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명(明),청(淸) 문학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식 : 조선 후기 문인들의 고염무(顧炎武)에 대한 인식과 수용 -연경재(硏經齋) 성해응(成海應)을 중심으로-

        손혜리 ( Hye Ri S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3 No.-

        본고는 엄정한 고증을 통하여 학술적 관심사를 연구하는 고증적 학문이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만큼, 淸朝고증학의 개황이자 중심인물로 평가되는 顧炎武(1613~1682)를 주목하고, 조선 후기 문인들의 고염무에 대한 인식과 수용 양상을 논의하였다. 고염무는 명말청초를 살다간 문인이자 학자로서 명이 망한 후 抗淸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였으나, 실패한 뒤로는 전국을 유랑하며 청조의 부름을 거절한 절의의표상이다. 그는 고통의 시간동안 『日知錄』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을 남겼는데, 방대한 전거의 인용과 치밀한 고증을 활용한 학문방법을 구사하여 청대 고증학의 개황으로 일컬어졌다. 고염무는 明道와 救世에 바탕을 둔 經世致用의 學에 목표를 두었으며, 그의 고증학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결과 고염무의 학문과 저술은 청대의 학문방향에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문인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조선 후기 문인들은 고염무의 명나라에 대한 견결한 절의와 박학고증적 학문태도 및 경세적 태도를 높이 평가하고 적극 수용하였다. 고염무의 학문 성향과 연구방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인물 중의 한 사람이 바로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이다. 그는 博文約禮의 학문성향을 지녔으며 문헌고증을 통한 실증적 학문방법을 구현하였고, 박학고증을 통한 經世學으로의 추동을 지향하였다. 이는 고염무의 학문 성향 및 연구 방법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이를 통해, 성해응 학문에 있어 고염무 수용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여 조선 후기 학술계와 고염무 그리고 고증학에 대한 전면적인 연구를 수행하는데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Gu Yanwu(顧炎武) who is considered as the founder and central figure of Qing(淸)`s bibliographical study and discussed o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him by th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Gu Yanwu had lived the late Ming(明) and early Qing period. After Ming fell, he joined aggressively in anti-Qing struggle but failed. This intellectual adhered to old Ming firmly refusing to answer the call of Qing Dynasty, just wandering around the country. He had written various books including 『Ri·zhi·lu(日知錄)』 during the years of hardship. In those books, he cited enormous old references and used historical researches as study method. It made him being called as the founder of Qing`s bibliographical study. The aim of his study was ``administrating the world and pursuing practicalness`(namely, to seek after truth and rescue the people). His bibliographical study has been considered to be scientific, subjective, strict and elaborate. Therefore, his study and books had influenced not only on the direction of Qing`s studies but greatly on th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The scholars of the late Joseon admired Gu`s stern fidelity to old Ming and accepted widely his encyclopedic bibliographical attitude of study and administrative tendency. Yeon·gyeong·jae(硏經齋) Seong Hae-eung(成海應) is one of scholars who took the academic inclination and research method of Gu deeply in their study. Seong pursued erudition and returning-to-proprieties(禮) in his study, tried to realize practical study through bibliographical research in methodology and wished to drive the practical administrative study by means of encyclopedic bibliographical research. Seong`s attitude are same on the whole with Gu`s. From such similarity, this article tried to find the detailed aspects of acceptanc of Gu in the study of Seong. The findings might be of some help for the overall researches on the academic society, Gu Yanwu and bibliographical study in late Joseon.

