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도부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고찰

        손춘섭(Chun Seop Son) 한국어의미학회 2001 한국어 의미학 Vol.9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gree adverbs. There has been no reasonable basis to set up the list of degree adverbs. It mean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se categories. Degree adverbs must be used as a term that indicates adverbs with the semantic feature `degree` : It is intra-lexical distinctive, multivalent, and a kind of relative concept. It necessarily accompanies `norms of judgment` and also grade `degree scales`. The degree adverbs that this paper has treated such as maeu, mucheok, gajang, etc. do not have `degree`. Therefore, these are not appropriate to have the name like degree adverbs. We need to use more appropriate degree adverbs than the existing terms and it depends on their meanings and func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어문 규범의 복잡성과 표기 오류의 상관성 연구

        손춘섭(Chun seop So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9

        한국어 어문 규범 중 어떤 내용은 한국어 사용자들이 바르게 적용하고자 하여도 규정 자체의 문제 때문에 오류 발생의 빈도가 높을 수밖에 없는 것들이 있다. 동일한 원형을 지닌 것으로 보이는 형태에 대해 여러 가지 이형태 표기를 인정함으로써 내용이 복잡하고 단서가 많아진 규정들이 그러한 예이다. 이들 규정이 한국어의 특성을 최대로 고려한 것이라고 할지라도, 단순하고 단서가 적은 규정들에 비해 처음부터 사용자가 표기 오류를 일으키게 할 가능성이 높다. 이 논문은 한국어 어문 규범 자체의 복잡성이 사용자들의 표기 오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는 한국어 어문 규범 중 내용이 복잡하고 단서가 많은 규정의 적용을 받는 세 가지 표기 형태에 대하여 오류 사례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규정이 단순하고 단서가 없는 어문 규범에서 비해 내용이 복잡하고 단서가 많은 규정을 적용하는 표기에 대한 한국어 사용자들의 오류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예를 들면 ‘널따랗다’의 표기에서는 바른 표기 대비 211.8%의 오류율을 나타냈으며, ‘수벌’의 경우 75%, ‘위층’의 경우 97.1%의 오류율을 보이기도 했다. 이 논문은 한국어 사용자들이 많은 오류를 범하는 표기 사례와 원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향후 표기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관련 어문 규범 개정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Some of the Korean language norms, even if they are intended to be used by Korean users correctly, have a high incidence of the spelling errors due to the problem of regulation itself. An example is the more complicated and more cryptic rules by allowing different allomorph for forms that appear to have the same basic morpheme. Even if these regulations take maximum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user will cause a spelling error from the beginning, compared to the simple rul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mplexity of Korean language norms on the errors of the users spell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collected and analyzed errors in three types of morphemes which are spelled Korean users. As a result, the spelling error rate of Korean users was found to be very high. For example, in the case of ‘neolttarata’, the error rate is 211.8%, in the case of ‘subeol’, the error rate is 75%, in the case of ‘wicheung’, the error rate is 97.1%, compared to the correct spelling. This paper will be useful for revising related Korean language norms, which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spelling of Korean users in the future by verifying empirically the cases.

      • KCI등재

        일반논문 : 전남방언 여성호칭어의 사회언어학적 변이와 변화에 대한 연구

        강희숙 ( Kang Hee Sook ),손춘섭 ( Son Chun Seop ),양영희 ( Yang Young H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4

