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레이션 팀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해경(Hae Kyoung Son) 안전문화포럼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9

        최근 대학 교육에서 보건의료계열의 시뮬레이션 교육이 증가하면서 디브리핑의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임상추론, 비판적 사고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년 3월 2일부터 4월 20일까지 일개 대학의 시니어케어 융합 임상 교과목에 자발적으로 수강을 희망하는 보건의료계열 3학년 대학생 가운데 간호학과 3명, 치위생학과 1명으로 구성된 총 3개 그룹, 총 12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Tanner의 임상추론모델인 상황인지, 해석, 반응, 성찰단계를 중심으로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을 포함한 교육활동을 제공하고 임상추론 루브릭, 비판적 사고척도와 학습만족도 10점 평정척도(NRS)의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 설문은 각 5분 이내로 소요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Ver. 22.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계수 및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 추론은 사전 평균 30.50±1.88점과 비교해 사후 평균 34.33±3.2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Z=2.76, p=.006) 비판적 사고는 사전 평균 98.00±8.75점과 비교해 사후 평균 106.08±11.03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Z=2.94, p=.003). 사후 학습만족도는 10점 가운데 9.92±0.29점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이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핵심 역량인 임상추론과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팀 기반 디브리핑을 적용한 교육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추후 팀 기반 디브리핑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simulation in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 education, the standardized guidelines for debriefing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on clinical judgement,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health profession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 to April 20, 2022. This study was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and dental hygiene at a university in S city. A total of 12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health professions wished to voluntary participate in a course called “Senior Care Convergence Clinical Practicum”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small groups with three nursing students and one dental hygiene student, and participated in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for senior care. Team-based debriefing was based on Tanner’s Clinical Judgement Model (noticing-interpreting-responding-reflecting). Data was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clinical judgement rubrics, critical thinking scale and learning satisfaction numeric rating scale (1-10). The pre- and post- surveys took about 5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Statistics Ver. 2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ubjects’ clinical judgement (Z=2.76, p=.006) and critical thinking (Z=2.94, p=.003) after participating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Especially, posttest value (Mean±SD : 34.33±3.26) of clinical judgement had increased compared to pretest value (Mean±SD : 30.50±1.88), and posttest value (Mean±SD : 106.08±11.03) of critical thinking had increased compared to pretest value (Mean±SD : 98.00±8.75). Learning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was 9.92±0.29 points out of 10 poin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 that team-based debriefing in simulation contribute to enhancing clinical judgement and critical thinking as core competencies of health profession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study for development of team-based debriefing guideline,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임상실습 후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손해경(Son Hae Kyoung),노기옥(Noh Gie Ok),김동희(Kim D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임상실습 후 임상수행능력의 수준 및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24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에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이 진행되었으며, 3학년에 재학 중인 4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PASW software로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후 임상수행능력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3가지 하부요인 즉 학습계획, 학습수행, 학습평가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그리고 임상실습 전임상수행능력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부요인 가운데 학습계획이 임상실습 후 임상수행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전 임상수행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포함한 모형의 설명력은 47%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후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교육 전략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가운데 특히, 임상실습 전 학습계획에 대한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clinical competenc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 2015 to October 24, 2015. The subjects were forty eight nursing students in 3rd year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software for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plan, learning practice, and learning evaluation ha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linical competency. Additionally, amo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plan wa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clinical competency. In conclusion, nursing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clinical competency need to consider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especially learning pla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손해경(Hae Kyoung, Son),김명숙(Myoungsuk,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과 삶의 질의 수준 및 상관관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면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연구는 서울 소재의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88명의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2월 1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일반적 특성, 우울, 지각된 스트레 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과 삶의 질에 대해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활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 석,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간호 교과과정 가운데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a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for Preschoolers' Growth & Development

        이명남,손해경,Lee, Myung-Nam,Son, Hae Kyoung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문제중심학습(PBL)은 간호 임상실습 시 간호 지식, 기술과 태도를 통합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본 연구는 간호학 교과과정 가운데 학령전기 아동 성장발달의 PBL 모듈을 적용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이에 본 양적연구는 PBL 모듈을 Dick과 Carye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계획, 개발, 적용, 평가 단계)에 따라 개발하였고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PBL 모듈은 각 팀 당 4-5명의 학생이 약 40분 정도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내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팀 효능감은 모듈 참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사후 학습만족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PBL 모듈 참여 후 학령전기 아동성장발달에 관한 지식 및 문제해결능력을 습득하였고 PBL 참여 시 팀워크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간호 교과과정 내 PBL 모듈의 적용을 고려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a student-centered pedagogy that integrates nurs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to clinical nursing practice. This pilot aims to apply a PBL module on preschooler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nursing curriculum. This quantitative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PBL module following Dick and Carye's program development process (planning,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phase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mong sophomore nursing students. These students formed teams of four or five people each and spent 40 minutes participating in the PBL modu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content analysis. Metacognition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m effica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Post-test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Students reported obtaining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spect to preschoolers' growth and development and were satisfied with teamwork. This finding offers fundamental knowledge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a PBL module in nursing curricula.

      • KCI등재

        대면 서비스직 종사자의 COVID-19 스트레스, 정량뇌파 스트레스 지수와 대처방식의 상관분석

        원희욱,손해경,Weon, Hee Wook,Son, Hae Kyoung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21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30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COVID-19 stress and the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stress quotient and identify the coping styles of face-to-face service industry employe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ec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COVID-19 stress, and coping style for stress to 21 face-to-face service industry employees between April 1 and April 18, 2021. The physical tension & stress quotient and psychological distraction & stress quotient were measured in the prefrontal lobe with QEEG. Results: Emotional easiness (r=.62, p=.002) and escape-avoidance (r=.55, p=.009) as a passive coping style were associated with COVID-19 stress, and seeking social support as an active coping style was associated with the left physical tension & stress quotient (r=.47, p=.031).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regarding the objective status of the mental health of face-to-face service industry employees using both a self-reported scale and neuroscientific indicators, including brain quotients.