      • KCI등재

        성해응(成海應)의 송서(送序)를 통해 본 경세의식

        손혜리 ( Son Hye-ri )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6

        본고는 硏經齋成海應(1760∼1839)이 저술한 22편의 送序를 대상으로 전체작품의 개요를 파악한 뒤 내용을 분석하고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송서란 길 떠나는 이를 전송하며 위로와 격려를 해주는 글이다. 성해응의 송서 작품을 주목하는 이유는 조선 후기 사상 가장 많은 편수의 송서를 저술하였거니와 여기에는 사명을 받고 연행을 가거나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이를 전송하는, 즉 공적인 영역의 송서가 14편이나 실려 있기 때문이다. 성해응은 송서를 써 준 대상과 世交가 있는데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저술에 치력할 때 지은 작품이 대부분이다. 학문이 노성한 상태에서 본인의 의식이 잘 집적되어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성해응은 청도군수로 부임하는 金箕書에게 改量의 중요성과 민생의 안정을 강조하였으며, 연행하는 조카 成佑曾과 趙萬永에게는 중국에 변고가 있을 경우 조선이 영향을 받아 위험해질 것을 경계하고 覘國을 통해 대비할 것을 당부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이천과 춘천 등 한때 고대 국가의 수도였던 동국의 경계에 대해 남다른 관심과 식견을 지니기도 하였다. 아울러 그의 송서 작품에는 조선후기 사회의 근간을 뒤흔든 체제 모순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이면서도 강도 높게 제기되어 있다. 특히 서북지역뿐만 아니라 삼남의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이에게 탐관오리와 간악한 吏胥, 倖民등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병폐를 지적하고 올바른 인재를 등용할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송서에 표출된 성해응의 이러한 의식은 실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경세의식의 소산이라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ontent and deduce meaning with twenty-two songso(送序farewell document) which was written by Yon'gyongjae(硏經齋) Song Haeung(成海應, 1760∼1839). Songso is document that farewells and encourages departees. In this paper, the main reason I have noticed is that Song Haeung wrote songso in the majority, and fourteen songso are about the public realm. Furthermore, most of the works are related to a traditional friendship between families. He wrote them after resigning from office, so it is expressed in his awareness on the condition of ripeness level of study. Song Hae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ement(改量) and stabilization of public welfare to Kim Kiso(金箕書) who left for Cheongdo governor. And he made a request for spying for China(called 覘國) to Song Uchung(成佑曾) and Cho Manyong(趙萬永) who visited China as public duty. In this regard, he showed a special interest in frontier awareness of ancient countries’s capital such as Icheon and Chuncheon. In addition, songso contains criticism of contradiction in system significantly. Especially he pointed out to local government of northwestern province and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official structural problems, and attached importance to appoint competent people. Song Haeung’s consciousness that is expressed in his songso is based on thought of Silhak(實學), and can assess a result of economic consciousness.

      • KCI등재
      • KCI등재

        성해응 문학에 표출된 고독의 양상과 의미

        손혜리 ( Hye Ri Son ) 근역한문학회 201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7 No.-

        본고는 조선후기 정조·순조 연간에 활동한 검서관 출신의 서족 문사인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의 문학에 표출된 고독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성해응은 검서관으로 재직하면서 正祖의知遇를 받았지만, 정조가 죽은 후 관직에 서 물러나게 된다. 이후 느낀 사회적 소외와 상실감, 오랜 田野생활에 흉년까지 겹쳐 지면서 심각한 수준의 궁핍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마음의 병이 되면서 불면의 고통을 겪게 되고 심지어 눈병까지 발병하였다. 심적 경제적 신체적 고통이 동반되면서 그의 고독은 한층 심화된다. 아울러 이때 사랑하는 가족과 오랜 세월 가까이 지내던 지인들의 죽음을 목도하였다. 반평생을 함께 한 아내를 잃고 어린 막내딸이 요절하면 서 그의 외로움과 쓸쓸함은 더해 갔다. 또 그는 예민하고 까다로운 성격의 소유자로 좁지만 깊이 있는 교유를 추구했던 만큼, 지인들의 죽음으로 큰 비애와 고독을 느꼈다. 인생의 전성기를 공유했던 이들의 죽음을 통해 기억의 지층 아래 봉인해 두었던 그 시절을 추억하며 회한과 비통에 찬 글을 碑誌哀祭類의 문체로 다수 서술하였다. 가난, 불면, 눈병, 노쇠 등을 소재로 한 시에서도 고독은 많이 표출된다. 이 역시 관직에서 물러난 뒤 전야에 거주하던 시기에 집중된다. 그런데 성해응은 극한 고통의 상황에서 외로움과 쓸쓸함, 비애와 고독에 빠져 있지만은 않았다. 그는 다수의 시문을 저술하였으며, 胡蝶之夢등의 고사를 인용하여 인생무상을 강조하고 현실에의 초 탈을 지향하였다. 또 우주무한의 논리로 현실을 초극화함으로써 고독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현실의 고통이 상쇄되거나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고독을 극복하고자 한 적극적인 대처방식이자 강한 의지의 표명이라는 점에서 의 미가 있다. 시문 저술은 방대한 분량의 문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성해응이 고 독에 대처하고 이를 극복하는 가장 중요한 동력이었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aspect and the meaning of loneliness in Song Hae-ung s Literary Works. He was solid with the King Chongjo when he worked for Kyujanggak(National Archives of Choson dynasty). But he left office just after the death of King Chongjo. And he suffered from both severe poverty, insomnia, and eye disease. His deep loneliness is the result from the economic distress and the physical pain. Besides, many of his acquaintances died at this moment. Though he was fastidious and sensitive, he sought for the true social intercourse. Therefore the death of close friends made him mournful and painful. And those feelings led him to write literary works which contains lonely emotions. Meanwhile his loneliness also show up in his poetry. He used poverty, insomnia, disease, and decrepitude as materials for writing poem. And this tendency was found in his retirement period. He also impressed the frailty of human life, and aimed at transcendence with writing poetry. These were a way of overcoming hardships of real life. While he could not remove pains of his life with this attempt, we could put much meaning to his literary efforts. Because the creation of literature was the most important motive in his life to oppose loneliness.

