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蘇武傳」의 韓國文學 收容 硏究

        손찬식(Son, Chansi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3 No.-

        이 논문은 한국 한문학에 수용된 소무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시인들은 「소무전」의 고사를 원용하여 소무의 신산했던 삶과 그의 변함없는 충절을 찬양하고 이를 시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들은 유배 및 억류 등 자신이 당면한 현재적 상황을 소무의 처지와 동일시하여 스스로를 위로하고 자신의 심지를 굳게 다짐하기도 하였으며, 때로는 아무런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자신의 절망적 처지에서 소무의 환국과도 같은 극적인 상황을 선망하기도 하였다. 이밖에도 영물시에 소무의 충절을 가탁하여 형상화하는가 하면, 또 사신을 가는 친구에게 사신으로서의 임무와 역할을 소무 고사를 환기하여 당부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들은 때로는 이릉의 입장과 처지에서 때로는 소무의 입장에서 서로의 상황과 처지를 이해하고 위로하거나 이별의 슬픔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다. 뿐만아니라, 문답형식을 통하여 이릉의 실절과 그의 올바른 처세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소무가 환국한 후에 전속국에 임명된 것은 그의 충절에 걸맞지 않은 미관으로, 부당하다는 비판적 견해가 주를 이룬다. 이와 달리 전속국은 표면상 낮은 직위지만, 그 임무는 조정의 핵심보다 더 중요한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하기도 하였다. 또 대부분의 조선조 문인학자들은 흉노 아내를 취하여 통국을 낳은 사실과 그들을 환국시킨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런데 송시열은 소무의 이러한 처사는 수절이라 할 수 없다는 비판적 입장을 표명하였다. 장현광은 소무가통국을 낳은 것은 인욕에 기인한 것으로, 평생의 부끄러움이라 하였다. 소무가 공신으로 인정되어 그의 초상화가 기린각에 봉안된 것에 대하여 조선조 문인들은 이를 병풍에 그리거나 시를 지어 찬미하였다. 그리하여 소무의 입장에서 자신을 기린각에 봉안해 준선제에게 사례하는 글을 쓰기도 하고, 소무 아들 입장에서 선제에게 감사를 표하는 글을 짓기도 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appearance of Somu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poets quoted the story of Somujeon and praised Somu’s life of privation and loyalty in their poems. The poets consoled themselves identifing their present situations like an exile or detainment comparing with Somu’s situation and strengthened their will. Besides they dreamed dramatic situation like Somu’s returning to his own country in their own desperate condition which didn’t show any solution. Moreover, they reflected Somu’s fidelity into Youngmulpoem and used to ask friends who were dispatched as anvoys to carry out mission and role evoking Somu’s case. Sometimes they tried to understand their own situation and comforted one another in Leereung’s stance or in Somu’s situation and presented the sadness of parting literarily. Through exchanging questions and answers, they expressed Leereung’s loss of fidelity and their opinions about his right attitude as well. There were mainly obvious critical opinions that after Somu’s returning to the country, being appointed as Jeonsokguk which was a trival position was irrelevant to his fidelity. On the other hand, some insisted that his task was more important than any position of the Dynasty even if Jeonsokguk was seemingly low position. Moreover, most of scholars of Choson Dynasty thought it positive that Somu adapted a wife from Hyungno tribe and made his son, Tongguk, return to his country. Whereas Songsiyeol suggested critical viewpoint that Somu didn’t hold on his principle in spite of this management. Janghyeongwang thought it ashamed of all his life that Somu had a son from the Hyungno woman from because of physical desire. Even so, Somu was recognized as a vassal of merit and his portrait was placed in Giringak. Literary men in Choson Dynasty admired him writing poems and painting on folding screens. They wrote appreciative writings for the Emperor, Seonjae, in recompense for enshrinement of his portrait in Giringak in Somu’s shoes or from his son’s position.