        본 연구는 광범위한 현장 조사를 통해 실제 전남 방언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여성호칭어의 유형과 형태론적 구성 방식을 분석하는 한편, 통계 분석을 통해 사회언어학적 분포의 특성을 밝히고 변이와 변화의 방향을 예측해 보려고 시도했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방언에서 발견한 호칭어의 범주를 크게 세 가지, 곧 접미사형, 명사형, 대명사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호칭어의 하위 유형을 체계화하였으며, 사회언어학적 변인별 특성을 분석했다. 접미사 형으로는 이른바 종지명 호칭에 속하는 “-떡” 형, “자식의 이름 +-네” 형식, 곧 종자명 호칭이 일반적인 “-네” 형, 그리고 반상에 대한 신분적 계층의식이 강한 지역에 지극히 한정적으로 나타나는 “-실” 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명사형”으로는 “이름”을 사용하는 유형, “친족어”를 사용하는 유형, “의사친족어”를 사용하는 유형, “직함”을 사용하는 유형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 기술하였으며, “대명사형”으로 전남방언의 특성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2인칭대명사 “자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조사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을 바탕으로 전남 방언 여성호칭어의 변이와 변화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조사 연구의 결과 확인된 전남 방언 여성호칭어의 변이와 변화의 특성으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전통적인 방언형들이 점차로 쇠퇴하고 표준형들이 그 자리를 대체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둘째로 접미사형에서 “종자명 호칭”으로의 점진적 대체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명사형 중 소위 친족어를 비 친족에게 확대 적용한 의사친족어 형들 가운데서 “언니, 이모” 등은 종자명 호칭과 함께 오늘날 그 적용 영역을 계속해서 확장해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This study collects and clarifies the female address terms that are used in Jeonnam dialect, and tries to analyse the type of the terms and the way of forming. It also tries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linguistic distribution and predicts the direction of the terms` variaions and changes. The category of the terms is divided into three, that is, affix, noun, and pronoun types, and each category has subordinate types. The types are divided, according to socioliguistic variables. The affix type includes “-ddeock” type, which belongs to geononymy,”jamyoung+-ne” type (`teknonymy is general in this type), and “shil” type being present very rarely in districts where social position is thought important. The noun type contains the terms using names, kinship, fictive kinship, and titles. The pronoun type covers the second person pronoun, “jane”,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Jeonnam dialect most prominently. This research displays the direction of variations and changes of the female address terms in Jeonnam dialect, and it is carried on by analysing the statistical data that we have examined. The most prominent change in the terms is that the traditional dialect types are being replaced by the standard language types. And another change is that the “teknonymy” subtitutes other affix types. Third, fictive kinship terms, especially “eonni” and “imo”, which are extended from kinship terms of noun types, have widen its uses with “teknonymy”.

      • KCI등재

        ‘공문서 바로 쓰기’ 교육의 개선 방안

        양영희(Yang, Young-hee),서상준(Suh, Sang-jun),손춘섭(Son, Chun-seop)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curriculum of ‘Correcting the Official Documents’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NIKL), and to suggest constructive solutions. As the instructors, the program did not achieve the high efficiency because the objectives between NIKL and the people in charge of education did not match. Thus, the lecturers are issuing the current problems and making resolutions as the improving methods of ‘Correcting the Official Documents’ education. Above all, official documents are the one type of writing which contains drafters’ messages, not the sum of simple sentences. Therefore, the systematic education on the method of general writing should be executed. Furthermore, the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in the range of admitting the unique conventions of official documents. That is, there are special vocabularies or terminologies used only in these documents just as the academic papers have their own technical terms. This peculiarity should be accepted in the aspect of both contents and forms. To be brief, ‘Correcting the Official Documents’ education has to be regarded as the writings with topics, not to be remained in the plain state of revising wrong sentences.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should focus on the course of writing education with taking serious consideration of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의 정도성 구현 양상에 대한 연구

        손춘섭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2 호남학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roperties of degree as the semantic feature, and to systematize the aspect of degree in lexical items of Korean. The properties of degree as the semantic feature are explained through the distinctiveness, the multivalence, the relative concept, the conditional norm and the comparative norm of the decision of degree, and grading of degree scales. The aspect of degree in degree word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A. Noun a. [B[+dgr]]N b. [B1[+dgr] + B2]N c. [pfx + B[+dgr]]N d. [B[+dgr] + sfx]N e. [B[±dgr] + sfx[+dgr]]N B. Adjective a. [B[+dgr]]A b. [B[+dgr] + sfx]A c. [B[±dgr] + sfx[+dgr]]A d. [[B[+dgr] + sfx[+ints]]R + sfx]A e. [[pfx[+ints]] + [B[+dgr] + sfx[+ints]]]A f. [B[+dgr] + [phon alt[+ints]]A g. [[[Bi[+dgr] + Bi[+dgr]][+ints]]R + sfx]]A C. Verb a. [[B[+dgr]]N + sfx]V b. [[B[+dgr]]A + sfx]V D. Adverb and Adnominal a. [[B[+dgr]]A +sfx]ADV b. [[B[+dgr]]A + sfx]ADN (*B : Base, pfx : prefix, sfx : suffix, dgr : degree, ints : intensifying, phon alt : phonological alternation) The classification as above is useful to understanding of the morphological, lexical properties and the word formation principles of degree words.

      • KCI등재후보

        국어의 내적 변화 파생에 대한 연구

        손춘섭 국어국문학회 2003 국어국문학 Vol.- No.13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principle of the derivation by internal change,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derivational words by internal change in Korean. The Derivation by Internal Change is productive word formation to generate words that have degree. The principle of derivation by Internal Change is to change vowel or consonant morphologically, and change the scale of degree that the object base bas semantically. The semantic characteristic of words that have been generated by internal change consists of gradual semantic field by the scale of degree. These words have concepts that are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such as senses, colors, states, and attributes. There is, however, no clear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the scale of degree. The standard is relative and obscure. I hope that this research is able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concepts of degre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d formation, and wor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