      • KCI등재
      • KCI등재

        성대중(成大中)의 실용(實用)에 대한 인식(認識)과 경세학(經世學)

        손혜리 ( Son Hye-r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5 No.-

        18세기 영·정조 대에 교서관 교리와 북청부사 등을 역임한 成大中(1732~1809)은 조선 후기 史上 서족 출신으로 가장 높은 품계에 오른 인물이다. 그 배경에는 순정한 학식과 필법을 구사하여 정조의 知遇를 입은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순정한 문체만큼 주목해야 할 것이 그가 ‘學의 用’과 ‘文의 敎’를 강조한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성대중의 實用에 대한 認識을 바탕으로 實心實政을 행하여 時弊를 구제하는 데 주력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성대중은 연행하는 이를 전송하면서 비록 오랑캐의 나라이긴 하지만 삼대 예악의 옛터인 만큼 書籍과 測候, 兵刑田郭 제도와 같은 선진 문물을 수용하여 저들의 장점을 취하고 우리의 단점을 공격하여 自强의 방책으로 삼을 것을 당부하였다. 또 울진·흥해·북청 등의 지방관으로 재임하면서 戶錢法을 시행하여 군역의 폐단을 제거하는 등 지속적이면서 적극적으로 實政에 임하였다. 요컨대 성대중의 ‘實用’의 궁극적 목표는 세상의 교화 즉 ‘經世學’인 것이다. 이를 통해 六經을 근본으로 하여 古를 지향하는 등 복고적 문학론을 견지한 것과는 다른 층위에서 實心實政을 통한 實用과 經世學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실행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Seong Dae-Jung(1732~1809), who successively served as Gyoseogwan Gyori and Bukcheong Bus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in the 18th century, was the person who reached the highest rank as a descendant of a concubine throughout the late Choson period. In the background, receiving warm friendship of King Jeong-jo by and having unequivocal knowledge and a style of penman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However, what should receive attention as his unequivocal style of writing is that he emphasized 'the utility of learning' and 'ruling over the world well through sentences.'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concretely found out the fact that he devoted himself to getting rid of the evils of the times through a sincere mind and practical politics based on his awareness of practicality Sending a person who was going to China, Seong Dae-Jung advised him to take their strengths by accepting advanced cultures, such as books, meteorological observation and Military, criminal law, land, castle system and to attack our weaknesses to take them as measures for strengthening ourselves since it was the old site of the rites and music during three periods though it was a country of barbarians, In addition, successively serving at local posts in Uljin, Heunghae and Bukcheong, he continuously and actively took part in practical politics, enforcing civil laws(Hojeon) to eliminate the evils of military service. In sum, the ultimate goal of Seong Dae-Jung's 'utility' is the enlightenment of the world, that is, 'Confucian Statecraft Learning(Gyeongsehak).' Through this, he can be evaluated as a figure that had and practiced a strong will for utility through Silsim-Siljeong(實心實政) and Confucian Statecraft Learning at a level different from sticking to the retrospective view of literature based on the Six Confucian Classics through Silsim-Siljeong.

