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시 학습 차원에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조정 방향에 대한 제언 -『동문선(東文選)』 소재 한시(漢詩)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손유경 ( Son Yoo-ky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2021년 4월 20일 발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계획’에 따라 2023년에는 한문 과목에서도 다양한 교과서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새로운 한문교과서의 본격적인 개발 이전에 漢詩 작품 수록에 있어서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를 초과하는 漢字가 없는” 시를 우선하고 있는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해 보다 세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ㆍ고등학교 교과서 30종에 수록되어 있는 한시를 목록화하고, 그 빈도를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또한 수록된 시에 사용되고 있는 한자들을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와 대조하여 그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현행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시를 대상으로 했을 때,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를 벗어나는 한자는 1편당 중학교는 2.3자, 고등학교는 1.8자에 불과하였는데, 이는 한시를 수록하는 과정에 있어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가 상당한 제약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모든 글자가 기초한자 범위 안에 해당하는 한시는 중학교는 崔致遠의 「秋夜雨中」(한국한시), 賈島의 「尋隱者不遇」(중국한시)의 2편, 고등학교의 경우 李奎報의 「偶吟二首有感」, 白光勳의 「弘慶寺」, 成三問의 「絶命詩」(한국한시), 杜甫의 「春夜喜雨」, 李白의 「静夜思」, 王之渙의 「登鸛雀樓」(중국한시)의 6편이라는 사실을 통해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범위를 지키면서 좋은 한시 작품을 선별해내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임을 알 수 있었다. 徐居正의 『東文選』에 실려있는 한시들이 사용하고 있는 한자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와 비교하였다. 이는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범위를 준용하면서 교과서에서 추가적으로 다룰 수 있는 한시는 없는지의 여부를 살피기 위함이었다. 이를 통해서 중학교에는 3편, 고등학교에는 54편의 한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초과자를 일부 허용할 경우 조금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는 전체 분석 대상 작품 1,386제 1,573수에 비해 매우 적은 수이며, 詩題에 사용된 한자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해야만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는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를 한시 학습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韻字와 故事에 대해 별도 조항을 두어야 함을 서술하였고, 어떠한 한자들이 추가되면 좀 더 폭넓은 한시 수록이 가능한가를 『東文選』 소재 한시들을 분석한 자료를 통해 언급하였다. 어떤 한시가 좋은 한시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수록 한시 작품들을 선정하는 데에 있어서 그 기준이 시의 ‘작품성’이 아닌,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이라면 이에 대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지면 및 연구기간의 제약으로 인해 분석 대상 텍스트를 『東文選』으로 한정하였는데, 추후『全唐詩』, 『國朝詩刪』ㆍ『大東詩選』 등을 텍스트로 하여 보다 다양한 작품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motion Plan' announced on April 20th, 2021, various textbooks will be made in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as well in 2023. Prior to a full-fledged development of new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 more detailed discussion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textbooks in which Sino-Korean poems "without Chinese characters other than the 1,800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are included preferentially. First, this study cataloged Sino-Korean poems contained in 30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types that are presently used in school setting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mpared their frequency to the previous curriculum.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used in the collected poems were contrasted to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to grasp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hen targeting Sino-Korean poems printed in current textbooks, Chinese characters that deviated from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were only 1.3 characters per piece. This shows that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are acting as a considerable restriction in the process of including Sino-Korean poems. Moreover, the fact that Sino-Korean poems with all characters falling under the range of basic Chinese characters merely amount to three pieces in middle school and four pieces in high school indicates that selecting a fine work of Sino-Korean poetry while keeping the range of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is extremely difficult. Second, the study compared the Chinese characters used by Sino-Korean poems in Dongmunseon (東文選) of Seo Geo-Jeong (徐居正) to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The comparison was performed to check if there are any Sino-Korean poems that can be additionally covered in textbooks while applying the range of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ly. Through this, two pieces of Sino-Korean poems were found to be further addable to middle school, and three pieces to high school. However, these numbers are incredibly low compared to 1,386 poems, the entire works for analysis, and even in this case, the titles of the poems had to be left as an exception. Third, in case some Chinese characters are to be added to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the study examined whether a slightly broader inclusion of Sino-Korean poems will be possible with a primary focus on Sino-Korean poems in Dongmunseon. This allowed an identification of which Chinese characters are excluded in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despite being frequently used in poems and which Chinese characters have low usage in poems despite being part of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This will be able to function as a material for adjusting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later on. It is not an easy task to determine which poem is a good Sino-Korean poem. Nevertheless, if the first standard for choosing works of Sino-Korean poetry to be included in textbooks is a 'list of basic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s' rather than the 'literary value' of the poems, this must be improved upon at all costs. Due to restrictions of space and time, the text for analysis was limited to Dongmunseon, but expanding the target of analysis to Quantangshi (全唐詩), Gukjosisan (國朝詩刪), Daedongshiseon (大東詩 選), and so forth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derive more accurate results.

