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학을 통해 되돌아보는 차별과 배제의 역사

        손혜리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6

        This paper studies on the history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looking back through Korean Chinese literature to investigate a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looking at the period of unification.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the Northern region remained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After Taejo Yi Seong-gye’s last word, people with talent that were from the Northern region could not succeed in the civil service exam. To understand the fact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is paper examines for the present condition of a successful examinee focused on Hamgyong province and Pyongan province in the Chosŏn Dynasty. Consequently, the number of a successful examinee had increased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but writers who were from the Northern region were low in position such as Chip'yŏng(持平), Changnyŏng(掌令), Manho(萬戶), Ch'ŏmsa(僉事). Sŏng Haeŭng(成海應) served as Kŏmsŏgwan(檢書官) dealt with on the same basis as the pen and the sword to solve serious and continuou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the Northern region. Also, he wanted to tighten guard against the frontier and abolish regionalism using the military officials of region of origin. A countermeasure like this such as Sokchoeŏn(「續罪言」) was expressed systematically with Songsŏ(送序) of public realm.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without prejudice entering a new era. 본고는 통일시대를 바라보는 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탐색을 위한 일환으로, 한문학을 통해 되돌아본 서북 지역에 대한 차별과 배제의 역사에 대해 논의하였다. 문헌에 나타난 서북 지역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통해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차별과 배제가 20세기 초까지 지속되고, 태조 이성계의 유언 이후 이 지역 출신 인재에 대한 금고가 공고해졌으며, 이들이 과거를 통해 발신할 수 없던 작금의 현실이 차별과 배제의 핵심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 차별과 배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함경도와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조선조 문무과 급제자 현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로 갈수록 과거 급제자 수는 늘어나는 반면 서북 지역 출신의 문인은 지평이나 장령, 무인은 만호나 첨사까지밖에 오르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정조 때 검서관을 역임한 成海應은 서북 지역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각한 수준의 차별과 배제를 해결하기 위해 武의 가치를 文과 동렬에 두고, 지역 출신의 무인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변방 경계를 강화하고 지역 차별을 철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대책안은 「續罪言」을 비롯하여 공적인 영역의 送序에서 체계적으로 표출되었다. 이는 민족의 대통합시대를 맞이하여 서북 지역 곧 북한 지역을 편견 없이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가 될 것이다.

      • KCI등재

        沈大允의 『南征錄』 硏究

        손혜리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This paper studies background in writing and characteristic and meaning in content based on the Sim Dae-yun(1806~1872)’s Namjŏngnok. Value and significance of Namjŏngnok is as follows. First, Namjŏngnok is the text which writes journey to panjang(返葬) for six long months. Sim Dae-yun wanted to overcome tragedy of the family through panjang, so he moved great-grandmother, grandfather and grandaunt’s remains to the family burial ground. They died of involvement of Ulhae-oksa(乙亥獄事) in a place of exile in 1755. Namjŏngnok reveals monologue of anguish as a minority. Through detailed record, he wishes to give a sense of pride and duty as noble family of soron(少論) expressing a firm will of reconstruction of the family. The second, Namjŏngnok has a variety of styles in a short story and excels at composition and figuration. The third, Namjŏngnok is Sim Dae-yun’s early work, so it is an import part of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aspects and whole story of literature and thought. Lastly, it is recorded journey and procedure of panjang in detail. so it will help to examine socio-cultural history in the 19th century. 본고는 19세기의 사상가이자 문인 학자인 沈大允(1806∼1872)의 『南征錄』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저술배경과 여정 및 내용상 특징과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남정록』의 가치와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정록』은 1755년 을해옥사에 연좌되어 유배지에서 죽은 심대윤의 증조모와 조부, 대고모 세 분의 유골을 선영으로 返葬하기 위해 6개월에 걸친 여정을 기록한 저술이다. 심대윤 가문의 처절한 비극이 오롯이 수록되어 소수자로서 고뇌의 독백이 잘 담겨 있다. 심대윤은 반장을 통해 가족사의 비극을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을 자세하게 기록하여 자손들에게 가문 재건에 대한 굳은 의지를 표출함으로써 소론 명문가의 후예로서 자부심과 사명감을 심어주고자 한 것이다. 둘째, 짧은 편폭 안에 祭文, 遊記, 詩 등 다양한 양식이 두루 수록되어 있고, 구성과 주제의식 및 형상화가 뛰어나 작품적 성취가 크다. 셋째, 심대윤의 초기작으로 문학과 사상의 전개 양상과 전모를 파악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반장의 여정과 절차가 자세하게 기록되어 19세기 사회․제도사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18세기 후반 서얼 지식인의 경세 의식,그 시선과 대안의 일단-洪厓 李箕元의 「上右議政尹公蓍東書」를 중심으로-

