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해석 -『티마이오스』와 『천체론』, 『생성소멸론』에 나타난 우주론과 요소 이론 비교-

        손윤락 ( Yun Rak Sohn ) 한국해석학회 2010 해석학연구 Vol.25 No.-

        In the classical age of ancient Greece, especially in the 4th century BC that is the time of Plato and Aristotle, the cosmology and theory of elements have been developed with an elaborate theorization. So, these two philosophers are said to be important thinkers not only in metaphysics but also in natural philosophy. They thought like us that the natural science could provide the objective explanations about the world. But differently from a modern man, they considered that there was a value in the natural world. In other words, just as the being and action of men aim at a good thing, the natural world and its change that reveals a regularity aim at something good, and finally at the best or something perfect. This is the problem of teleology in the context of natural philosophy.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examine the explanations of the teleological cosmology or the macro-world presented in the texts of Plato and Aristotle, and their arguments for the theory of elements or the micro-world. As the main text of Plato, we will analyse the later dialogue Timaeus, and as that of Aristotle, the De Caelo and De Generatione et Corruptione. Through this study, we will point out that in the case of Plato the theory of elements which is embodied in a mathematical model is consistent with his theory of idea but difficult to explain the physical things in the world of phenomen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ristotle, we will show that his theory of elements embodied in a strongly mechanical model seems to be contradictory to his cosmology which has a teleological system.

      • KCI등재

        그리스 신화에서 세계의 이미지와 우주구조론 - 철학적 우주론의 연원을 찾아서

        손윤락 ( Sohn Yun-rak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탈레스가 자연의 탐구에서 신화적 설명을 배제한 기원전 6세기 이후 우주의 모습은 둥글납작한 지구를 중심으로 반구형 하늘에 천체들이 수학적 질서를 가지고 정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그리스의 고전기로 불리는 기원전 5세기에는 구형 지구와 지구를 도는 항성들과 행성들의 궤도에 대한 지식이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 크게 보아 `구형 우주`와 `지구중심주의`로 요약되는 이 자연관은 서양의 중세를 지나 근대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상식으로 통하게 되는데, 본고는 이러한 `철학적인` 우주론의 연원을 찾아서 탈레스 시대보다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 그리스인들이 남긴 신화 작품에서 세계의 모습을 찾아보기로 한다. 왜냐하면 신화는 인류가 원시적 사고를 벗어나 자기 자신과 세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려고 한 첫 시기의 지적인 산물로서, 한 사회의 세계관을 드러내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리스 신화는 서사시로 시작되는데, 기원전 8세기 후반 오랜 구전 시가의 전통을 받아서 처음으로 호메로스가 신들과 영웅들의 이야기 『일리아스』와 『오뒤세이아』를 남겼고, 헤시오도스는 세상의 기원과 신들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인 『신들의 계보』를 썼다. 이 서사시 작품들에는 세상의 시공간적 태초에 관한 이야기와 함께 종종 신화적 사건의 구체적인 때와 장소가 언급되며, 특히 하늘과 땅, 산들과 바다, 강들과 호수 같은 공간 개념이 많은 신들의 이름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이런 말들이 표현되는 방식에 비추어 이 작품들이 형성된 시대의 사람들이 가졌을 법한 세계의 모습을 추출 해볼 수 있다. 신화는 단일한 작가의 산물이 아니며 전승들은 상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일하고 완전한 세계 그림을 얻을 수는 없겠지만, 그러나 전체적인 윤곽을 재 구성해낸다면, 거기서 우리는 최소한 `구형 우주`와 `지구중심주의`라는 서양의 전통적 자연관의 싹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ythology is the intellectual product of the first period when human being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world in a systematic way out of primitive thinking, and it tells interesting stories that reveal the world view of a societ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orld image and cosmography in the mythological works left by the ancient Greeks. In the late 8th century BC, after receiving a long tradition of oral poetry, Homer left Iliad and Odyssey, the stories of gods and heroes, and Hesiod wrote Theogony, the story of the origins of the world. These epic works often refer to the specific times and places of mythical events, as well as to the spatio-temporal beginnings of the world. And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place, such as heaven and earth, mountains and sea, rivers and lakes, appear in the name of many gods. Here, in light of the way these words were expressed, we can extract the image of the world that people in the age of these works would have had. Of course, myth is not a product of a single writer, and mythological traditions can conflict with each other, so we can not get a single, complete picture of the world. Nonetheless, if we reconstruct the overall outline, we can at least find the roots of Western ideas like `spherical universe` and `geocentricism`.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서 국가와 시민 교육