      • KCI등재

        구찌 패션 필름에 나타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특성 연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알레산드로 미켈레를 중심으로-

        손유경(Son Yoo-Kyung),김미영(Kim Mi-Young) 한복문화학회 2020 韓服文化 Vol.23 No.1

        Gucci is one of the best successful rebranding examples through the creation of fashion films delivering a designer’s philosophy and a brand identity after changing a creative dir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rough Gucci fashion films that reflect the new creative director’s vision. The previous literature was reviewed. This study classified types of fashion films and identified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fil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uilding up a brand story in films was enabled to communicate with Millennials and Generational Z, and with the new Creative Director’s arrival, Gucci refocused on creating brand value that supports diversity. In the ear of visual communication, a fashion film is one of the critical drivers of brand image creation. The key enablers of Gucci’s success are a rapid response to consumers’ needs, a commitment to gender diversity, and an integration of young culture into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신광한(申光漢) 대일인식(對日認識)의 형성(形成) 배경(背景)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손유경 ( Yoo Kyung Son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본고는 1484년(성종 15)에서 1555년(명종 10)까지를 살았던, 16세기를 대표하는 문인인 企齋 申光漢의 對日認識을 살피고, 대일인식 형성의 배경을 찾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신광한은 일본으로 건너가 그들의 문화를 직접 체험하지는 않았기에 『實錄』에 남아있는 그가 獻議한 내용과 『企齋集』에 남아있는 일본 使僧 安心東堂과의 창화시를 통해 그의 대일인식의 일단면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實錄』에 전하는 그의 提言과 『企齋集』에 전하는 시문들을 통해 보이는 신광한의 대일인식이 긍정적인 시선보다는 부정적인 것이 더 강했던 당대 문사들과 그 결을 달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이것은 華夷論에 입각해서 일본을 夷로 파악하던 당시 문사들의 일반적 대일인식과 구별점을 가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어서 신광한이 개방적인 일본관, 친화적인 대일정책을 갖게 된 배경을 가계로부터의 영향과 학통으로의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광한의 조부인 泛翁 申叔舟와 그가 師友 삼았던 慕齋 金安國의 대일인식이 신광한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전기의 문사인 신광한의 일본인식을 살펴봄에 있어서 제한된 자료만을 참고해야 한다는 사실은 연구의 한계를 露呈하는 것이기에 안타깝다. 논의를 보다 풍부하게 하고 논지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근거 자료를 찾아서 보완 해야 할 것이다. 16세기 문인들의 對日本 관련 자료들과, 더 나아가 일본측 문헌들까지 발굴되어서 당시 상황들을 보충할 수 있다면 당시 교류 상황과 신광한의 대일인식의 면모가 좀 더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드러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Japan of GiJae(企齋) Shin Gwanghan(申光漢), who lived from 1484 to 1555, and to identify its formative backgrou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and researched Shin Gwanghan(申光漢)`s remarks recorded in Chosun Dynasty Chronicles and his works in Gijae-jip(企齋集), the collection of his works. The research was triggered by the difference in the attitudes toward Japan between Shin Gwanghan and other shcolars as he held very equal and friendly attitude toward Japan unlike a majority of scholars who were negative toward it. This study attributed the formative background of Shin Gwanghan`s open and friendly attitude to the influences from his family line and his academic school. That is to say, Shin Gwanghan`s attitude had been heavily influenced by his grandfather, Beomong(泛翁) Shin Sookju(申叔舟) and his teacher, Mojae(慕齋) Kim Ahngook(金安國). It is unfortunate that only limited resources are available to examine Shin Gwanghan`s attitude toward Japan, which remains a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For furth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find and refer to more resources to encourage more academic discussions. It is expected that more specific and objective examination will be made possible regarding Chosun-Japan exchanges at that time and Shin Gwanghan`s attitude toward Japan if more works by 16th-century scholars and Japanese documents are found and researched.