        손혜리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9

        This article provides a philosophical review of Hongae Lee Ki-won(1745 ∼1807?), a self-aware and distinctive autobiographical writer widely acknowledged as a Seo-ul intellectual. The focus is on his evaluation of contemporary diplomatic strategies and administrative policies. In a letter addressed to Yun Si-dong, who ascended to the position of Uuijeong despite facing repeated political setbacks, Lee Ki-won vividly articulates a keen diagnosis of the external relations strategy of contemporary Joseon. He also expresses an urgent conviction for its improvement, accompanied by a vivid assessment of the administrative policies that should be implemented in contemporary Joseon. This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a specific instance of the governance strategy advocated by Seo-ul intellectuals in the late 18th century. Furthermore, through such a realistic diagnosis, the deficienc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s relations with Japan and China are unveiled. Additionally, issues prevalent in Joseon society's lower strata, including problems related to military administration, the family register system, and tax system, are highlighted. A glimpse of more complex administrative policies is presented, observ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a Seo-ul intellectual performing the official duties of Chalbang. In conclusion, Lee Ki-won's job-seeking letter did not yield any practical effect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nded recipient, Yoon Si-dong, passed away two years after receiving the letter, and Lee Ki-won also failed to secure any further appointments as a government official. Nevertheless, the text exhibits a considerable level of literary aesthetics beyond the simple intention of job-seeking. Overall, by employing appropriate metaphors and effective episodes, it encapsulates abundant literary characteristics in the cultivated discourse of external relations and reactionary measures, which might otherwise become monotonous. Consequently, it is poised to be of considerable assistance in comprehending the social aspects of Joseon at the time and understanding the trends and inclinations of intellectuals during that period. 이 글은 자의식 가득한 개성적인 자기 고백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서얼 지식인 洪厓 李箕元(1745∼1807?)의 경세의식과 당대 시무책에 대한 검토 보고서이다. 그 자신 역시 정치적 부침을 거듭하며 만년에는 우의정에까지 오른 尹蓍東에게 보낸 구직 서간에서, 이기원은 당대 조선의 대외관계 전략과 당대 조선에서 시행해야 할 시무책에 대해 매우 생생한 현실진단과 함께 그 개선에 대한 긴절한 소신을 가감없이 드러냈다. 이는 18세기 후반 서얼 지식인이 견지했던 경세 전략의 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일정한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그러한 현실진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조 말년의 대일ㆍ대중 관계의 허실은 물론 이미 균역과 호적, 군정의 문제에서 적지 않은 문제를 노출하고 있는 조선 사회 저층의 문제를 비롯하여 찰방이라는 관직을 수행하고 있는 서얼 지식인의 식견으로 제시된 심층적인 시무책도 그 一斑을 엿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기원의 구직서신은 실질적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청탁의 대상자인 윤시동이 이 편지를 받은 2년 뒤에 생을 마쳤으며, 이기원 역시 더 이상의 관직으로서의 발신은 이루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단순한 구직청탁의 의미를 넘어 상당한 수준의 문예 미학을 보여주고 있는바 전반적으로 적절한 비유와 효과적인 에피소드를 활용하여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대외관계와 시무책이라는 경세 문자에 풍부한 문예성을 구비하였다. 그 결과 당대 조선의 사회상에 대한 구체적 측면에서의 이해는 물론 당시 지식인의 동향과 경세 인식의 일단을 파악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成海應의 『草榭談獻』 硏究