      • KCI등재

        공주십경(公州十景)의 시적(詩的) 형상(形象)

        손찬식 ( Son Chan-si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4

        이 논문은 공주십경시의 자료를 새로 발굴 확충하여 공주십경의 위치와 그 명칭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한 시작품을 분석하여 이들이 시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공주십경」시는 서거정의 「공주십경」과 신유의 「공산십경」두 계열로 대분된다. 서거정의 「공주십경」에서는 명소를 먼저 제시하고 그곳에서의 놀이나 흥취 및 감상 대상, 그리고 그곳에서의 행위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비하여 신유가 선정한 공주십경은 산(3), 사찰(3), 나루(2), 정자(2) 등으로, 그 십경으로 선정된 명소만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그리고 서거정이 선정한 공주십경은 현재의 공주군과 연기군(세종시) 일부까지 포괄하는 광범한 지역인데 비하여 신유가 선정한 공주십경은 공주 治所에서 10리 이내에 있는 승경만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이 선정한 공통적인 공주십경으로는 “금강춘유-금강진, 웅진명월-웅진도, 서사심승-정지사” 등 세 곳 뿐임을 규명하였다. 「공주십경」시는 모두 공주십경의 승경과 명소 및 명물을 노래하고 있다. 시인은 수려한 풍광의 공주십경을 찾아 오유하면서 그 속에서 노니는 흥취를 노래하는가 하면, 공주가 백제의 고도라는 점을 환기하여 역사적 회고를 통한 무상감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공주십경과 관련한 고사를 환기하여 선정이 행해지기를 희구하고 치자로서의 애민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인들은 공주십경에 포함된 여러 사찰을 찾아 고승과 교유하면서 잠시나마 세속을 벗어나 청정한 마음을 가져보기도 하고 수려한 풍광을 대해서는 선경을 관념하고 은일적 삶을 동경하기도 하였다.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locations and names of Gongju-Ten-Views ,compare and analyze the poems related to the views and consider how they were embodied into poems. Gongju-Ten-Views are divided into two lines, such as Seo Geojeong's < Gongju-Ten-Views > and Shin Yoo’s < Gongju-Ten-Views >. Gongju-Ten-Views which Seo Geo-jeong and Shin Yoo chose not only have different forms of titles, but are also quite different regions. Seo Geo-jeong's ‘Gongju-Ten-Views’ presents the attractions first, and consists of play, enjoyment and the objects of appreciation and actions there, on the other hand, Gongju-Ten-Views by Shin Yoo are only mountain(3), temple (3), naru(2), and pavilion(2), etc. And Gongju-Ten-Views by Seo Geo-jeong spreads an extensive area that covers the current part of Gonjugun and Yeongi-gun (Sejong City), but Gongju-Ten-Views selected by Shin Yoo is targeted only at attractions within 10Ri from Gongju government office.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only three common Views selected by them: Geumgangchunyu-Geumgangjin, Wonjinmyeongwol-Wungjindo, Seosasimseung-Jeongjisa. All of the poems of 「Gongju-Ten-Views」 sang the scenic spots, the famous sights and specialties about ten superb view in Gongju. The poets visited ten beautiful places in Gongju and sang the pleasure seeing the superb view, and also reminded that Gongju w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ae, expressing vanity of life through the historical retrospect. In addition, they recalled the idioms originated in ancient event related to the Gongjusibgyeong and wished good politics would be done expressing their love for the people as a governor. Moreover, the poets visited the temples in ten superb view of Gongju and conceptualized the fairyland and yearned for hermit interacting with high monks through the beautiful scenery.

