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에서의 서비스러닝 교과목 설계 방안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교과목을 중심으로

        손혜숙(Son, hye suk)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0 교양학연구 Vol.0 No.11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rvice learning subject operating system (preparation-service execution and reflection-encouragement and evaluation), designing service learning subjects (understanding of media literacy) as liberal arts using the ADDIE teaching system model and its potential Saw. First, in the “preparation phase”, the analysis phase analyzed the learn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phase, the education objectives were specified and educational contents were constructed to implement them. At this time, based on the media literacy composition system proposed by Livingston, "Access-Analysis and Evaluation-Creation" as a basic framework, the academic knowledge system was constructed by organizing contents into news literacy, video narrative literacy, web narrative literacy, personal broadcasting literacy, and advertising literacy. Did.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Keller"s ARCS motivation theory were selected as teaching methods to be utilized. The "service practice and reflection" stage consisted of class progress, learner education service, analysis of service instructional guidance, and service learning observation and reflection journaling. In the "encouragement and evaluation" stage, the reflection journal and "media literacy ability self-diagnosis" And "Satisfaction Survey"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a specific system for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a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activity and various mediation of reflection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uitability and possibility of the <Understanding Media Literature> course as a service learning course that can raise citizens" awareness by establishing an academic knowledge system and realizing practical experienc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손혜숙(Son, Hye-suk),진설아(Chin, Sol-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비대면 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의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데 참고하였다. 둘째, 비대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반응 관련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인식 조사 후 분석을 통해 비대면 교육에서 필요한 요구사항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추출해 내었다. 이러한 제반 작업을 기반으로 셋째, 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특징을 살린 비대면 녹화 강의와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진행할 수 있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을 제안하고, 실제 교육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접근성과 편리성이 확대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기회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의 한계였던 의사소통의 문제를 극복하고지식 공동체를 형성하며 지식을 체계화하고 정교화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오프라인면대면 학습 환경에서 다른 학습자들의 영향을 받거나, 학습 분위기에 따라 자유로운 의사개진이한정적이었던 측면을 온라인 공간의 특수성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post-corona era in University. First, we reviewed prior studies related to untact education and referenced them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universities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Second, try to developing a questionnaire related to learn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untact education, and based on this, conduct a survey. After analysis the survey, we extract the requirements and items to be considered in untact education, Third, based on these studies, we propose a ‘Blended Learning’ that combines ‘recorded lectures’ that utilize the strength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that enable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try to apply them to actual education. As a result, first, we reveal the possibilities to increas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expending of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online classes. Second, it is helped that the use of a real-time online platform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hich was the limitation of untact classes. And it is also the way to form a community that is systematize and elaborate of knowledge in the classes. Finally, we reveal the strength of the untact-online classes that learners can join the classes easily and being free by not being affected with other learners, or any other atmosphere of the offline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읽기ㆍ말하기ㆍ듣기ㆍ쓰기를 연계한 통합형 읽기 교육 방안 연구