        손혜리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This paper examine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ased on the text Ch'osadamhŏn( 草榭談獻 ). First, this paper studies on process and cause for disappearance of weird and preeminent scholars who live in a remote village through diverse example. Second, Ch'osadamhŏn has so many documents of female character which are excel at literary figuration included in private house woman, female servant, clown and daughter of butcher. Sŏng Haeŭng criticizes system of gisaeng(courtesans) and insists on abolishment. Third, this paper reveals a global perspective over a perspective of the nation through extension of figure. Ch'osadamhŏn records of outstanding people who live in Chosŏn, China, Japan and Namman(南蠻). He also emphasizes administrating the state to relieve th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accepting advanced technology. So, Ch'osadamhŏn is an important text which has affective view on the lower class, and expresses thought of enlightenment and practical science (實學) by Sŏng Haeŭng. 본고는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의 草榭談獻 을 서지적으로 검토하고 내용상 특징과 의미에 대해 규명한 글이다. 첫째, 草野의 奇傑之士들이 인멸되는 과정과 이유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들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둘째, 노비·기녀·광대·백정 등 다채로운 여성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성해응은 이들을 한 인간으로 존중하였으며, 나아가창기제도를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였다. 셋째, 입전 인물의 확장을 통해일국적 시야를 넘어선 세계 인식을 탐색할 수 있다.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네덜란드인으로 뛰어난 사적을 남긴 이들을 기록하고, 특히 역법과 의술 등 서양의 선진 기술을 수용하여 經世濟民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초사담헌 은 성해응의 하층민에 대한 애정어린 시선 및 개명적, 실학적 사유와 인식이 표출된 저술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본 성해응의 복수론

        손혜리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5

        Yeon·gyeong·jae(硏經齋) Seong Hae-eung(成海應, 1760∼1839) set up 'revenge' as an important mechanism to write on the deeds of the lower class who performed well Confucian values and ideas into some descriptive modes such as life(傳), story(記事) and who's who(人物誌). By aggressively embodying the revenge acts done in order to practise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Seong highlighted their deeds and thematic sense more lively and effectively. Kim Eun-ae(金銀愛), Gang·sang·hyo·nyeo(江上孝女) and Gap(甲), all being young and frail woman, stabbed enemies to death in person to preserve their chastities, filial piety and loyalty or made enemy die of a plague using the corpse died of a fatal plague. Man·seok(萬石), though not killed the enemy in person, revenged his master through by legal procedure with remarkably independent and aggressive actions. Highly rating the revenges that frail women and humble servants conducted to fulfill Confucian virtue, Seong embodied them in his literary works. He accepted the revenge, like killing the enemy in person, if it were done to preserve chastities, filial piety or loyalty. In「Bok·su·ui(復讎議)」, his book that deals with revenge in earnest, he criticized Seok Chi-gyu who stabbed Choi Ok-ham to death to revenge his father though Choi Ok-ham was pardoned by king after the discussion with relevant authorities. Thus, Seong did oppose the private revenge without recourse to law. However, in case that there was no chance to revenge legitimately in accordance to law, like Kim Eun-ae, Gang·sang·hyo·nyeo and Gap, particularly weak women, Seong allowed private revenge by self-help to a limited extent.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은 유교적 가치 이념을 충실히 수행한 하층민들을 포착하여 그들의 사적을 전과 기사 및 인물지 등의 서사양식에 담아내는데 있어 ‘復讎’를 중요한 장치로 설정하였다. 충효열 등을 실천하기 위한 주체자의 복수 행위를 문학적으로 적극 형상함으로써, 그 사적과 주제의식을 보다 생동하고 효과적으로 부각시킨 것이다. 金銀愛와 江上孝女, 甲은 나이어린 연약한 여인들로써 정절과 효와 충의를 지키기 위해 직접 칼로 원수를 찔러 죽이거나 또는 무기는 아니지만 殺性을 지닌 역병으로 죽은 자의 四肢를 이용해 원수를 죽게 만들었다. 그리고 萬石은 직접 원수를 죽인 것은 아니지만 범상치 않은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법에 의거하여 주인의 원수를 갚았다. 즉 성해응은 나이어린 연약한 여인과 미천한 노복들이 충효열을 실천하기 위해 복수를 감행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여 문학작품으로 형상하였다. 충효열을 지키기 위해 원수를 직접 죽이는 등의 복수를 허용한 것이다. 그런데 성해응은 복수에 대한 의론을 본격적으로 펼친「復讎議」에서 有司가 논의하여 임금이 사면을 판결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 채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사면받은 최옥함을 찔러 죽인 석치규를 비판하였다. 법에 의거하지 않은 개인의 사적인 복수를 반대한 것이다. 억울한 일이 생겼을 경우 官에 고소하여 법에 의해 복수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김은애와 강상효녀, 갑의 경우처럼 법에 의해 원수를 처벌할 수 없을 때-특히 나이어린 연약한 여성들이-에는 개인의 사적인 복수를 한정적으로 허용하였다.