      • KCI등재후보

        玄洲 趙纘韓의 莊子的 思惟와 神仙趣向的 詩世界

        손찬식(Son Chan-sik) 한국도교문화학회 2003 道敎文化硏究 Vol.18 No.-

        조선조의 도가철학 사상이 유가적으로 수용된 ‘유가적 도가철학’이었다는 점은 양자간에 상호 대척적인 관계이거나 충돌할 소인이 개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玄洲 趙纘韓도 이러한 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현주는 기본적으로 儒者였으며 그의 중심사상과 학문 역시 儒家의 성리학이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현주는 한 발 더 나아가 장자와 신선사상에도 관심을 표명하고 일정하게 그 세계에 침잠하였다. 현주는 불행한 가정사, 懷才不遇에 따른 소외감, 횡포한 정치현실, 世俗雜事에 구속되기 싫어하는 방달한 성격 등으로 인해 정치현실에의 집착을 단념하고 강호에서의 은일적 삶에 관심을 갖고 是非憂樂에서 초월하고자 하였으며 그 방편으로 현주는 莊子的 思惟와 신선사상에 경도한 것이다. 「無外論」과 「混沌歌」에서 현주의 장자적 사유를 窺知할 수 있는데, 여기서 ‘至大’를 ‘無外’로 인식하고 ‘混沌’의 참의미를 터득함으로써 현상 세계의 상대적?주관적 가치의식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 또한 현주는 勝境을 仙界로 관념하고 그 곳에서 세속과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한 채 한가롭고 유유자적한 삶을 살아가는 隱逸者를 地上仙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이상적 삶의 좌표로 설정하였으며 결국엔 자신도 그러한 삶을 살았다. 뿐만 아니라 현주는 仙界를 찾아가 신선을 만나고 그들과 主客의 일치를 경험하며 傲遊하는 기쁨을 토로하기도 하고 煉丹에의 정진을 통해 仙化하고자 하는 욕구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주가 실제로 道經을 탐독하고 煉丹에 정진하는 등의 신선 수련을 한 것은 아니다. 오직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정신세계의 몰입을 통한 현상세계에 대한 망각 체험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현주는 이러한 莊子的 思惟와 신선세계에 대한 꿈꾸기를 통하여 현상세계의 갈등을 극복하고 是非憂樂에서 초월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탁월한 詩的 재능을 발휘하여 詩篇으로 형상화하였는바, 이는 또한 그의 唐詩風지향의 詩風과도 일정하게 연관된다. Hyunjoo(玄洲) Cho Chan-Han(趙纘韓)(1572~1631) was a Confucianist originally and his central idea was Seonglihak(性理學) of Confucianism. But Hyunjoo didn't cling to only Seonglihak and he was interested in Taoism and Jangja(莊子). He had unhappy family history, the sense of alienation the distrust in politics. He was indifferent to politics. He took interested in the life in seclusion and he could have freedom of the thought through the relative, subjective awareness of the phenomenal world. He didn't read with avidity the scriptures of Taoism and didn't train practically. He was only absorbed in romantic and fantastical spiritual life as an experience of a forgetfulness of the phenomenal world. He had superior ability to write poems and wrote poems, which had tendency to the style of poetry in Tang(唐) Dynasty consistently.

      • 沖庵 金淨의 詠物詩 硏究

        손찬식(Son, Chan-si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충청문화연구 Vol.19 No.-