      • KCI등재후보

        시뮬레이션 실습 기반의 SBAR 보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보고 명확성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노기옥 ( Gie Ok Noh ),손해경 ( Hae Kyoung Son ),김동희 ( Dong Hee Kim )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BAR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 education program on report clarity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based on a simulation practic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105 students. The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56) or a control group (n=49). SBA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imulation practice consisted of pre-briefing, performance of scenario, and debriefing.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BAR education containing concept, component, example, and report of SBAR in pre-briefing time. After performance of scenario, students gave their reports before debriefing time. Outcome variables included report clarity and confidence. Result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report clarity and confidenc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SBAR education program based on simulation practice was an effective program to increase report clarity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내향적-외향적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가 정서지수에 미치는 영향

        원희욱(Hee Wook Weon),손해경(Hae Kyoung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가 정서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019년 7월 4일부터 8월 21일까지 6개 시, 도에 소재한 16개 유치원에 재원 중인 189명의 학령전기 아동이 편의표집되었다. 그 가운데 정량 뇌파를 활용하여 내향적 또는 외향적 성향을 가진 3-6세 아동 107명을 대상으로 Neurobrain을 활용하여 뇌 지수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서지수의 영향 요인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내향적 아동은 신체적 스트레스지수(좌 57.08±16.41㎶, 우 52.56±17.96㎶)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좌 11.05±9.95㎶, 우 7.95±6.55㎶)가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외향적 아동은 신체적 스트레스지수(좌 45.23±21.13㎶, 우 52.67±18.30㎶)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좌 4.63±2.92㎶, 우 6.97±4.80㎶)가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정서지수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는 내향적 아동의 좌·우 정신적 스트레스지수, 외향적 아동의 좌·우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지수로 나타났다 (p <.001). 따라서 내향적 또는 외향적 성향을 가진 학령전기 아동의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건강한 정서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뇌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통합적 접근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s on the emotion quotient in preschoolers. Totally, 189 preschoolers from 16 kindergartens in 6 cities and provinces were recrui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July 4 to August 21, 2019. Brain waves of the 3- to 6-year-old subjects were measured for 107 preschoolers with introvert or extrovert personality type, using Neurobrain.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emotion quotient, data were subjected to regression analysis by applying the SPSS/WIN 22.0 program. Levels of stress quotients established for introvert preschoolers were physical stress quotient (left 57.08±16.41㎶, right 52.56±17.96㎶)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left 11.05±9.95㎶, right 7.95±6.55㎶), whereas extrovert preschoolers were determined to have physical stress quotient (left 45.23±21.13㎶, right 52.67±18.30㎶)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left 4.63±2.92㎶, right 6.97±4.80㎶).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o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were left and right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p <0.001) for the introverts, and left and right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quotient (p <0.001) for the extroverts. Taken together,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neuroscientific evidence, for the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management of introvert and extrovert preschoolers.

      • KCI등재

        Development of a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for Preschoolers’ Growth & Development

        Myung-Nam Lee(이명남),Hae Kyoung Son(손해경)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문제중심학습(PBL)은 간호 임상실습 시 간호 지식, 기술과 태도를 통합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본 연구는 간호학 교과과정 가운데 학령전기 아동 성장발달의 PBL 모듈을 적용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이에 본 양적연구는 PBL 모듈을 Dick과 Carye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계획, 개발, 적용, 평가 단계)에 따라 개발하였고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PBL 모듈은 각 팀 당 4-5명의 학생이 약 40분 정도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내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팀 효능감은 모듈 참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사후 학습만족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PBL 모듈 참여 후 학령전기 아동성장발달에 관한 지식 및 문제해결능력을 습득하였고 PBL 참여 시 팀워크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간호 교과과정 내 PBL 모듈의 적용을 고려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a student-centered pedagogy that integrates nurs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to clinical nursing practice. This pilot aims to apply a PBL module on preschooler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nursing curriculum. This quantitative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PBL module following Dick and Carye’s program development process (planning,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phase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mong sophomore nursing students. These students formed teams of four or five people each and spent 40 minutes participating in the PBL modu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content analysis. Metacognition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m effica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Post-test 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Students reported obtaining knowledge and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spect to preschoolers’ growth and development and were satisfied with teamwork. This finding offers fundamental knowledge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a PBL module in nursing curricula.

      • KCI등재

        중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

        김미영(Kim, Mi Young),손해경(Son, Hae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 경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제 12차 2016년 청소년건강 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자는 전국 시, 도에 소재한 중학교 가운데 표본학교 400개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으로 총 32,162명이었다.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성 경험 관련 요인들을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년, 경제상 태, 거주형태, 스트레스인지, 자살생각, 흡연경험, 음주경험, 고민 상담자, 성교육 경험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 경험에 대한 학교보건 관련 교과내용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실제적인 고민 상담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담소를 마련하는 등의 성 경험과 관련된 개입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raw data from the 12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Total of 32,16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s are in the follow.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were grade, economic status, perceived stress, suicidal ideation, smoking, alcohol intake, adviser, and sex education. Therefore, the findings should be consider as an evidence for proper sex education and counsel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