        손혜숙(Son, Hye-suk)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8 No.-

        이 연구는 ‘사회-인지 교수 학습 원리를 적용하여 ‘읽기의 과정(축어적 읽기, 추론적 읽기, 평가적 읽기, 창의적 읽기)’에 따라 ‘읽기ㆍ말하기ㆍ듣기ㆍ쓰기의 연계’를 실현할 수 있는 ‘활동 모형(① 독서카드 작성→② 프레젠테이션 발표 및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담화→③토론→④토론 보고서 및 서평쓰기)’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실제 강의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 모형의 교육적 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해 내었다. 첫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활동들은 학습자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강의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축어적 읽기’에 배치한 ‘독서카드’는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해독하고, 자신의 배경지식, 환경 등의 영향관계 속에서 독자적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추론적 읽기+평가적 읽기’에 배치한 ‘프레젠테이션 발표’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담화활동’은 학습자 개인의 주관적인 의미구성의 단계에서 의미 확장의 단계로 나아가는데 유용했다. 또한 텍스트와 비슷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다른 장르들을(영화, 기사) 활동 내용으로 배치했는데, 이것은 학습자의 스키마를 활성화시켜 효과적인 독해 활동을 돕는데 유용했다. 넷째, ‘평가적 읽기+창의적 읽기’에 배치한 ‘토론’은 텍스트에 대한 풍부한 의미를 확보하고, 학습자들의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다섯째, 토론과 함께 ‘평가적 읽기+창의적 읽기’에 배치한 ‘서평 쓰기’는 풍부해진 배경지식을 동원해 확장된 사고를 정리하는데 유용했다. This research is ‘social-cognitive teaching and learning by applying principles of "the process of reading’ in th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linked’ to achieve the ‘activity model’ was constructed. This is applied to the actual teaching practice and analysis, the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posed teaching model was derived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activiti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interested in teaching learners to actively helped Lim. Second, ‘verbatim reading’ placed on ‘Reading Card’ to decrypt the text and the learners, the meaning of the text originally helped to configure. Third, the ‘inferential reading’+‘evaluative reading’ placed on ‘presentation’ and ‘discours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activities extend the meaning of the configuration steps in the step of moving on to mean useful. Also, the text associated with the film, the article schema to enable the learner to aid the effective reading activities were useful. Fourth, ‘evaluative reading’ + ‘creative reading’ placed on the ‘discussion’ is meant to ensure a rich text and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has been helped. Finally, ‘creative reading’+ ‘evaluative reading’ placed on the ‘Book Review’ Write to mobilize a richer background knowledge is useful to clean up the accident was extended.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첨삭지도 사례와 교육적 효과

        손혜숙 ( Hye Suk Son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1 No.-

        이 연구는 첨삭 유형별 지도 사례 분석과 첨삭 지도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 통해 각각의 교육적 효과 및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첨삭 사례 분석과 학습자들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각 유형별 첨삭지도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첨삭 전체적으로 봤을 때, 첨삭 기준 항목들이 제시되어 있는 점검지를 배포해함으로써 학습자들이 글을 쓰거나 퇴고할 때의 지침들을 인지하고, 익혀나가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학습자들이 주체가 되어 진행된 1:1 상호 교차 첨삭과 조별 첨삭은 다른 사람의글을 읽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레 자신들의 글을 반추하고, 스스로 자기 글의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글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조별 첨삭의 경우 첨삭 과정에서 학습자들끼리의 상호 협력적 소통을 통해 첨삭의 항목 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었다. 첨삭의 대상 범위가 확장되었다는 것은 학습자들 스스로 글쓰기에 있어 유의해야 할 사항들의 범위를 폭넓게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넷째, 교수자 첨삭의 경우 내용적인 측면에서 잘못된 논리를 지적한 후 그에 대한 이유를 지적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결과 학습자들에게 스스로 자신의 글의 문제를 되짚어 보는 계기와 자기 논리에 대한 확신을 부여해 주는데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각 유형별 첨삭과 그에 따른 고쳐 쓰기 과정은 기존의 결과 중심의 글쓰기에서 벗어나 과정 중심의 글쓰기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데 효과적 이었다.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ach,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earners`` satisfaction through feedback and Case Analysis feedback type map map for this study was aimed to. Each type of feedback through the feedback case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the effect is as follows. Elaboration when learners write or guidelines to check whether the deployment is presented in feedback items per cognitive feedback as a whole, when I saw cooked out, and was found to be effective. Second, the subject has been conducted by the learner 1:01 cross themselves through their natural process of reading other people``s posts and rumination, in the sense that you can find the problem of self-Post Feedback. Feedback Group and the writing skills and showed the presenc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Third Group of feedback correction in the process of feedback of a range of items to communicate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learners to expand was doing. Finally, the results pointed out that the reason for him to proceed in that manner pointed out the wrong logic in terms of content and instructor feedback has contributed grant juneunde confident learners themselves occasion to revisit the issue for his writings and for logic.