      • KCI등재

        투구논문 : 복재(服齋) 기준(奇遵)의 유배기 작품에 관한 일고찰

        손유경 ( Yoo Kyung S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4 No.-

        조선시대에는 학파의 대립과 권력 쟁탈로 인해 크고 작은 사화들이 끊이지 않았다. 이 중 己卯士禍는 中宗反正으로 16세기를 엶과 동시에 끊이지 않던 신진사림과 기성 훈구세력 사이의 첨예한 갈등이 노정된 것으로, 오늘날 16세기 조선왕조를 이야기하는데 빠질 수 없는 핵심이 되는 사건이다. 본고는 기묘사림 중의 한 사람인 服齋 奇遵(1492-1521)의 작품세계를 고찰하려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기록 자료의 절대적 빈곤이라는 핸디캡을 안고 있는 16C 기묘사림의 문학 세계를 고찰함에 있어서 복재 기준의 『德陽遺稿』 안에 305제 450여 수의 시가 남아있다는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 중 대부분의 작품들은 己卯士禍 이후 유배기에 지어진 것들이다. 일반적인 유배문학 작품들이 울분과 좌절이라는 현실과의 갈등 양상과 안분과 자적이라는 현실에의 동화 양상이 동시에 드러나는 것과는 달리 기준의 시작품 안에는 현실에의 동화 양상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당시 그가 처해있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기준 유배문학이 갖는 하나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복재 奇遵은 23세에 출사하여 신진 사림파로 크게 활약하던 가운데 28세에 기묘사화를 당하여 牙山으로 유배되었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죄의 가중으로 穩城으로 移配되어 圍籬安置 되었다가 서른 살의 젊은 나이에 사사되었다. 이렇게 순탄치 않게 살았던 그의 삶을 반영해내듯 그의 문학 작품들에는 悲哀感이 강하게 표출되어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비장한 정서를 문학작품 속에 담아내게 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의 유배 생활상을 살펴보는 것으로 논의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그의 유배기 시작품들을 들어서 당시 기준의 심리상과 시작품 문면에 드러나 있는 비장의 정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재 기준의 유배기 작품 세계를 다루고자 하는 본 연구가 16C 기묘사림들의 유배 생활상을 읽어내고 유배기 그들의 내면 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단초가 되어주기를 기대한다. 다만 본고는 이러한 과정에서 16C 기묘사림들 중 복재 기준만을 그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니, 다른 작가들에 대한 연구는 후속 연구를 기약한다. Joseon history is marked with big and small calamities of literati due to confrontations and power struggles among different schools. Among the calamities, Kimyo Calamity of Literati was the outburst of severe conflicts between the Sarim and Hunku, which had been going on since the Jungjong Restor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was one of the most historic occasions critical to the discussions of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works of Bokjae Kijun (1492-1521), who was one of the Kimyo literati. In considering the literary works of the 16th-century Kimyo Literati whose recorded texts are absolutely in lack, it is very fortunate that Bokjae Kijun`s 450 pieces of poems under 305 titles still remains in his Deokyang Memoir. Most of these poems were written during his exile days. Unlike other exile works who mostly contain pent-up resentment and frustration from the conflicts with the reality as well as self-contentment and complacency from the assimilation into the reality, the latter cannot be found in Kijun`s works. We can presum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ituation he was in and can be count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ijun`s exile literary works. The study starts with discussions on Kijun`s exile life, which can be the very background of the grim sentiments in his works. And then, it closely examines Kijun`s psychological states at that time and the grim sentiments in his poems written the exile day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addressing Bokjae Kijun`s literary works reveals the exile life of the 16th-century Kimyo Literati and renders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literati`s mind during the exile days. As this study only deals with Bokjae Kijun`s works among a number of 16th-century Kimyo Literati, it is also expected to be followed by further studies in future.