        손윤락(Sohn, Yun-Rak) 韓國西洋古典學會 2012 西洋古典學硏究 Vol.48 No.-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제8권에는 국가가 시민에게 공통의 기초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그러나 이 주장은 텍스트 전체에서 나타나는 생각들을 조합해보아야만 그 맥락이 이해된다. 국가와 개인, 그리고 국가와 시민의 문제는 『정치학』 제7권까지 간헐적으로 언급된다. 여기서 “국가”는 탐구의 대상으로서 이론적인 것이지만, 그것이 플라톤의 『국가』에서 그려지는 것처럼 이상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혹은 현존하는 나라들의 예를 분석하고 있으며, 그가 염두에 두고 있는 국가는 자신의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현실 세계의 국가다. 그는 “국가는 동등한 자들의 일종의 공동체”라고 규정하며, 최선의 정체는 모든 시민이 똑같이 번갈아가며 지배하고 지배받는 제도라고 주장한다. 그가 그리는 국가는 대등한 시민들이 이루는 공동체이며, 그 목적은 최선의 삶이다. 여기서 시민이란 노예도 아니고 전문 기능인도 아닌 자유 시민으로서, 양육과 교육의 대상이 되는 남자 아이들을 포함한다. 『정치학』 제8권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은 법에 의해 규제되고 국가에 의해 관장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국가는 단지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훌륭한 삶을 위해 존재한다. 따라서 좋은 국가라면 시민들의 탁월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정치적 결사를 진정한 하나의 국가로 만드는 것은 덕 혹은 최선의 삶을 공통의 목적으로 추구하는 데 있다. 한 국가에 있어서 교육은 중요한데, 그것이 국가를 통일시키고 하나의 공동체가 되게 하는 데 불가결하기 때문이다.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은 그의 교육의 공공성 논증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교육이 국가를 통일체로 만든다고 할 때, 그 통일성의 토대로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는 것은 한편으로 시민들 간에 우애와 상호 선의 및 신뢰를 가지는 것이고, 다른 한편 시민 각자가 국가의 본성적 목적, 즉 최선의 삶을 살려는 목적에 참여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로부터 『정치학』에서 주장되는 공교육이란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 즉 공동 교육으로서 ‘국가가 법률로써 교육 과정을 관장하고 규제하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여기서 국가가 하나의 공통 목적을 가진다는 전제 하에, 이 공교육이 시민 모두에게 최선의 삶을 보장해주기 위한 필요조건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Aristotle’s Politics presents in Book 8 a position that the state(polis) should give the citizens a common education. But its context is understood only after a general consideration of Aristotle’s thoughts spread in the whole text. The topics of the nature of a state and citizens are discussed intermittently up to Book 7. As object of a research, Aristotle’s ‘polis’ is certainly a theoretical state, but it is not an ideal state which cannot exist except in the ideal world as it is described in Plato’s Republic. Aristotle analyse the cases of real countries in history, then his ‘polis’ could be said a state in this world where his theory can be applied. He defines that the ‘polis’ is a kind of community of similar people, and its goal is the best life that is possible. And he takes the democracy as practically best state. Aristotle says in Book 8 that “education must be regulated by law, and it must be conducted by the state”. He asserted that a state exists for the sake of a good life, and not for the sake of life only. Then a good state must take care about the virtue of the citizens. Aristotle considers that what makes political associations a state is their pursuit of virtue or best life as a common goal. Education is important in a state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state and to make it a real community. This argument for the importance of educa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rguments for the publicity of education. If education makes the state a unity, Aristotle presents two things as bases of this unity: having friendship, goodwill and confidence among citizens; and taking part in the goal of the state which is for its citizens to live their best lives. From these, we can derive a conclusion that the ‘public education’ asserted in Politicsl means a ‘common education for citizens of which the curriculum is controlled by law and conducted by the state’, and that Aristotle considers the public education as necessary to guarantee all the citizens a best life.

