 華夷적 차원에서 서양을 인식하여 유학자 중 대부분이 中華 중심의 문화를 崇好하고 華夷的 思考로 인하여 쇄국과 전수의 반개화적 논리로 대응하고 있었다. 이에 운양호 사건 이전에는 개항여부에 대하여 戰守派와 交流派, 운양호 사건 이후에는 개화에 있어 守舊派와 開化派의 갈등으로 甲論乙駁하였지만 戰守입장인 수구파의 세가 훨씬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양이에 대항으로 맞섰다. 그러나 일본은 조선과 달리, 메이지정권이 들어서면서 서양의 기술과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그 결과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하여 모아진 자본을 토대로 군사력을 크게 신장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당시 華夷論的 차원에서 서양을 인식하는 대표적인 학자가 화서 이항로며, 이 뜻을 이어받아 계승한 이가 의암 유인석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의암 유인석의 시를 통하여 당시의 교화 또는 개화파 논리에 대하여 우려하고 그의 서양관을 화이적 관점에서 알아 본 것으로 抄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암은 왜양식의 개화현상을 보면서 대단히 우려하고 있다. 「今曰維新守舊」 등 10수의 시에서 개화로 인해 우리 생활에 스며드는 서양문물에 대한 부당함을 반박하고 있다. 둘째, 그의 시에 서양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나 있다. 「洋曆二首」 등 9수의 시에서 서양의 책력, 종교, 과학 등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이 짙다. 또 이러한 내용들이 그가 지은 「宇宙問答」에 잘 정리가 되어 있어서 시와 더불어 의암의 서양인식을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었다. 이처럼 의암은 倭洋으로 개화되는 현상을 우려하고 서양에 대하여 화이적 입장에서 바라봄으로써 그와 뜻을 같이하는 수구적 유림들의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다. Japan objected to the opening to the Western powers influenced by the closed-door policy in Edo period, but entered into a treaty of peace and amity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1854 and a treaty of amity and commerce with the same country 1858. Likewise, Joseon strongly resisted against the two invasion cases of Korea by a Western power: French campaign against Korea and 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 but opened even to Japan under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influenced by the Un-Yang-Ho Accident happened in 1875. In this process of opening to Western countries, both Joseon and Japan showed the same position of opposing to the foreign countries, but after the opening, their position and awareness of opening and Western powers are clearly different. Joseon recognized the Western powers from the Hwayiron perspective: most of Confucian scholars formed a China-oriented culture and were negative on the opening to other countries. Accordingly, before the Un-Yang-Ho accident, there were two sects: military necessary sect and exchange sect and after the accident, there were extreme conservatives and reformatives. Among the two different forces, military necessity sect and extreme conservatives were much stronger. Unlike Joseon, Japan actively accepted western technologies and products in Meiji regime and resultingly could grow significantly in terms of economy. Based on the capital accumulated in this way, Japan could improve their military power. The representative scholar who had a Hwayiron perspective in recognizing the Western powers was Hwaseo Lee Hang-Ro, who was followed by Uiam Yu In-Seok.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iam Yu In-Seok’s concern with opening and recognition of the Western powers and his belief to overcome such a phenomenon based on his poetry in order to infer then-social atmosphere. Specifically,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Uiam was too concerned with the phenomenon of opening. He refuted unfairness penetrated into our society by Western products, as shown in 「Geum-Wal-Yu-Sin-Su-Gu」and other 10 poems. Second, his awareness of the West is well revealed. He had a thick negative view on almanac, religion, and science of the Western society as shown in 「Yang-Ryeok-I-Su」 and other 9 poems. And these same contents are well summed up in his 「Cosmic Question and Answer」, which was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his awareness of the Western countries with his poems. Like this, Uiam Yu In-Seok’s concern with the opening to the Western countries and Japan and awareness of Western societies are reflecting then-social atmosphere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