      • KCI등재

        교육용 CD ROM 분석을 통한 한문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모색 -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손유경 ( Yoo Kyung S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21세기의 C-세대들은 컴퓨터로 사이버 공간에서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며, 때로는 새로운 콘텐츠를 자유롭게 창출하면서 현대 사회를 운용한다. 한문교과에서는 이러한 C-세대의 시청각·체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교육용 CD ROM을 보급했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전면 도입에 앞서서 교육용 CD ROM을 면밀히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추후 디지털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주요 기능 중 ‘학습지원, 촉진기능’에 집중하고, 멀티미디어 자료 중에서 ‘문화콘텐츠’ 발굴에 주력하였다. 기존 출시되어 있는, 2009개정 『한문』 교육용 CD ROM이 어떤 방식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담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앞으로의 개발 방향에 대해 논한 것이다.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8종의 중학교 『한문』 CD ROM에서 세 가지주제 -‘명절[풍속]·역사적 인물[역사]·교훈적 인물[이야기]’-에 대해 살펴본결과, 다음 몇 가지의 공통적 특징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멀티미디어 기능의 제한적 사용이다. 구성은 ‘도입부’와 ‘심화부’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표현방식은 6가지 형태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입부’와 ‘심화부’외에 ‘평가부’에서도 멀티미디어 기능을 적극 활용할 것과 제시법에 있어서 ‘오디오’ 기능을 삽입하고 ‘질문 제시형’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콘텐츠가 빈약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콘텐츠가 상업적 콘텐츠에 못지않은 완성도와 재미를 가져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서 상업적 콘텐츠들을 적극 발굴하고 일부 소개하였다. 또한, ‘역사적 인물’을 ‘도표제시형’으로 구현할 때, AR(증강기술)을 활용한다면 현재 교육환경에서도 좀더 풍부하고 입체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을 모든 단원에서 획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요소가 강한 ‘명절[풍속]’의 경우, ‘이미지+텍스트+오디오 결합형’을, ‘역사적 인물’의 경우, ‘도표 제시형’을, ‘교훈적 인물’은 ‘동영상+텍스트+오디오 결합형[애니메이션]’을 활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그이유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교육 전면화 방침으로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중·고등학교 교실에서 점차 그 의존도가 높아져가는 한문과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①스마트 교육 환경에 맞는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방향성 제시, ②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제시를 통한 다양한 수업 모형 구현 가능성 제고, ③현대적 접근 방식을 통해 한문교육 위기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re was a great need to thoroughly examine the educational CD ROM before introducing digital textbooks. The way in which the multi-media function was carried out in 2009 revised CD ROM was minutely exami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o develop in future was discussed. This paper looked at three themes of eight middle school CD ROMs - traditional festival[customs], historical figures[history], and edifying figures[story] -, by thoroughly examining these, several common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Firstly, the multi-media function was used restrictively. The composition was concentrated in ‘introduction’ and ‘advanced section’ and the expression mode consisted of six forms. Observing these led this study to suggest that multi-media function should also be utilized more widely in ‘assessment’ as well as in ‘introduction’ and ‘advanced section’ and for presentation method, it was suggested to insert ‘audio’ function and to develop ‘question presentation’.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contents were meager. This study actively looked for commercial contents and introduced some of them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have the degree of completion and fun that are not short of the commercial conten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to consider utilizing the AR(Augmented Reality). Lastly, it could be observed that the multi-media function, animation in particular was used uniformly in all chapters. This study is meaningful first attempt to examine the multi media content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hich has more relevance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where radical changes are expected due to full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policy.

