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교사의 정체성과 지식의 내면화와의 관계에 대한 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이 논문이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은 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정체성 문제를 교사의 교과 지식의 내면화로 풀어나간다. 교사의 정체성의 여부는 그 교사의 교과지식의 내면화의 여부와 관련이 있다. 가르치는 교사가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교과 지식을 생성해야 하며 자신의 정체성과 맞게 그 지식을 전수해야 하는데 이것은 교사의 지식의 내면화의 문제와 직결된다. 이 논문의 관심은 교사이다. 교사의 정체성과 학생의 내면화와의 관계가 아니라 교사의 정체성과 교사 자신의 내면화에 대한 연구이다. 결국 이 작업이 선행되면 학생의 내면화는 자연스럽게 뒤 따라 오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정체성과 교사의 지식의 내면화와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교사는 자신의 분명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교과지식을 내면화해야 하고 이 내면화된 지식은 교사의 정체성을 더욱 견고하게 해준다.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가르침의 현장에서의 방법론보다는 교사가 자신의 교과 지식을 내면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정체성이 분명한 교사들의 특징은 자신의 교과과목을 다른 사람의 내용이나 방법을 모방해서 가르치는 것이 아닌 자신이 내면화한 지식으로 가르친다. 내면화된 교과 지식은 교사의 삶의 전체와 관련된 것이며, 교사로서의 소명과 관련된 것이다. 내면화된 지식은 단지 정보로 존재하는 지식이 아니라, 인식자의 몸과 마음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지식이다. 그래서 인격적이다. 논리적으로 완전히 증명될 수 없기에 암묵적이며 직관적이며, 그래서 초월적이며 신비적인 지식이다. 그리고 내면화된 지식은 일방적인 지식이 아닌 관계적 지식이다. 인식자는 홀로 내면화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자와 함께 거하는 공동체의 여러 요소들과 함께, 관계를 맺으면서 내면화의 작업을 수행한다. 그래서 관계적이며 상호적이다. 이러한 지식을 내면화 하는 과정이 열정적이었기에 그 지식을 전수하는 과정 역시 열정적이다. 그 열정은 학생을 위해서 자신을 학생의 수준으로 내려놓기를 마다하지 않는 섬김의 열정이다. 이 내면화와 정체성의 문제는 기독교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진리를 가르치는 기독교교사야 말로 성경의 지식을 내면화해서 자신의 분명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가르쳐야 한다. 성경의 지식은 내면화된 지식의 성격인 인격적이며 관계적인 지식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 교사들은 성경의 지식을 내면화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그 정체성으로, 내면화된 지식으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 The foundational question of this paper issued is the problem of identity of teacher. This paper approaches to the issue of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of teacher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identity of teacher. The teacher who teaches students must produce the subject knowledge and transmits this knowledge with accordance of his/her own identity. This issue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internalized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of teacher and internalized knowledge. Because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teacher’s identity, this paper focuses the internalized knowledge of the teacher rather than the teaching method. The internalized knowledge of the teacher is connected with the whole life and the calling of the teacher. And then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ory of internalized knowledge. The internalized knowledge is the knowledge which is penetrated to the body and heart of the knower. That is tacit, intuitive. transcendental and mysterious because that is not understood by the logical and cognitive process. It is called personal knowledge. The internalized knowledge is not one-sided knowledge but relational knowledge.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is carried out not by knower-self but by the interaction among the elements of community including knower, so this internalized knowledge is relational and mutual.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this knowledge should be passionate because the process of making this knowledge is passionate. This passion is the passion of service and this passion is concreted by the teacher who incarnates his/her knowledge voluntarily into the knowledge level of students.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ty gives current issue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he Christian teacher who teaches the truth must internalize the knowledge of Bible and transmit that knowledge in the foundation of his/her own identity. The knowledge of Bible pursues the personal and relational knowledg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knowledge. Therefore, the Christian teacher should internalize the Bible knowledge and establish his/her own identity with the foundation of the internalized knowledge.