        본고는 충암의 영물시를 그 내용적 성격을 중심으로 ‘혼탁한 정치 현실의 형상’, ‘불우한 자아의 형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의 형상’ 등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충암은 당대의 혼탁한 정치현실을 직설적으로 토로하는가 하면 ‘날다람쥐, 원숭이, 도마뱀, 물여우, 승냥이, 들개, 개구리, 뱀’ 등의 여러 동물들을 예거하여 이를 우의적, 상징적으로 표상하여 비판하였다. 그 중에서 「蛙詩」10수는 우의적 수법을 통하여 당대 혼탁한 정치현실을 시적으로 형상화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주요한 우의의 대상은 개구리, 파리, 뱀 및 그들의 동거 공간인 더러운 풀섶 진창이다. 시적 자아는 파리와 같은 상황에 처해 있으며 자신을 해치려는 개구리에 대해 이를 풍자하고 비판하고 있으며, 풀섶 진창은 이익을 위해 이합집산과 약육강식이 난무하는 혼탁한 조정이다. 충암은 여러 차례 유배를 당하는 등 평탄치 않은 삶을 살았는데, 이러한 굴곡진 삶을 ‘野松, 巖上有花, 籠中鴨, 村犬, 路傍松’ 등 다양한 사물을 통하여 이를 시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현재적 처지와 모습을 투영하기도 하고,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환기해 보기도 하였다. 충암은 또한 감내하기 힘든 유배생활의 혹독한 시련 속에서도 꿋꿋하게 버티며 자신의 본래의 풍모를 견지하고자 하였다. 충암은 ‘가을바람, 낙엽, 산새, 달, 지팡이, 비’ 등의 경물 묘사를 통하여 시적 자아의 외롭고 쓸쓸한 심리적 정황을 환기하였다. 그 심리적 기저는 기다림과 외로움에서 배태된 그리움으로, 그로 인한 고향과 친지 및 우인들에 대한 그리움을 시적으로 형상화하였다. This paper considers Chung-am’s Yongmulsi(詠物詩, Poems on thing) focusing on the nature of content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shape of cloudy political reality ’,‘the shape of the disadvantaged self’,‘the shape of longing for home’. He expresses straight out his feeling about turbid contemporary political reality, whereas he also criticizes them with symbolizing the animals allegorically such as flying squirrels, monkeys, lizards, bolls, snowshoes, dogs, frogs and snakes. 10 pieces of ‘蛙詩’ among them are representative works that shapes poetically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through the allegorical technique. The main allegorical targets in the work are frogs, flies, snakes and co-living space, a dirty slushy thicket. The persona of poetry is in a situation like a fly satirizing and criticizing the frog who is trying to harm himself. The dirty slushy thicket is a confused royal court in which the meeting and parting and weak-to-the-wall for profit were rampant. Living a life of unevenness suffered in exile several times, Chung-am shaped it into poetics through a variety of things such as ‘Yasong(野松), Amsangyoohwa(巖上有花), Rongjungap(籠中鴨), Chongyun(村犬), Robangsong(路傍松)’ and so on. Through this, he was able to project his current self and position on them and to infer his future. He also tried to stand firmly even in the harsh trials of exile and to keep his original attitude. Chung-am recalls the lonely, psychological images of the poetic self through the descriptions of autumn wind, leaves, mountain birds, moon, cane, rain, and so on. As the emotional basis is a yearning from waiting and loneliness, the yearning for the homeland , relatives and friends is shaped into his poetry.