      • 플라톤의 논증술

        손윤락(Sohn, Yun-Ra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9 No.-

        In the dialogues of Plato, Socrates usually participates as questioner and someone considered to know something comes as respondent. But in the later dialogue the Statesman, it is not the case. Here, around the problematic saying "what is the statesman", an Eleatic visitor armed with logical argumentation questions as like in the Sophist, and the younger Socrates answers as like in the Parmenides. Though the subject of the Statesman is definition of the statesman, the dialogue is filled with many ways of reasoning " politike", the knowledge or art of statesman. Plato presents three methods of argumentation: definition by logos, narration by mythos and illustration by example. There are two conflicting interpretations about the character of this dialogue. The one affirms that although the logical aspect is important in the Statesman, the more important is the definition itself of the statesman or kingly weaver, differently from the Sophist, well known as a text for the later theory of Plato's dialectic. The other opposes it by saying that the definition of the statesman is a medium for the exercise of methodology rather than the object of this dialogue, and that the final goal of the Statesman is the exercise of dialectic. Considering the latter more reasonable, and giving attention to the theory of argumentation itself, I attempt to make an analysis of the dialogue. 플라톤의 대화편에서는 통상 소크라테스가 질문자로 나오고 무언가에 대해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지는 사람이 응답자로 나오는데, 후기 대화편 <정치가>에서는 다르다. 여기서는 엘레아에서 온 손님이 질문자이며, 젊은 소크라테스가 응답자다. 이러한 구도는 플라톤의 후기 대화편 가운데 방법론 텍스트로 잘 알려진 <소피스트>편이나 <파르메니데스>편의 구도와 유사하다. 정치가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두고 스무 살 남짓한 소크라테스가 논증에 뛰어난 엘레아 손님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정치가>편의 외형은 정치가가 무엇인가를 정의하는 것이지만 그 내용은 그의 기술 즉 정치술이 무엇인가를 추론하는 것으로 채워져 있다. 플라톤은 세 가지 논증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정의의 방법, 신화의 방법, 그리고 예시의 방법이 그것이다. 이렇게 이 대화편은 대부분의 지면이 철학적 방법론 자체에 대한 훈련에 할애 되고 있다. 이 텍스트의 성격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되는 해석이 있다. 하나는, <정치가>편은 비록 논리적 측면이 중요하긴 하지만, 후기 변증술 혹은 방법론 일반의 대표적인 텍스트로 알려져 있는 <소피스트>편과는 달리, 정치가에 대한 정의 자체 혹은 정치가에 대한 정의는 이 대화편의 목적 자체라고 하기 보다는 방법론의 훈련을 위한 매개물이라고 보며, 이 대화편의 목적은 결국 논증술(dialektike)의 훈련이라는 해석이다. 우리는 후자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플라톤이 여기서 제시하는 논증 이론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이 대화편을 분석한다.

      • KCI등재

        특집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 교육에서 덕 - 성격과 음악

        손윤락 ( Yun Rak Sohn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사회는 덕의 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다. 왜냐하면 한 사회는 그것이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바람직한 구성원을 기르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개인은 자신이 속한 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인격적 가치들을 갖춤으로써 그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는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일이 아니며, 더구나 지식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서 가치를 전수하는 문제는 모든 시대의 고민거리였다. 이 글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대의 가치인 덕 교육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그것들이 어떻게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었을까를 규명해보려는 시도로서, 플라톤과 차별화를 시도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에서 답을 찾아본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치학』에서 미래의 시민을 위한 기초 교육을 법률로써 규정하여 공교육을 실시할 것을 주창하면서, 유독 음악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대목에 주목할 것이다. Human society is deeply interested in virtue education. It is because a society wants to bring up children according to its oriented values, and the children grow up to be good members having the intellectual and moral values demanded by the society. But for the virtue education, what we should teach and how we can reach our goals? These questions are not easy to answer. And, more than teaching knowledges, the problem of transmitting values to the future generations remains difficult in all ages. In this paper I will try to clarify how men taught virtues in ancient Greece, through the arguments in ethical works of Aristotle who tried to differentiate his theory from that of Plato. In particular, I will bring into focus the passages of Politics Book 8 where Aristotle emphasizes the education of music as a curriculum, at the end of advocating a public and civic education by polis for all children who are future citizen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 분류와 그 의의