      • KCI등재

        조선 후기 한문 작가층의 확대와 서얼문학

        손혜리 우리한문학회 2022 漢文學報 Vol.47 No.-

        본고는 18세기 후반 규장각을 중심으로 활동한 成大中·成海應·朴宗善·李箕元을 중심으로 서얼이라는 신분적 처지가 끼친 사회 경제적 영향을 살펴보고 문학적 성향이 다기한 사실을 규명하였다. 성대중은 조선 후기 서얼 출신 중 가장 높은 품계를 제수받은 인물로 40여 년 동안 벼슬하면서 정치, 사회, 제도상 모순과 부조리를 적극적으로 기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여 경세가의 길을 걸었다. 성해응은 검서관으로 재임하면서 각종 국고 문헌을 교수, 편찬하고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과 교유하며 학적 역량을 제고하였다. 그 결과 방대한 저술을 남겼는데, 그의 관심은 세상에서 소외된 이들을 기록하는 데 집중되었으니, 이는 사의식의 소산이다. 이기원은 가난 때문에 과거를 포기한 뒤 40대가 되어서 출사하고 최종 관직은 종6품 찰방이었다. 서얼 출신의 한미한 문사가 걸어갈 수 있는 전형을 보여준 셈이다. 따라서 그의 시문은 고단한 삶에서 우러나오는 한탄과 애상이 주된 정조를 이룬다. 박종선은 영조의 부마인 朴明源의 서자이다. 신분적 제약 때문에 뜻을 펼 기회를 갖지 못했으나, 정치적 굴곡이 적고 유복한 가정환경 덕분에 별다른 고생을 하지 않았다. 그의 이러한 처지가 난삽한 전고와 특이한 시어, 새로운 어휘를 구사하는 데 치력하여 시문의 험벽함을 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컨대 이들 네 사람은 서얼 출신이긴 하되 각자 사회 경제적 처지가 다르고, 문학세계 또한 다기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조선 후기 한문 작가층과 서얼 문학의 장을 확대하고 나아가 일면에 치중된 서얼 문학의 구도를 재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focused on Sung Dae-jung, Seong Hae-eung, Park Jong-sun, and Lee Ki-won, who participated in Kyujanggak and were active during late 18th century, examining the socio-economic impact of their social status(Seo-ul 庶孼) and diversity of their literary tendencies. Sung Dae-jung, who was ordained the highest rank among the late Joseon seo-uls, participated in the Court for about 40 years and passionately recorded political, social, and institutional irregularities and sought solutions with attempts to be a great governor. While serving as Geomseogwan, Seong Hae-eung improved his capabilities by editing and revising national publications or interacting with the best intellectuals of the time. As a result he left a vast amount of writings. His focus was to leave records of the unnoticed among the world, which also comes from his identity as social leader. Lee Ki-won gave up his National Exam due to poverty and was not able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on until he was around 40s, and the final position was a sixth-class officer. In other words, his path represents what wealthless Seo-ul literati would end up with. Therefore, his poems are mainly composed of lamentation and sorrow from a weary life. Park Jong-sun is seoja(庶子) of Park Myeong-won, son-in-law of King Yeongjo. He did not have a chance to express his thoughts due to social restrictions, but thanks to less ups and downs of his wealthy household he did not suffer much. It is known that his such situation made his poetry tough and have ruggedness by using difficult transcripts, unusual phrases and original expressions. In short, these four people are seo-ul, but each has a different socio-economic situation and the literary world is also diverse. Through the examination in this paper, it will be helpful to broaden the field of Sino-Korean literature authors and seo-ul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furthermore reorganize the composition of rather one-sided Seo-ul literature.