      • KCI등재후보

        프라다 패션 필름에 나타난 브랜드 스토리 특성 연구 - 365 Film을 중심으로 -

        손유경(Son Yoo-Kyung),김미영(Kim Mi-Young)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4

        Fashion Films are actively used as brand communication medium as they can convey the brand story that fashion brands want to conve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brands and consumers. Prada, a leading fashion brand, utilizes fashion Films to create a brand story, thereby providing consumers with artistic value through innovation and creativity. Despite this infinite possibility of brand story expressed in fashion Film, precedent study is mainly focused on studying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Film, s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sto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brand story expression element of communication medium called fashion Film is lacking.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stories in Prada 365 Films that convey brand identities. It is also aimed at enhancing the strategic use of fashion Films by revealing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story shown in Prada"s 365 Film play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stor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case of Prada Film. In this study brand storytelling was classified as a narrative type and a creative type. The elements of storytelling were classified as themes, characters, backgrounds, events, and plots. Moreover, visual elements, literal elements, and virtual el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Prada 365 Film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in Prada 365 Films embraced brand fluidity reflected in contemporary society and brand differentiation strategy. Second, Prada emphasized that there is a multi-pronged interpretation of a single topic and concept in 365 Films. Last, the virtual elements in fashion Film enhanced the brand story.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using only 365 Films of the Prada, thus limiting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brand story in fashion Films in order to maintain brand continuity.

      • KCI등재

        기재 신광한의 작가의식에 대한 일고찰 -여흥(驪興) 지역(地域)이 가지는 의미(意味)를 중심(中心)으로-

        손유경 ( Yoo Kyung S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5 No.1

        企齋申光漢(1484(성종 15)-1555(명종 10))은 16C 중종대를 대표하는 문인이다. 조부인 申叔舟(1417-1475)로부터 이어 받은 가학으로 학문적 조예가 깊었고, 거기에 趙光祖(1482-1519) 등 사림파들과 교유하면서 사상적으로 영향을 받아 개혁 성향을 지닌 실천 지식인으로서의 지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己卯士禍가 일어나자 탄핵을 받아 삼척부사로 좌천되었고, 이듬해에 파직되었다. 이렇게 예기치 않은 政爭에 휘말려 정치적 기반을 상실한 신광한은 이후15년간 驪興[현 경기도 여주시]에서 칩거하였다. 본고는 신광한의 문학작품을 그의 의식세계와 연계하여 살피려는 연구 목적의 一環으로 신광한의 문학작품을 그가 거주했던 지역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작가가 처한 地理的位置와 자연 환경은 어떠한 형태로든 작가의 작품세계에 투영되는데 특히 신광한에게 京畿道驪興과 江原道眞珠[현 강원도 삼척시]가 가지는 의미는 적지 않았다. 두 곳은 작가가 失意후 만나게 되는 공간이라는 점과 문학 세계 구축에 있어 진전을 이루는 계기를 만들어준 장소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경기도 여흥과 강원도 진주 중에서 본고는 우선 경기도 여흥 지역이 신광한과 그의 문학 작품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포커스를 맞추어 고찰하였다. 우선, 그가 경기도 여흥 지역에 卜居한 이유를 서울과의 근접성을 염두에둔 신원복권의 도모, 경기도 지역을 기반으로 한 문화 세력의 형성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여흥 지역을 기반으로 지어진 시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감상하였다. 원형리 기재에서는 일상적인 강학과 至親의 방문에 응하는 작시 활동이 이루어졌고, 청심루와 팔대수에서는 여주목사의 초대를 받은 선비들과 그 선비와 함께 하는 유생들을 중심으로 숱한 詩宴과 酒宴이 이루어졌으며, 신륵사에서는 멀리 떨어진 친우들과 그간의 회포를 풀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재 신광한의 경우에 국한하여 분석한 본 연구가 16C 경기도 지역에 낙향했던 일군의 문인들의 성격을 포괄한다고는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료적 취약을 안고 있는 이 시기 사림 문학에 대한 지역학적 접근은 신광한의 의식세계는 물론이고 동시대에, 같은 아픔을 지니고, 같은 지역에 살았던 이들의 내면세계를 살피는 데에 유의미한 작업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Gijae Shin Gwanghan (企齋申光漢1484--1555)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riters during the reign of King Joongjong in the sixteenth century. Under the literary influence of Shin Sookju(申叔舟), his grandfather, he had a deep understanding of classics and became a participatory intellectual with radical ideas through exchanges with Sarim(士林) including Jo Gwangjo(趙光祖). However, he was impeached and demoted to the Sheriff of Samcheok with the breakout of the Third Literati Purge of 1519 (Gimyo Sahwa(己卯士禍)) and was dismissed from office in the following year. Losing his political base, Shin Gwanghan kept a low profile in Yeoheung(驪興) for 15 years. This study associates Shin Gwanghan`s literacy works with the areas he resided in. The geographical locations and natural environment are always reflected in a writer`s literary world to some extent; especially to Shin Gwangahan, Yeoheung in Gyeonggi-do and Samcheok in Kangwon-do are more than significant. These two places are similar in that the writer resided in frustration and he made a progress in his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Yeoheung in Gyeonggi-do on Shin Gwanghan and his works. Fist of all, the study examines the reasons he came to live in Yeoheung in Gyeonggi-do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 attempt to return to the political world and form a local power group, and then it addresses his poems written while he was based in Yeoheung.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is study that analyzes only Gijae Shin Gwanghan`s case encompasses the wholr group of literary scholars who were made to reside in Gyeonggi-do area in the sixteenth century. Nevertheless, a geographical approach to Sarim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sheds a light not only on Shin Gwanghan`s inner world but also on his contemporaries` despite the lack of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ner world of the group of literary scholars who shared the same pain, lived in the same area an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논문(論文) : 『황화집(皇華集)』을 통해 본 기재 신광한(企齋 申光漢)의 작가 의식 -명사 장승헌(明使 張承憲)과의 수창 양상(酬唱 樣相)을 中心으로-