        손윤락 ( Sohn Yun-ra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6 No.-

        서양의 역사에서 학문의 분류는 플라톤의 시대에 형성되고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체계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는데, 뤼케이온에서 개별 분과로 구분해서 전문적인 내용을 강의했으며 그의 저술들은 대부분 그렇게 분과별로 구분된 강의록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남긴 학문분류의 이상이 그 이후 학문 세계에 끼친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가진 지식의 전부를 체계화하려 했으며, 후대의 기준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전문적인 지식들을 그 대상의 종류에 따라 셋으로 나누고 그 아래 지식의 전부를 구분하여 체계화하려고 했다. 이후 학문들은 여러 과목으로 분지되지만 총체적으로 하나의 단일한 나무로 그려지게 되었다. 실제로 우리가 사용하는 교육의 과목들이나 전문 영역의 명칭 가운데 많은 이름이 그의 분류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 점에서 그는 서양의 지식의 역사에서 총체적인 혹은 백과사전적인 지식 추구의 원조로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실제로 지식의 내용을 저술하고 직접 강의했으며, 후대에 분과적인 고등 교육의 기준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단지 학문을 분류했을 뿐 아니라, 인간이 본성적으로 추구하는 모든 종류의 지식을 체계화하고 대부분의 영역에서 저술을 남긴 것이다. 자연학 저술들 가운데 일부에서 현재의 지식에 비추어볼 때 상당한 오류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저술은 아직도 각 과목의 발전에 있어서 풍부하고도 심오한 시발점으로 인정받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본성적으로 최고의 지식을 추구한다는 사실을 인식했으며, 후대에 서양 인간학의 기준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이곳의 언급은 기초교육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형이상학』에서 인간의 지식 추구의 본성을 거론하며 내놓은 ‘지식’의 지평은 기초교육의 수준을 넘어간다.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이라는 지식의 3분류 전체에서 기초 과목은 거론되지 않으며 이 모두는 ‘철학’이라는 말로 지칭된다. 철학을 인간이 추구하는 지혜, 즉 학문이라 한다면, 그러면 왜 인간은 이 수준 높은 ‘학문’의 세계를 알아야 하는가?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의 지식 전체를 망라하고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했을 때, 우리는 이것이 인간의 자기 인식의 문제라는 점에 주목한다. 이 학문분류가 인간이 스스로 설정한 인식의 지평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원리와 원인을 찾으며, 가장 넓고 깊은 지식을 추구한다. 이런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분류는 ‘인문학적’인 의미에서 모든 학문적 이상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Having inherited from Plato the idea of classification of human knowledges, Aristotle wrote his works and gave lectures according to divided branches of science. He seems to have tried to set all the higher and valuable sciences practiced in his times under a systematized map of three-way classification: theoretical, practical, and productive science. The significance of Aristotle’s challenge to and methodology of classification of knowledge in the later world of science would be said to be as follows. First, Aristotle tried to systematize all kinds of human knowledges in a higher science-level order, and it became a principal criterion in later generations. Secondly, in almost all subjects, Aristotle himself wrote the contents of knowledge and gave lectures according to separated branches, and this became a criterion of higher education in later generations. And thirdly, Aristotle recognized that man sought by nature the highest knowledge in all domains of the world, and this became a part of the tradition of the western understanding about the human being. When Aristotle classifies all kinds of human knowledge and says that the seeking of these kinds of knowledge is part of the nature of man,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is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self-awareness of human beings. Because his activity reveals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at man has set for himself. Human beings seek the principle and causes, that is, the widest and deepest knowledge about themselves and all thing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Aristotle’s classification of knowledge would be said to be the real beginning of the ideal of all sciences related to the humanitie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요소들과 제일 질료의 관계