      • KCI등재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

        손혜숙(Son Hye suk)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이 글은 김초엽의 첫 장편 소설 『지구 끝의 온실』을 소개하면서 소설을 통해 김초엽이 구현하는 미래사회와 인간의 존재 방식, 그리고 인간과 타자와의 공생공존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초엽은 ‘구획되고 통제된 자연. 멀리 갈 수 없는 식물들이 머나먼 지구 반대편의 풍경을 재현하는 공간을 매개로 도저히 사랑할 수 없는 세계를 마주하면서도 마침내 그것을 재건하기로 결심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지구 끝의 온실』은 식물에 대한 인간의 편협함과 오만함, 생태계 안에서의 인간중심적인 사고를 지적하면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구현한다. 더하여 미래사회 인간과 기계, 사이보그와의 공존 문제, 재난과 연루된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을 문제 삼으면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작은 가능성’과 실천을 이야기한다. 결국 인간과 모든 대상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는 사실을 환기하고, 그 관계를 통해 작은 가능성을 꿈꾸고 실천하는 세계. 그것이 바로 소설 『지구 끝의 온실』이 닿아 있는 세계이다. This article introduces Cho-yeop Kim’s first novel,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and examines the future society and way of human existence that Cho-yeop Kim embodies through the novel, and the symbiotic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others. Cho-Yeop Kim, ‘A compartmentalized and controlled nature. It’s about people who face a world they can’t love at all through a space where plants that can’t go far away reproduce a landscape on the other side of the globe, but finally decide to rebuild it’.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embodies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while pointing out human intolerance and arrogance toward plants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in ecosystems. In addition, the issue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machines, and cyborgs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 selfish desires of humans involved in disasters, are addressed as an alternative to ‘small possibilities’ and practices. After all, a world where humans and all objects are organically connected, evoking the fact that they live in a ‘relationship’, and dreaming and practicing small possibilities through that relationship. That is the world to which the novel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reach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송영 소설 연구 - 실존과 소통의 서사 미학 -

        손혜숙(Son, Hye-Suk)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이 연구는 인간의 실존 문제를 탐색하고, 세계와 소통하고자 했던 송영의 문학세계를 조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꾸준한 창작 활동에 비해 관심과 평가가 저조한 송영 문학에 관한 연구를 촉발하고 일부 초기 작품에만 치우쳐 있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살펴본 바에 의하면 송영의 소설들은 크게 세 줄기로 뻗어 있다. 첫째, 그의 초기 소설들은 주로 좁은 공간에 갇힌 채 외부와 단절되어 있던 주체의 욕망과 (비)가시적인 폭력성을 현시하며 인간의 실존적 불안을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초기 이후의 소설에서는 등장인물들이 갇힌 공간을 나와 어울림을 시도한다. ‘하숙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어울림은 실패하기도, 성공하기도 하는데, 이때 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통의 결과에 따라 같은 ‘하숙집’이라는 공간이 토포포비아적 장소가 되기도 하고, 토포필리아적 장소가 되기도 하며 이것은 인간의 실존 방식에도 영향을 끼친다. 즉 송영은 작품을 통해 인간의 실존 문제에 천착하면서 그 안에서 진정한 관계 맺기가 무엇인지를 구현해 내고 있다. 셋째, 후기 소설에서 인물들은 토포필리아적 장소를 산책하며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내면화된 자신의 모습을 자각하는 양상을 띤다. 송영은 이러한 정체성 찾기의 여정을 통해 ‘깊은 상처를 어루만지고 인간의 위엄과 고결한 정신’을 어떻게 지켜내야 하는지를 누군가에게 깨닫게 하는 일이 자신의 문학임을 공고히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and to view the literary world of Song Young, who sought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is, she attempted to provoke a study on Song Young"s literature, which had less interest and evaluation compared to her constant creative activitie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were oriented only in some of her early work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Song Young"s novels are broadly divided into three lines. First, his early novels embody human existential anxiety by expressing the desire and (non)visible violence of the subject, which was mainly confined in a narrow space and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Second, in novels after the early days, the characters try to get out of the confined space and get along. Oullim, which is centered around a space called a “boarding house,” fails or succeeds, and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result of communication, the same space called “boarding house” becomes a Topophobia place or a Topophilia place, which also affects the way humans exist. In other words, through her work, Song Young is contemplating the problem of human existence and embodying what it means to have a true relationship in it. Third, in the later novels, the characters take a walk in a Topophilia-like place, reflecting on their inner self, and becoming aware of their internalized self. Song Young solidifies that his literature is to make someone realize how to “touch deep wounds and preserve human dignity and noble spirit” through this journey of finding identity.