      • KCI등재

        안정복의 명나라 유민에 대한 기록과 인식 - 『잡동산이』를 중심으로 -

        손혜리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3

        This paper examines the records and perceptions of the people of the Ming Dynasty, focusing on the 『Myeonggyeyumun(明季遺聞)』 and 『Kyechongyasŭng(啓禎野乘)』, which are included in the 17th book of 『Jabdongsani(雜同散異)』 written by An Chongpok(安鼎福, 1712~1791) An Chongpok recorded with interest in the characters and historical sites of Nammyeong, who kept their loyalty to the order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that way, Chaucer was used, and 『Myeonggyeyumuncho(明季遺聞抄)』 and 『Kyechongyasŭngcho(啓禎野乘抄)』 were written in 『Myeonggyeyumun』 and 『Kyechongyasŭng』 compiled by Chu Yi(鄒漪), a scholar from the late Ming to the early Qing Dynasty. In particular, as some of the contents of 『Myeonggyeyumuncho』 were selected and recorded, and the title was given separately, An Chongpok’s sense of writing was actively expressed. As a result of track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quoting, and further magnetizing knowledge information on 『Myeonggyeyumu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not only the material value of 『Japdongsani』 but also one aspect of its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It has implications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Japdongsani』, showing that 『Japdongsani』 is not just a small Chaucer aggrega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enhance the external perception of Ahn Chongpok’s name and Cheong. 본고는 조선 후기 실학자인 安鼎福(1712~1791)의 『雜同散異』 제17책에 수록된 「明季遺聞抄」와 「啓禎野乗抄」를 중심으로 명나라 유민에 대한 기록과 인식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안정복은 명과 청의 교체기에 명에 대한 의리를 지킨 南明의 인물과 사적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이를 기록하였다. 그 방법으로 ‘抄書’를 활용하였으니, 명말 청초의 학자인 鄒漪가 편찬한 『明季遺聞』과 『啓禎野乘』에서 「명계유문초」와 「계정야승초」를 초록해 둔 것이다. 특히 「명계유문초」의 경우 『명계유문』에서 일부 내용을 선별하여 초록하고 따로 제목을 붙인 만큼 안정복의 작가의식이 적극적으로 발현되어 있다. 『명계유문』에 대한 지식 정보를 수집하고 인용하면서 자기화하는 과정을 추적한 결과 『잡동산이』의 자료적 가치뿐만 아니라 성격 및 특징의 한 양상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이는 『잡동산이』가 잡박하기만 한 초서 집적물이 아님을 단적으로 보여주면서, 『잡동산이』의 성격과 특징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안정복의 명과 청에 대한 대외인식을 고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18세기 서사양식의 교섭양상에 대하여