      • KCI등재

        「청학동(靑鶴洞)」시(詩)에 표상(表象)된 신선사상(神仙思想)

        손찬식 ( Chan Sik S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39 No.1

        본고에서는 고려조 이인로의 「청학동기」로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의 청학동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그 작품을 개관하고 내용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題名이 청학동을 포함하고 있는 작품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한정하여 수집한 결과 58명의 시인 113수이다. 이들 작품은 다양한 詩體에 걸쳐 고르게 창작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7言絶句 40수(35.3%), 5言律詩 29수(25.6%), 7言律詩 24수(21.2%)의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시인들이 선호하는 개인적인 취향과 함께 보다 다양한 내용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시 형태를 택한 결과이다. 또한 이들 작품은 13세기 이인로의 청학동 시 이후, 14세기 말에서 19세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는데, 16-17세기에 걸쳐 활동한 시인이 52명(89.7%)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學唐風의 진작, 政爭에서 몰락한 時勢不遇, 內丹學에 대한 관심 등 이 시기 遊仙詩가 다수 출현한 요인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이인로의 「청학동기」에 함축되어 있는 청학동에 대한 인식은 避世地라는 사실적 공간으로서의 인식과 무릉도원과 동일한 관념적 공간이라는 이중성을 함축하고 있다. 관념화된 인식은 청학동을 仙界의 이상적 공간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사실적 공간으로 인식하려는 시각에서는 探勝을 통하여 방문기를 남기고 특정 지역을 청학동으로 고착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사실적 공간으로서의 청학동은 지리산 청학동, 남산 청학동, 강릉 청학동, 주왕산 청학동, 경기도 적성현 수정봉 청학동, 보령 청학동 등 다양한 곳으로 지정되어 있다. 요컨대 청학동은 관념적 이상적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하고 경치가 빼어난 곳을 청학동이라 命名, 사실적 공간화하여 인식하는가 하면 때로는 그 두 경우를 혼합하여 인식하기도 하였다. 그들이 작품 속에 형상화하고 있는 공통점은 勝境에 대한 사실적 묘사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서경을 통하여 仙界를 관념하고 동경하며 일울한 심경을 씻어 내거나 자신을 선계에서 유유자적 소요하는 선인과 동일시하는 등의 정신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청학동 시에는 최치원이 仙人으로 변환되어 표상되며 시인 묵객들은 이를 숭모하거나 그의 삶을 동경하고 동일시하는 정신 세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와 함께 청학동 시에는 서정적 자아가 仙人이 되어 선계를 자유롭게 傲遊하는 遊仙의 심상을 노래하고 있는데, 선계에서의 오유는 꿈을 통해 실현된다. 이러한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入夢-꿈(夢)-覺夢``의 구조를 지니지만, 때로는 입몽과정이 생략되고 ``꿈(夢)-覺夢``의 두 단계를 통해 遊仙 체험과 覺夢 후의 인식의 변화를 드러내기도 한다. A study on the thought of Taoist Hermit symbolized in the CheongHakDong` poems Son, Chan-sik The poems ``CheongHakDong``(靑鶴洞) were written continually from the late 14th century to 19th century since Yee,In-ro(李仁老) had written ``Cheonhakdonggi``(靑鶴洞記) in 13th century. 52(89.7%) poets played an active part in 16th~17th. The poems written by them have several styles. There are 40 Chileonjeolgu(七言絶句)(35.3%), 29 Oeonyulsi(五言律詩)(25.6%), 24 Chileonyulsi(七言律詩)(21.2%) among them. CheongHak-Dong has the concept of dual spaces such as the real space of Pisejee(避世地) and the ideal space of Mureungdowon(武陵桃源) but these two spaces could be mixed together. There is a common feature that two spaces express a realistic fairly land as well as the world of mind which conceptualizes an enchanted land and long for. The poets would identify themselves with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神仙思想) who was living in easy. In the poems ``CheongHakDong``, Choi,chi-won(崔致遠) is described as a Shinseon(神仙) who the poets admired and empathized. Besides, the poems ``CheongHakDong`` tell the emotional self flying freely in Shinseon`s world(神仙世界), which is realized through a dream. They generally have a structure of ``Admission into a dream-The world of dream-Coming out from the dream``, but sometimes the admission stage was omitted. The poets described experiences and the change of recognition after awaking from the dream with only two stages ``The world of dream-Coming out from the dream.`` After the dream, they would feel upset and expressed the emotion because they had to return into complicated daily life again, otherwise, they revealed the mind diversion that they wanted to rise above the world and escape from the bondage of the mundane world.