      • KCI등재

        한국 담임 목회자의 리더십 실제와 리더십 형성에 미친 요인 분석을 위한 한 연구

        손정위(Jeong We Son) 한국기독교학회 200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dership practices, and influ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eadership practices among Korean senior pastors based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idealized influence, inspirational stimulatio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The idealized influence leader demonstrates traits such as providing appropriate examples. possessing extraordinary talents, taking risks, dedication to organizational goals with personal sacrifice, and taking care of followers` needs. This leader is admired, respected, trusted. and followers want to emulate the example of the leader. The idealized influence leader demonstrates a high level of moral and ethical standards. and consistently does theright thing even with his: her personal sacrifice in the risk situation. Morality is the criterion whether the charismatic leader is an authentic transformational or pseudotransformational leader. If a charismatic leader uses his, her ability and influence just for his her own purpose in manipulating followers. this leader is a pseuciotrnsformational leader. If a charismatic leader facilitates his; her competency and success for the purpose of community and society, this leader is an authentic transformational leader. Therefore, this idealized influenc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compon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makes followers willing to emulate their leader without any kind of reward. The inspirational motivation leader provides a clear vision, an optimistic future, and valuable meaning allowing followers to see the organizational goal. He she uses symbols and conveys emotional appeals which awaken enthusiastic excitement, thus he she introduces team spirit. This leader facilitates clear communication skills that motivates and inspires followers in dealing with challenges and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Therefore, inspirational motivation is an effective and emotional asp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nspires and motivates followers to achieve a high level of performance.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illustrates that the leader stimulates followers to be innovative and creative by allowing them to ask questions on the old way, previous values, and natural assumptions. This approach makes followers address the problem from a different view and develop new problem - solving methods when they face difficult situations. This leader does not criticize the new ideas of followers but facilitates the atmosphere of open acceptance. This factor represent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 ability to recognize the followers` potential and felt needs. The leader provides opportunities of learning and gives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followers. This leader discerns the individual` s different needs and concerns by one on one interaction. Transformational leaders regard followers as whole persons rather than just employees. This leader delegates tasks to the followers, and these tasks are examined by the leader. This monitoring is not for criticizing but for supporting and providing additional direction and information. Therefore, this individual consideration fulfills the felt needs of followers, and makes them produce more efficient results based on the energy coming from psychological and physical satisfac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employed in order to explore the leadership practices and factors which have influenced leadership development among Korean senior pastors.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leadership practices and influential factors among Korean senior pastors. Semi-structured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 research were conducted for data gathering in this case study. Leadership practices for Idealized Influence were to exhibit a willingness to sacrifice in personal lives for the benefit of church and society and to be for crisis management: in addit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독교교육 연구동향 분석

        손정위(Jeong We So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4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과 관련된 전문 학술지인(KCI등재지)『기독교교육논총』과『기독교교육정보』를 분석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행해서 키워드들의 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성, 하위그룹구조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의 연구동향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빈도분석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기독교교육의 전통적인 키워드들인 기독교교육, 교회교육, 영성교육, 신앙공동체, 교육과정, 교수학습,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 종교교육 등이 10회 이상 나타났다. 1회만 나타나는 키워드가 『기독교교육논총』에서 50%, 『기독교교육정보』에서 69%로 나타나서 기독교교육분야의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기독교교육학의 하위영역과 연결해서 분석하면, 기독교교육 기초분야보다는 주로 기독교교육 실천 영역의 키워드들이 많은 빈도수를 나타냈는데, 발달단계별 영역인 아동교육, 청소년교육, 성인교육등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고, 장별 영역으로 교회교육, 신앙공동체등이 나타났고, 기능별영역으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등이 나타났다. 빈도수 4회 이상 키워드를 살펴보면 두 학술지 모두 최근 시대적 요구와 정신을 반영한 키워드가 많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인성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등이 두 학술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매개중심성을 나타낸 키워드들은 『기독교교육논총』에서 교수학습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독교교육정보』에서 교회학교교사, 기독교인, 포스트모더니즘 등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은 빈도수나 연결중심성의 순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개중심성 순위가 높게 나왔다. 하위그룹분석을 통해서 “기독교교육”은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기독교학교, 대안교육, 인성교육 등과 연결되어 대안교육분야와 관련되어서 연구된 경향이 나타났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성경교육, 한국교회 등과 연결이 되어 교회교육분야와 관련된 연구의 경향을 보였다. “영성교육”의 경우에도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통전적교육, 포스트모더니즘 등과 연계되어서 시대적 흐름과 연결된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가족, 사회, 심리분석 등과 연관이 되어 있어서 실천의 장과 관련되어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다문화교육, 평화교육 등이 나타나서 시대적인 요구와 연관이 되어있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교육목회, 교회, 예배 등과 연관이 되어서 교회교육과 관련되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의 경우에는 『기독교교육논총』에서는 멀티미디어, 기독교대학 등이 나타났고, 『기독교교육정보』에서는 정보사회, 포스트모더니즘 등이 나타나서 두 학술지 모두 시대적인 필요와 요구와 관련되어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Christian education research trends through language net work analysis.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nd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In terms of key word frequency, Christian Education, Church Education, Spirituality Education, Faith Community,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Child Education, Youth Education, Adult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appeal more than 10 times. The key words related in practical research appear more than the key words related in foundational or theoretical research. The key words which show more than 4 time frequency are related comtemporary issues like Post Modernism and Character Education. In terms of betweenness centrality, the key words like Teaching and Learning and Post Modernism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nd Church School Teacher, Christian, Post Modernism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show high ranking. “Christian Education”is researched relating with Christian School, Alternativ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as well as relating with Bible Education and Korean Church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Spirituality Education”is studied relating with Wholistic Education and Post Modernism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as well as relating with Family, Society and Social Analysis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is explored relating with Multi Cultural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as well as relating with Education Ministry, Church and Worship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Teaching and Learning” is researched relating with Multi Media and Christian University i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relating with Information Society and Post Modernism in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교회학교 교사들의 변혁적 리더십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기독교대한성결교회를 중심으로