      • KCI등재

        대학 글쓰기와 인성 교육의 연계 가능성- 공감을 통한 자기 서사 쓰기를 중심으로 -

        손혜숙(Son, Hye-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이 연구는 인성 함양의 통로로 ‘공감’에 주목하여 자기 서사 글쓰기의 예비 단계 (도입-상상하기-공감하기-위로하기)를 설계하여 이를 2017년 1학기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적용한 사례 분석을 통해 글쓰기 수업 안에서의 인성교육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 리듬과 내러티브가 공존하는 노래와 시를 활용하여 타자에게 공감하고, 공감을 바탕으로 타자와 자신을 위로하는 단계를 거쳐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탐색하는 글쓰기의 내용을 마련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자기 서사’ 글쓰기의 예비 단계로 활용한 공감적 글쓰기는 타자의 상황, 감정, 생각 등을 인지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타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타자에 대한 이해의 과정이 공감 주체의 삶을 반추해 볼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거나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 기여했으며, 희망적인 현재와 미래를 다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이러한 전반적인 과정은 ‘자기 서사’ 글쓰기의 글감과 내용이 되어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감정을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타자와 소통할 수 있는 도구인 글쓰기와 자기 자신을 정확히 인지하고 타자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인 공감 능력과의 연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empathy” as a pathway of human growth and designed the preliminary stages (introduction - imagination - empathy - comforting) of self - narrative writing and applied it to real class in 2017.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ed case analysis, I tried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in writing class. Specifically, the learner can easily access the rhythm and narrative by using songs and poetry to empathize with the other, based on empathy with the other and self-consciousness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arch for the contents of writing saw. As a result, firstly, empathy writing, which is used as a preliminary stage of ‘self narrative’ writing, helped others understand the situation, feelings and thoughts of others. Secon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hitter was the catalyst that can look back on a life of empathy subjects. Third, he contributed to healing his own wounds and overcoming trauma, and he promised hopeful present and future. Fourth, this overall process has helped to shape the experiences, thoughts, and emotions of the self-narrator as the writing and contents of writing. In the end, through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see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oneself and linking with writing, which is a tool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empathy ability, which is the ability to recognize oneself correctly and to understand others.

      • KCI등재후보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기획서 쓰기와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손혜숙(Son Hye-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에서의 PBL을 활용한 기획서 쓰기와 말하기 교육 방안을 강구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고, 수업 사례 분석과 학습자들의 평가 및 설문을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를 모색해 본 연구이다. 구체적인 수업 모형은 ‘①동기 유발: 팀 효능감 테스트→②문제 제시: 문제 출제→③문제 확인: 문제 이해와 분석, 실천계획 수립, 해결안 모색→④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수집: 자료 통합과 구성, 해결안 모색→⑤문제 해결안 재확인 및 해결안 도출: 최종 해결안 도출, 발표 시나리오 작성 및 첨삭과 검토→⑥문제해결과 발표: 프레젠테이션 발표→⑦학습 결과 정리 및 평가: 발표 평가 및 자가 분석’ 으로 구성하였다. 이 수업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본 결과 첫째, 이 수업의 근본적인 목적인 의사소통 능력과 둘째, 팀 활동을 통해 서로 다른 의견들을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하면서 협력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셋째, 스스로 구성한 기획 내용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발표하고, 다른 팀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기법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원·정보·기술의 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넷째, 문제로부터 시작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기획·구성하고, 조리 있게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the study sought to evaluate educ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a survey of colleges and utilizing the PBL proposal in writing a letter to find a training plan to try to apply actual classes, case studies and lessons learners. Specific teaching model is ①incentives: Team Efficacy Test→②problem presented:problem questions→③problem identification:Problem understanding and analysis, action planning, and seeking solutions → ④ data collection for solving the problem: data integration and configuration, solutions → ⑤ problem deriving solutions and reaffirms solutions: End-derived solutions, announced the scenario creation and feedback and review → ⑥ problem solving and presentation: presentation → ⑦ Organize and evaluate learning result: Evaluation and presentation was composed of self-analysis. Results tried to apply this model to the real class first class, was an ability to communicat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class. Second, through a coordinated team effort of different opinions, and it was an ability to cooperate and resolve conflicts. Third, it could improve the literacy of resources,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to leverage a variety of technologies, and the experience of other techniques utilizing technology team to deliver convincing yourself you configure planning information. Fourth, starting from the problem and create new ideas, planning, configuration, and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the process of delivering coh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