        손윤락(Sohn, Yun-Rak) 한국서양고전학회 2009 西洋古典學硏究 Vol.37 No.-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을 큰 틀에서 볼 때, 존재의 위계에서 정점에 있는 완전 현실태인 신에 대칭하는 위치 즉 가장 하부에 “순수 잠재태”로서 “제일 질료”(pr?t? hyl?)가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이 전통에 반대하는 쪽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이른바 “제일 질료”라는 용어와 이에 관련한 언급들은 요소들(stoicheia)을 가리키는 것이지 요소들이 그것으로부터 생겨나는바 어떤 “원질” 같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양쪽의 견해는 지금까지도 서로 대척점에 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전통적인 해석의 반대편 주장이 텍스트 상의 근거를 적잖이 가질 뿐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의 큰 틀에서도 전통적인 해석보다 더 타당한 그림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제일 질료”가 언급된 구절들을 하나하나 분석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는 대신, 『생성소멸론』 Ⅱ 권 4장에 나타나는 요소들의 생성에 관한 구절들을 분석하고 그 메커니즘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는 이를 통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철학에서 이러한 순수 잠재태로서의 “제일 질료”라는 개념은 불필요하며, 오히려 배제되고 있다는 귀결에 이른다는 사실을 보여주려고 한다. The friends of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philosophy affirm that, on a larger scale of his ontology, it is necessary that the prima materia (prote hyle) as “pure potentiality” exists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of beings (t?n ont?n) and just at the antipode of the God who exists at the top of the hierarchy as “pure actuality”. However, on the other side of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there is a group of scholars who argue that the term “prote hyle” and the mentions relative of this word occurred in the texts of Aristotle indicate the simple bodies(hapla s?mata), i.e. the four kinds of elements(stoicheia) - fire, air, water, earth - and not an “arche-matter” from which the elements might come to be. Until now the two positions about the concept of prima materia stand still on the parallel lines. But the recent results of research seem to give us some more textually established reasons to this old dispute, in favor of the anti-traditional interpretation. To prove this point, we do not use the general method of anti-traditionalists who seek the meaning of the word prima materia as elements in its occurrence in all texts, but we analyse the phrases on the generation of elements in GC Ⅱ 4 and see how the mechanism of elemental transformation goes exactly. Through this work we are attempting to show that the concept of “prima materia” qua “pure potentiality” is not necessary in the natural philosophy of Aristotle, and in all his ontolog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시민교육과 그 대상의 문제

        손윤락(Sohn, Yun-Rak) 한국서양고전학회 2015 西洋古典學硏究 Vol.54 No.1

        오늘날 흔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기원전 4세기 당시 아테네 시민을 기준으로 고안된 것으로 성인 남성을 제외한 사람들, 즉 여성과 노예 등은 그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 지적된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1권에서 윤리학과 정치학의 대상에 대해서 제한적인 언급을 한바 있다. 이에 따르면 여성이나 노예는 물론이고, 어린이나 젊은이 등 미성숙자와 습관에 있어 훌륭하지 못한 어른도 이 수업의 적합한 수강생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는 윤리학과 정치학의 바람직한 수강생과 관련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을 따라가면, 오히려 과거에 비해 훨씬 많은 사람이 그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드러낼 것이다. 고전기에 이르기까지 그리스의 전통에 따르면 훌륭하고 아름다운 인간의 삶이란 이야기 속의 왕들이나 영웅들의 문제였으며, 이들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후에도 국사에 참여하여 나라의 일을 판단하는 통치의 문제는귀족들이거나 아니면 적어도 재산 있는 시민들만의 전유물이었다. 기원전 4세기 후반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제 이 문제를 이성을 갖추고 노동에 매이지 않은 모든 시민에게로 돌리면서, 바로 당신들 모두가 수강생이니 함께 탐구해보자고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It is often said today that Aristotle’s Ethics was schemed out for the citizens of Athens in 4<SUP>th</SUP> century BC, and then the Ethics as education subject would have been only for mature men who had Athenian citizenship, excluding foreign residents, slaves, and even women and children. However, our research will reveal that, keeping up with Aristotle’s thinking about the good disciples in Ethics and Politics, we arrive to know that much more men than the past should be the auditors of this subject. According to the Greek tradition of that time, a good and beautiful life that Ethics advices was the matter of kings and heros in myths, and until long after the period of mythology the ‘politics’ as participating in vote and passing judgement in court has been the preserve of nobles or rich citizens. But Aristotle in the late 4<SUP>th</SUP> century turns this subject to all the citizens who have reason(logos) and free time(schole), saying that you all should be the auditors of this course Ethics-Politics and let’s study toget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