        손혜리 한국한문학회 200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0

        본고에서는 18세기에 널리 알려진 江上孝女 사건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서사양식이 창작되었음을 주목하여, 제 서사양식간의 시기별양식별내용별 특징을 중심으로 각 서사의 연변과정을 고찰함으로써 그 교섭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강상효녀 사건은 숙종 35년 1709년에 발생하여 1711년 처음으로 작품화되면서 대부분 18세기에 집중적으로 기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강상효녀 사건은 어리고 연약한 여자의 몸으로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남장을 하고 수 년간 검술을 연마하여 결국 원수를 갚는다는 내용으로, 이야기 자체가 매우 흥미롭다. 이에 당대 문인들은 각각 자신의 관심에 따라 ‘열효’나 ‘복수’, ‘검희’ 등의 단어를 제목에 명시함으로써 그 주제의식을 드러내었다. 한편 문인들은 그들이 표출하고자 하는 바를 가장 적절하게 드러낼 수 있는 서사양식을 차용하여 작품을 서술하였는데, 인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전을 그리고 사건 그 자체를 중심에 두고 기사를 서술하였다. 또 자신이 耳聞目睹한 사실에 근거하여 시적 형상성을 고취시키기 위해 서사한시를 서술하였으며, 사건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많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자연스럽게 구연의 과정을 거치고 허구가 틈입되어 한문단편이 서술되기도 하였다. 즉 각 작가들은 자신이 말하려는 사건의 본질을 가장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서사양식을 채택하여 각각 전이나 기사서사한시한문단편 등으로 서술한 것이다.당대에 이미 널리 알려진 향랑박효랑 사적과 더불어 강상효녀 사건을 통해, 조선 후기 특히 18세기에 한문학의 제 서사양식간의 넘나듦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사실과 그 구체적인 실상을 다시금 확인하였다. 이는 하나의 소재가 전이나 기사 및 한문단편, 심지어 서사한시로 기록됨으로써, 각 서사양식간의 활발한 교섭을 통해 조선후기 서사의 역동적 면모를 확인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For Negotiation Aspect of Narration Form in 18 Century- Around a Work with “A Filial Daughter on a River”-

      • KCI등재

        반계가 바라본 명청 교체와 명 유민

        손혜리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본고는 磻溪 柳馨遠(1622~1673)의 『磻溪逸稿』에 수록된 명 유민에 관한 5수의 연작시를 검토한 결과 명청 교체와 명 유민에 대한 반계의 시선 즉 ‘喜悲’를 확인하였다. 현종 8년(1667) 복건성 출신의 林寅觀 등 95인이 제주도에 표류하였다가 청에 송환되는 일이 발생한다. 반계는 이들을 만나 명의 영력 황제가 살아있다는 소식을 듣고 명이 멸망한 현실과 조선이 청에게 무릎 꿇은 굴욕감을 되새긴다. 기쁨과 슬픔이란 이를 말하는 것이다. 결국 반계의 시선이 향하고 있는 곳은 ‘悲’로서, 이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腥膻何日掃’이다. 반계는 작금의 상황을 야만에 의한 문명의 전복으로 인식하고, 만청의 폭력적 중국지배는 문명적 위기라고 결론지었다. 그 결과 명이 멸망하고 國恥를 아직 씻지 못한 것을 한스럽게 여겨 항상 復讎 雪恥할 방책을 강구하였다. 그러면서도 국가개혁론을 독자적으로 마련하고 구체적 절목을 제시하였으니, 바로 이 점에서 한국 실학의 비조로 상정된 반계의 대명의리는 현실개혁론과 조화를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five serial poems on Ming’s drifting people(明 遺民) included in Bangyeilgo(『磻溪逸稿』) by Bangye(磻溪) Yu Hyeong-won(柳馨遠, 1622-1673) and found out Bangye’s “joy and sorrow” about the Ming-Ching Transition and Ming’s drifting people. In the 8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1667). 95 people including Lin Yin-guan from the Fujian Province had been adrift on Jeju Island and repatriated to the Qing Dynasty. Bangye met them, heard that Emperor Yongli of the Ming Dynasty survived, and ruminated on the reality of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nd the humiliation of Joseon’s kneeling down to the Qing Dynasty. “Joy and sorrow” refer to this. Bangye’s eyes turn towards “sorrow” in the end, which is, in short, ‘When would the barbarians smelling fish or mutton be rooted out?(腥膻何日掃)’ Bangye recognized the present situation as the overturn of civilization by barbarism and concluded the violent domination of China by the late Qing Dynasty as the crisis of civilization. Thus, he regretted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nd not wiping away the national humiliation yet and worked out a plan for Ultimate revenge on Qing(復讎 雪恥). In addition, he prepared the idea of state reform independently and presented the concrete subdivisions. In this sense, Bangye’s Loyalty to the Ming Dynasty(對明義理), presumed as the founder of Korean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as harmonized with the idea of the reform of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