        손유경 ( Yoo Kyung S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3 No.1

        企齋 申光漢(1484-1555)은 1507년 宦路에 들어서서 1554년 致仕할 때까지 30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文衡을 장악하여 당대 문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낸 인물이다. 본고는 신광한의 삶의 여정을 따라 그의 시세계를 분석하고, 그 안에 담겨 있는 의식세계를 파악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신광한이 明使를 접대하면서 수창한 시작품들을 살펴보았다. 물론 이것은 신광한의 작품 세계에 있어서 지극히 작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그가 敍用되자마자 연이어 明使의 접대를 담당했던 이력은 신광한의 삶의 여정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며, 그의 시문에 대한 동시대인의 인정을 반증하는 것이자, 다시 조정의 부름을 받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에 그 의미가 작지 않다. 『기재집』에 소재한 시 작품들 중에서 신광한의 외교술과 사장 능력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는 권11과 권12를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모두 『황화집』에 수록되어 있는 신광한의 작품들인데 접반 업무의 특성 상 明使의 先唱에 唱和하는 과정에서 지어진 시들로 대부분 次韻詩의 형식을 띠고 있다. 본고는 明使 장승헌의 원운시와 신광한의 차운시가 함께 수록되어 있는 『황화집』 소재 작품들을 텍스트로 하여 明使 장승헌과의 교유 양상을 밝히고, 그 唱和詩에 속에 투영된 신광한의 의식세계를 고구하였다. 신광한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세 차례의 사행 중에서 1545년(인종 1)에 행해진 사행에 논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황화집』 수록 작품들은 비록 특수 문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신광한의 경우 자신의 작품 안에서 국가의 체모를 지키고자 하는 관료의식과 시인의 자존심을 온전히 지키려는 시적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기에 사환기의 그의 내면세계를 엿보는데 유의미한 연구 자료가 된다. 또한 명나라 장승헌의 작품과 조선의 신광한의 작품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신광한의 작시 배경을 좀 더 세밀하게 검증하고 양국 문사의 시각을 함께 드러낸 것 또한 본 연구가 가지는 연구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Gijae Shin Gwang Han (1484-1555) is a figure who played a key role in the literary circles of the day while being in the government service for around 30 years. As a metho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his literary world in his life and his consciousness presented in his poems, this study looked into poems he exchanged with a Ming envoy while carrying out the duty of greeting him. Those poems, of course, account for a very small part of his works. However, the record of greeting a Ming envoy was an important incident in his life and it is significant as it demonstrated the recognition of his poems by his contempora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poems contained in Hwanghwajip, which includes both Ming Envoy Jang Seung Heon`s poems and Shin Gwang Han`s responding poems, looking at the aspect of poem exchange between Shin Gwang Han and Jang Seung Heon and the poet`s consciousness reflected in the poems exchanged with Jang Seung Heon. Shin Gwang Han was involved in three times of envoy greetings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envoy greeting carried out in 1545 (the 1st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ough pieces of work in Hwanghwajip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literature, the poems can serve as meaningful research materials for getting a glimpse of Shin Gwang Han`s inner world during the period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because they display both his bureaucratic attitude to save his country`s face and poetic self-esteem to fully keep the pride as a poet. In addition, another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be to verify the background of his literary works in more details and to reveal the viewpoints of two literary men who lived in the same era but different countries by analyzing poems written by Jang Seung Heon of Ming dynasty and Shin Gwang Han of Josun.