      • 庇仁八景의 詩文學的 형상

        손찬식(Son Chansi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1 충청문화연구 Vol.26 No.-

        본고는 비인팔경의 구체적 실상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시인들의 시문학 작품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비인팔경은 비인만과 월명산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인팔경은 서거정의 비인팔경, 이숙함의 비인팔경, 목만중의 비인팔경 등이 있다. 비인팔경은 “미망대해, 은영소도, 중중신루, 점점나계, 둔영수고, 연포귀범, 송평추월, 관사모종”으로, 세 시인들의 작품 모두 동일하게 팔경을 설정하고 있다. 제1경인 미망대해는 주변에 물이 감돌아 흐르고 구름 낀 바다가 하늘과 닿아 있는 듯 보이는 서해 바다의 모습을 명명한 것이다. 제2경인 은영소도는 비인 앞바다의 크고 작은 섬들이 은은하고도 다양한 안전의 풍광을 일컫는다. 제3경인 중중신루는 매우 짧은 시간에 다양한 형상으로 출몰하는 신기루의 기이하고 웅장한 모습을 일컫는다. 제4경인 점점나계는 높은 산에서 바라다 보이는 고군산의 여러 산봉우리의 빼어난 모습과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크고 작은 다양한 섬들이 서로 이어져 햇살에 은은하게 비추는 모습이다. 제5경인 둔영수고는 둔영에서 들려오는 웅장하고도 여운이 맴도는 북소리를 하나의 수려한 풍광과도 같이 인식하고 명명한 것이다. 제6경인 연포귀범은 안개가 자욱한 포구에서 고깃배들이 선회하며 정박하는 모습을 의미한다. 제7경인 송평추월은 소나무가 우거진 숲에서 바라보는 가을달밤의 그윽한 정취가 환기되는 곳을 뜻한다. 제8경인 관사모종은 관적사에서 들려오는 저녁 종소리이다. 이들 팔경시의 표현 수법을 보면, 서거정의 작품에서는 고사를 인용하여 비인팔경의 수려한 풍광과 그와 관련한 고사를 시적 자아의 개입 없이 과장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숙함의 시에서는 그러한 풍광을 바라보며 그에서 환기되는 시인의 심경을 표출하고 있다. 이에 비해서 목만중의 작품에서는 고사 인용이나 신비성을 제거하고 보다 사실적인 묘사를 통하여 바라 본 서경과 그의 감회를 표출하고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This paper searches the concrete look of eight scenic views of Biin and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poets" works through analyzing them. The eight scenic views of Biin are centered on Biin Bay and Wolmyeong Mountain. There are Seo Geojeong’s eight scenic views of Biin, LeeSookham’s eight scenic views of Biin and Mok Manjung’s eight scenic views of Biin. The eight scenic views of Biin are “Mimangdaehae, Eunyeongsodo, Jungjungsinru, Jeomjeomnagye, Dunyeongsugo, Yeonpogwibeom, Songpyeongchuwol, and Gwansamojong”, and the three poets set the eight scenic views of Biin in their poems equally. The first scenic view, the Mimangdaehae is a view of the west sea, where water flows around and the cloudy sea seems to touch the sky. The second scenic view, Eunyeongsodo, is the subtle and diverse scenery of the large and small islands off the coast of Biin, which unfolds before your eyes. The third scenic view, Jungjungshinru, is the bizarre and majestic appearance of a mirage that appears in various shapes in a very short time. The 4th scenic view, Jeomjeomnagye, is a magnificent view of the various peaks of Gogunsan, seen from a high mountain, and a variety of large and small islands scattered where softly lit by the sun. The 5th view, Dunyeongsugo, is expressed as if recognizing the Magnificent and resounding drum sound from military camp as a beautiful landscape. The 6th scenic view, Yeonpogwibeom, is the appearance of fishing boats turning and anchoring in a foggy port. The 7th scenic view, Songpyeongchuwol, means a place where you can feel the sweet atmosphere of the autumn moonlit night seen from the pine forest. The 8th scenic view, Gwansamojong, is the sound of evening bells from Gwanjeoksa. Looking at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these Eight Scenery poems, Seo Geojeong"s poems quote ancient history to exaggerate the beautiful eight scenic view of Biin relating historical events without intervention of his poetic ego. Lee Sookham"s poems express his feelings evoked looking at such a beautiful landscape. On the other hand, Mok Manjung"s poems are different from them expressing his feelings through a more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landscape without quoting old sayings or mysticism.