      • KCI등재

        成海應의 「草榭談獻」 硏究

        손혜리(Son, Hye-ri)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본고는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의 「草榭談獻」을 서지적으로 검토하고 내용상 특징과 의미에 대해 규명한 글이다. 첫째, 草野의 奇傑之士들이 인멸되는 과정과 이유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둘째, 노비·기녀·광대·백정 등 다채로운 여성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성해응은 이들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였으며, 나아가 창기제도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였다. 셋째, 입전 인물의 확장을 통해 일국적 시야를 넘어선 세계 인식을 탐색할 수 있다.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네덜란드인으로 뛰어난 사적을 남긴 이들을 기록하고, 특히 역법과 의 술 등 서양의 선진 기술을 수용하여 經世濟民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초사담헌은 성해응의 하층민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 및 개명적, 실학적 사유와 인식이 표출된 저술로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ased on the text Ch'osadamhŏn(「草榭談獻」) First, this paper studies on process and cause for disappearance of weird and preeminent scholars who live in a remote village through diverse example. Second, Ch'osadamhŏn has so many documents of female character which are excel at literary figuration included in private house woman, female servant, clown and daughter of butcher. Sŏng Haeŭng criticizes system of gisaeng(courtesans) and insists on abolishment. Third, this paper reveals a global perspective over a perspective of the nation through extension of figure. Ch'osadamhŏn records of outstanding people who live in Chosŏn, China, Japan and Namman(南蠻). He also emphasizes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accepting advanced technology. So, Ch'osadamhŏn is an important text which has affective view on the lower class, and expresses thought of enlightenment and practical science (實學) by Sŏng Haeŭng.

      • KCI등재

        일반논문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들의 明 遺民에 대한 기록과 편찬의식 -李德懋의 『磊磊落落書』와 成海應의 『皇明遺民傳』을 중심으로-

        손혜리 ( Hye Ri Son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李德懋(1741-1793)와 成海應(1760-1839)은 당시 시대적 분위기와 개인의 사상적 배경이 부합되면서 방대한 분량의 『磊磊落落書』와 『皇明遺民傳』을 저술하였다. 이덕무는 연행시 오랑캐가 되어버린 중국을 보고 충격 받아 명말 유민에 관한 자료를 대거 취재하여 『뇌뢰낙락서』를 편찬하였으며, 성해응은 『뇌뢰낙락서』를 바탕으로 범례를 정하고 번잡한 내용을 산삭하여 『황명유민전』을 저술하였다. 『뇌뢰낙락서』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번잡함은 오히려 중요한 특장이 된다. 교정과 편집 과정을 거치지 않아 번잡하고 거칠긴 하지만 이덕무의 폭넓은 독서체험과 범위, 지적 탐구와 관심의 향방을 생동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황명유민전』은 완성도가 높은 데다 『뇌뢰낙락서』와의 비교 고찰을 통해 명 유민에 대한 기록이 편찬되는 과정의 추이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이처럼 『뇌뢰낙락서』와 『황명유민전』은 18~19세기 지식인들의 사상적 배경과 기록 태도, 편찬 의식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큰 저술이다. Lee Deok-mu(李德懋, 1741-1793)`s writing of NoeLoeNakRakSeo(『磊磊落落書』) and Seong Hae-eung(成海應, 1760-1839)`s writing of Hwang MyeongYuMinJeon (『皇明遺民傳』) coincides with an atmosphere of times and personal ideological background. Lee Deok-mu visited China in 1778 and was shocked to see China turned into a barbarian state. So he gathered related vagrant people in the Ming dynasty to document and compiled NoeLoeNakRakSeo. Seong Hae-eung`s compilation of HwangMyeongYuMinJeon fixes a legend and focuses on the undecided constitution of NoeLoeNakRakSeo. These books have massive amounts of material and it is an event unprecedented in history, not only for Joseon but also for China as well. Lee Deok-mu and Seong Hae-eung have attitude of learning of erudition and historical research. In reality, NoeLoeNakRakSeo and HwangMyeong YuMinJeon revealed their attitudes of learning. But one problem is that NoeLoeNakRakSeo does not fix one of it`s legend and it is a noticeable feature in his book. Even though it`s complicated and rough because of the lack of editing, we can identify not only his experience in nature and his extent of reading, but also his intellectual pursuit and interest. Also HwangMyeongYuMinJeon fixes and edits legend of NoeLoeNakRakSeo, so it is high quality book which refers to the latest books. It is interesting that we peep process of compilation of vagrant people in the Ming dynasty comparing with NoeLoeNakRakSeo. Therefore NoeLoeNakRakSeo and HwangMyeongYuMinJeon are valuable textbooks which reveal ideological backgrounds, attitudes of records, and consciousness of compiling in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낙하생(洛下生) 이학규(李學逵)의 『영남악부(嶺南樂府)』 재론(再論)