      • KCI등재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의 『산중일기(山中日記)』 연구(硏究) -경남 함양 유람에 관한 기록을 중심으로-

        손유경 ( Son Yoo Ky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9 No.1

        愚潭丁時翰(1625~1707)은 조선후기의 학자로, 집안 대대로 벼슬을 해온 서울의 양반 명문가 출신이다. 우담 정시한에 대한 선행 연구는 사상적인 측면에 집중된 경향이 강하며 문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집안에 보관해 두었던 여러 문학 작품이 산일되었다는 점과 정시한의 글 짓는 성향이 학문을 강론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연구자는 정시한의 기행집인 『山中日記』라는 텍스트에 흥미를 갖게 되었고 이 텍스트가 정시한에 대한 연구를 보다 다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정시한에 대한 『실록』의 기록을 살펴보면 정시한은 “산수를 좋아하여 팔방에 두루 다녔다. [喜山水遍遊八方]”라고 하였는데, 이 『산중일기』는 그가 늘그막에 기획한 네 차례의 산행에 대한 하루하루의 기록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을 세밀히 분석함으로써 정시한의 평범한 일상을 엿볼 수 있었고 사상가로서의 정시한이 아닌 또 다른 작가의 면모를 살필 수 있었다. 본고는 우담 정시한에게 ‘사는 곳’이 아닌 ‘떠나온 곳’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평생을 강원도 원주를 근거지로 하여 살았던 정시한에게 산행이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산중일기』에 담겨 있는 네 차례의 산행 중에 1차 여행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정시한의나이 예순 두 살 때 행해진 이 여행은 그가 기획한 여행 중 가장 긴 기간에 해당되는 여행이었는데, 그 중 6개월 가량을 경상남도 함양지역에서 체류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산중일기』 안에 보이는 함양 체류 기록만을 발췌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시한에게 함양 지역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공간인지를 찾아보았으며, 더 나아가 정시한이 山水癖을 갖게 된 원인을 살펴보았다. WuDam (愚潭) Jeong, Si-Han(丁時翰) is a scholar of late Joseon dynasty and his family was yangban (aristocrat class) family living in Seoul for generations. Existing researches about WuDam Jeong, Si-Han have focused on hi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his literary aspects have not been approached enough. This research was started from interest on 『Sanjungilki (山中日記)』, a travel literature of Jeong, and we believe the literature can diversify studies regarding Jeong, Si-Han.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eong was described as “likes mountain and water hence traveled around all different regions [喜山水遍遊八方]” and 『Sanjungilki』 is a book with intact daily records of four-time mountain traveling at his late age. Therefore, detailed analysis of this book could contribute for knowing Jeong, Si-Han`s normal life not just as a scholar but also as a writer. This paper has looked into the meaning of ‘the place one has left’, not ‘the place one is living’ for WuDam Jeong, Si-Han.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mountain traveling for Jeong, Si-Han, who lived in Gangwon-do province for his entire life, has been investigated. For this, among the four mountain traveling described in 『Sanjungilki』, the first traveling was selected for detailed analysis. The travel, proceeded on his age of 62, was with the longest time spent among his four trips and he stayed in Hamyang region of Gyeongsangnam-do Province for six months. Therefore this paper extracted records from Hamyang region only from 『Sanjungilki』 and analyzed in depth to find the meaning of Hamyang for Jeong, Si-Han. Moreover, the rationales of Jeong`s San-Su-Byeok (山水癖: propensity of craving for mountain and water) were contemplated through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