      • KCI등재후보
      • 韓山八景의 詩文學的 形象

        손찬식(Son Chan-Si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3 충청문화연구 Vol.28·29 No.-

        본고는 목은 이색의 한산팔경시의 분석을 통하여 한산팔경의 실상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은 이색의 한산 관련 한시 작품 및 「동오팔영」, 「금사팔영」, 「봉산십이영」 등의 집경화한 작품을 고찰하였다. ‘동오팔영’은 작품의 소제는 심약의 「동오팔영」과 달리 소상팔경과 유사하며, 이는 절강•강서•호남성을 아우르는 중국 오•초 지역의 승경을 대상으로 지은 것이다. 「금사팔영」은 염동정(염흥방)이 여주에서 유배생활 중에 「금사팔영」을 짓고 해배 이후에 목은 이색에게 이에 대한 시를 짓기를 요청하여 창작한 작품이다. 「금사팔영」은 여주 및 그 인근 지역의 명소를 팔경으로 집경화하여 시인의 심경을 빗대어 표출한 작품이다. 「봉산십이영」은 당시에 유행하던 팔영에 사영을 더한 확장형으로, 우리나라 문인이 지은 최초의 십이경시이다. 「봉산십이영」은 이색이 원나라 학사 부형에게 지어 준 송시다. 봉산은 봉황산을 가리키며, 이색은 봉황산 내의 불교 사적과 아름다운 경관을 탈속적인 분위기로 형상 화하였다. 이색은 고향 한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알리기 위해 한산팔경시를 짓게 되었다. 한산팔경은 금강하구일대의 서천군 한산면, 화양면, 기산면 등을 포함한 지역의 승경을 의미한다. 이색의 한산팔경시는 ‘숭정암송, 일광석벽, 고석심동, 회사고봉, 원산수고, 진포귀범, 압야권농, 웅진관조’ 등으로 앞의 두 자는 팔경의 장소(공간)를 나타내고 뒤의 두 글자는 그 공간의 대표적인 풍광을 표상한다. 숭정암송은 숭정산의 바위와 소나무를 노래한 것으로, 팔경을 소나무로 시작한 것은 스스로 책려하는 뜻이고, 일광석벽은 일광사의 바위절벽을 표상한 것으로 이는 日光은 동방에서 나와 원근에 두루 미침을 의미한 것이라 하였다. 고석심동은 고석사의 깊은 골짜기를 노래한 것으로, 이는 확고한 바탕에 드러난 우뚝함을 취한 것이며, 회사고봉은 회사가 위치한 높은 건지산의 산봉우리를 형상한 것으로, 이는 군의 사적을 중히 여기는 뜻이라고 하였다. 원산수고는 원산에서 들려오는 북소리를 묘사한 것으로, 이는 병사를 삼가는 뜻을 의미하며, 진포귀범은 진포로 돌아오는 배를 형상한 것으로, 이는 백성의 이로움을 보인 것이라고 하였다. 압야권농은 압야(오리 들)에서 농사를 권면하는 내용을 읊은 것으로, 이는 백성의 생활을 정립한 것이라고 하였다. 웅진관조는 웅진에서 낚시하는 정경을 형상화한 것으로, 이는 곧음을 생각한 것이라고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ality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Hansan through Mokeun Lee Saek’s analysis of the eight scenery of Hansa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Mokeun Lee Saek’s Korean Classical poems related to Hansan and the collection of scenic poems such as 「Dongopalyeong」, 「Geumsapalyeong」, and 「Bongsansibiyeong」are considered. The small topic of 「Dongopalyeong」unlike Simyaks 「Dongopalyeong」 is similar to Sosangpalkyeong, which is written for beautiful views of O(吳).Cho(楚) regions in China, which encompasses Jeolgang, Gangseo, and Honam. 「Geumsapalyeong」 is written by Yeom Dong-jeong (Yeomheungbang) during exile in Yeoju, and asked Mokeun to write a poem about his work after his exile. 「Geumsapalyeong」 is a poem that compares the poets feelings with views collecting the eight scenic spots of Yeoju and neighboring area. 「Bongsansibiygeong」 is an extension poems adding Sayeong(4 poems) to Palyeong(8 poems),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and is the first twelve scenic poems written by Korean writers. 「Bongsansibiygeong」 is farewell poem written by Lee Saek for Haksa Buhyeong in the Yuan Dynasty. Bongsan Mountain refers to Bonghwangsan Mountain, and Lee Saek embodies the Buddhist historical sites and beautiful scenery in Bonghwangsan Mountain as a unworldly atmosphere. Lee Saek wrote the Eight Scenic poems(Hansanpalgyeongsi) to promote the beautiful scenery of his hometown, Hansan. The Eight Views of Hansan(Hansanpalgyeong) refers to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region, including Hansan-myeon, Hwayang-myeon, and Gisan-myeon in Seocheon-gun, around the the mouth of the Geumgang River. The eight scenic views of Hansan are ‘Sung-Jeong-Am-Song, Il-Gwang-Seok-Byeok, Go-Seok-Sim-Dong, Hoe-Sa-Go-Bong, Won-San-Su-Go, Jin-Po-Gwi-Beom, Ap-Ya-Kwon-Nong, and Woong-Jin-Gwan-Jo’ and the first two characters of the title represent the place (space)and next two characters mean main scenery of the place. Sung-Jeong-Am-Song is a song of the rocks and pine trees of Sungjeongsan Mountain and starting Palgyeong(eight scenery) with pine trees means training and encouraging himself. Il-Gwang-Seok-Byeok represents rocky cliffs of Ilgwangsa Temple, which means that sunshine come out of the east and shine all over. Go-Seok-Sim-Dong is a song about the deep valley of Goseoksa Temple, which express the dignity rising on a firm basis. Hoe-Sa-Go-Bong represents the peak of Geonjisan Mountain where Hoe-Sa is located, which means that the history of the county matters. Won-San-Su-Go is a description of the drum sound from Wonsan, which means being careful of military affairs. Jin-Po-Gwi-Beom represents returning ship to Jin-Po, which shows that it is beneficial to people. Ap-Ya-Kwon-Nong recited the recommendation of farming in Abya (duck field), which establishes the life of the people. Woong-Jin-Gwan-Jo expresses the fishing scene in Woongjin, which means thinking rightnes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