        손정위(Jeong-We So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1 기독교교육정보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piritual maturity among Sunday school teachers in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se problems; what are the preferred leadership styles, what level of spiritual maturity is, and how much leadership's styles effected spiritual maturity.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orm 72 Sunday school teachers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who attended the Sunday school teacher conference. The data analysis included mean, ANOVA, paired t-test,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levels in terms of spiritual maturity. 2. Preferred leadership style was trans -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3.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ed the spiritual maturity. 4. The element of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i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ed the spiritual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training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raising spiritual maturity of the Sunday school teachers. 2. Especially, the training program aimed for building and exercising the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is necessary for the raising spiritual maturity of the Sunday school teachers.

      • KCI등재

        공교육 기독교사들의 기독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손정위(Jeong-We Son)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49

        이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에서 기독교사가 기독교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탐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사가 학교교사의 일을 함에 있어서 기독교 정체성과 교사 정체성을 어떻게 연결시키는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질적연구의 자서전적 방법이다. 이 연구의 자료는 기독교사들의 모임인 사단법인 좋은교사운동에서 발행하는 「좋은교사」에 실려 있는 “좋은교사 좋은만남” 코너에 기독교사들의 이야기를 주 자료로 삼았다. 2012년1월부터 2016년 2월 까지 실린 내용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 중에서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선택하였고, 선택한 자료의 대상자들에게 전화 혹은 만남을 통한 개인적인 인터뷰를 함으로써 더 정확한 자료를 얻어 내용을 보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사들은 교사가 되기 전까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 사건과 인물들을 통해서 기독교사의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교사가 된 후 기독교사 실천공동체를 통해서 그 정체성이 더욱더 공고히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사들이 교사가 되기 전 그들의 기독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것들은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했던 일, 대학에서의 기독동아리 활동, 목회자와 교사사이의 갈등, 학교 선생님의 영향, 어린 시절 상처의 회복 등이 있다. 교사가 된 후에는 기독교사들이 교사직을 수행하면서 만나게 되는 일들 특히 내적 혹은 외적 갈등의 상황에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특히 기독교사들의 실천공동체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결국 기독교사들이 현직의 상황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교사정체성이 흔들릴 때 이 실천공동체에서 어떤 일들이 있었고 이것이 어떻게 교사정체성 회복으로 연결되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천공동체의 역할은 신앙회복으로의 장의로서의 교사실천공동체, 전문성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사실천공동체, 이상과 현실의 조화의 장으로서의 교사실천공동체, 지속적 재생산으로의 교사실천공동체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ristian teach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Christian teacher in public school. That is this paper deals with how to make connection between Christian identity and teacher identity by Christian teacher in public school.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utobiographical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collects research data from Jan. 2012 to Feb. 2016 in the story of “good teacher, good meeting” in the magazine of 『Good Teacher』, published by the movement of good teacher.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divided in the period of “before teacher” and “current teacher.” In the period of “before teacher”; Research participants insist the experience of God’s love such as the experience of healing from serious illness i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teacher identity; Research participants assert the activity of ‘practice of community’ in the college periods makes them develop their belief from abstract belief to concrete belief, and this activity makes them enhance teacher competency of solving real problem in the school environment; Research participants suggest that the influence from ‘their good teachers’ is one of the elements of Christian teacher identity; Research participants explain that the experience of recovering from their ‘heart break’ in their youth period is one of the elements of Christian teacher identity. In the period of “current teacher”, research participants assert the activity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such as learning community,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which effects Christian teacher identity. They argue that the function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Christian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e functions of community of practice are the field of recovering belief, the