        손혜리 ( Hye Ri S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4

        본고는 洛下生 李學逵(1770~1835)의 『嶺南樂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금까지 논의된 바 없지만 주제 의식과 형상화 측면에서 뛰어난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영남악부』 68편 중 한 번도 검토되지 않은 작품은 23편으로 이 중 「眞正言」·「龍齒湯」·「勿稽子」 등은 주제 의식과 형상화가 뛰어 나다. 또 「無信塔」·「鐵文魚」·「仇衡王」·「장夫人」·「孝不孝」·「兩釜屍」 등 6편은 이학규가 처음 발굴한 소재로 주제 의식을 주목할 만하다. 이학규는 순조 8(1808)년 유배지 김해에서 신라에서 고려 말에 이르기까지 영남 지역의 인물과 사적, 민풍과 토속 및 전설 등을 적극적으로 취재하여 『영남악부』를 저술하였다. 그는 ‘사실의 전달’을 악부 저술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배지라는 제한된 공간과 한정된 서적에서나마 역사서와 지리지 등 다양한 문헌을 인용하고 충실한 고증을 통해 사실적 기록을 지향하였다. 『영남악부』의 기록적 특징을 크게 주제와 제재, 서술 등으로 나누었다. 주제 의식으로는 ① 부패한 관리 비판, 현실주의적 의식 ② 불교에 대한 비판, 합리주의적 의식, 제재의 특징으로는 ① 영남 지역의 역사적 인물 포폄 ② 영남 지역의 문풍과 토속, 전설, 서술의 특징으로는 ① 충실한 문헌 고증을 통한 사실적 기록 ② 대화체를 활용한 주제 강조를 제시 하였다. 『영남악부』는 영남 지역에만 국한된 ‘지역의 악부’가 아니다. 신라부터 고려 때까지를 악부의 대상으로 정했던 만큼, 당시 경주는 국가의 수도였고 고려 때까지 遺風이 남아 있었다. 따라서 『영남악부』는 유배지 김해를 중심으로 한 영남 지역의 인물과 사적, 민풍 토속뿐만이 아닌 一國의 악부라고 해도 충분하다. This paper aimed to take an overall review on 『Yeongnamakbu』 of Nakhasaeng. Hakkyu Lee based on existing research performance and limitation. We can grasp the general picture of 『Yeongnamakbu』 by existing research, but among 68 pieces of work there are still 23 pieces which have never been reviewed and the work like 「Jinjungeun (眞正言)」·「Yongchitang(龍齒湯)」·「Mulgyeja(勿稽子)」·「Jangmiyeo(薔薇女)」 are outstanding regarding to the topic and imagery. The topic of other 6 pieces of work, like 「Muhsintop(無信塔)」·「Chulmuneo(鐵文魚」·「Guhyeongwang(仇衡王)」·「Jangbuin(장夫人)」·「Hyobulhyo(孝不孝)」·「Yangbusi(兩釜屍)」 are also quite remarkable which were first discovered by Hakkyu Lee. This paper tries to discuss 『Yeongnamakbu』 again by reviewing these works thoroughly. Since the year of Sunjo 8(1808), Hakkyu Lee started collecting figure, historical site, local custom from Silla to Late Koryo Dynasty in Gimhae where he was exile, and then wrote 『Yeongnamakbu』. He thought ‘fact delivering’ was most important in akbu`s writing, that`s why he aimed at realistic description by quoting from various historical or geographic text as well as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even in the limited exiling space and using limited books. Next we will examine the feature of 『Yeongnamakbu』 by looking at subject, topic and narration. As a result, we captured several features as follows. ① criticism on corrupt government officials, recognition of realism; ② criticism on Buddhism, recognition of rationalism; ③ criticism on historical figure in Yeongnam area; ④ literary spirit and legend in Yeongnam area; ⑤ realistic description by historical research of text; ⑥ topic emphasis through dialogic style. 『Yeongnamakbu』 is not a ‘local akbu’ only limited in Yeongnam area. As akbu covered from Silla to Late Koryo Dynasty, capital Gyeongju preserved the tradition untill Koryo. So 『Yeongnamakbu』 more than an akbu covered the figure, historical site and local custom with Gyeongju as center, it can be also regarded as akbu in on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