field of changing from beginner teacher to skilled teacher, the field of practical training of balancing between ideal belief and real world belief, and the field of expanding more detailed and specialized community than previous community, which make research participants develop their Christian teacher identity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5 神學과 宣敎 Vol.4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독교종교교사들의 삶과 경험을 자료로수집하여 그들의 삶과 경험이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의 결과를통해서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2014년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4학년40명과 대학원생 5명이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 그들의삶의 이야기를 연결하기 위해서 몇 가지 문제를 제시하였고 그 문제에대한 답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하게 하여 내러티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여러 차례의 자료수집 강화 과정을 통해서 학부생 28명과 대학원생3명, 총 31명의 자료가 채택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각 문제마다예비교사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삶의 이야기가 무엇인지에 집중하였고, 이야기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주제어 중심으로 정리하였는데, 빈도가 흔한 것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예비교사에게 아주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내러티브에도 집중하였는데, 그 특별한 이야기와 교사 정체성 형성과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내러티브의 종합적인 의미를 해석하였고 논의를 통해서기독교예비종교교사의 새로운 정체성의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기독교 종교교사들이 정체성을형성하는 데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들은 부모님들이었으며, 그분들의희생과 사랑의 정신이 그들로 하여금 희생과 사랑의 교사라는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으로는 수업에서선생님이 자신의 마음을 열고 학생들과 교감한 것을 많이 언급하였는데, 이 경험이 수업에서 인격적으로 학생들과 교류하는 교사의 정체성을형성하게 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서 자신을 더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사로서의 모델이 될 만한 현직교사를 만남을통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의정기적인 행사뿐 아니라, 자신의 인생의 삶에서 경험하였던 여러 가지일들이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데, 주로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련된것이었다. 이는 사람을 돌보고 이해하고 회복시켜주는 경험들이었고, 이 경험들이 기독교 종교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과 관련해서 자유학기제와 관련된 인성교육과 교사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장치로서 교사 실행 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논의를 전개하였다. 기독교 종교교육의 고유성을 지킬 수 있는 성경과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내용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and experience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and his/her teacher`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is study researches new possibility about the identity of Christian religious teacher. This study is process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ject, 40 senior students and 5 graduate students are involved. This study collects research data by having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make narrative of his/her whole life in relation with teacher identity formation. And also, through out severe data collecting process, finally the data from 38 senior student and 3 graduate students are collect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by careful data rea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with key words presented in their narrative. This categorization is used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life experience influence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s a result, parent`s influenc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in terms of influencing teacher`s identity formation, this influence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 of love, commitment, trust presented parent`s life. In addition, the most impressive classes are connected with teacher`s attitude of trying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in class, this teacher`s attitude influences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And also, life experience in the campus as well as campus out side influence teacher identity formation, this experience mainly connected with caring, serving, servant-hood. In a discussion, this research proposes humanism education in regard to new identity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because the main elements of humanism education are similar to elements which make help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forms his/her identity. Because this humanism education is connected with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one of the most hot issu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recently. And also, this project suggests the importance community of practice for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formation because through out this community activity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 can learn the heart of teacher which should be shared with students in the class, which is one of key points of Christian preliminary religious teacher`s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eculiarity of Christianity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